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761B1 - 집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761B1
KR101565761B1 KR1020140164182A KR20140164182A KR101565761B1 KR 101565761 B1 KR101565761 B1 KR 101565761B1 KR 1020140164182 A KR1020140164182 A KR 1020140164182A KR 20140164182 A KR20140164182 A KR 20140164182A KR 101565761 B1 KR101565761 B1 KR 10156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fluid
nozzle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근
Original Assignee
오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홍근 filed Critical 오홍근
Priority to KR102014016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761B1/ko
Priority to PCT/KR2015/000543 priority patent/WO20160850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작업공간과 연결되며, 작업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흡입배관과, 상기 흡입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배관 내부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 방향 및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 시스템{Filtration system}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능이 향상된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종 다양한 분진이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분진을 제거하는 방법은 내부에 집진필터를 장착한 집진 시스템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예컨데 소각로, 철강, 분체공업, 시멘트가공, 코크스 및 주물 제조공정, 유리 및 내화물 제조공정, 합성수지 제조 및 가공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분진을 집진 시스템으로 처리함에 있어서, 현장에 발생되는 분진을 함유한 공기를 집진 시스템으로 강제 유입시켜 내부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집진필터로 흡입, 여과 후 배출구를 통하여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집진 시스템을 통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는지 여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이물질은 일반적으로 중금속 또는 여러 가지 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느냐에 따라 작업공간 외부의 오염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집진 시스템은 한국공개특허 제2009-0070748호(출원인 : 주식회사 포스코, 발명의 명칭 : 집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분진으로 인하여 외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업공간과 연결되며, 작업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흡입배관과, 상기 흡입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배관 내부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 방향 및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유체에 의해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저장부에는 상기 유체가 저장되고,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이물질저장부의 유체를 순환시켜 상기 흡입배관 내부에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출구 부분에 설치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체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 방향 및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노즐부와, 상기 흡입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노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입배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노즐바디부와, 상기 제2 노즐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제2 노즐바디부와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 사이로 분사하는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제2 노즐바디부와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바디부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 노즐바디부의 단면적은 상기 기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와 상기 제2 노즐부는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전거 등의 페인트칠 등과 같은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작업장 이외로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배관의 유출구에서 유체를 분사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배관의 유출구에서 유체를 분사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집진 시스템(100)은 작업공간(S)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집진 시스템(100)은 작업공간(S)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집진 시스템(100)은 흡입배관(110), 필터부(120), 구동부(130), 유체분사부(140), 이물질저장부(150) 및 차폐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배관(110)은 작업공간(S) 및 이물질저장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입배관(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S)과 연결되는 유입구(I)와 이물질저장부(150)와 연결되는 유출구(O)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흡입배관(110)의 유입구(I)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20)는 격자 형태, 다공성 형태, 메쉬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20)는 다른 실시예로써 격자 형태의 플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체를 통과시키면서 기체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흡착시키거나 걸러주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부(120)는 흡입배관(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20)는 흡입배관(110)에 별도의 부재에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흡입배관(110)에 연결되어 흡입배관(110) 내부의 기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0)는 진공펌프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배관(110)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130)는 집진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130)는 단순히 팬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배관(110)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배관(11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130)는 집진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분사부(140)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체공급부(141)는 수중펌프 형태일 수 있다. 유체공급부(141)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여 노즐부(143)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유체공급부(141)에는 이물질저장부(150)의 내부의 유체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체공급부(141)의 흡입부에 이물질거름필터(141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거름필터(141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거름필터(141a)는 메쉬 형태의 거름망이나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커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거름필터(141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공급부(141)의 흡입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거르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분사부(140)는 유체공급부(141)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하는 안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142)는 튜브, 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분사부(140)는 안내부(142)에 연결되는 노즐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즐부(143)는 유체공급부(141)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배관(110)의 중심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외면 방향 및 흡입배관(110)의 외면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중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노즐부(143)는 흡입배관(110)의 외면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내면으로 관통하도록 흡입배관(110)에 설치되는 제1 노즐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143)는 흡입배관(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노즐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부(144)는 안내부(142)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배관(110)의 중심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부(145)는 안내부(142)와 연결되어 유체를 흡입배관(110)의 중심방향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 노즐부(144)는 흡입배관(1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흡입배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노즐부(144)는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흡입배관(110)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1 노즐부(144)는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흡입배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노즐부(145)는 흡입배관(11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부(145)는 흡입배관(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노즐바디부(145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노즐바디부(145a)는 높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이 높이 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노즐바디부(145a)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은 제2 노즐바디부(145a)의 높이 방향(또는 기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유출구(O) 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바디부(145a)는 마치 물방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바디부(145a)의 외면을 따라 기체가 흡입배관(110)의 내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부(145)는 제2 노즐바디부(145a)에 설치되는 제2 노즐(145b) 및 흡입배관(110)과 제2 노즐바디부(145a)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45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노즐(145b)은 유체를 제2 노즐바디부(145a)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145b)은 제2 노즐바디부(145a)의 외면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노즐(145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2 노즐(145b)은 제2 노즐바디부(145a)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노즐(145b)은 제1 노즐부(144)가 분사하지 않는 영역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각 제2 노즐(145b)은 각 제1 노즐부(144)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부(144)와 제2 노즐(145b)은 흡입배관(110)의 내부에 유체를 빈틈없이 공급할 수 있다.
이물질저장부(150)는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저장부(150)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흡입배관(110)의 유출구(O) 끝단은 이물질저장부(150)에 저장된 유체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물질저장부(150)에는 투과창(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과창(151)는 투명한 아크릴, 유리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이물질저장부(15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투과창(151)을 통하여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차폐부(160)는 흡입배관(110)의 유출구(O)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60)는 이물질저장부(150)의 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160)는 흡입배관(110)의 유출구(O)와 유체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다. 즉, 차폐부(160)는 유출구(O)에서 분사되는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이물질저장부(15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부(160)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60)는 안내부(1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저장부(150)에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배관(1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배관(170)에는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출배관필터(171)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배관필터(171)는 메쉬 형태의 그물, 홀이 형성된 커버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배출배관필터(171)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배관(171)을 이동하는 유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모든 구조 및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저장부(150)에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위측정센서(180)는 유체의 최저수위를 측정하는 제1 수위측정센서(181)와 유체의 최대수위를 측정하는 제2 수위측정센서(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저장부(150)에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채움부(19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유체채움부(191)는 외부의 유체저장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이물질저장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체채움부(191)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체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지속시킬 수 있다.
집진 시스템(100)는 제어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2)는 수위측정센서(180)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유체공급부(19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2)는 노즐부(143)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유체공급부(141)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집진 시스템(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작업공간(S)에서 작업자가 페인트 칠, 그라인딩 작업 등과 같이 분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물질 중 미세한 입자는 작업공간(S)의 기체에 혼합되고,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집진 시스템(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를 작동시키는 경우 작업공간(S)의 기체를 흡입배관(110)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20)는 1차적으로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부(120)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필터부(120)는 시간 경과 또는 걸러진 이물질의 양 등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집진 시스템(100)은 필터부(120) 또는 흡입배관(110) 등에 설치되어 필터부(120)의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외부로 신호를 방출하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필터부(120)에 빛이나 레이저를 조사하여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거나 필터부(120)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필터부(120)의 저항을 측정하여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이 기 설정된 값에 대응되는 경우 외부로 필터부(120)의 교체를 소리 또는 이미지 등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120)에 걸러진 이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부(120)에서 걸러진 기체는 구동부(130)의 작동에 따라 흡입배관(110)을 거쳐 유출구(O)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체분사부(140)는 흡입배관(110) 내부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공급부(141)가 작동하는 경우 유체는 안내부(142)를 통하여 제1 노즐부(144)와 제2 노즐부(145)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에 저장된 유체일 수 있다. 이후 제1 노즐부(144)는 흡입배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중심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부(145)는 흡입배관(110)의 중심으로부터 흡입배관(1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체가 분사되는 동안 기체는 제2 노즐바디부(145a)의 외면을 따라 흡입배관(110)의 내주면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2 노즐바디부(145a)는 상기 기체의 이동을 통하여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2 노즐바디부(145a)와 흡입배관(110) 사이의 공간으로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체가 분사되면, 기체 중 이물질은 유체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부(144)와 제2 노즐부(145)는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작은 유체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은 작은 입자의 유체와 충돌하여 무거워짐으로써 흡입배관(110)의 유출구(O)를 통하여 이물질저장부(150)로 낙하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1 노즐부(144)와 제2 노즐부(145)가 유체를 분사하는 경우 제1 노즐부(144)가 분사하는 유체와 제2 노즐부(145)가 분사하는 유체는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제1 노즐부(144) 사이의 공간에는 제2 노즐부(145)에서 유체를 분사하고, 인접하는 제2 노즐(145b) 사이의 공간에는 제1 노즐부(144)에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부(144)와 제2 노즐부(145)는 서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이물질 중 일부는 유체와 충돌하지 않고 기체와 함께 유출구(O)를 통하여 이물질저장부(150)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유출구(O)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므로 이물질저장부(15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차폐부(160)는 상기와 같이 유출되는 이물질을 완전히 차폐함으로써 이물질을 흡착하거나 이물질을 이물질저장부(150)의 유체 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수위감지센서(180)는 이물질저장부(150)의 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가 증발함으로써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 수위는 최저수위 미만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위감지센서(181)에서 유체의 수위가 감지되면, 제어부(192)는 이물질저장부(150) 내부의 유체의 수위가 최저수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2)는 유체채움부(191)를 작동시켜 유체를 이물질저장부(15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급은 제2 수위감지센서(182)에서 유체의 수위가 감지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2)는 제2 수위감지센서(182)에서 유체의 수위가 감지되면 유체채움부(191)를 더 이상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이물질저장부(150)의 유체 수위를 최대수위인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와 같은 작업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진 시스템(100)은 작업공간(S)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진 시스템(100)은 이물질을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유해물질로 인한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집진 시스템(100)은 제1 노즐부(144)를 통하여 이물질을 간단하면서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시스템(100)은 제2 노즐부(145)를 통하여 제1 노즐부(144)를 보조하여 제1 노즐부(144)가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의 이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집진 시스템
110: 흡입배관
120: 필터부
130: 구동부
140: 유체분사부
141: 유체공급부
142: 안내부
143: 노즐부
144: 제1 노즐부
145: 제2 노즐부
150: 이물질저장부
160: 차폐부

Claims (11)

  1. 작업공간과 연결되며, 작업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흡입배관;
    상기 흡입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배관 내부의 기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흡입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 방향 및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제1 노즐부 및 상기 흡입배관의 중심으로부터 외면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제2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입배관 내부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유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된 제2 노즐바디부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입구에 설치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유체에 의해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기체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저장부에는 상기 유체가 저장되고,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이물질저장부의 유체를 순환시켜 상기 흡입배관 내부에 분사하는 집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의 유출구쪽과 상기 이물질저장부 사이에 복수개의 조각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배관의 유출구와 상기 이물질저장부의 유체 표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부는,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노즐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유체공급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노즐부로 상기 유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집진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제2 노즐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를 상기 제2 노즐바디부와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 사이로 분사하는 제2 노즐;을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부는,
    상기 제2 노즐바디부와 상기 흡입배관의 내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집진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부와 상기 제2 노즐부는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집진 시스템.
KR1020140164182A 2014-11-24 2014-11-24 집진 시스템 KR10156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82A KR101565761B1 (ko) 2014-11-24 2014-11-24 집진 시스템
PCT/KR2015/000543 WO2016085032A1 (ko) 2014-11-24 2015-01-19 집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82A KR101565761B1 (ko) 2014-11-24 2014-11-24 집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761B1 true KR101565761B1 (ko) 2015-11-04

Family

ID=5460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82A KR101565761B1 (ko) 2014-11-24 2014-11-24 집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5761B1 (ko)
WO (1) WO20160850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345B1 (ko) * 2016-09-07 2017-04-19 이범석 휴대용 집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9139A (zh) * 2020-03-23 2020-07-1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智能建筑喷淋降尘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565A (ja) * 2000-03-31 2001-10-09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産業廃棄物焼却排ガス急冷方法及び急冷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515A (ja) * 1985-09-21 1987-03-28 Masahiko Izumi 超微細水滴の製造方法
JPH06170143A (ja) * 1993-08-20 1994-06-21 Nec Home Electron Ltd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6565A (ja) * 2000-03-31 2001-10-09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産業廃棄物焼却排ガス急冷方法及び急冷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345B1 (ko) * 2016-09-07 2017-04-19 이범석 휴대용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032A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542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JP6638021B2 (ja)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KR101892806B1 (ko) 용접 분진 세척기
KR101594912B1 (ko) 금속성 분진의 집진기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KR101571090B1 (ko) 이동식 분진 집진장치
KR101565761B1 (ko) 집진 시스템
US6017377A (en) Spray paint booth filter
KR101570613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725946B1 (ko) 연마재 회수형 블라스트 제염 시스템
CN109124487B (zh) 一种扫地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1387714B1 (ko) 오일 필터링장치
KR100923280B1 (ko) 흡착성 연기 및 냄새 제거 집진기
JP2011067807A (ja) クリーンブース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JP2013244420A (ja) ダスト捕集体クリーナ
CN212494318U (zh) 除尘装置
KR101057489B1 (ko) 카트리지필터를 구비한 건식 에어샤워장치
KR101404201B1 (ko) 도료 흡착을 방지하는 도료 분진 제거 장치
KR102322198B1 (ko) 자동 필터 청소 기능이 구비된 소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IoT가 연동된 집진 시스템
KR20150039624A (ko) Cnc 플라즈마 장치의 분진 제거 장치
KR101762001B1 (ko) 순환 기체의 분사와 동시 흡입에 의한 각종 물질과 물체류의 이송운반 및 청소장치
KR200479561Y1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KR20150015194A (ko) 디퓨져가 내장된 백필터
CN208865441U (zh) 一种尾气淋洗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