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723B1 -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 Google Patents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723B1
KR102426723B1 KR1020200098205A KR20200098205A KR102426723B1 KR 102426723 B1 KR102426723 B1 KR 102426723B1 KR 1020200098205 A KR1020200098205 A KR 1020200098205A KR 20200098205 A KR20200098205 A KR 20200098205A KR 102426723 B1 KR102426723 B1 KR 10242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hemical
suction
toxic substanc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779A (ko
Inventor
김경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9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7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7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Exhaust-air treatment, e.g. air purificat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는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된 기체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진공 흡입 모듈(11);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 모듈(12); 작동 선택 모듈(13)의 작동에 따라 약품을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하면서 분무된 약품을 유독 물질과 함께 흡입하는 분무/흡입 모듈(14); 및 분무/흡입 모듈(14)로부터 흡입된 약품 및 유독 물질을 포획하는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A Movable Cleaner with a Structure of Absorbing a Harmful Chemical}
본 발명은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에 유독 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 클리닝 공간에서 유독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고, 병원균을 포함하는 액체 형태의 물질이 병원 또는 이와 유사한 공중 보건 시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 또는 액체 형태의 물질이 바닥 면을 따라 흐르거나, 벽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이 독성을 가지는 경우 신속하게 제거되지 않으면 흡입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험을 발생시키면서 화합물에 따라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유독성 화합물 또는 병원성 액체의 제거가 가능한 청소기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732050은 배기가스 내의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액체 시료 분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3018은 유해물질제거액 분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유독성 또는 병원성 액체가 바닥에 흐르는 경우 이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중화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세정 기능을 가지는 약품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거 과정에서 화재 발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온도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클리닝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732050(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7.06.27. 공개) 배기 가스내의 유해 물질 저감을 위한 액체 시료 분사 장치 선행기술 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3018(윤한덕, 2005.08.17. 공고) 유해물질제거액 분사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독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약품을 분사하면서 이와 동시에 유독성 물질과 분사 약품을 흡입하여 클린 룸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액체 형태의 유독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는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된 기체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진공 흡입 모듈;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 모듈; 작동 선택 모듈의 작동에 따라 약품을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하면서 분무된 약품을 유독 물질과 함께 흡입하는 분무/흡입 모듈; 및 분무/흡입 모듈로부터 흡입된 약품 및 유독 물질을 포획하는 유독 물질 포획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진공 흡입 모듈과 독립된 구조를 가지는 포획 하우징을 포함하고, 포획 하우징은 진공 흡입 모듈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무/흡입 모듈은 기체, 액체 및 고체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 툴 및 약품을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는 산업 현장 또는 공중 보건 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독성 또는 병원성 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는 다양한 불순물의 제거가 요구되면서 이와 동시에 청소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물질에 대한 약품 처리가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사업장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는 약품이 분사되면서 동시에 흡입되는 구조로 인하여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고, 유독 물질의 제거 과정에서 온도 조절이 되어 흡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는 선택적으로 사용된 약품이 적절한 회수 수단을 통하여 분리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가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에서 약품 분무가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는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된 기체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진공 흡입 모듈(11);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 모듈(12); 작동 선택 모듈(13)의 작동에 따라 약품을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하면서 분무된 약품을 유독 물질과 함께 흡입하는 분무/흡입 모듈(14); 및 분무/흡입 모듈(14)로부터 흡입된 약품 및 유독 물질을 포획하는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을 포함한다.
유독 물질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 화합물 또는 병원균을 포함하는 액체가 될 수 있고, 액체 형태가 되거나 또는 바닥면 또는 벽면에 고체화가 된 형태를 포함한다. 유독 물질은 다양한 형태로 클리닝 공간에 존재할 수 있고, 순환 청소기는 액체 형태의 약품을 분무하여 유독 물질을 흡입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유독 물질을 약품과 함께 흡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동시에 순환 청소기는 약품이 분무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약품이 분무된 상태에서 클리닝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순환 청소기는 캐스터와 같은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와 같은 독립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환 청소기에서 약품 분무 및 흡입 기능은 선택적인 기능이 된다.
진공 흡입 모듈(11)은 클리닝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 또는 입자 형태의 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진공 흡입 모듈(11)은 독립된 모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외부의 이물질이 진공 흡입 모듈(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흡입 모듈(11)은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로부터 유해 성분을 포집하거나,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포획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백 필터, 부직포 필터 또는 헤파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진공 흡입 모듈(11)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기체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 공기가 되어 진공 흡수 모듈(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진공 흡입 모듈(11)은 외부로부터 기체를 유입시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독 물질의 제거를 위한 약품은 약품 공급 모듈(12)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약품 공급 모듈(12)은 약품이 저장된 약품 저장 탱크 및 약품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예를 들어 공급 펌프와 같은 공급 수단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범위의 압력으로 공급 호스를 통하여 노즐로 유동시키는 유체 유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약품 공급 모듈(12)은 예를 들어 황산, 세정제 또는 클리닝 공간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약품 공급 모듈(12)로부터 공급된 약품은 예를 들어 분무 노즐과 같은 액체 분무 수단을 통하여 클리닝 공간에 분무될 수 있다. 클리닝 공간으로 약품이 분무될지 여부가 작동 선택 모듈(13)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클리닝 과정에서 유독 물질이 흐르거나, 유독 물질이 부착된 부분이 발견되면 해당 부위에 작동 선택 모듈(13)에 의하여 약품 분무가 선택되어 유독 물질의 제거를 위한 약품이 분무될 수 있다, 작동 선택 모듈(13)은 예를 들어 트리거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트리거를 당기는 동안 약품이 분무될 수 있다. 또는 작동 선택 모듈(13)은 스위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미리 결정된 양의 약품이 분무될 수 있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반복적으로 약품이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선택 모듈(13)은 다양한 방식으로 약품의 분무 여부를 선택하거나 또는 분무되는 약품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선택 모듈(13)에 의하여 약품의 분무가 결정되어 약품이 유독 물질이 존재하는 부위로 분무되면 분무/흡입 모듈(14)에 의하여 흡입될 수 있다. 분무/흡입 모듈(14)은 클리닝 공간으로 약품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이와 함께 클리닝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선택 모듈(13)에 의하여 약품의 분무가 선택되면 분무 노즐로부터 약품이 분무될 수 있다. 분무 노즐로부터 약품이 분무된 경우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액체 형태의 약품, 유독 물질, 공기 및 불순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분무 노즐로부터 약품이 분무되지 않은 경우 분무/흡입 모듈(14)을 통하여 공기 및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다. 분무/흡입 모듈(14)은 이와 같이 약품 분무 수단과 공기 흡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약품 분무 수단과 공기 흡입 수단은 분무 및 흡입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독립 부품의 구조를 가지면서 결합 브래킷 또는 이와 유사한 체결 수단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분무/흡입 모듈(14)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서로 체결된 분무/흡입 모듈(14)을 형성하는 분무 수단의 분무 압력은 공급 탱크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흡입 수단의 흡입력은 진공 흡입 모듈(11)에 설치된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무/흡입 모듈(14)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 이물질 또는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은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로 유입될 수 있다.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은 진공 흡입 모듈(11)과 독립적으로 형성된 모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분무/흡입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로 유입된 액체 형태의 약품, 유독 물질, 공기 또는 불순물 중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은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에 의하여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입자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진공 흡입 모듈(11)로 이동되어 미세입자 또는 이물질은 다양한 종류의 필터에 의하여 여과가 될 수 있다.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의 내부에 예를 들어 사이클론 형태의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유입된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 및 공기가 사이클론 형태의 유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이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에 의하여 포획될 수 있다.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은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을 포획하면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진공 흡입 모듈(11)로 유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진공 흡입 모듈(11)과 독립된 구조를 가지는 포획 하우징(22)을 포함하고, 포획 하우징(22)은 진공 흡입 모듈(11)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진공 흡입 모듈(11)과 유독 물질 포획 모듈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필터 하우징(23)과 포획 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포획 하우징(22)과 필터 하우징(23)은 하나의 고정 보드(21)에 형성된 제1, 2 고정 커플러(214, 2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보드(21)는 사각 판 형상이 되면서 캐스터와 같은 이동 수단(CA)에 의하여 클리닝 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클리닝 작업을 하거나, 이동 수단(CA)을 고정시켜 정해진 위치에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보드(2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211)가 연장될 수 있고, 수직 부재(211)의 연장 부위에 제1 배치 보드(212)가 결합되고, 수직 부재(211)의 끝 부분에 제2 배치 보드(213)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보드(21)의 앞쪽에 형성된 제1 고정 커플러(214)에 포획 하우징(22)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정 보드(21)의 뒤쪽에 형성된 제2 고정 커플러(215)에 필터 하우징(23)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보드(21)의 뒤쪽 끝 부분에 약품을 저장하는 약품 저장 탱크(26)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2 고정 커플러(214, 215)는 수평 보드(21)의 위쪽 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면서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수직 접촉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배치 보드(212)에 약품 탱크(26)로부터 약품을 공급받는 약품 공급 통(25)이 설치될 수 있고, 약품 저장 탱크(26) 또는 약품 공급 통(25)의 내부에 약품의 이동을 위한 공급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설치 보드(213)에 약품 저장 탱크(26) 또는 약품 공급 통(25)에 설치된 공급 펌프의 작동을 위한 공급 작동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급 작동 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약품이 약품 공급 호스(28)를 통하여 이동되어 흡입 호스(27)의 끝 부분에 결합 수단(31)에 의하여 흡입 호스(27)에 결합된 분무 노즐로 이동되어 분무될 수 있다. 흡입 하우징(22)에 형성된 체결 입구(222)에 흡입 호스(27)의 한쪽 끝 부분이 체결되어 흡입 하우징(22)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호스(27)는 내부에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끝 부분에 흡입 툴(27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툴(271)은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분무된 약품, 공기 또는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흡입 호스(27)를 통하여 포획 하우징(2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 입구(222)는 포획 하우징(2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유동 커넥터(221)가 포획 하우징(22)의 위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커넥터(221)에 포획 하우징(22)과 필터 하우징(23)을 연결하는 유동 연결 호스(32)가 연결될 수 있다. 유동 연결 호스(32)에 의하여 포획 하우징(21)으로 유입된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을 제외한 공기가 필터 하우징(23)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23)에서 미세먼지 형태의 입자 형태의 이물질이 제거되어 예를 들어 헤파 필터와 같은 배출 필터(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 툴(271)을 통하여 흡입된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 또는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포획 하우징(22)과 필터 하우징(23)에서 각각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가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순환 청소기의 작동을 위하여 제2 설치 보드(213)에 설치된 작동 조절 유닛이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23)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 모터가 작동되어 흡입 툴(271)을 통하여 클리닝 공간에 존재하는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 호스(27)로 유입되어 포획 하우징(2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공기는 유동 커넥터(221)에 연결된 유동 연결 호스(32)를 통하여 필터 하우징(23)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23)의 내부에서 공기가 여과될 수 있고, 여과된 공기는 필터 하우징(23)의 위쪽에 설치된 배출 필터(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작동 조절 모듈(4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작동 조절 모듈(43)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23)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 모터의 작동 수준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조절 모듈(43)에 의하여 약품의 분무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 과정에서 유독 물질이 발견되면 해당 위치에 약품 저장 탱크(26)에 저장된 유독 물질의 제거를 위한 예를 들어 황산 또는 이와 유사한 유독 물질 제거를 위한 약품이 분무될 수 있다. 약품의 분무 양 또는 분무 온도가 분무/온도 조절 모듈(44)에 의하여 설정되어 작동 조절 모듈(43)로 전송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작동 조절 모듈(43)에 의하여 약품 저장 탱크(26) 또는 약품 공급 통(25)에 배치된 공급 펌프가 작동될 수 있다. 분무되는 약품의 온도가 예를 들어 약품 공급 통(25)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기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온도 조절에 의하여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이 흡입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예방될 수 있다. 작동 조절 모듈(43)에 의하여 공급 펌프가 작동되면서 약품 공급 통(25)에 형성된 튜브 커넥터(41)에 연결된 유동 튜브를 통하여 약품 저장 탱크(26)로부터 약품 공급 통(25)으로 약품이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약품 공급 통(25)에 형성된 공급 커넥터(42)에 연결된 약품 공급 호스(28)를 통하여 약품이 유동될 수 있다. 약품 공급 호스(28)를 통하여 유동된 약품은 흡입 호스(27)의 끝 부분에 체결 수단(31)에 의하여 흡입 호스(27)에 체결된 분무 노즐을 통하여 유독 물질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분무될 수 있다. 진공 모터의 작동 수준은 흡입 조절 모듈(45)에 의하여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약품은 유독 물질로 분무된 이후 곧바로 유독 물질, 공기와 함께 흡입 툴(271)을 통하여 흡입 호스(27)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품이 분무된 이후 곧바로 흡입되는 것에 의하여 약품에 의한 클리닝 공간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흡입 조절 모듈(45)에 의하여 약품이 분무되지 않은 상태의 진공 모터의 작동 수준과 분무된 상태에서 작동 수준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흡입 조절 모듈(45)에 의하여 클리닝 공간의 환경 조건에 따라 진공 모터의 작동 수준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흡입 호스(27)를 통하여 유입된 약품을 포함하는 공기는 포획 하우징(22) 및 필터 하우징(23)에서 각각 위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포획되거나, 정화될 수 있다. 분무되는 약품의 분무 조건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청소기에서 약품 분무가 조절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무/흡입 모듈(14)은 기체, 액체 및 고체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 툴(271) 및 약품을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51)을 포함한다. 포획 하우징(22)과 필터 하우징(23)은 각각 위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밀폐 덮개(223, 231)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흡입 툴(271)은 연결 커넥터(52)에 의하여 흡입 호스(27)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커넥터(52)의 뒤쪽에 체결 수단(31)에 의하여 분무 노즐(51)이 흡입 호스(27)에 결합될 수 있다. 분무 노즐(51)은 액체의 분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노즐이 될 수 있고, 체결 수단(31)은 분무 노즐(51)을 흡입 호스(27)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 수단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체결 링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설치 보드(213)의 한쪽 끝에 작동 조절을 위한 조절 패널(45)이 설치될 수 있다. 조절 패널(45)에 진공 모터 및 공급 펌프의 작동을 위한 작동 스위치(471, 47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 패널(45)에 진공 모터의 작동 수준 및 약품의 분무 양의 조절을 위한 회전 조절 구조의 조절 스위치(461, 462)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 또는 분무 조절은 다양한 방법 또는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진공 흡입 모듈 12: 약품 공급 모듈
13: 작동 선택 모듈 14: 분무/흡입 모듈
15: 유독 물질 포획 모듈 21: 고정 보드
22: 포획 하우징 23: 필터 하우징
26: 약품 저장 탱크 51: 분무 노즐
211: 수직 부재 271: 흡입 툴
212, 213: 배치 보드 222; 체결 입구

Claims (3)

  1. 클리닝 공간으로부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흡입된 기체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진공 흡입 모듈(11);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 모듈(12);
    작동 선택 모듈(13)의 작동에 따라 약품을 클리닝 공간으로 분무하면서 분무된 약품을 유독 물질과 함께 흡입하는 분무/흡입 모듈(14); 및
    분무/흡입 모듈(14)로부터 흡입된 약품 및 유독 물질을 포획하는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을 포함하고,
    유독 물질 포획 모듈(15)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면서 진공 흡입 모듈(11)과 독립된 구조를 가지는 포획 하우징(22)을 포함하고, 포획 하우징(22)은 유독 물질을 포함하는 약품을 포획하면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진공 흡입 모듈(11)로 유동하도록 진공 흡입 모듈(11)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진공 흡입 모듈(11)은 배출 필터(24)를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의 필터 하우징(23)을 포함하고, 포획 하우징(22)과 필터 하우징(23)은 사각 판 형상의 고정 보드(21)에 형성된 제1, 2 고정 커플러(214, 2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무/흡입 모듈(14)은 기체, 액체 및 고체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 툴(271) 및 약품을 분무시키는 분무 노즐(51)을 포함하는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KR1020200098205A 2020-08-05 2020-08-05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KR102426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05A KR102426723B1 (ko) 2020-08-05 2020-08-05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205A KR102426723B1 (ko) 2020-08-05 2020-08-05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79A KR20220017779A (ko) 2022-02-14
KR102426723B1 true KR102426723B1 (ko) 2022-07-28

Family

ID=8025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205A KR102426723B1 (ko) 2020-08-05 2020-08-05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7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1267A1 (en) * 1985-08-26 1987-03-12 Hederolba Ab Device for cleaning by suction
JP2001149273A (ja) * 1999-11-26 2001-06-05 Maeda Corp 建造物の外壁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18Y1 (ko) 2005-06-01 2005-08-17 윤한덕 유해물질제거액 분사장치
KR100732050B1 (ko) 2005-12-28 2007-06-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기 가스내의 유해 물질 저감을 위한 액체 시료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1267A1 (en) * 1985-08-26 1987-03-12 Hederolba Ab Device for cleaning by suction
JP2001149273A (ja) * 1999-11-26 2001-06-05 Maeda Corp 建造物の外壁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79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4261B2 (en) Airborne particle removal system
KR20210001365U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CN107497782A (zh)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KR102426723B1 (ko) 유독 물질 흡입 구조의 순환 청소기
KR100923280B1 (ko) 흡착성 연기 및 냄새 제거 집진기
KR101991083B1 (ko) 전기 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100881173B1 (ko) 회전분사기능이 구비된 에어샤워장치
JP2005214600A (ja) 空気調和機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0233333B1 (ko) 유해 매체내의 벽면 열화에 의한 원격 소제, 폐기물 회수 및 처리 장치
CN110522962A (zh) 便携式放射性污染人员单兵洗消器
ITMI20081189A1 (it) Dispositivo di lavaggio, munito di gruppo di riscaldamento dell acqua, per pistole a spruzzo e loro componenti
CN110290736B (zh) 过滤系统和包含过滤系统的真空吸尘器
KR101449938B1 (ko) 에어 샤워 장치
KR20160149656A (ko) 순환 기체의 분사와 동시 흡입에 의한 각종 물질과 물체류의 이송운반 및 청소장치
CN213856221U (zh) 一种麻醉废气抽吸装置
KR102629915B1 (ko) 멸균장치 및 멸균시스템
KR101565761B1 (ko) 집진 시스템
CN209985183U (zh) 一种湿式处理装置
KR20210132904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CN207102221U (zh) 粉尘空气过滤器
JP2004082028A (ja) 集塵ダスト抜き出し装置、並びに、集塵ダスト抜き出し装置を備えたエアーシヤワー装置
KR101743236B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불가마
JP5984509B2 (ja) 有害物質の除去装置
CN214598025U (zh) 一种含粉尘废气净化处理装置
CN218455837U (zh) 一种显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