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052B1 - 배뇨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배뇨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052B1
KR101431052B1 KR1020120075156A KR20120075156A KR101431052B1 KR 101431052 B1 KR101431052 B1 KR 101431052B1 KR 1020120075156 A KR1020120075156 A KR 1020120075156A KR 20120075156 A KR20120075156 A KR 20120075156A KR 101431052 B1 KR101431052 B1 KR 10143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secondary coil
catheter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693A (ko
Inventor
최범규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0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5Determining bladder or urethr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2039/226Spindles or actu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는 1차코일(Primary Coil)을 구비하는 제어부, 그리고 요도에 삽입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 설치되는 온/오프(ON/OFF) 밸브, 상기 온/오프 밸브 둘레에 설치되는 2차코일(Secondary Coil), 그리고 상기 온/오프 밸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2차코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카테터(Catheter)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1차코일에 전류를 흘릴 경우 상기 1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및 상기 2차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를 통해 밸브의 온/오프 기능 및 방광 내압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배뇨 시점을 확인하여 손쉽게 배뇨를 수행함은 물론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방광 질환 및 배뇨 질환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도울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요도에 삽입되어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덜고, 이에 따라 내원을 통한 검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뇨 제어 장치{Urina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송신 및 수신 신호를 통해 환자의 방광 내압을 파악하고, 배뇨 시점을 확인하여 자율적인 배뇨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배뇨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뇨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는 배뇨를 도와주기 위한 기기 또는 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자가 도뇨법 (CIS;Clean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으로써, 이는 환자 스스로가 일정 시간마다 도뇨관(Catheter)을 요도에 삽입하여 배뇨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도뇨법은 환자의 정확한 배뇨 시점 확인이 어려워 일정 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배뇨를 수행해야 하는 단점과 배뇨 시 마다 매번 환자가 도뇨관을 요도에 삽입 및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잦은 도뇨관 삽입 등에 따른 병원균 감염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뇨관을 장기간 방광 및 요도에 유치시킬 수 있는 자가 도뇨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자가 도뇨법의 경우, 매번 배뇨를 위해 도뇨관을 삽입 및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 및 잦은 교체에 따른 감염 우려를 줄일 수 있지만, 이 또한 정확한 배뇨 시점을 확인할 수 없어 환자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뇨를 진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가 도뇨법에 의한 배뇨의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요도 삽입형 배뇨 제어 밸브가 개발되었다. 이는 요도에 삽입되는 카테터(도뇨관) 내부에 밸브를 구비하여 배뇨 시 외부 영구 자석을 이용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또한 자가 도뇨법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정확한 배뇨 시점을 확인할 수 없어 환자가 주기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배뇨를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2012-0002540 (2012.01.05.) 미국등록특허 6066088 (2000.05.2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요도에 삽입하여 환자의 방광내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전기적 제어를 통해 환자 스스로 손쉽게 배뇨를 수행할 수 있는 배뇨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는 1차코일(Primary Coil)을 구비하는 제어부, 그리고 요도에 삽입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 설치되는 온/오프(ON/OFF) 밸브, 상기 온/오프 밸브 둘레에 설치되는 2차코일(Secondary Coil), 그리고 상기 온/오프 밸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2차코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카테터(Catheter)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1차코일에 전류를 흘릴 경우 상기 1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및 상기 2차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 그리고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1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및 상기 2차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구조물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유로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방향은 상기 1차코일에 흘리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물, 상기 제2 구조물 및 상기 개폐부재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개폐부재가 접하였을 때, 상기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접촉부위보다 작은 크기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구조물은 상기 개폐부재가 접하였을 때,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접촉부위보다 큰 크기의 홀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부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유출 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 모듈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방광 내부의 압력을 입력신호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하는 센서보드,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센서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2차코일과 연결되어 충전되며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센서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는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 형태로 적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정현파 AC 또는 임펄스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카테터는 유체 유입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는 제어부, 그리고 요도에 설치되어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모듈 및 유로를 개폐하는 온/오프 밸브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밸브는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카테터에 마개 형태로 체결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카테터는 상기 압력센서 모듈과 연결된 2차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도전류 및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압력센서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요도에 삽입되어 환자의 방광내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 파악 및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와 제어부에 1차코일 및 2차코일을 구비하여 압력센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하지 않고 압력센서를 구동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밸브의 온/오프 기능 및 방광 내압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배뇨 시점을 확인하여 손쉽게 배뇨를 수행함은 물론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방광 질환 및 배뇨 질환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도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요도에 삽입되어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덜고, 이에 따라 내원을 통한 검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100)(이하 '배뇨 제어 장치(100)'라 함)는 카테터(1)와 제어부(3)를 포함한다.
먼저, 카테터(1)에 대해 살펴본다.
카테터(1)는 관 형상으로 내부에 유체(270)가 흐를 수 있는 유로(19)를 형성하고, 유로(19)에는 유로(19)를 개폐할 수 있는 온/오프 밸브(11)가 설치된다. 또한, 온/오프 밸브(11)의 둘레에는 2차코일(15)이 설치된다.
이때, 카테터(1)에 구비된 온/오프 밸브(11)는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어 유로(19)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로(19)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 그리고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테터(1)의 내부에는 온/오프 밸브(11)가 설치되고, 온/오프 밸브(11)의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에 개폐부재(115)가 접하거나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 유로(19)에 흐르는 유체(270)가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카테터(1)의 내부에 설치된 온/오프 밸브(11)를 구성하는 제1 구조물(111), 제2 구조물(113) 및 개폐부재(115)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구조물(111), 제2 구조물(113)은 자력을 가진 자성체일 수 있고, 개폐부재(115)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폐부재(115)는 2차 코일(15)에 흐르는 전류와 수직된 방향 성분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조물(111), 제2 구조물(113) 및 개폐부재(115)는 자성에 의해 서로 붙거나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 유로(19)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가 온(ON)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온/오프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온/오프 밸브(11)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테터(1)에 설치된 온/오프 밸브(11)는 제1 구조물(111), 제2 구조물(113) 및 개폐부재(115)로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온/오프 밸브(11)는 개폐부재(115), 개폐부재(115)가 접하였을 때 오프(OFF)상태를 유지하는 제1 구조물(111), 그리고 개폐부재(115)가 접하였을 때 온(ON)상태를 유지하는 제2 구조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는 카테터(1)의 유로(19)에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개폐부재(115)의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어 유로(19)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115)는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 사이에 구비되어 자성에 의해 제1 구조물(111)에 부착될 경우 유로(19)를 차단하고, 제2 구조물(113)에 부착될 경우 유로(19)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구조물(111)는 유체(270)가 통과할 수 있는 홀(117)을 형성하여 개폐부재(115)가 제1 구조물(111)에 접하였을 때, 홀(117)을 가려 홀(117)과 개폐부재(115)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구조물(111)에 형성된 홀(117)은 개폐부재(115)의 접촉부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조물(113)는 개폐부재(115)가 접하였을 때, 유체(270)가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제2 구조물(113)에 접하는 개폐부재(115)의 접촉부위보다 큰 크기의 홀(117)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조물(113)은 개폐부재(115)가 제2 구조물(113)에 형성된 홀(117)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개폐부재(115)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개폐부재(115)가 자성에 의해 부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유출 방지부재(113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의 형상은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의 유로(19) 내에서의 설치 순서 및 미리 정해진 간격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테터(1)는 유체 유입구멍(17)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체 유입구멍(17)은 유체(270)가 카테터(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카테터(1)의 둘레면에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 유입구멍(17)은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위치, 형상, 크기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카테터(1)는 압력센서 모듈(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 모듈(13)은 2차코일(1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요도(250)에 삽입된 카테터(1)의 선단에 설치되어 방광(230) 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압력센서 모듈(13)은 카테터(1)의 선단에 구비되어 방광(23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1), 압력센서(131)로부터 감지된 방광(230) 내부의 압력을 입력신호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하는 센서보드(133), 그리고 압력센서(131) 및 센서보드(133)가 작동되도록 2차코일(15)과 연결되어 압력센서(131) 및 센서보드(13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압력센서(131)는 센서보드(133) 상에 설치되어 센서보드(133)에 연결된 배터리(13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방광(23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135)는 2차코일(15)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2차코일(15)에 유도된 전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즉, 카테터(1)에 삽입된 2차 코일(15)은 온/오프 밸브(11)의 작동 코일 및 압력센서 모듈(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35)의 인덕티브(inductive) 충전용 코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내부에 전류를 흘려 카테터(1) 및 제어부(3) 사이에 유도전류 및 카테터(1)에 자기장(5)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도전류 및 자기장(5)을 통하여 온/오프 밸브(11)를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여 카테터(1)의 유로(19)를 개폐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의 내부에는 1차코일(35)이 구비되고, 카테터(1)의 내부에는 2차코일(15)이 구비된다. 이때, 카테터(1)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15)은 카테터(1)에 설치된 온/오프 밸브(11)가 설치된 위치의 둘레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3)를 요도(250)에 삽입된 카테터(1)와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어부(3)의 1차코일(35)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카테터(1)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15)에 유도전류가 발생함과 동시에 제어부(3)의 1차코일(35)과 카테터(1)의 2차코일(15) 사이에 자기장(5)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 사이에 구비된 개폐부재(115)가 유도전류 및 자기장(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구조물(111) 측 또는 제2 구조물(113) 측으로 이동하여 온/오프 밸브(11)를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여 유로(19)를 개폐시킨다. 이때, 제1 구조물(111) 측 또는 제2 구조물(113) 측으로 이동하는 개폐부재(115)의 이동방향은 1차코일(35)에 흘리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기장(5)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어부(3)의 1차코일(35)에 정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면, 카테터(1)의 2차코일(15)에 유도전류 및 자기장(5)이 형성되고, 이때 자기장(5) 속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정방향, 즉 제2 구조물(113) 측으로 가해져 개폐부재(115)를 제2 구조물(113) 측으로 이동시켜 유로(19)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3)의 1차코일(35)에 역방향의 전류를 흘려주면, 동일한 과정을 거치되 2차코일(15)에 형성되는 유도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고, 자기장(5) 속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역방향, 즉 제1 구조물(111) 측으로 가해져 개폐부재(115)를 제1 구조물(111) 측으로 이동시켜 유로(19)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정방향 및 역방향이란 1차코일(35)에 흘려주는 상대적인 전류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상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개폐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의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재(115)는 내부에 복수개의 2분극 자석이 내장된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개폐부재(115)의 내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2분극 자석은 서로 같은 극끼리 마주 보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1)의 2차코일(15)과 2분극 자석 사이에 자기장(5)이 생성되되, 자기장(5)은 2차코일(15)의 전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렌츠 힘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1차코일(35)에 흘려주는 전류는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정현파 AC 또는 임펄스 신호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는 1차코일(35)에 전류를 흘려 2차코일(15)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카테터(1)에 구비된 배터리(135)의 충전 및 개폐부재(115)의 이동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는 배터리(135)의 충전 및 온/오프 밸브(11)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1차코일(35)에 흘려주는 전류를 서로 다른 입력 신호 형태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배터리(135) 충전 시 2차코일(15)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의 크기가 제1 구조물(111) 또는 제2 구조물(113)에 부착된 개폐부재(115)를 제1 구조물(111) 또는 제2 구조물(113)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는 크기를 가지도록 정현파 AC 신호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도 6(a)) 또한, 제어부(3)는 온/오프 밸브(11)의 제어 시 2차코일(15)에 순간적으로 큰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개폐부재(115)를 제1 구조물(111) 또는 제2 구조물(113)로부터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임펄스 신호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도 6(b))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카테터(1)의 압력센서 모듈(13)로부터 방광(230) 내부의 압력을 나타내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창(31) 및 배터리(135)의 충전 및 온/오프 밸브(11)의 제어를 위한 기능키(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3)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이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장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부(3)는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의 각 구성 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선단에 압력센서 모듈(13)을 구비한 카테터(1)가 요도(250)에 삽입되어 지지부재(300)에 의해 방광(230)과 요도(250) 사이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가 압력센서 모듈(13)로부터 방광(230) 내부의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창(31)에 표시한다. 표시창(31)에 표시된 방광(23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온/오프 밸브(11)를 제어하여 방광(230) 내부의 유체(27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부(3)의 1차코일(35)에 방향성을 갖는 임펄스 신호 전류를 흘려보낸다. 이에 따라, 카테터(1) 내부에 구비된 2차코일(15)에 유도전류가 발생함과 동시에 제어부(3)의 1차코일(35)과 카테터(1)의 2차코일(15) 사이에 자기장(5)이 생성된다. 이를 통해, 제1 구조물(111) 및 제2 구조물(113) 사이에 구비된 개폐부재(115)가 방향성을 갖는 유도전류 및 자기장(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구조물(111) 측 또는 제2 구조물(113) 측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유로(19)를 개폐시킨다. 또한, 제어부(3)의 1차코일(35)에 정현파 AC 신호 전류를 흘려보내어 카테터(1)의 2차코일(15)과 연결된 압력센서 모듈(13)의 배터리(135)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환자의 요도(250)에 카테터(1)를 삽입하여 제어부(3)를 통해 환자의 방광(230)내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환자의 상태 파악 및 대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1)와 제어부(3)에 1차코일(35) 및 2차코일(15)을 구비하여 압력센서 모듈(13)의 배터리(135)를 충전함과 동시에 압력센서(131)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하지 않고 압력센서(131)를 구동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를 통해 밸브의 온/오프 기능 및 방광 내압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손쉽게 배뇨를 수행함은 물론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방광 질환 및 배뇨 질환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도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요도(250)에 삽입되어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덜고, 이에 따라 내원을 통한 검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100)를 살핀다.
다만, 앞서 살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100)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100)가 적용된 참고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뇨 제어 장치(100)는 내부에 유로(19)를 형성하고 유로(19)를 개폐할 수 있는 온/오프 밸브(11) 및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압력센서 모듈(13)을 구비하는 카테터(1), 그리고 압력센서 모듈(13)로부터 방광 내부의 압력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부(3)를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는 1차코일(35)을 구비하고, 카테터(1)는 압력센서 모듈(13)과 연결된 2차코일(15)을 구비하되, 2차코일(15)은 1차코일(35)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도전류 및 자기장(5)을 형성하여 압력센서 모듈(1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1)에 구비된 온/오프 밸브(11)는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마개 형태로 형성되어 카테터(1)의 선단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온/오프 밸브(11)는 카테터(1)와 분리 시 방광(23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카테터(1)와 체결 시 카테터(1)의 유로(19)를 차단하여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카테터(1)의 선단에 체결된 온/오프 밸브(11)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뇨 제어 장치
1. 카테터(Catheter)
11. 온/오프(ON/OFF) 밸브
111. 제1 구조물
113. 제2 구조물 1131. 유출 방지부재
115. 개폐부재 117. 홀(Hole)
13. 압력센서 모듈
131. 압력센서 133. 센서보드
135. 배터리
15. 2차코일(Secondary Coil) 17. 유체 유입구멍
19. 유로
3. 제어부
31. 표시창 33. 기능키
35. 1차코일(Primary Coil)
5. 자기장
210. 피부 230. 방광
250. 요도 270. 유체
300. 지지부재

Claims (10)

1차코일(Primary Coil)을 구비하는 제어부, 그리고
요도에 삽입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에 설치되는 온/오프(ON/OFF) 밸브, 상기 온/오프 밸브 둘레에 설치되는 2차코일(Secondary Coil), 그리고 상기 온/오프 밸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2차코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카테터(Catheter)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1차코일에 전류를 흘릴 경우 상기 1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및 상기 2차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하여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뇨 제어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온/오프 밸브는 상기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 그리고
상기 제1 구조물 및 상기 제2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1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 및 상기 2차코일에 형성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제1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구조물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구조물 또는 상기 제2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유로를 개폐하되,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방향은 상기 1차코일에 흘리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배뇨 제어 장치.
제2항에서,
상기 제1 구조물, 상기 제2 구조물 및 상기 개폐부재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인 배뇨 제어 장치.
제2항에서,
상기 제1 구조물은 상기 개폐부재가 접하였을 때, 상기 유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접촉부위보다 작은 크기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구조물은 상기 개폐부재가 접하였을 때,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접촉부위보다 큰 크기의 홀을 형성하되, 상기 개폐부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유출 방지부재를 구비하는 배뇨 제어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압력센서 모듈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방광 내부의 압력을 입력신호의 형태로 외부로 송신하는 센서보드,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센서보드가 작동되도록 상기 2차코일과 연결되어 충전되며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센서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뇨 제어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전류는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 형태로 적용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 신호는 정현파 AC 또는 임펄스 신호인 배뇨 제어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카테터는 유체 유입구멍을 구비하는 배뇨 제어 장치.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장치인 배뇨 제어 장치.
제어부, 그리고
요도에 설치되어 방광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모듈 및 유로를 개폐하는 온/오프 밸브를 구비하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밸브는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카테터에 마개 형태로 체결되는 배뇨 제어 장치.
제9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1차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카테터는 상기 압력센서 모듈과 연결된 2차코일을 구비하되,
상기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도전류 및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압력센서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뇨 제어 장치.
KR1020120075156A 2012-07-10 2012-07-10 배뇨 제어 장치 KR10143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56A KR101431052B1 (ko) 2012-07-10 2012-07-10 배뇨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56A KR101431052B1 (ko) 2012-07-10 2012-07-10 배뇨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93A KR20140007693A (ko) 2014-01-20
KR101431052B1 true KR101431052B1 (ko) 2014-08-21

Family

ID=5014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56A KR101431052B1 (ko) 2012-07-10 2012-07-10 배뇨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590A (zh) * 2015-11-03 2016-02-17 广东工业大学 一种磁耦合谐振式电热汽化蒸汽驱动的尿道阀
US10245133B2 (en) 2016-03-01 2019-04-02 University Of Dammam Medical device for constricting a body passage and a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215B1 (ko) * 2014-02-14 2016-03-08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US20220249805A1 (en) * 2019-06-26 2022-08-11 Coloplast A/S Catheter comprising combined valve and sensor
CN111658247B (zh) * 2020-07-09 2023-11-10 郭振宇 尿道置入式尿控系统及其安装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938B2 (ja) * 1986-11-14 1997-04-23 ミラー インスツ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細長く柔軟で操作可能なガイドワイヤーに係合させるための組立体および圧力センサー
WO2006115225A1 (ja) 2005-04-21 2006-11-02 Cheiron Japan Co. 排尿制御装置
US20110196194A1 (en) 2008-10-10 2011-08-11 Milux Holding Sa Implantable device for internal urinary control
KR20120002540A (ko) * 2009-04-20 2012-01-05 가부시키가이샤 게이론 쟈판 배뇨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938B2 (ja) * 1986-11-14 1997-04-23 ミラー インスツルメン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細長く柔軟で操作可能なガイドワイヤーに係合させるための組立体および圧力センサー
WO2006115225A1 (ja) 2005-04-21 2006-11-02 Cheiron Japan Co. 排尿制御装置
US20110196194A1 (en) 2008-10-10 2011-08-11 Milux Holding Sa Implantable device for internal urinary control
KR20120002540A (ko) * 2009-04-20 2012-01-05 가부시키가이샤 게이론 쟈판 배뇨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6590A (zh) * 2015-11-03 2016-02-17 广东工业大学 一种磁耦合谐振式电热汽化蒸汽驱动的尿道阀
US10245133B2 (en) 2016-03-01 2019-04-02 University Of Dammam Medical device for constricting a body passage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93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052B1 (ko) 배뇨 제어 장치
US20180245699A1 (en) Pinch valve for a urinary drainage system
KR0164432B1 (ko) 자기제어방출밸브를 갖춘 요도삽입 카테테르
CN103263701B (zh) 膀胱间歇引流装置
CN106421956B (zh) 膀胱冲洗引流控制装置
ATE405320T1 (de) Nachweis einer implantierten drahtlosen energie- empfangsvorrichtung
US20020139419A1 (en) Programmable flexible-tube flow regulator and use methods
CN110681032B (zh) 一种可锻炼排尿功能的尿管结构
JP2011092730A (ja) 埋め込み可能なバルブをプログラムするためのツール及び方法
JP2011092731A (ja) 埋め込み可能なバルブをプログラムするためのツール及び方法
JP2023503328A (ja) 多点逐次切替機能を有した尿失禁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体内装置
WO2005062231A3 (en) Medical device which can be operated with various operating settings, in particular patient monitor
CN201782870U (zh) 一种多功能导尿装置
KR20160072832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CN103845786B (zh) 一种导尿管
CN203043281U (zh) 一种导尿管
KR101633439B1 (ko) 미세 전류에 의한 전립선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CN212281793U (zh) 尿道置入式尿控系统及其安装组件
CN111588338B (zh) 胶囊装置及其启动方法
ES2953937T3 (es) Dispositivo para dispensar y/o distribuir un flujo volumétrico de agua y sistema de suministro de agua
CN111821063A (zh) 一种排尿器、植入专用装置及其植入与取出方法
CN209253906U (zh) 一种男性导尿管
KR20170040138A (ko) 성기능 장애 치료 및 향상을 위한 파워 링 디바이스
CN111821525B (zh) 一种助力排尿器
CN104068843A (zh) 便携式膀胱压力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