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850B1 -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850B1
KR102363850B1 KR1020200000288A KR20200000288A KR102363850B1 KR 102363850 B1 KR102363850 B1 KR 102363850B1 KR 1020200000288 A KR1020200000288 A KR 1020200000288A KR 20200000288 A KR20200000288 A KR 20200000288A KR 102363850 B1 KR102363850 B1 KR 10236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oley catheter
bladder
process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52A (ko
Inventor
이광석
박형민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50B1/ko
Priority to PCT/KR2020/018848 priority patent/WO2021137499A2/ko
Priority to JP2022541003A priority patent/JP7244038B2/ja
Publication of KR2021008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50B1/ko
Priority to US17/856,640 priority patent/US116538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5Determining bladder or urethr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2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at the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뇨 장애 등으로 인하여 방광에 폴리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에 대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환자의 방광 내에 이미 삽입된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와 결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폴리 카테터는 상기 방광으로부터의 소변이 배출될 수 있는 소변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 통로의 소변 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소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소변의 압력 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 값과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APPARATUS FOR DETERMINING REMOVAL OF FOLEY CATHETER}
본 발명은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배뇨 장애 등으로 인하여 방광에 폴리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에 대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는 배뇨 장애가 존재하는 환자에 대하여 방광으로부터 외부의 소변 주머니로 소변을 통과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튜브를 의미한다. 폴리 카테터는 요도를 통해 환자의 방광에 삽입된다.
폴리 카테터는 환자에게 배뇨 장애가 있어서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없는 경우, 또는 외과 의사가 환자의 방광을 식염수 등으로 채우거나 또는 요로 수술 등을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배뇨 장애가 있는 환자의 방광에 과도한 소변이 축적되는 것은 신장의 통증, 방광의 부상, 소변의 역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폴리 카테터의 환자의 방광에 대한 삽입은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없는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 카테터의 삽입은 환자로 하여금 극심한 고통을 유발한다. 또한, 의료진 입장에서도 폴리 카테터를 제거하여야 환자의 퇴원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및 의료진 모두 일반적으로 폴리 카테터를 최대한 빨리 제거하고 싶어한다.
폴리 카테터의 제거는 환자가 스스로 소변을 배출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보통의 경우, 폴리 트레이닝(foley training)의 방법을 통해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폴리 카테터를 잠근 상태에서 환자에게 요의, 즉,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환자에게 요의가 있더라도, 폴리 카테터를 제거한 후 환자가 스스로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폴리 카테터를 다시 환자의 방광에 삽입할 수밖에 없다.
폴리 트레이닝은 객관적인 수치 없이 환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지하기 때문에 요의에 기초하여 스스로 소변의 배출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폴리 카테터를 제거한 환자가 실제로 소변을 스스로 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환자에게 폴리 카테터를 다시 삽입할 경우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환자의 퇴원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환자의 주관적 판단이 아니라, 객관적인 수치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측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환자의 방광에 삽입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즉석에서 빠르고 간이하게 결정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요역동학 검사가 소변이 가능한 환자들에 대하여 소변의 형태를 측정하는 것인 반면,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에 대한 결정은 소변의 배출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명확한 환자에 대하여 소변에 기초한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치의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소변의 배출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명확한 환자의 방광을 빠른 시간 안에 유체로 채우고, 나아가,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대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폴리 카테터는 소변 통로만 포함하는 1-웨이 폴리 카테터, 발룬(balloon)을 팽창시키기 위한 통로 및 소변 통로를 포함하는 2-웨이 폴리 카테터, 또는 발룬(balloon)을 팽창시키기 위한 통로, 소변 통로 및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3-웨이 폴리 카테터 등 종류가 다양하다. 따라서,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91731호 (2007.02.28.) (요도 카테터 및 휴대용 요역동학 모니터링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이미 삽입된 폴리 카테터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인 수치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이미 삽입된 상태의 폴리 카테터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빠르고 간이하게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의 배출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명확한 환자의 방광을 빠른 시간 안에 유체로 채우고, 나아가,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대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환자의 방광 내에 이미 삽입된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와 결합할 수 있는 장치로서, 폴리 카테터는 방광으로부터의 소변이 배출될 수 있는 소변 통로를 포함하며, 소변 통로의 소변 유출구와 연결되고, 소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의 압력 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압력 값과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비교함으로써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이미 삽입된 폴리 카테터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인 수치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방광에 이미 삽입된 상태의 폴리 카테터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빠르고 간이하게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의 배출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명확한 환자의 방광을 빠른 시간 안에 유체로 채우고, 나아가,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에 대한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폴리 카테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폴리 카테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폴리 카테터가 환자의 방광에 삽입된 경우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폴리 카테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한쪽 끝에 두 개의 끝단이 형성된 2-웨이 폴리 카테터(two-way foley catheter)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 카테터(100)의 한쪽 끝에 형성된 소변 유입구(101), 발룬(balloon, 102) 및 유체 유출구(103)가 방광 내에 삽입된다. 유체 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된 후 유체 유출구(103)를 통해 방광 내에서 배출된 유체에 의하여 발룬(102)이 부풀어 오른다. 유체는 식염수, 공기 등을 포함한다. 부풀어 오른 발룬(102)은 방광 내에서 폴리 카테터(100)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폴리 카테터의 다른 쪽 끝은 유체 유입구(104)와 소변 유출구(105)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104)는 발룬(102)을 부풀리기 위한 유체를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소변 유출구(105)는 방광으로부터 소변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소변이 배출되기 위하여 사용된다. 소변 유출구(105)는 소변 주머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 통로와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 통로가 폴리 카테터(10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소변 통로의 양 끝은 소변 유입구(101)와 소변 유출구(105)이고, 유체 통로의 양 끝은 유체 유입구(104)와 유체 유출구(105)이다.
도 2는 폴리 카테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한쪽 끝에 세 개의 끝단이 형성된 3-웨이 폴리 카테터(three-way foley catheter)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리 카테터(200)의 한쪽 끝에 형성된 소변 유입구(201), 발룬(balloon, 202), 제1 유체 유출구(203) 및 제2 유체 유출구(204)가 방광 내에 삽입된다. 제1 유체 유입구(205)를 통해 유입된 후 제1 유체 유출구(203)를 통해 방광 내에서 배출된 유체에 의하여 발룬(202)이 부풀어 오른다. 유체는 식염수, 공기 등을 포함한다. 부풀어 오른 발룬(202)은 방광 내에서 폴리 카테터(200)가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2 유체 유입구(207)를 통해 유입된 약품, 식염수 등의 유체가 방광 내에서 제2 유체 유출구(204)를 통해 유출된다.
폴리 카테터의 다른 쪽 끝은 제1 유체 유입구(205), 제2 유체 유입구(207) 및 소변 유출구(206)를 포함한다. 제1 유체 유입구(205)는 발룬(202)을 부풀리기 위한 유체를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 유체 유입구(207)는 방광 내로 유체를 투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소변 유출구(206)는 방광으로부터 소변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소변이 배출되기 위하여 사용된다. 소변 유출구(206)는 소변 주머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서, 소변이 이동하는 소변 통로와 유체가 이동하는 제1 및 제2 유체 통로가 폴리 카테터(20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소변 통로의 양 끝은 소변 유입구(201)와 소변 유출구(206)이고, 제1 유체 통로의 양 끝은 제1 유체 유입구(205)와 제1 유체 유출구(203)이며, 제2 유체 통로의 양 끝은 제2 유체 유입구(207)와 제2 유체 유출구(204)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웨이 폴리 카테터 및 3-웨이 폴리 카테터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룬이 없이 소변 통로만을 포함하는 1-웨이 폴리 카테터(one-way foley catheter)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또는 도 2의 폴리 카테터보다 유체 유입구 및 유체 통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폴리 카테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폴리 카테터가 환자의 방광에 삽입된 경우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폴리 카테터의 일 예로서 도 2의 폴리 카테터(200)가 방광에 삽입된 경우의 일반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
S100 단계에서 제2 유체 유입구(207)를 통해 유체가 방광 내로 투입된다.
S200 단계에서 방광 내 발룬(202)이 팽창하여 폴리 카테터(20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S300 단계에서 방광으로부터 유입된 소변이 소변 유출구(206)를 통해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폴리 카테터(100)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구성을 도시한다.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여부는 환자가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후 스스로 소변을 배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시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웨이 폴리 카테터가 아니더라도 소변 통로가 있는 폴리 카테터라면 적용 가능하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소변 통로가 있는 폴리 카테터라면 어떤 형태의 폴리 카테터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연결관(410), 체크밸브(check valve, 422), 장치부(430)를 포함한다. 장치부(430)는 압력 센서(431), 프로세서(432), 표시부(433)를 포함한다.
소변 유출구(105)는 연결관(410)에 연결된다.
연결관(410)은 소변 유출구(105)로부터 연결되는 통로가 두 갈래(411, 412)로 갈라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갈래 중 제1 갈래(411)는 압력 센서(431)와 연결되고, 제2 갈래(412)는 식염수(421) 등의 유체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갈래(411)는 소변 유출구(105)와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제2 갈래(412)는 소변 유출구(105)로부터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변 유출구(105)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제1 갈래(411)로 곧바로 흐르도록 하고, 제2 갈래(412)로 흐르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갈래(412)에 체크밸브(422)가 배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422)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체크밸브(422)는 제2 갈래를 통과하는 유체, 즉, 식염수 또는 소변 등이 소변 유출구(105)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된다.
체크밸브(422)는 소변 유출구(105)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제2 갈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소변 유출구(105)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제2 갈래에서 체크밸브(422)까지 흐르더라도 체크밸브(422)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변은 제1 갈래를 통해 장치부(430)의 압력 센서(431)를 향하여 흐를 수밖에 없다.
체크밸브(422)로 인하여, 폴리 카테터(100)의 소변 통로를 통해 본래 용도이었던 소변의 배출 외에, 방광을 향하여 유체를 투입할 수도 있게 된다.
폴리 카테터(100)가 방광에 이미 삽입된 환자는 소변의 자가배출 가능 여부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할 때 소변을 배출하지 않는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여부의 신속한 결정을 위하여 환자의 방광에 식염수 등의 유체를 투입하여야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식염수 주머니(421)를 연결관(410)의 체크밸브(422)가 배치된 갈래에 연결한 뒤 소변이 배출되지 않고 있는 소변 통로를 통해 방광으로 식염수를 투입할 수 있다. 즉, 배뇨 장애의 환자가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동안 소변 통로를 본래 용도이었던 소변의 배출이 아닌 유체의 투입을 위한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식염수(421)가 충분히 투입된 후, 방광에서 소변이 폴리 카테터(100)를 통하여 소변이 배출되기 시작하면 소변 통로는 본래의 용도이었던 소변의 배출을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도 4에서 설명되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체크밸브(422)의 사용으로 인하여 하나의 소변 통로를 사용하여 식염수(421)의 투입 및 소변의 배출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폴리 카테터의 종류는 소변 통로만 포함하는 1-웨이 폴리 카테터, 발룬(balloon)을 팽창시키기 위한 통로 및 소변 통로를 포함하는 2-웨이 폴리 카테터, 또는 발룬(balloon)을 팽창시키기 위한 통로, 소변 통로 및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는 3-웨이 폴리 카테터 등 종류가 다양하다. 따라서,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배뇨 장애 환자의 경우, 비용 등의 이유로 도 1의 2-웨이 폴리 카테터, 또는, 소변 통로만 존재하는 1-웨이 폴리 카테터가 방광에 삽입된다.
도 4에서 설명되는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폴리 카테터에 소변 통로가 존재한다면 체크밸브(422)의 사용으로 인하여 하나의 소변 통로를 사용하여 식염수(421)의 투입 및 소변의 배출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장치부(430)는 압력 센서(431), 프로세서(432), 표시부(433)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431)는 연결부(410)의 제1 갈래(411)와 연결되며,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소변 유출구(105) 및 제1 갈래(411)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의 압력 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432)는 압력 센서(431)와 연결된다. 프로세서(432)는 압력 센서(431)가 측정한 압력 값과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비교함으로써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은 사전에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을 상대로 도 4의 폴리 카테터(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이 정상적으로 배출될 때 압력 센서(431)를 통해 측정된 압력 값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은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소변의 압력 값의 조건을 어떻게 설정할지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432)는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 값보다 큰 값을 유지할 경우, 폴리 카테터(100)가 제거 가능하다고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최저의 압력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임계 값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이 1초 미만의 시간인 경우, 상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측정된 압력 값의 피크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432)는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특정 값보다 크게 된 시점으로 소변의 개시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압력 값이 상기 특정 값보다 작게 된 시점으로 소변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값은 임계 값보다 작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특정 값은 0 또는 0보다 높은 값으로서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배출하기 시작할 때 측정된 압력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432)는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소변의 평균 압력 값이 임계 값보다 큰 경우, 폴리 카테터(100)가 제거 가능하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소변의 배출 동안 평균적으로 측정된 압력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432)는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소변의 압력 값의 피크 값(peak value)이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폴리 카테터(100)가 제거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측정된 소변의 압력 값의 피크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프로세서(432)는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소변의 평균 압력 값이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폴리 카테터(100)가 제거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최저의 압력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임계 값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이 1초 미만의 시간인 경우, 상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도 4의 폴리 카테터(100) 및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측정된 압력 값의 피크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433)는 프로세서(432)와 연결되고, 프로세서(432)의 제어에 따라서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표시부(433)는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432)의 제어에 따라서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 중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또는 불능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에 대응하여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고, 프로세서(432)가 측정된 압력 값과 임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을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432)의 제어에 따라서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불능에 대응하여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고, 프로세서(432)가 측정된 압력 값과 임계 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불능을 결정한 경우, 프로세서(432)의 제어에 따라서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표시부(433)는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프로세서(432)의 제어에 따라서 폴리 카테터(100)의 제거 가능 또는 불능을 의미하는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폴리 카테터(200)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구성을 도시한다.
폴리 카테터(200)의 제거 가능 여부는 환자가 폴리 카테터(200)의 제거 후 스스로 소변을 배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도시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웨이 폴리 카테터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장치부(430)를 포함한다. 장치부(430)는 압력 센서(431), 프로세서(432), 표시부(433)를 포함한다.
장치부(430)의 구성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5와 같이 3-웨이 폴리 카테터에 대한 장치의 경우, 소변 통로와 별개의 통로로서 제2 유체 통로의 제2 유체 유입구(207)를 통해 식염수를 방광으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체 유입구(207)를 통한 식염수(421)의 투입 후, 방광에서 소변이 배출되기 시작하더라도 소변 통로를 통해 소변 유출구(206)로 배출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3-웨이 폴리 카테터(200)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소변 통로를 사용하여 식염수(421)의 투입 및 소변의 배출의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만, 일반적인 배뇨 장애 환자의 경우, 비용 등의 이유로 도 1의 2-웨이 폴리 카테터, 또는, 소변 통로만 존재하는 1-웨이 폴리 카테터가 방광에 삽입된다.
도 4의 장치는 폴리 카테터에 소변 통로가 존재한다면 폴리 카테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반면, 도 5의 장치는 2-웨이 폴리 카테터에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도 5의 장치와 같이 도 4의 장치와 비교할 때 2 갈래의 연결관(410), 체크 밸브(422)가 없는 장치는 도 4의 장치에 비하여 활용성이 떨어진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폴리 카테터 101: 소변 유입구
102: 발룬 103: 유체 유출구
104: 유체 유입구 105: 소변 유출구
200: 폴리 카테터 201: 소변 유입구
202: 발룬 203: 제1 유체 유출구
204: 제2 유체 유출구 205: 제1 유체 유입구
206: 소변 유출구 207: 제2 유체 유입구
410: 연결부 411: 제1 갈래
412: 제2 갈래 421: 식염수 주머니
422: 체크밸브 430: 장치부
431: 압력 센서 432: 프로세서
433: 표시부

Claims (13)

  1. 환자의 방광 내에 이미 삽입된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와 결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폴리 카테터는 상기 방광으로부터의 소변이 배출될 수 있는 소변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소변 통로의 소변 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소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소변의 압력 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와,
    상기 소변 유출구와 상기 압력 센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소변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소변이 상기 압력 센서로 흐르도록 구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은 상기 소변 유출구로부터 연결되는 통로가 제1 갈래 및 제2 갈래로 갈라지는 형태이며, 제1 갈래는 상기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제2 갈래는 유체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의 상기 제2 갈래에 배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2 갈래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소변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 값과 미리 결정된 임계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특정 값보다 크게 된 시점으로 소변의 개시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압력 값이 상기 특정 값보다 작게 된 시점으로 소변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특정 값은 상기 임계 값보다 작고, 상기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상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상기 소변의 평균 압력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폴리 카테터가 제거 가능하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특정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폴리 카테터 및 상기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배출하기 시작할 때 측정된 압력 값이고, 상기 임계 값은 배뇨 장애가 없는 정상인의 방광에 폴리 카테터 및 상기 장치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변을 정상적으로 배출할 때 소변의 배출 동안 평균적으로 측정된 압력 값이며,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는 상기 환자가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후 스스로 소변을 배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 갈래가 상기 소변 유출구와 연장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갈래가 상기 소변 유출구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배치되도록 구성된,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값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임계 값보다 큰 값을 유지할 경우, 상기 폴리 카테터가 제거 가능하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상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상기 소변의 압력 값의 피크 값(peak value)이 상기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폴리 카테터가 제거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변의 개시 시점부터 상기 소변의 종료 시점까지 측정된 상기 소변의 평균 압력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폴리 카테터가 제거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한 가지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 중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또는 불능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장치.
KR1020200000288A 2020-01-02 2020-01-02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KR10236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88A KR102363850B1 (ko) 2020-01-02 2020-01-02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PCT/KR2020/018848 WO2021137499A2 (ko) 2020-01-02 2020-12-22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JP2022541003A JP7244038B2 (ja) 2020-01-02 2020-12-22 フォーリーカテーテルの除去可能有無を決定するための装置
US17/856,640 US11653865B2 (en) 2020-01-02 2022-07-01 Device for determining removability of Foley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88A KR102363850B1 (ko) 2020-01-02 2020-01-02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52A KR20210087252A (ko) 2021-07-12
KR102363850B1 true KR102363850B1 (ko) 2022-02-16

Family

ID=7668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88A KR102363850B1 (ko) 2020-01-02 2020-01-02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53865B2 (ko)
JP (1) JP7244038B2 (ko)
KR (1) KR102363850B1 (ko)
WO (1) WO20211374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1786B2 (en) 2019-04-29 2023-09-12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Neurogenic bladder monitor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9884A (ja) * 2014-02-26 2015-09-07 奇美醫療財團法人奇美醫院 膀胱内圧測定装置
KR101888107B1 (ko) * 2017-03-16 2018-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6068A (ja) * 1986-05-14 1987-11-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膀胱訓練装置
KR100691731B1 (ko) 2004-08-27 2007-03-12 송철규 요도 카테터 및 휴대용 요역동학 모니터링 장치
JP2009523463A (ja) * 2004-12-03 2009-06-25 ウォルフ トーリー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深部体温センサを任意で備える連続腹腔内圧モニタ用尿道カテーテル
WO2013143361A1 (zh) 2012-03-27 2013-10-03 苏州达维生物医药有限公司 膀胱和腹腔压力的监测系统、方法及膀胱功能恢复系统
KR101328572B1 (ko) * 2012-04-13 2013-11-12 주식회사 아이센스 다색상 led를 이용한 사용자 알림 기능을 갖는 혈당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알림방법
KR101431051B1 (ko) * 2012-12-31 2014-08-2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KR101601215B1 (ko) * 2014-02-14 2016-03-08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방광 내압 모니터링 장치
US20150230745A1 (en) * 2014-02-19 2015-08-20 Chimei Medical Center Device of detecting bladder pressure and method of judging removal timing of catheter from patient's body
JP6436767B2 (ja) * 2014-12-26 2018-12-12 株式会社塚田メディカル・リサーチ 膀胱尿動態測定装置
CN206508308U (zh) 2016-11-28 2017-09-22 无锡市中医医院 一种带有导尿功能的腹腔压力测量装置
KR101881070B1 (ko) 2017-04-17 2018-07-23 명노정 콘센트용 안전 개폐장치
US11751786B2 (en) * 2019-04-29 2023-09-12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Neurogenic bladder monitor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9884A (ja) * 2014-02-26 2015-09-07 奇美醫療財團法人奇美醫院 膀胱内圧測定装置
KR101888107B1 (ko) * 2017-03-16 2018-08-1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요도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0991A (ja) 2023-01-17
US11653865B2 (en) 2023-05-23
WO2021137499A2 (ko) 2021-07-08
WO2021137499A3 (ko) 2021-08-26
KR20210087252A (ko) 2021-07-12
JP7244038B2 (ja) 2023-03-22
US20220330865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4788B2 (ja) 酸素測定デバイス及び酸素測定システム
US11541203B2 (en) Safe urinary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485483B1 (en) Diagnostic drainage catheter assembly and methods
JP5439053B2 (ja) 溶解可能な弁部材を備える弁アセンブリ
US10631788B2 (en) Diagnostic drainage catheter assembly and methods
JP6198739B2 (ja) カテーテルの改良
US65032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intra-abdominal pressure
US20140088455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intra-abdominal pressure
US20060058702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intra-abdominal pressure
US20080027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intra-abdominal pressure utilizing a pressure transducer
AU2002218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intra-abdominal pressure
US11065418B1 (en) Bladder storage anomaly assessment
KR102363850B1 (ko) 폴리 카테터의 제거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CN111494782A (zh) 一种气囊压力监测式导尿管及其监测方法
JP2006314429A (ja) 膀胱洗浄装置
CN215961733U (zh) 套叠双球囊导尿管
CN212213745U (zh) 一种导尿测压装置
US11730920B2 (en) Safety catheter using a secondary balloon and tertiary lumen
CN219662603U (zh) 留置导管
Canales et al. Percutaneous nephrostomy catheters: Drainage flow and retention strength
CN213249059U (zh) 腹内压测量器
CN106175655A (zh) 用于膀胱镜的灌注设备及膀胱镜系统
RU415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й холангиоманометрии и хромосальпингографии
CN116965875A (zh) 带自动充盈急救reboa球囊导管装置
JP201814366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位置確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