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12B1 - 음경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음경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12B1
KR102427812B1 KR1020190175307A KR20190175307A KR102427812B1 KR 102427812 B1 KR102427812 B1 KR 102427812B1 KR 1020190175307 A KR1020190175307 A KR 1020190175307A KR 20190175307 A KR20190175307 A KR 20190175307A KR 102427812 B1 KR102427812 B1 KR 10242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members
tube portion
protrusions
enlar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892A (ko
Inventor
조정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8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6Penis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61F2005/415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by infl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1Mean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to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경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는 사람의 해면체에 삽입되고, 자성을 갖는 중공형 외관부; 및 상기 외관부 내에서 상기 외관부와 이격 배치되는 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는 상기 내관부의 자성을 가변하여, 상기 외관부 및 상기 내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경 확대 장치{An Apparatus for Increasing Penis}
본 발명은 음경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경의 직경을 확대하여 음경의 발기력을 증가시키는 음경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상이 쉼없이 되풀이되는 현대인의 생활은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과중한 업무와 풀리지 않는 피로감, 그리고 기름지고 불규칙한 식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마련이며, 그에 따라 신체의 리듬이 깨어지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게 되는 바, 남성의 경우 성기능 장애를 겪는 환자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성기능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리치료와 약물치료가 처방되기도 하지만 이들 치료만으로 증상이 호전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음경 확대 또는 발기 보조를 위한 보형물 시술이 병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보형물 시술의 경우, 보형물을 음경에 삽입시 여러 부위에 대한 수술이 필요하고, 수술 중이나 회복 중에 감염 등의 합병증 위험성이 높아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형물에 대한 기계적 오류가 많아서 보형물 수리를 위해 다시 수술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계적 보형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의 시술이 연구 중인 추세이다.
특허등록번호 KR 제10-12358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성을 이용한 음경 확대를 통해 작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음경 확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요역동학 검사를 종료한 후에 팽창된 팽창 부재를 파열하여 배뇨시 신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요역동학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는 사람의 해면체에 삽입되고, 자성을 갖는 중공형 외관부; 및 상기 외관부 내에서 상기 외관부와 이격 배치되는 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는 상기 내관부의 자성을 가변하여, 상기 외관부 및 상기 내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관부는, 상기 내관부를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석 부재들을 둘러싸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공형 원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 부재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원통 부재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관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자석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자석 부재들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차단하는 제1 자력 차단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자력 차단 부재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자석 부재들 각각의 끝단보다 상기 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외관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의 둘레를 감으면서 상기 외관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은 자성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내관부는 복수의 전자석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들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석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부재들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음경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경 확대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경 확대 장치의 구조가 간략하여 간단한 수술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삽입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경 확대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삽입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외관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경 확대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는 남성의 음경을 확대시켜주는 장치이다. 음경 확대 장치(10)는 삽입부(100), 전력 공급부(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사람의 해면체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삽입부(1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경 확대 장치(10)는 2개의 삽입부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외관부(110)와 내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부(110)는 자성을 갖는 중공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부(110)는 내관부(120)를 둘러쌀 수 있다. 외관부(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외관부(110)는 원통 부재(113), 복수의 자석 부재들(111), 복수의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자석 부재들(111)은 내관부(12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자석 부재들(111)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자석 부재들(1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자석 부재들(111)은 원통 부재(113)와 인접한 일단과 내관부(120)와 인접한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부재들(111) 각각의 타단은 동일한 자극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들(111) 각각의 타단은 N극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들(111) 각각의 타단은 S극을 가질 수 있다.
자석 부재들(111)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석 부재들(111)은 내관부(120)를 둘러싸서 하나의 자석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자석 부재들(111)은 복수의 자석 조합들을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자석 조합들은 내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나의 자석 조합은 8개의 자석 부재들(111)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통 부재(113)는 자석 부재들(111)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 부재(113)의 내주면은 자석 부재들(11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 부재들(111)은 원통 부재(113)의 내주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원통 부재(113)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통 부재(113)는 해면체와 접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 부재(113)는 연질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은 서로 인접한 자석 부재들(1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 부재들(111)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자석 부재들(11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의 각각은 상기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112)는 서로 인접한 자석 부재들(111)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인접한 자석 부재들(111)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112)는 투자율(permeability)이 큰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자력 차단 부재(112)는 퍼말로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112)는 원통 부재(113)의 내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112)는 원통 부재(113)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일단과 내관부(120)와 인접한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력 차단 부재(112)의 타단은 자석 부재(111)의 타단보다 더 내관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관부(120)와 자석 부재들(111) 간의 자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내관부(120)는 외관부(1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내관부(120)는 외관부(1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관부(120)와 외관부(110)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형성될 수 있다.
내관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부와 연결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자성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전력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전력 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으면 자성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내관부(120)의 자성을 가변할 수 있다.
내관부(120)는 전자석부들에 의해 자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내관부(120)의 자성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부(110) 및 내관부(120) 사이의 이격 거리(D)는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전자석부들의 각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자석부의 각각은 중심부(121), 복수의 돌출부들(122), 및 복수의 코일 부재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21)는 외관부(110)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중심부(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심부(12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부(121)는 실리콘, 연질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들(122)의 각각은 중심부(121)로부터 외관부(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들(122)은 중심부(12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돌출부들(122)은 중심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12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들(122)의 각각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들(122)은 자석 부재들(111)과 대응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관부(110)는 8개의 자석 부재들(111)을 포함하고, 돌출부들(122)도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8개의 돌출부들(122)의 일단은 8개의 자석 부재들(111)의 타단과 마주볼 수 있다.
코일 부재들(123)의 각각은 돌출부들(122)의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코일 부재(123)는 돌출부(122)의 둘레를 감으면서 외관부(1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에에서, 코일 부재들(123)의 각각은 솔레노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부재들(123)은 전력 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들(122)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들(122)은 코일 부재들(123)에 의해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돌출부들(122)의 일단은 코일 부재들(123)에 의해 N극 및/또는 S극으로 가변될 수 있다.
연결부(124)는 전력 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4)는 복수의 전자석부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4)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부(124)는 철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24)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남성의 음경이 휘어지는 경우에 연결부(124)도 휘어질 수 있다. 연결부(124)는 전자석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24)는 전력 공급부(200)와 전자석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부재들(123)은 연결부(124)를 통해
전력 공급부(200)는 전자석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부는 전력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대응하여 자성을 가지거나 가변시킬 수 있다. 전력 공급부(200)는 배터리부(22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220)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부(220)는 외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터리부(220)는 충전 코일을 통해 자기 유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10)는 배터리부(220)에 저장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배터리부(220)의 전력을 전자석부의 코일 부재들(123)에 공급 여부, 전력 공급에 대한 전류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코일 부재들(123)에 전력을 공급하여 자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전공 공급에 대한 전류 방향을 제어하여 돌출부들(122)의 일단의 자극을 가변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외부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외부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전력 공급부(200)의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부(220)가 전력의 공급 여부 등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삽입부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기재하거나 생략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서 다른 점이 있다면 해당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경 확대 장치(10)는 삽입부, 전력 공급부(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외관부(110)와 내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관부(110)는 원통 부재(113), 자석 부재들(111) 및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 및 제2 자력 차단 부재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력 차단 부재들(114)은 자석 부재들(111)과 원통 부재(1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 부재들(111)은 원통 부재(113) 상이 아닌 제2 자력 차단 부재들(11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자력 차단 부재(114)는, 자석 부재(111)의 양 옆에 위치한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력 차단 부재들(112)과 제2 자력 차단 부재(114)는 자석 부재(111)를 담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관부(120)는 전자석부 및 연결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관부(120)는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은 서로 인접한 돌출부들(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은 중심부(12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자력 차단 부재들은 중심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의 각각은 투자율이 큰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은 서로 인접한 돌출부들(122)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은 중심부(121)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일단과, 외관부(110)와 인접한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력 차단 부재들(125)의 타단은 돌출부들(122)보다 외관부(110)(예들 들면, 자석 부재들(111))과 인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들(122)과 자석 부재들(111) 간의 자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중심부(121)는 도 3에서 도시된 중심부들(121)과 달리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중심부(121)는 내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들(122)과 코일 부재들(123)은 중심부(121)의 외주면을 따라 배열되어 하나의 전자석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122)과 코일 부재들(123)은 복수의 전자석 조합들을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석 조합들은 내관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경 확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음경에 음경 확대 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경이 발기된 경우, 음경 확대 장치(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통신부(300)로 전력 공급에 관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전송받은 제1 제어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송받은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부(220)에서 코일부재들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부(200)는 내관부(120)의 코일 부재들(123)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코일 부재들(123)로 공급된 전류는 코일 부재들(123)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들(122)은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에에서, 돌출부들(122)의 일단은 S극이 되고, 돌출부들(122)의 타단은 N극이 될 수 있다. 돌출부들(122)의 타단이 N극이 될 때, 코일 부재들(123)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지칭한다.
돌출부들(122)의 타단이 N극을 가짐으로써, 자석 부재들(111)과 돌출부들(122) 간에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관부(120)와 외관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코일 부재들(123)에게 전력이 공급되기 전의 내관부(120)와 외관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D)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즉, 외관부(110)의 직경이 확대될 수 있다. 외관부(110)의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음경의 직경도 확대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음경 확대 장치(10)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해, 통신부(300)로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전송받은 제2 제어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송받은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부(220)에서 코일 부재들(123)로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코일 부재들(123)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경우, 돌출부들(122)은 자성을 잃을 수 있다. 돌출부들(122)의 자성이 잃음에 따라, 돌출부들(122)과 자석 부재들(111) 간의 척력이 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부(110)와 내관부(120) 간의 이격 거리(D')는 원통 부재(113)의 신축력에 따라 종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통신부(300)로 제3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전송받은 제3 제어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송받은 제3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배터리부(220)에서 코일 부재들(123)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부재들(123)로 공급된 전류는 코일 부재들(123)를 따라 제2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전류가 코일 부재들(123)을 따라 제2 방향으로 흐름에 따라, 돌출부들(122)의 자성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들(122)의 타단은 N극에서 S극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들(122)과 자석 부재들(111) 간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돌출부들(122)과 자석 부재들(111) 간에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외관부(110)의 직경은 작아질 수 있다. 즉, 음경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성의 가변은 자극의 변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자성을 상실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음경 확대 장치 100: 삽입부
110: 외관부 120: 내관부
200: 전력 공급부 300: 통신부

Claims (10)

  1. 사람의 해면체에 삽입되고, 자성을 갖는 중공형 외관부; 및
    상기 외관부 내에서 상기 외관부와 이격 배치되는 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부는 상기 내관부의 자성을 가변하여, 상기 외관부 및 상기 내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며,
    상기 외관부는, 상기 내관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 부재들을 포함하는 음경 확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들을 둘러싸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공형 원통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 부재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원통 부재 상에 위치되는 음경 확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자석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자석 부재들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차단하는 제1 자력 차단 부재들을 포함하는 음경 확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차단 부재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자석 부재들 각각의 끝단보다 상기 내관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음경 확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외관부를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의 둘레를 감으면서 상기 외관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코일 부재들을 포함하는 음경 확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의 각각은 자성체인 음경 확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는 복수의 전자석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부들은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음경 확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음경 확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경 확대 장치.
KR1020190175307A 2019-12-26 2019-12-26 음경 확대 장치 KR10242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07A KR102427812B1 (ko) 2019-12-26 2019-12-26 음경 확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07A KR102427812B1 (ko) 2019-12-26 2019-12-26 음경 확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92A KR20210082892A (ko) 2021-07-06
KR102427812B1 true KR102427812B1 (ko) 2022-07-29

Family

ID=7686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07A KR102427812B1 (ko) 2019-12-26 2019-12-26 음경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637A1 (en) * 2001-06-15 2005-05-26 Impetus Ltd Penile prosthesis and method of impla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64B1 (ko) 2011-06-23 2013-02-20 배범철 발기 보조 기구
EP2957258B1 (en) * 2014-06-20 2019-12-11 Ethicon LLC Artificial magnetic sphinc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3637A1 (en) * 2001-06-15 2005-05-26 Impetus Ltd Penile prosthesis and method of implan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92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461A (en) Electrically actuated inflatable penile erection device
CN101160106B (zh) 帮助阴茎勃起和增大的膨胀假体
ES2951139T3 (es) Sistema para suministrar energía a un dispositivo médico implantable
US4711231A (en) Implantable prosthesis system
JPH11509457A (ja) 移植可能なポンプおよび補綴具
US20170231738A1 (en) Implantable electronic device
US20210307858A1 (en) Mri safe tissue expander port
US8684910B2 (en) Method of implanting a penile prosthetic deflation assembly having a palpatable activation surface
US8632450B2 (en) Method of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JPH0810790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陰茎補形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CN105536145A (zh) 前庭植入体系统
US9861481B2 (en) Implantable penile prosthetic having a base expandable by liquid inflation
US11000377B2 (en) Girth expanding penile prosthesis cylinder
WO2002102230A3 (en) Penile prosthesis and method of implantation
KR102427812B1 (ko) 음경 확대 장치
US10226318B2 (en) Method of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by implanting a tube providing a pressure-regulating storage compartment
ES2634812T3 (es) Sistema de esfínter urinario artificial
GB2352181A (en) Inflatable pessary
US6105580A (en) Urine control device
US20060206001A1 (en) Penile erection control method and penile erection control device
KR101431052B1 (ko) 배뇨 제어 장치
US9808343B2 (en) Automated implantable penile prosthesis pump system
US11547566B2 (en)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with guides in valve of pump assembly
KR102369030B1 (ko) 인공 괄약 장치
CN212281793U (zh) 尿道置入式尿控系统及其安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