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013B1 -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 Google Patents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013B1
KR102428013B1 KR1020210184482A KR20210184482A KR102428013B1 KR 102428013 B1 KR102428013 B1 KR 102428013B1 KR 1020210184482 A KR1020210184482 A KR 1020210184482A KR 20210184482 A KR20210184482 A KR 20210184482A KR 102428013 B1 KR102428013 B1 KR 10242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computer
company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김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권 filed Critical 김종권
Priority to KR102021018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는 컴퓨터 수리를 의뢰하는 의뢰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의뢰자정보관리부와, 상기 컴퓨터를 수리하는 수리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수리업체정보관리부와, 상기 의뢰자와 상기 수리업체를 기 설정된 매칭조건에 따라 매칭하는 매칭부와, 상기 수리업체의 수리완료 처리시 상기 컴퓨터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COMPUTER REPAIRING PLATFORM SERVER}
본 발명은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수리를 중개하고, 수리 전후의 컴퓨터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컴퓨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 중에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수많은 부품과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일반 소비자는 컴퓨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 이를 외부의 수리업체에 의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일부 수리업체에서는 소비자가 컴퓨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것을 이용하여 과도하게 수리비를 책정하거나 제대로 수리를 하지 않아 소비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4366호(2012년 1월 12일 공개)는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수리와 사용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과 연계되어 각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상품 구매 시 구매자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진단, 치료, 수리, 사용법 등의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기사와 원격연결 실시간으로 원격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원격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적인 수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컴퓨터가 부팅조차 되지 않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의 발생시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의뢰자의 컴퓨터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확인하여 수리내역에 대한 검증을 함으로써 의뢰자와 수리업체 간의 수리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컴퓨터에 대한 사전진단정보를 통해 고장유형을 판단하여 예상 수리비견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컴퓨터 수리 의뢰자가 사용하는 부품 유형에 따른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고장 관련 정보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리업체에 형성된 인증표찰의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수리업체의 광고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는 컴퓨터 수리를 의뢰하는 의뢰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의뢰자정보관리부와, 상기 컴퓨터를 수리하는 수리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수리업체정보관리부와, 상기 의뢰자와 상기 수리업체를 기 설정된 매칭조건에 따라 매칭하는 매칭부와, 상기 수리업체의 수리완료 처리시 상기 컴퓨터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뢰자정보관리부는 상기 의뢰자에게 사전진단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컴퓨터의 고장상태를 진단하도록 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사전진단정보에 따른 고장유형을 분류하고 수리예상견적을 산출하고, 상기 사전진단정보를 상기 수리업체에 제공하여 수리비견적을 입력받아 상기 수리예상견적과 비교하여 상기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수리업체의 수리내역과 상기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리업체에게 소명서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의뢰자 중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부품 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따른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커뮤니티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리업체에 설치된 인증표찰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의뢰자단말로 식별하여 전송하면 상기 식별코드를 인증하고, 상기 수리업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뢰자의 컴퓨터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확인하여 수리내역에 대한 검증을 함으로써 의뢰자와 수리업체 간의 수리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 대한 사전진단정보를 통해 고장유형을 판단하여 예상 수리비견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수리 의뢰자가 사용하는 부품 유형에 따른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고장 관련 정보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리업체에 형성된 인증표찰의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수리업체의 광고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컴퓨터 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의뢰자정보관리부에서 사전진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매칭부에서 사전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수리업체를 매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매칭부에서 수리업체별 수리현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평가부에서 수리업체의 수리 전후의 컴퓨터의 변경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평가부에서 수리업체의 수리인증코드를 통해 수리이력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광고부에서 수리업체의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컴퓨터 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 수리 플랫폼 시스템은 의뢰자단말(10), 수리업체단말(20) 및 플랫폼 서버(100)를 포함한다.
의뢰자단말(10)은 의뢰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플랫폼 서버(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의뢰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수리대상 컴퓨터(1)에서 웹상으로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의뢰자단말(10)을 통해 스마트폰의 앱상으로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이 가능하다. 의뢰자단말(10)은 단일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의뢰자가 보유한 다양한 단말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의뢰자단말(10)은 수리를 요청하는 컴퓨터(1)와 플랫폼 서버(100)를 접속시켜 원격에서 상태를 진단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뢰자단말(10)은 통신기능 외에 카메라, 녹음기와 같은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리업체단말(20)은 수리업체에서 사용하는 단말로 플랫폼 서버(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수리업체는 자신이 수리를 맡은 컴퓨터(1)에서 웹상으로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수리업체단말(20)을 통해 스마트폰의 앱상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수리업체단말(20)은 단일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수리업체가 보유한 다양한 단말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수리업체단말(20)은 수리를 맡은 컴퓨터를 플랫폼 서버(100)와 접속시켜 원격에서 상태를 진단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리업체단말(20)은 통신기능 외에 카메라, 녹음기와 같은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플랫폼 서버(100)는 의뢰자단말(10) 및 수리업체단말(20)과 통신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원격에서 수리대상 컴퓨터(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적인 고장을 진단한다. 이 경우, 플랫폼 서버(100)는 컴퓨터(1)에 진단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의뢰자와 수리업체를 매칭조건에 따라 매칭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수리 전후의 컴퓨터(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확인한다. 플랫폼서버는 외부의 은행서버 등과 연결되어 의뢰자로부터 입금된 수리금액 중 일부 수수료를 차감한 후 수리업체의 계좌로 결제처리할 수 있다.
이하, 플랫폼 서버(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의뢰자정보관리부에서 사전진단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매칭부에서 사전진단정보를 이용하여 수리업체를 매칭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매칭부에서 수리업체별 수리현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평가부에서 수리업체의 수리 전후의 컴퓨터의 변경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평가부에서 수리업체의 수리인증코드를 통해 수리이력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는 의뢰자정보관리부(110),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 매칭부(130) 및 평가부(140)를 포함한다.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컴퓨터(1) 수리를 의뢰하는 의뢰자의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의뢰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컴퓨터정보, 결제정보, 배송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의뢰자정보 중 컴퓨터정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1)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컴퓨터정보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의뢰자의 컴퓨터(1)에 전용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사전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진단정보는 의뢰자에게 설문형태로 고장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뢰자는 사전진단정보를 통해 조기에 고장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의뢰자단말(10)을 통해 자신의 컴퓨터(1)의 부팅시 작동상태를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에서 의뢰자의 컴퓨터(1) 고장상태를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의뢰자의 컴퓨터(1)가 부팅되는 경우 원격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여 원격에서 의뢰자의 컴퓨터(1) 화면을 녹화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수리를 의뢰하는 컴퓨터(1)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의뢰자정보관리부(110)는 컴퓨터(1) 본체의 일련번호나, 각 컴퓨터(1)의 CPU, 메인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파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조합에 대해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코드에는 의뢰자의 핸드폰정보 등이 조합되어 암호화될 수 있다. 이는 향후에 의뢰자가 동일한 컴퓨터(1)에 대한 수리의뢰시 수리이력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식별코드는 QR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식별코드는 의뢰자와 수리업체 매칭시 수리업체로 스티커 형태나, 프린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는 컴퓨터(1)를 수리하는 수리업체의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수리업체정보는 수리업체의 상호,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사업자등록정보, 결제정보, 배송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는 수리업체의 사업자등록정보를 분석하여 수리업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에게 수리업체의 경력을 보다 정확하게 알림하기 위함이다.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수리업체로부터 사업자등록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가 폐업하거나 파산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의뢰자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는 수리업체별 보유한 부품재고를 수리업체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수리업체정보관리부(120)는 수리업체에서 보유한 부품재고에 대한 고유번호를 등록하도록 하여 보유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재고에 대한 수리업체정보는 매칭부(130)에서 매칭률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업체의 부품재고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매칭률을 높이고,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매칭률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매칭률의 기준이 되는 설정치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부품재고가 부족하여 수리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매칭부(130)는 의뢰자와 수리업체를 기 설정된 매칭조건에 따라 매칭한다. 여기서, 매칭조건은 수리업체의 수리비견적, 수리기간, 수리업체위치, 수리업체평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30)는 복수의 수리업체로부터 비교견적을 입력받으며, 이를 의뢰자에게 제공하여 선택된 수리업체와 최종 매칭이 이뤄진다. 매칭부(130)는 의뢰자와 수리업체가 매칭된 후 의뢰자로부터 수리완료 처리가 완료되면 수리업체로 기 설정된 수수료를 차감한 후 수리비용을 결제처리할 수 있다. 수리업체의 컴퓨터(1) 배송 후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여 의뢰자로부터 수리완료 처리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수리비용을 결제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매칭부(130)는 수리업체별 수리현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30)는 수리업체가 현재 수리현황정보로 대기자상황을 표시하여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와 수리업체 매칭시 대기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수리가 지연될 것을 미리 알려주기 위함이다. 매칭부(130)는 의뢰자단말(10)을 이용하여 수리업체별 부여된 고유의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해당 수리업체에 대한 수리현황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가 오프라인매장을 방문하여 수리현황정보를 손쉽게 획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매칭부(13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 따른 수리업체의 평균수리일수를 이용하여 예상처리일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수리업체 예상수리일수 3.5일, B수리업체 예상수리일수 4일, C수리업체 예상수리일수 5일"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상처리일수는 기 설정된 시간구간으로 처리량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뢰자는 예상수리일수가 적은 업체를 선택하여 수리를 의뢰할 수 있다.
또한, 매칭부(130)는 수리업체의 매칭 전 고장유형에 따른 수리예상견적을 산출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사전진단정보에 따른 고장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수리실적에 따라 수리업체를 우선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30)는 고장유형 별 수리비내역을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의뢰자의 컴퓨터(1) 상태에 따른 수리예상견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가 과도하게 수리비견적을 책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전에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매칭부(130)는 수리예상견적과 수리업체의 수리비견적을 비교하여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매칭부(130)는 수리업체가 수리비견적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하도록 하여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매칭부(130)는 의뢰자와 수리업체가 매칭된 경우, 수리업체단말(20)을 통해 수리과정을 영상으로 녹화한 수리영상을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의 수리과정을 공개하도록 하여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함이다. 매칭부(130)는 수리업체로부터 수리영상이 업로드되면 이를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뢰자는 자신의 컴퓨터(1)가 수리업체에서 정상적으로 수리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매칭부(130)는 수리업체단말(20)에서 수리영상을 녹화시 배경음으로 초음파를 출력하도록 하여 이를 함께 녹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수리업체에서 수리영상을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초음파는 매칭부(130)에 의해 랜덤한 패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리업체단말(20)에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칭부(130)는 부품별 판매량을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1) 관련 판매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판매되는 부품 및 부품 간의 조합을 분석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나 수리업체가 자신이 사용하는 부품이 현재 얼마나 많이 팔리고 있는 부품인지 어떤 부품과 조합되어 판매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매칭부(130)는 기간별, 지역별, 모델별 판매량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부(140)는 수리업체의 수리완료 처리시 컴퓨터(1)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의뢰자의 컴퓨터(1)에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부(140)는 수리 의뢰전 의뢰자의 컴퓨터(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저장한 후, 수리 완료 후 의뢰자의 컴퓨터(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비교하여 변경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리업체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수리업체의 수리내역과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수리업체에서 수리내역과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한 변경이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리업체에게 소명서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가 고의 또는 착오로 수리내역을 잘못 기재한 경우 이를 정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의뢰자가 컴퓨터(1)의 수리시 변경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수리업체가 수리내역을 잘못 고지한 경우 리를 검증하여 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수리업체단말(20)로 수리인증코드(30)를 제공한다. 수리인증코드(30)는 의뢰된 컴퓨터(1)에 따라 고유한 정보가 암호화된 코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리인증코드(30)는 바코드, QR코드, AR코드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수리업체는 수리인증코드(30)를 인쇄하여 의뢰된 컴퓨터(1)에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수리업체에서의 최종 수리가 완료된 것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수리업체는 수리업체단말(20)로 수리인증코드(30)를 획득하여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한다. 평가부(140)는 수리업체단말(20)로부터 수리인증코드(30)에 대한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인증처리하고, 수리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이 경우, 평가부(140)는 의뢰자가 컴퓨터(1)를 수리업체로부터 배송받은 후, 수리인증코드(30)를 획득하여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하면 배송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평가부(140)는 프로그램을 통해 수리업체단말(20)로부터 수리인증코드(30) 인증 전후의 컴퓨터(1)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내역이 있는지 확인한다. 변경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평가부(140)는 수리업체로 소명서를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리가 완료된 이후에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교체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컴퓨터(1) 수리 후 배송과정에서의 부정한 행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140)는 컴퓨터(1) 수리 완료 후 의뢰자로부터 수리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별점, 평점, 리뷰, 사진후기 등을 평가정보로 입력받을 수 있다. 평가부(140)는 수리업체의 평가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반영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수리업체의 평가정보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해당 수리업체의 계정을 정지하여 신규 수리매칭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의뢰자를 보호하기 위해 평가정보가 낮은 수리업체와의 매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평가부(140)는 수리업체의 수리결과를 분석하여 하드웨어 부품 조합에 따른 고장빈도를 생성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단일 부품 외에 부품 조합의 경우에도 고장빈도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특정 부품 또는 부품조합의 경우 고장빈도를 의뢰자에게 알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의뢰자는 자신의 컴퓨터(1)에 포함된 부품에 따른 고장빈도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고장유형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며, 부품을 미리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평가부(140)는 수리대상인 컴퓨터(1)의 움직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컴퓨터(1) 내에는 통신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컴퓨터(1)를 비대면 탁송 방식으로 수리를 의뢰하는 경우 배송 중에 분실되지 않도록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통신모듈은 자체전원으로 구동되며, GPS 정보를 감지하고,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수리의뢰시점부터 컴퓨터(1)의 움직임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부(140)는 수리가 완료되기 전에 컴퓨터(1)의 움직임정보가 기 설정된 안전영역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난 등의 이벤트로 감지하고 사용자나 수리업체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리 대상인 컴퓨터(1)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분실시 신속히 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는 커뮤니티관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관리부(150)는 복수의 의뢰자 중 컴퓨터(1)의 하드웨어 부품 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따른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부품이나 소프트웨어 외에 동종의 부품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의뢰자 간의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메모리카드와 CPU의 부품조합의 커뮤니티, 동일한 하드디스크와 OS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조합의 커뮤니티 등의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같은 상황에 있는 사용자들끼의 의견을 교환하여 집단지성 형태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관리부(150)는 커뮤니티 게시글을 데이터마이닝하여 부품 또는 부품조합별 고장빈도를 분석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뮤니티관리부(150)에서는 커뮤니티 게시글 기반의 부품별 고장빈도를 생성하여, 평가부(140)의 수리내역별 고장빈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수리업체에서 수리진행이 이뤄지는 고장빈도와 커뮤니티 내 의뢰자의 게실글 상의 고장빈도를 확인하여 제3의 사용자가 부품 구입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뮤니티관리부(150)는 중고부품의 판매를 중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판매자가 중고부품을 업로드하면 해당 중고부품에 대한 수리이력을 조회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가 해당 중고부품이 기존에 어느 부품과 조합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수리이력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중고부품의 고유번호를 등록하거나, 사진을 업로드하면 텍스트마이닝을 모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고부품을 거래시 기존의 수리내역을 추적하여 판매자와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중 광고부에서 수리업체의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는 광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부(160)는 수리업체에 설치된 인증표찰을 관리할 수 있다. 인증표찰은 오프라인상으로 사업장을 운영하는 수리업체에 설치되는 스티커나 간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표찰에는 식별코드가 형성될 수 있다. 식별코드는 해당 수리업체의 고유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의뢰자가 인증표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의뢰자단말(10)로 식별하여 광고부(160)로 전송하면 식별코드를 인증한다. 광고부(160)는 식별코드가 인증된 수리업체의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수리업체의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오프라인 상에서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의 인증표찰을 통해 수리업체의 광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광고부(160)는 수리업체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광고부(160)는 수리업체의 인증표찰이나 매장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의뢰자단말(10)로 인식하는 경우 해당 수리업체의 이벤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가 수리업체의 매장 근처에 방문하는 경우 이벤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방문을 직접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는 보상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170)는 의뢰자가 수리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하거나,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입력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수단은 포인트, 쿠폰, 가상화폐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상부(170)는 광고부(160)를 통해 의뢰자에게 광고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광고정보를 시청한 의뢰자에게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뢰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활동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보상부(170)는 의뢰자가 수리업체로부터 컴퓨터(1) 수리를 마친 후, 사용기간별 사용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면 사용일수에 대한 보상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이는 의뢰자가 수리된 컴퓨터(1)를 실제 사용하는 일자별 성능유지에 대한 실측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의뢰자는 수리된 컴퓨터(1)를 사용하면서 정상성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뢰자의 수리된 컴퓨터(1)에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1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리된 컴퓨터(1)의 사용일수에 따른 성능유지에 대한 실측데이터를 확보하여 다른 의뢰자가 수리를 의뢰시 이를 참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110 : 의뢰자정보관리부
120 : 수리업체정보관리부
130 : 매칭부
140 : 평가부
150 : 커뮤니티관리부
160 : 광고부
170 : 보상부

Claims (5)

  1. 컴퓨터 수리를 의뢰하는 의뢰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의뢰자정보관리부;
    상기 컴퓨터를 수리하는 수리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되, 상기 수리업체에서 보유한 부품재고에 대한 고유번호를 등록하여 보유수량을 판단하는 수리업체정보관리부;
    상기 의뢰자와 상기 수리업체를 기 설정된 매칭조건에 따라 매칭하되, 상기 수리업체별 대기자상황을 포함하는 수리현황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부품재고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지에 따라 매칭률을 가변하고, 수리업체단말을 통해 수리과정을 영상으로 녹화한 수리영상을 업로드하도록 하고 상기 수리영상을 상기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매칭부;
    상기 수리업체의 수리완료 처리시 상기 컴퓨터의 수리 전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부;
    복수의 상기 의뢰자 중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 부품 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따른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상기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데이터마이닝하여 상기 부품 또는 부품조합별 고장빈도를 분석하여 관리하는 커뮤니티관리부; 및
    상기 의뢰자가 상기 수리업체에 대한 상기 평가정보나 상기 커뮤니티에 게시글을 입력하는 경우 기 설정된 보상수단을 지급하되, 수리를 마친 후 사용기간별 사용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면 사용일수에 대한 상기 보상수단을 지급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자정보관리부는,
    상기 의뢰자에게 사전진단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컴퓨터의 고장상태를 진단하도록 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사전진단정보에 따른 고장유형을 분류하고 수리예상견적을 산출하고, 상기 사전진단정보를 상기 수리업체에 제공하여 수리비견적을 입력받아 상기 수리예상견적과 비교하여 상기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수리업체의 수리내역과 상기 변경이력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리업체에게 소명서를 업로드하도록 하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업체에 설치된 인증표찰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의뢰자단말로 식별하여 전송하면 상기 식별코드를 인증하고, 상기 수리업체에 대한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KR1020210184482A 2021-12-22 2021-12-22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KR10242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82A KR102428013B1 (ko) 2021-12-22 2021-12-22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82A KR102428013B1 (ko) 2021-12-22 2021-12-22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013B1 true KR102428013B1 (ko) 2022-08-02

Family

ID=8284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482A KR102428013B1 (ko) 2021-12-22 2021-12-22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0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211A (ja) * 2000-12-25 2002-07-12 Canon Inc 修理仲介システム、修理仲介サーバ、修理仲介方法、修理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139572A (ja) * 2004-11-12 2006-06-01 Nec Fielding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KR20170032673A (ko) * 2015-09-15 2017-03-23 김상진 컴퓨터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그리고 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211A (ja) * 2000-12-25 2002-07-12 Canon Inc 修理仲介システム、修理仲介サーバ、修理仲介方法、修理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139572A (ja) * 2004-11-12 2006-06-01 Nec Fielding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KR20170032673A (ko) * 2015-09-15 2017-03-23 김상진 컴퓨터를 위한 사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그리고 그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900B2 (en) Kiosks for remote collection of electronic devices for value, and associated mobile application for enhanced diagnostics and services
CN107533705B (zh) 基于风险决策的系统与方法
US10044697B2 (en) Multi-level authentication for onboard systems
US87990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user identity information in financial transactions
US91897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identity
CN110889710B (zh) 设备信息管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EP3577593A1 (en) Integrity of data records
US201102957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and monitoring inventory
US20050015273A1 (en) Warranty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CN110765149B (zh) 智能设备全生命周期监测查询和用户身份识别绑定系统
US11507914B2 (en) Cognitive procurement
US7373308B2 (en) Computer system warranty upgrade method with configuration change detection feature
CN110751303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设备全生命周期监测查询系统
CN111008852A (zh) 艺术品防伪鉴定方法、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7373307B2 (en) Computer system warranty upgrade method
KR102321148B1 (ko)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JP4934453B2 (ja) 金融商品販売支援方法、金融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金融商品販売支援プログラム
CN110768839A (zh) 基于智能设备监测和用户身份绑定的第三方软件授权系统
KR102155014B1 (ko) 무인 단말기 유지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875731B1 (ko) 온라인 자동차 매매 및 등록 방법과 그에 따른 자동차 매매 및 등록 일괄 운영장치
KR20210107515A (ko)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KR102317217B1 (ko) 중고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US20080162167A1 (en) Commodity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a counterfeit-impeding method thereof
US20050222882A1 (en) Quality problem treatment supporting system
KR102428013B1 (ko)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