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215B1 -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215B1
KR101601215B1 KR1020140017359A KR20140017359A KR101601215B1 KR 101601215 B1 KR101601215 B1 KR 101601215B1 KR 1020140017359 A KR1020140017359 A KR 1020140017359A KR 20140017359 A KR20140017359 A KR 20140017359A KR 101601215 B1 KR101601215 B1 KR 10160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pressure
antenna
sign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202A (ko
Inventor
최범규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2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21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계단 겸용 완충장치는 와이어에 설치된 이송장치를 통해 고지에서 저지로 활강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계단 겸용 완충장치로서, 활강하는 체험자와 충돌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체험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완충부와, 상기 제1 완충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와 연결되고 상측에 지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동이 제한된 상기 체험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하는 완충부, 그리고 상기 완충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를 지지하고, 상기 체험자와 상기 완충부의 충돌 시 상기 완충부와 함께 충격이 가해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 상기 완충부에 가해진 충격을 분산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Portable monitoring device for bladder pressure}
본 발명은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뇨곤란 및 요실금 등과 같은 각종 배뇨장애 및 신경성방광기능장애(신경인성방광) 등을 겪고 있는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소변의 충만과 배뇨 시에 방광 및 요도 내에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측정 및 기록하여 방광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방광기능의 검사를 위해 인공적으로 환자의 방광 내에 소변 대신 환자가 요의를 느낄 때까지 생리 식염수를 채운 후, 환자가 소변을 보고 싶을 때 검사자가 함께 있는 상태에서 소변을 보도록 하여 방광 내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광 내압 측정 방법은 환자가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소변이 방광 내에 찰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검사자가 인위적인 속도로 환자의 방광 내에 소변 대신 생리 식염수를 채움으로써, 실제 환자의 생리적인 현상을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요도로 삽입되는 압력 측정용 요도 카테터 및 외부 측정 장비를 환자 몸에 부착하여 환자가 요의를 느낄 때까지 기다린 후, 환자가 요의를 느낄 때 환자 몸에 카테터가 유치된 상태로 소변을 보게 하여 방광 내압을 측정하는 검사 방법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측정 전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 및 측정장비 간의 조정을 위해 환자 또는 피검사자가 해당 장비가 구비된 병원에 내원하여 측정 전문가를 통해 검사를 받아야만 하므로 실질적으로 일상생활 중 자가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는 잦은 병원 방문으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함을 물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광 내압의 측정을 위한 검사가 병원 내의 특정 검사실에서 이루어져 환자가 갖는 심리적 부담감 및 불편함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생리적 현상을 재현할 수 없고, 이로 인해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3-009017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뇨장애를 겪고 있는 배뇨질환 환자들에게 스스로 배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환자 몸에 장기간 유치시키는 도뇨관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그대로 재현함과 동시에, 측정된 방광 내압을 콘솔 또는 외부 단말장치를 통해 모니터링하여 환자에게 정확한 배뇨 시점 및 환자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일측의 어느 한 지점에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방광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요도의 폭보다 큰 폭으로 팽창하여 상기 방광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뇨관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소변이 이동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고정부재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팽창시킬 수 있는 유체가 공급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뇨관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유로 및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유체공급수단이 결합되는 제어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몸체에 체결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마개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에 체결 시 상기 도뇨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소변과 직접 접촉되어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거나, 상기 개폐마개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개폐마개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상기 개폐마개에는 서로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암부인 스냅요면과 수부인 철면이 쌍을 이루는 스냅 파스너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코일의 중심축에 대하여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의 중심축이 상기 코일의 중심축과 마주보는 9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안테나의 중심축이 상기 코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18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일정 크기로 형성된 원 또는 다각형상의 개구면을 갖는 루프형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일측에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신체의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는 패치형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콘솔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인지 혹은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와 함께 현 시점이 배뇨시점이 아님을 알리는 대기신호 또는 현 시점이 배뇨시점임을 알리는 경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그리고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성을 갖는 볼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일측에 형성된 배출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지점에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몸체에 결합 시 상기 도뇨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소변과 직접 접촉되어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방광 내부의 압력을 파악함으로써, 피검사자 스스로 일상생활 중 외부의 도움 없이 방광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여 자율적으로 배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솔을 통해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가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방광 내부의 압력 측정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직접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여 배뇨를 수행하거나,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도뇨관이 방광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코일이 내장된 개폐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수직되는 중심축을 가지는 코일이 내장된 개폐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압력의 크기와 공진 주파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개폐마개 내부에 설치된 코일의 방향에 따른 안테나의 수신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패치형 안테나가 개폐마개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콘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도뇨관이 방광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이하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라 함)는 도뇨관(1)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
먼저, 도뇨관(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뇨관(1)은 튜브(tube)형상으로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요도(100)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200)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배출구(15)에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300)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구(15)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9)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뇨관(1)의 일측에는 유입구(11)가 방과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뇨관(1)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유입구(11)가 형성된 도뇨관(1)의 일측 어느 한 지점에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고정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재(13)는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내부에 공급된 유체가 제거되거나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일정 크기 수축되는 풍선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3)는 요도(100)를 통해 삽입되어 방광(200) 내부에 배치된 후, 일정 형태를 갖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만큼 팽창됨으로써, 방광(2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3)는 방광(200) 내부에 배치된 후, 요도(100)의 폭보다 큰 폭으로 팽창함으로써, 요도(100)와 방광(200)을 연결하는 목 부위에 걸려 요도(100) 측으로 빠지지 않고 방광(2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뇨관(1)에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뇨관(1)의 내측에는 배출구(15)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소변(300)이 이동되는 제1 유로(111) 및 고정부재(13)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고정부재(13)를 팽창시킬 수 있는 유체가 공급되는 제2 유로(1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로(111) 및 제2 유로(151)는 도뇨관(1)의 내부에서 서로 격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유로(111)는 도뇨관(1)이 일정 두께의 외벽을 갖도록 도뇨관(1)의 내측에 형성되어 유입구(11)와 배출구(15)를 연통시키는 구조인 반면, 제2 유로(151)는 일정 두께를 갖는 도뇨관(1)의 외벽 내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13)와 후술할 제어포트(17)를 연통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151)는 소변(300)이 유입되는 제1 유로(111)의 간섭 없이, 도뇨관(1)의 일측이 방광(200)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유입구(11)가 형성된 도뇨관(1)의 일측을 방광(200) 내부에 유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뇨관(1)의 타측에는 배출구(15)와는 별개로, 상술한 제2 유로(151)와 연통되는 제어포트(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한 도뇨관(1)의 타측에는 배출구(15)와는 별개로 제2 유로(151) 및 외부와 연통되고,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외부의 유체공급수단(171)이 결합되는 제어포트(1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유로(151)와 연통된 제어포트(17)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고정부재(13)를 팽창시켜, 유입구(11)를 방광(200)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도뇨관(1)의 타측에는 개폐밸브(19)가 설치된다.
개폐밸브(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5)에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300)의 압력을 감지하고,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구(15)를 개폐한다.
이하에서, 개폐밸브(19)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의 (a)는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코일이 내장된 개폐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수직되는 중심축을 가지는 코일이 내장된 개폐마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압력의 크기와 공진 주파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폐밸브(19)는 관형의 몸체(191) 및 개폐마개(195)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밸브(19)는 배출구(15)에 설치되는 관형의 몸체(191), 그리고 몸체(191)에 힌지(193)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몸체(191)에 체결되거나, 몸체(191)로부터 분리되어 배출구(15)를 개폐시키는 개폐마개(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몸체(191)는 배출구(15)가 형성된 도뇨관(1)의 타측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내부가 관통된 관형의 부재로, 도뇨관(1)의 타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후술할 개폐마개(195)가 연결되는 힌지(193)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힌지(193)를 통해 몸체(191)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개폐마개(195)는 몸체(191)에 체결 시, 유입구(11)를 통해 도뇨관(1) 내부로 유입되는 소변(300)을 통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마개(195)의 내측에는 소변(300)과 직접 접촉하여 소변(300)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소변(300)의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상기 신호를 방출하는 압력측정센서(1951)가 설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마개(195)의 내측에는 몸체(191)에 체결 시, 도뇨관(1)의 내부로 유입되는 소변(300)과 직접 접촉되어 소변(300)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1951), 그리고 압력측정센서(1951)와 연결되어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1953)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방광(200) 내부에 소변(300)이 충전되면서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도뇨관(1)의 내부로 유입된 소변(300)을 통하여 배출구(15)의 단부에 배치된 압력측정센서(1951)로 상기 압력이 전달되어 압력측정센서(1951)의 정전용량이 변화되고, 이는 압력측정센서(19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1953)로 전달되어 코일(1953)과 압력측정센서(1951)간에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술할 안테나(31)를 이용하여 상기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공진 주파수가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는 압력이 증가할 경우, 진동수가 점차 감소하는 변화를 보인다. 즉, 사용자는 공진 주파수의 진동수에 관한 기준 영역을 미리 설정하고, 측정 시 공진 주파수의 진동수를 상기 기준 영역과 비교하여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공진 주파수가 방출되는 코일(1953)은 특정 방향을 지향하는 형태로 개폐마개(195)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코일(1953)은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거나,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도록 개폐마개(195)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코일(1953)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CL 2)이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과 중첩되도록 개폐마개(195)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 스프링과 같은 형태이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CL 2)이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개폐마개(195)의 내측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태엽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공진 주파수 변화에 관한 신호는 개폐마개(195) 내부에 설치된 코일(1953)의 형태에 따라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 방향으로 방출되거나, 개폐마개(195)의 중심축(CL 1)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위치에 안테나(31)를 배치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파악하고,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마개(195)를 몸체(191)로부터 분리하여 배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91) 및 개폐마개(195)에는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개폐마개(195)가 몸체(19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19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몸체(191) 및 개폐마개(195)에는 암, 수로 구분되어 서로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19a)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19a)은 암부인 스냅요면과 수부인 철면이 쌍을 이루는 스냅 파스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수단(19a)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개폐마개 내부에 설치된 코일의 방향에 따른 안테나의 수신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패치형 안테나가 개폐마개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의 콘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는 안테나(31) 및 콘솔(33)을 포함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는 도뇨관(1)의 외측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1) 및 안테나(3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400)로 전송하는 콘솔(33)을 포함한다.
먼저, 안테나(31)는 신호가 방출되는 개폐밸브(19)와 인접한 신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신체 외부의 특정 위치에서 수신방향에 대한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안테나(31)는 코일(1953)의 중심축에 대하여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안테나(31)는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로 배치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른 수신감도를 가지게 된다.
예시적으로, 안테나(31)는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 마주보는 9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약해지고,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18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즉, 도 6의 (a) 및 (b)와 같이 안테나(31)는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가장 높은 강도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방광(200) 내부의 압력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안테나(31)는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수직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외부 신호가 안테나(31)에 전송되어 혼선되거나 코일(1953)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약해져, 정확한 방광(200) 내부의 압력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테나(31)는 일정 크기로 형성된 원 또는 다각형상의 개구면(311)을 갖는 루프형 안테나(31)일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31)는 개폐마개(195) 내부에 설치된 코일(1953)의 형태에 따라, 신체 외부에 각각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코일(1953)이 도 4의 (a)와 같이 개폐마개(195)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고 개폐마개(195)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안테나(31)는 도 6의 (a)와 같이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 및 개폐마개(195)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신체 외부의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코일(1953)이 도 4의 (b)와 같이 개폐마개(195)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고 개폐마개(195)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안테나(31)는 도 6의 (b)와 같이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는 일치하되, 개폐마개(195)의 중심축과는 수직이 되는 신체 외부의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31)는 신체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31)는 일측에 부착수단(313)을 구비하여 신체의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는 패치형 안테나(31)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패치형 안테나(31)는 개폐마개(195)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는 태엽 형상의 코일(195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께감을 갖지 않고, 일측에 신체에 부착 가능한 부착수단(31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패치형 안테나(31)는 휴대 및 위치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고, 중심축이 개폐마개(195)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1953)의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는 신체 외부의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어 코일(19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솔(3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콘솔(33)은 판별부(331), 신호 발생부(333) 및 무선통신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콘솔(33)은 상술한 안테나(31)와 연결되어 안테나(3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인지 혹은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판별부(331)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코일(1953)로부터 방출되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량을 기준이 되는 설정 값과 비교하여 방광(200) 내부의 현재 압력의 크기를 감지한 후, 이를 다시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에 대한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솔(33)은 판별부(331)의 판별 결과에 따라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와 함께, 현 시점이 배뇨시점이 아님을 알리는 대기신호 또는 현 시점이 배뇨시점임을 알리는 경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신호 발생부(333)는 판별부(33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소리 또는 영상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 신호 발생부(333)는 현 시점이 배뇨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외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또는 표시창(도시되지 않음)에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반면,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일 경우, 신호 발생부(333)는 현 시점이 배뇨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외부 스피커 또는 표시창에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정보와 함께 배뇨시점이 아님을 알리는 대기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콘솔(33)은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 및 판별부(331)의 판별 결과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40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무선통신부(335)는 내부에 무선통신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인증을 마친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400)로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 및 판별부(331)의 판별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사용자가 스스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장치(400)를 통해 쉽게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전달받은 의사가 원격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거나, 현 상태에 따른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는 도뇨관(1)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
먼저, 도뇨관(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뇨관(1)은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요도(100)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200)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배출구(15)에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300)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구(15)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9)가 설치된다.
이때, 개폐밸브(19)는 후술할 제어부(3)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밸브(19)는 배출구(15)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배출구(15)를 개폐시키는 몸체(191) 및 몸체(191)에 연결되어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99)을 포함한다.
먼저, 몸체(191)는 배출구(15)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성을 갖는 볼(1971)을 구비하여 제어부(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일측에 형성된 배출홈(197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197)를 구비한다.
즉, 후술할 제어부(3)의 콘솔(33)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면, 몸체(191)의 내부에 구비된 볼(1971)은 배출홈(1973)이 형성된 몸체(191)의 일측에 접하여 배출홈(1973)을 폐쇄시키거나, 몸체(191)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출홈(1973)을 개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유닛(199)은 몸체(191)의 어느 한 지점에 몸체(191)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내측에 몸체(191)에 결합 시, 도뇨관(1)의 내부로 유입되는 소변(300)과 직접 접촉되어 소변(300)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1951) 및 압력측정센서(1951)와 연결되어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1953)이 설치되는 감지유닛(199)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감지유닛(199)은 몸체(191)에 대하여 수직되도록 몸체(191)의 어느 한 지점에 설치되고, 감지유닛(199)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1953)은 감지유닛(199)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거나, 감지유닛(199)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도록 감지유닛(199)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일(1953)은 감지유닛(199)의 축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 형태이거나, 감지유닛(199)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며, 내측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태엽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는 도뇨관(1)의 외측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1) 및 안테나(3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400)로 전송하는 콘솔(33)로 구성된다.
이때, 안테나(31)는 신호가 방출되는 코일(1953)과 인접한 신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신체 외부의 특정 위치에서 수신방향에 대한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안테나(31)는 코일(1953)의 중심축에 대하여 지향성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안테나(31)는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로 배치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른 수신감도를 가지게 된다.
예시적으로, 안테나(31)는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 마주보는 9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약해지고, 안테나(31)의 중심축이 코일(1953)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18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한편, 안테나(31)는 신체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안테나(31)는 몸체(191)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는 태엽 형상의 코일(195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께감을 갖지 않고, 일측에 부착수단(313)을 구비하여 신체의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는 패치형 안테나(31)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는 안테나(31)를 통해 감지유닛(199)으로부터 방광(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방광(200) 내부의 압력 상태를 파악하고, 콘솔(33)을 통해 몸체(191)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배출홈(1973)을 개폐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배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300)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파악함으로써, 사용자(피검사자) 스스로 일상생활 중 외부의 도움 없이 방광(200)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여 자율적으로 배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솔(33)을 통해 방광(200)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인가된 외부 단말장치(4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방광(200) 내부의 압력 측정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직접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여 배뇨를 수행하거나, 외부에서 원격으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진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도뇨관
11. 유입구 111. 제1 유로
13. 고정부재
15. 배출구 151. 제2 유로
17. 제어포트 171. 유체공급수단
19. 개폐밸브 19a. 체결수단
191. 몸체 193. 힌지
195. 개폐마개
1951. 압력측정센서 1953. 코일
197. 전자식 체크 밸브
1971. 볼 1973. 배출홈
199. 감지유닛
3. 제어부
31. 안테나
311. 개구면 313. 부착수단
33. 콘솔
331. 판별부 333. 신호 발생부
335. 무선통신부
100. 요도 200. 방광
300. 소변 400. 단말장치
CL 1. 개폐마개의 중심축 CL 2. 코일의 중심축

Claims (15)

  1.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console)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상기 일측의 어느 한 지점에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방광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요도의 폭보다 큰 폭으로 팽창하여 상기 방광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도뇨관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소변이 이동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고정부재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팽창시킬 수 있는 유체가 공급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도뇨관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유로 및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유체공급수단이 결합되는 제어포트가 형성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5. 삭제
  6.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console)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몸체에 체결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마개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에 체결 시 상기 도뇨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소변과 직접 접촉되어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코일은
    상기 개폐마개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거나,
    상기 개폐마개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개폐마개의 내측에 설치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8. 삭제
  9.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console)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몸체에 체결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개폐마개에는 서로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수단은
    암부인 스냅요면과 수부인 철면이 쌍을 이루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코일의 중심축에 대하여 지향성을 가지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안테나의 중심축이 상기 코일의 중심축과 마주보는 9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약해지고,
    상기 안테나의 중심축이 상기 코일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180도 각도일 경우, 신호 강도가 강해지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안테나는 일정 크기로 형성된 원 또는 다각형상의 개구면(開口面)을 갖는 루프(loop)형 안테나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안테나는 일측에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신체의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는 패치(patch)형 안테나인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4.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console)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솔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인지 혹은 미만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와 함께 현 시점이 배뇨시점이 아님을 알리는 대기신호 또는 현 시점이 배뇨시점임을 알리는 경보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그리고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관한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15.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요도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방광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신체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압력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도뇨관, 그리고
    상기 도뇨관의 외측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통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영상 또는 소리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내부의 압력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콘솔로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자성을 갖는 볼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일측에 형성된 배출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자식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지점에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몸체에 결합 시 상기 도뇨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소변과 직접 접촉되어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압력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 변화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코일이 설치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1020140017359A 2014-02-14 2014-02-14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10160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59A KR101601215B1 (ko) 2014-02-14 2014-02-14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59A KR101601215B1 (ko) 2014-02-14 2014-02-14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02A KR20150096202A (ko) 2015-08-24
KR101601215B1 true KR101601215B1 (ko) 2016-03-08

Family

ID=5405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359A KR101601215B1 (ko) 2014-02-14 2014-02-14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2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193A (ko) 2019-04-29 2020-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식립형 의료기기 및 시술정보에 대한 추적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3090810A1 (ko) * 2021-11-19 2023-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도뇨 치골상부 방광루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850B1 (ko) * 2020-01-02 2022-0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WO2023163576A1 (ko) * 2022-02-28 2023-08-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채널 스트레인 방광 센서에 기반한 방광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다채널 스트레인 방광 센서 검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171A (ko) 2002-05-21 2003-11-28 서정환 휴대용 방광내압 및 방광경부압 모니터링장치
EP2422755B1 (en) * 2009-04-20 2016-05-04 Cheiron Japan Co. Urination control device
KR101431052B1 (ko) * 2012-07-10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배뇨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193A (ko) 2019-04-29 2020-1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체내 식립형 의료기기 및 시술정보에 대한 추적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3090810A1 (ko) * 2021-11-19 2023-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도뇨 치골상부 방광루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02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215B1 (ko)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US11564585B2 (en) Sensor, circuitry, and method for wireless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US20220313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pelvic floor muscles
US9571166B2 (en) Testing tuned circuits
KR101431051B1 (ko)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US10966654B2 (en) Intra vaginal device to aid in training and determining muscle strength
EP3471824B1 (en) External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having alignment and centering capabilities
RU2522970C2 (ru) Следящая система,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уровня ph в пищеводе
AU2020200562A1 (en) External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having at least one sense coil concentric with a charging coil for determining position
CN104605822B (zh) 承载体和床垫
JP2009520560A (ja) 尿道閉塞診断
CN107690221A (zh) 移动式x射线装置
WO2008130467A1 (en) Ambulatory urodynamics
KR20200067860A (ko) 근수축 및/또는 근이완 측정 장치, 및 관련 방법
CN1450876A (zh) 用于身体部位的定位的装置及此装置的应用
CN105212926A (zh) 智能无线生物反馈监测器及盆底训练器
CN106512167B (zh) 测温型气管导管
US20040260207A1 (en)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s within body cavities
CA3022731A1 (en) External charg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optimizing power transmission using resonant frequency as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sense coil
US20110015472A1 (en) Sphincter exercising system
KR2019006640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여성 배뇨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104586349B (zh) 眼睛温度的测量与分析系统、接收分析装置及其方法
ES1162833U (es) Dispositivo para ejercitar la musculatura del suelo pélvico.
JP2002369810A (ja) 排尿検出送信装置
US996829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