KR102428030B1 -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 Google Patents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030B1
KR102428030B1 KR1020210072154A KR20210072154A KR102428030B1 KR 102428030 B1 KR102428030 B1 KR 102428030B1 KR 1020210072154 A KR1020210072154 A KR 1020210072154A KR 20210072154 A KR20210072154 A KR 20210072154A KR 102428030 B1 KR102428030 B1 KR 10242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in body
power
modu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식
Original Assignee
에이스건설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건설기계(주) filed Critical 에이스건설기계(주)
Priority to KR102021007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30B1/ko
Priority to PCT/KR2021/007558 priority patent/WO20222555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캐터필러모듈이 구비된 항타기본체부;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터필러모듈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구동모터부; 상기 항타기본체부 전방측에 상하수직하게 구비되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에 구비되어 파일을 지반에 천공하는 상부오거와 하부오거; 상기 항타기본체부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모듈;을 포함하는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Electric Pile Driver with power connecting module}
본 발명은 항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 다양한 위치로 설치된 전기공급부에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항타기의 이동 및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하여서는 건축물을 건축하기에 앞서 지반에 파일을 수직방향으로 박는 기초 항타 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기초 작업 시 사용되는 파일은 그 길이가 길고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항타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항타기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항타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일예를 들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체인바퀴 방식으로 이동되는 항타기 차체의 전단에 리더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리더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상부오거와 하부오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의 작동에 따라서 지반에 천공작업이 수행되는데, 종래 항타기는, 상부오거와 하부오거의 작동을 위하여 적용되는 엔진에 많은 매연이 발생되어 공기 오염이 일어났으며, 소음이 상당히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 20-1998-000820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발생을 줄이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에 캐터필러모듈이 구비된 항타기본체부;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터필러모듈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구동모터부; 상기 항타기본체부 전방측에 상하수직하게 구비되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에 구비되어 파일을 지반에 천공하는 상부오거와 하부오거; 상기 항타기본체부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라켓 후방 단부에 수직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수직브라켓 상측에는 전원케이블이 걸리는 걸림도르레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도르레에 걸려진 전원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전기가이드모듈이 상기 수직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가이드모듈은 프레임부재, 케이블통과부재, 파이어스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수직브라켓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브라켓의 수직 벽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측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되 소정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협하광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원케이블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하로 연통되는 개방상부와 개방하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상단에는 외향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외향플랜지부와 인접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이어스틸부재는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개방상부를 빠져나오는 전원케이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이어스틸돌기를 포함하는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캐터필러모듈은 상기 항타기본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휠부; 상기 항타기본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휠부; 상기 메인휠부 및 보조휠부를 연결하는 캐터필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구동모터부는 상기 메인휠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휠부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모듈은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에 구비되는 전기분전반;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분전반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감겨지는 와인더부;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에 의하면, 외부 전력을 연결하여 항타기의 상부오거와 하부오거가 작동되므로 매연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에 의하면, 전원케이블의 급격한 감김 및 풀림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오동작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작업장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에 적용된 전원연결모듈을 나타낸 확대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에 적용된 전기가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 및
도 5는 전기가이드모듈에 전원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작업장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에 적용된 전원연결모듈을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도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100)는 항타기본체부(110), 캐터필러모듈(120), 메인구동모터부(130), 지지부(150), 리더부(160), 상부오거(162), 하부오거(164) 및 전원연결모듈(170)을 포함한다.
상기 항타기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100)의 외관 본체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항타기본체부(110)는 상부 일측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항타기(100)를 작동하는 작업자가 수용되며, 항타기(100)의 작동을 위한 핸들 및 버튼 등이 구비된 캐빈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항타기본체부(110)에는 항타기(100)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기어, 제너레이터, 유압탱크(118)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터필러모듈(120)은 상기 항타기본체부(110)의 양 측 하부에 구비되어 항타기본체부(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캐터필러모듈(120)은 항타기본체부(110)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휠부(122)와, 상기 항타기본체부(110)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휠부(126)와, 상기 메인휠부(122) 및 보조휠부(126)를 연결하는 캐터필러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구동모터부(130)는 상기 항타기본체부(110)에 마련되고 캐터필러모듈(120)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구동모터부(130)는 메인휠부(122)를 회전시키도록 메인휠부(122)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항타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 및 메인구동모터부(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 및 메인구동모터부(130)를 작동시키는 전원은 외부로부터 전원케이블(C)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작업장(1) 내 배치된 전원공급부(10)에 전원케이블(C)을 상기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 및 메인구동모터부(130)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항타기본체부(110)와 상기 리더부(160)를 연결하며 상기 리더부(160)를 지지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리더부(160)는 항타기본체부(110) 전방측에 상하수직하게 구비되되, 상기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가상기 리더부(160)에 구비되어 공지된 기술과 같이 지반을 천공하도록 구성된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 및 상기 메인구동모터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한데,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작업장(1) 내 배치된 전기공급부(10)부터 전원케이블(C)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기공급부(10)는 외부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된 상태를 이룸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100)는 항타기본체부(110) 후방측으로 연결브라켓(117)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브라켓(117) 상측으로 전원연결모듈(170)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모듈(170)은 전기분전반(172), 와인더부(174), 수직브라켓(176) 및 걸림도르레(178)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분전반(172)은 상기 와인더부(174)에 감겨진 전원케이블(C)이 상기 상부오거(162), 하부오거(164) 및 메인구동모터부(130)에 전기전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 공지된 분전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와인더부(174)에 와인딩된 전원케이블(C)의 단부가 상기 전기분전반(172)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에 따라 상기 각 상부오거(162), 하부오거(164) 및 메인구동모터부(130)에 외부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인더부(174)는 전원케이블(C)이 감기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인더부(174)의 회전에 따라 전원케이블(C)이 회전축에 감기거나 회전축으로부터 풀림으로써 전원케이블(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퀴는 회전축의 양 측에 마련되어 전원케이블(C)이 회전축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와인더부(174)는 상기 회전바퀴의 회전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된 보조모터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모터부(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전기식 방법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브라켓(117) 후방 단부에 상기 수직브라켓(176)이 구비되되, 상기 수직브라켓(176) 상측에는 전원케이블(C)이 걸리는 걸림도르레(17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도르레(178)에 걸려진 전원케이블(C)을 가이드하는 전기가이드모듈(200)이 상기 수직브라켓(176)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100)에 의하면, 작업장(1) 내 다수 위치로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10)에 전원케이블(C)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을 연결하여 전기식 항타기의 상부오거(162)와 하부오거(164) 또는 캐터필러모듈(120)이 작동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전 항타기 작업 시 발생하는 매연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작업 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기가이드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에 적용된 전기가이드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전기가이드모듈에 전원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항타기(100)는 상기 수직브라켓(176)에 설치되는 전기가이드모듈(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기가이드모듈(200)은 프레임부재(210), 케이블통과부재(220), 파이어스틸부재(250) 및 연소콘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210)는 상기 수직브라켓(172)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재(210)는 수직한 상기 수직브라켓(172)의 수직 벽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재(210)의 일측에는 못이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부재(210)를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215)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는 상기 프레임부재(2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부재(100)가 바닥판(214)을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214)과 케이블통과부재(220)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는 소정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협하광의 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원케이블(C)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하로 연통되는 개방상부와 개방하부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를 상하로 관통하며 전원케이블(C)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52)이 구비된다.
상기 파이어스틸부재(250)는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의 개방상부를 빠져나오는 전원케이블(C)의 표면을 과도하게 가압하지 않으면서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의 상단에는 외향플랜지부(222)가 형성되되, 상기 외향플랜지부(222)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홈(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어스틸부재(250)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의 상단의 외측으로 끼워져 외향플랜지부(222)의 저면에 지지되는 신축링부(255)와, 상기 신축링부(255)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224)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이어스틸돌기(2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이어스틸돌기(251)는 케이블통과부재(220)의 개방상부를 빠져나오는 전원케이블(C)의 표면에 과도한 가압은 하지 않으면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길이로 돌출되며, 마찰에 의하여 불꽃을 형성하는 공지된 파이어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케이블(C)은 외부에 소정 강직성을 가지며 상기 파이어스틸부재(250)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마찰 접촉 시 불꽃을 발생할 수 있는 돌기부가 구비되거나,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파이어스틸부재(250)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마찰 접촉 시 불꽃을 발생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름이 연속적으로 적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는 콘 형태의 연소콘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연소콘부재(30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하부가 개구된 연소콘몸체부(310)와, 상기 연소콘몸체부(310)의 외부를 따라서 연소 시 용융되면서 향을 발산하는 링 형태의 발향띠부(312)와, 연소 시 연기를 발생하는 링 형태의 발연띠부(314)가 구비된다.
상기 발향띠부(220)는 상기 외부링부(210)의 연소 시 용융되어 소정의 향을 발산하는 재질로 상기 외부링부(210)에 코팅된 형태를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이드모듈(200)은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이 상기 수직브라켓(176)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C)이 상기 한 쌍의 케이블통과부재(22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와인더부(174)에 감겨지되, 상기 파이어스틸부재(250)는 상기 외향플랜지부(222)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홈(124) 서로 대면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파이어스틸돌기(185)는 상기 전원케이블(C) 외부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와인더부(174)의 급속한 작동에 따라서 전원케이블(C)이 순간적으로 잡아당겨지거나 풀리는 경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220) 상부에서 전원케이블(C)이 빠른 속도로 이동 시에는 상기 파이어스틸돌기(251)와 전원케이블(C) 사이에 마찰에 의하여 소정의 불꽃이 상기 연소콘부재(300)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천재질의 연소콘몸체부(310)가 타들어가면서 상기 발향띠부(220)의 용융이 일어나 소정의 향을 발산하거나 상기 발연띠부(314)의 가열에 의하여 연기가 발산하게 되는데 이를 주변 작업자가 감지함으로써 작업 중 전원케이블(C)의 과도한 움직임이나 오설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에 의하면, 전원케이블의 과도한 감김 및 풀림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오동작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기식 항타기 110: 항타기 본체
117: 연결브라켓 120 캐터필러모듈
130: 메인구동모터부 150: 지지부
160: 리더부 170: 전원연결모듈
172: 전기분전반 174: 와인더부
176: 수직브라켓 178: 걸림도르레

Claims (3)

  1. 양측에 캐터필러모듈이 구비된 항타기본체부;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터필러모듈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구동모터부; 상기 항타기본체부 전방측에 상하수직하게 구비되는 리더부; 상기 리더부에 구비되어 파일을 지반에 천공하는 상부오거와 하부오거; 상기 항타기본체부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항타기본체부에 구비되는 전원연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라켓 후방 단부에 수직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수직브라켓 상측에는 전원케이블이 걸리는 걸림도르레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도르레에 걸려진 전원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전기가이드모듈이 상기 수직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가이드모듈은 프레임부재, 케이블통과부재, 파이어스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수직브라켓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수직브라켓의 수직 벽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사각프레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측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구비되되 소정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협하광의 콘 형태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원케이블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하로 연통되는 개방상부와 개방하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상단에는 외향플랜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외향플랜지부와 인접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이어스틸부재는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통과부재의 개방상부를 빠져나오는 전원케이블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절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이어스틸돌기를 포함하는,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터필러모듈은,
    상기 항타기본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휠부; 상기 항타기본체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휠부; 및 상기 메인휠부 및 보조휠부를 연결하는 캐터필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구동모터부는 상기 메인휠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휠부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모듈은,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에 구비되는 전기분전반;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분전반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감겨지는 와인더부;
    상기 연결브라켓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브라켓;
    을 포함하는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KR1020210072154A 2021-06-03 2021-06-03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KR10242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54A KR102428030B1 (ko) 2021-06-03 2021-06-03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PCT/KR2021/007558 WO2022255528A1 (ko) 2021-06-03 2021-06-16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54A KR102428030B1 (ko) 2021-06-03 2021-06-03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030B1 true KR102428030B1 (ko) 2022-08-02

Family

ID=8284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154A KR102428030B1 (ko) 2021-06-03 2021-06-03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8030B1 (ko)
WO (1) WO202225552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04U (ko)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1809510B1 (ko) * 2017-06-07 2018-01-18 (주)신세계중공업 안정성이 향상된 항타장치
KR101870090B1 (ko) * 2017-11-22 2018-06-21 지이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항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906B2 (ja) * 1998-12-08 2008-06-11 大成建設株式会社 杭打機
JP2004225355A (ja) * 2003-01-22 2004-08-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作業機械
KR101986479B1 (ko) * 2019-04-09 2019-09-27 에이스건설기계(주) 모터 구동 방식의 전기식 항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04U (ko) 1996-07-31 1998-04-30 배순훈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1809510B1 (ko) * 2017-06-07 2018-01-18 (주)신세계중공업 안정성이 향상된 항타장치
KR101870090B1 (ko) * 2017-11-22 2018-06-21 지이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항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528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0980A (en) Portable light support apparatus
KR102428030B1 (ko) 전원연결모듈이 구비된 전기식 항타기
KR101221485B1 (ko) 농업용 관리기
JP2004527788A5 (ko)
RU200610139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пучком электронов
KR1010701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 타워
CN110977210A (zh) 一种激光切割机走线装置
KR102322465B1 (ko) 터널 피난유도등의 비상전원 발전장치
KR101606750B1 (ko) 각도조절 가능한 차량용 투광장치
WO2018179128A1 (ja) エレベータの停電灯装置
US20060164614A1 (en) Exposing machin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11944729B1 (en) Liftable aroma diffuser
CN214670001U (zh) 一种影视传播用自控式灯光辅助设备
KR200192699Y1 (ko) 스튜디오 바튼 구동장치
JP2007217881A (ja) シャッタ装置
JP2000188010A (ja) トラッククレ―ン投光機
KR100692218B1 (ko) 시상식용 국기게양대
KR870000083Y1 (ko) 소형 콘 와인다
CN209893185U (zh) 一种道路施工用具有警示功能的照明装置
JPH07303965A (ja) 円周溶接機
CN220981085U (zh) 一种照明设备和车辆
CN210291609U (zh) 新型市政园林灯
KR102533640B1 (ko)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레일구조
KR102453901B1 (ko) 회전동력 전달장치
CN217503163U (zh) 一种可调式对射光电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