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38B1 -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38B1
KR102426338B1 KR1020200147470A KR20200147470A KR102426338B1 KR 102426338 B1 KR102426338 B1 KR 102426338B1 KR 1020200147470 A KR1020200147470 A KR 1020200147470A KR 20200147470 A KR20200147470 A KR 20200147470A KR 102426338 B1 KR102426338 B1 KR 10242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verging lens
mirror
lens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158A (ko
Inventor
정용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38B1/ko
Priority to US17/136,203 priority patent/US11236880B1/en
Priority to DE102020135081.3A priority patent/DE102020135081A1/de
Publication of KR2022006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7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having a structured surface, e.g. with facets or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7Light guides with a single light source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와, 배광공간부 상에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와,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와,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THREE DIMENSIONAL IMAG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반사에 의해 깊이감을 표현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 차량 주변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해 다양한 차량용 램프가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조명장치가 있으며, 이외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 등이 해당 차량을 용이하게 인식가능하게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의 반사기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시인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량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주요한 디자인적 요소로서, 다른 차종과의 디자인 차별성, 심미성 확보를 위해 보다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8782호(2013.02.2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 시그널링 라이트를 위한 인피니티 효과를 획득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램프와의 디자인 차별화를 구현가능하면서도,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및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산렌즈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상기 배광공간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산렌즈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제1입사부;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발산렌즈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외부로 빛이 출사되는 내향출사부;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배광공간부의 외부를 향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향출사부를 향해 빛을 전반사하는 전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며, 입사광을 확산가능한 요철 형상을 가지는 광확산입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제1빛맺힘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광공간부의 중앙부에 상기 발산렌즈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배광공간부로 발산하는 광량보강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량보강렌즈는, 광량보강렌즈본체부;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제2입사부; 및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제2빛맺힘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프미러는,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광공간부의 일단부를 커버하게 배치되는 하프미러본체부;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일면부에 형성되고, 빛의 일부는 투광되고, 빛의 다른 일부는 상기 미러로 반사하는 하프반사면을 형성하는 반투광반사부; 및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광공간부를 향하는 상기 발산렌즈의 내측단부가 끼워져 커버되는 스팟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프반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스팟방지홈부에 끼워지는 하프미러조립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러와 조립되는 미러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팟방지홈부는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단부가 상기 하프반사면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스팟방지홈부의 사이에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 명암이 구분되는 불투광 소재가 끼워지는 명암대비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상기 발산렌즈, 상기 하프미러, 상기 미러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광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젤은,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 상기 광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내면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가 배치되는 렌즈설치부; 및 상기 렌즈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프미러와 접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의 단부를 커버하는 디자인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설치부는, 제1베젤본체부; 및 상기 제1베젤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원을 수용가능한 공간부나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단부가 배치되는 투광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설치부는, 제2베젤본체부; 및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제2베젤본체부의 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수용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설치부는, 상기 커버홈부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의 밝기차에 의해 명암대비효과를 구현하는 명암대비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자인커버부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링 형상의 제3베젤본체부; 및 상기 제3베젤본체부의 내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발산렌즈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설치부는, 제2베젤본체부;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제2베젤본체부의 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수용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홈부; 및 상기 커버홈부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의 밝기차에 의해 명암대비효과를 구현하는 명암대비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커버부는, 상기 제3베젤본체부의 내면부를 따라 상기 발산렌즈커버부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명암대비돌출부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돌출베젤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는, 라이트가이드와 발산렌즈를 이용해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하프미러와 미러간의 무한반사에 의해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와 광도가 단계적,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끊김없는 선형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광학적 작용에 의해 전후방으로 무한의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산렌즈를 배광공간부(S)의 둘레를 따라 배치 시, 복수개의 발광선에 의해 둘러싸인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의 깊이감을 보다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선형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함에 따라, 점 또는 링 형상의 빛이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무한 적층된 형태로 표현되는 기존의 무한 반사 점등이미지와 명확하게 차별되는 새로운 램프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사이즈보다 긴 무한의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차량용 램프 디자인으로써 구현할 수 있어, 차량의 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의 구성품으로써 적용 시,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트가이드, 발산렌즈, 하프미러, 미러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차량의 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의 구성품으로써 적용 시,기존의 무한 반사 타입의 차량용 램프와 비교해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램프 구성품의 제작, 관리, 조립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베젤 일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상에서 하프미러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라이트가이드와 발산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에 의한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점등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는 하프미러(50)를 이용해 빛의 일부는 x방향(후미등의 경우, 후방)으로 배광하고, 다른 일부는 -x방향으로 무한 반사시키며, x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선이 설정 방향(도 1 상에서는 x축의 원주방향)으로 정렬된 형태의 입체 점등이미지를 구현한다(도 8 참조).
각각의 발광선은, 무한 반사로 구현되는 점등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육안으로 보기에 -x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너비가 좁아짐과 동시에 광도가 점차 약해지는 연속된 선형의 형태로 표현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는 이러한 작용에 의해 x방향으로 무한의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를 차량(미도시)의 헤드램프(미도시), 리어램프(미도시) 등의 구성품으로써 적용 시, 실제 사이즈보다 긴 무한의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차량용 램프 디자인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x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선형의 발광선이 x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루는 입체 점등이미지는, 점 또는 링 형상의 빛이 x방향으로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무한 적층된 형태로 표현되는 기존의 무한 반사 점등이미지와 명확하게 차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베젤 일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상에서 하프미러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편의 상 x방향을 전방, -x방향을 후방, z방향을 상방, y방향을 측방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는 라이트가이드(20), 발산렌즈(30), 광량보강렌즈(40), 하프미러(50), 미러(60), 베젤(70)을 포함한다.
라이트가이드(20)는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전반사에 의해 배광공간부(S)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한다. 광원(11)에서 발광된 빛은 라이트가이드(20)의 후단부(-x방향 단부)를 통해 라이트가이드(20)의 내부로 입사되고, 전반사 등의 광학적 작용에 의해 라이트가이드(20)의 연장방향을 따라 라이트가이드(20)의 전단부(x방향 단부)를 향해 진행되는 주요 광경로를 가진다.
여기서, 배광공간부(S)는 발산렌즈(30)와 광량보강렌즈(40)에 의한 최종적인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는 비어있는 공간부로, 베젤(70)의 내부에 형성된다. 배광공간부(S) 상에서 발산된 빛은 하프미러(50)를 통해 베젤(70)의 전방으로 배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에 의하면, 배광공간부(S)의 형상,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의 형상과 배열 형태, 광량보강렌즈(40)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다른 다양한 입체 점등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배광공간부(S)는 x방향을 축으로 하는 원주(cylinder) 형상을 가지고,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는 배광공간부(S)의 둘레부를 따라 원주(circumference)방향으로 배열되며, 광량보강렌즈(40)는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에 x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발산렌즈(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라이트가이드(20)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발산렌즈(30)는 라이트가이드(20)와 마찬가지로 배광공간부(S)의 둘레를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발산렌즈(30)는 배광공간부(S) 상에 배치되되, 라이트가이드(20)보다 내측(x축 중심방향, x축 반경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라이트가이드(20)에서 출사된 빛은 발산렌즈(30)로 입사되고, 발산렌즈(3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광공간부(S)를 향해 발산된다. 발산렌즈(30)의 외부로 발산되는 빛은, 발산렌즈(30) 중 배광공간부(S)에 노출되는 내측단부가 이루는 선형의 이미지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트가이드(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배광공간부(S)의 둘레를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발산렌즈(30)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가이트가이드(20)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배광공간부(S)는 복수개의 발산렌즈(30)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게 되고, 점등 시 배광공간부(S) 상에는 복수개의 발광선에 의해 둘러싸인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가 표현된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에 의해 전후방향으로의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에 하프미러(50)와 미러(60)에 의한 무한 반사를 추가 적용 시 전후방향으로의 깊이감을 보다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례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를 차량의 헤드램프와 리어램프에 적용 시, 헤드램프에서 리어램프에 이르기까지 차체를 관통하여 연속하여 연장된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광량보강렌즈(40)는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에 발산렌즈(3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배광공간부(S)로 발산한다. 발산렌즈(30)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구현하는 주요 기능을 하며, 광량보강렌즈(40)는 본 발명을 차량의 헤드램프, 리어램프로서 적용 시, 빛의 밝기에 관한 법규 조건에 부합될 수 있게 발산렌즈(30)에 의해 배광되는 광량을 보강하는 주요 기능을 한다.
광량보강렌즈(40)는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그 둘레 전체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효율적으로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광량보강렌즈(40)는 발산렌즈(3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발산렌즈(30)가 구현하고자하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발산렌즈(30)와 조화되는 디자인적 심미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하프미러(50)는 배광공간부(S)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발산렌즈(30)에서 발산된 빛의 일부는 후방으로 반사하면서, 빛의 다른 일부는 전방으로 투광시킨다. 미러(60)는 배광공간부(S)의 후방부에 하프미러(50)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발산렌즈(30)에서 발산된 빛을 하프미러(50)와의 사이에 무한 반사시킨다.
하프미러(50)의 후면부에는 빛의 일부는 후방으로 반사하면서, 빛의 다른 일부는 전방으로 투광시키는 하프반사면(F1)이 형성되고, 미러(60)의 전면부에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미러반사면(F2)이 형성된다. 미러(60)는 미러반사면(F2)이 형성되는 외에는 하프미러(50)에 대응되거나 하프미러(50)와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하프미러(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대표하여 설명한다.
베젤(70)은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라이트가이드(20), 발산렌즈(30), 하프미러(50), 미러(60)를 수용하면서 배광공간부(S)를 형성한다. 라이트가이드(20), 발산렌즈(30), 하프미러(50), 미러(60)는, 베젤(70)에 의해 지지되어 배광공간부(S)의 둘레부, 전방부, 후방부에 해당되는 설정 위치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라이트가이드와 발산렌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요부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에 의한 광경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이트가이드(20)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 제1입사부(22), 내향출사부(23), 전반사부(24)를 포함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는 라이트가이드(2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직선형 막대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는 둘레가 베젤(70)의 발산렌즈커버부(732)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 빛을 발산렌즈(30)측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거나, 원호 부분이 발산렌즈(30)를 향하는 부채꼴 단면 형상을 가진다.
제1입사부(22)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후방에 배치된 광원(11)에서 발광된 빛은 제1입사부(22)를 통해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내부로 입사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전방으로 진행되면서, 둘레방향으로 빛을 발산한다.
내향출사부(23)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둘레부 중 발산렌즈(30)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된다. 전반사부(24)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둘레부 중 배광공간부(S)의 외부를 향하는 타측부에 형성된다. 전반사부(24)는 내향출사부(23)를 향해 빛을 전반사시킬 수 있는 요철된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반사부(24)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둘레부 중 내향출사부(23)와 대향되는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x축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x축 중심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전후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는 요철 형상을 가진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둘레방향으로 진행되는 빛 중 내향출사부(23)를 향하는 빛은 내향출사부(23)를 투과하여 발산렌즈(30)로 연속하여 입사된다. 라이트가이드본체부(21)의 둘레방향으로 진행되는 빛 중 전반사부(24)를 향하는 빛은 전반사부(24)에서 내향출사부(23)를 향해 전반사된 후 내향출사부(23)를 투과하여 발산렌즈(30)로 연속하여 입사된다.
도 3,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산렌즈(30)는 발산렌즈본체부(31), 광확산입사부(32), 제1빛맺힘발산부(33), 하프미러조립부(34), 미러조립부(35)를 포함한다.
발산렌즈본체부(31)는 발산렌즈(3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직선형 막대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발산렌즈본체부(31)는 라이트가이드(20)에서 입사된 빛이 x축 중심방향을 향하는 주요 방향성을 가지게, 전체적으로 x축 접선방향보다 x축 반경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다.
광확산입사부(32)는 발산렌즈본체부(31)의 둘레부 중 라이트가이드(20)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1빛맺힘발산부(33)는 발산렌즈본체부(31)의 둘레부 중 배광공간부(S)와 접하는 타측부에 형성된다. 광확산입사부(32)는 전방에서 볼 때 '-'자 단면 형태를 가지고, 제1빛맺힘발산부(33)는 광확산입사부(32)와 대향되는 'ㄷ'자 형태를 가진다. 라이트가이드(20)에서 출사된 빛은 광학산입사부(32)를 통해 발산렌즈본체부(31)로 입사되고, 제1빛맺힘발산부(33)를 통해 발산렌즈본체부(31)의 외부로 출사된다.
광확산입사부(32)는 라이트가이드(20)로부터 발산렌즈본체부(31)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확산, 분산가능한 요철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확산입사부(32)는, 발산렌즈본체부(31)의 둘레부 중 라이트가이드(20)와 마주하는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x축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x축 중심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전후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이루는 요철 형상을 가진다.
라이트가이드(20)의 전반사부(24)가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요철 형상을 가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광확산입사부(32)로 입사되는 빛은 상대적으로 입사량이 많은 부분과 입사량이 적은 부분이 교대로 배치된 형태를, 즉 발산렌즈(30)를 향하는 출사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형태를 가진다.
광확산입사부(32)를 형성함으로써, 발산렌즈본체부(31)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발산렌즈본체부(31)의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빛맺힘발산부(33)를 통해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한 광도로 연속된 선형의 이미지를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빛맺힘발산부(33)는 발산렌즈본체부(31)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즉 표면거칠기를 가진다. 이는 발산렌즈(30)의 다른 부분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것과 구분된다. 여기서, 제1빛맺힘발산부(33)의 표면거칠기는, 일반적으로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표면거칠기의 개념에 대응된다. 제1빛맺힘발산부(33)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식각(etching) 등의 화학 공정, 사포(sandpaper) 처리, 레이저 에칭 등의 기계 가공이나, 사출 금형의 형상 적용 등에 의해 목적한 형태의 표면거칠기를 부여할 수 있다.
발산렌즈본체부(31)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은, 단순히 배광공간부(S)로 확산, 직진되는 것이 아니라, 제1빛맺힘발산부(33)에 의해 발산렌즈본체부(31)의 둘레에 맺히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빛맺힘발산부(33)에 대응되는 선형의 점등이미지를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하프미러조립부(34)는 발산렌즈본체부(31) 중 하프미러(50)와 끼워맞춤(fitting) 조립되는 장치부로, 발산렌즈본체부(31)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하프반사면(F1)을 전방으로 통과하여 스팟방지홈부(53)에 끼워진다. 미러조립부(35)는 발산렌즈본체부(31) 중 미러(60)와 끼워맞춤 조립되는 장치부로, 발산렌즈본체부(31)의 연장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미러반사면(F2)을 후방으로 통과하여 스팟방지홈부(53)에 끼워져 조립된다.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량보강렌즈(40)는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 제2입사부(42), 제2빛맺힘발산부(43)를 포함한다.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는 광량보강렌즈(4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직선형 막대 형상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는 후방의 광원(11)에서 입사된 빛이 전방으로 진행되면서 x축 반경방향으로, 즉 방사형으로 출사되는 방향성을 가지게,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전단부는 하프미러(50)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후단부는 미러(6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조립 구조에 의해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는 하프미러(50)와 미러(60)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즉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입사부(42)는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후방에 배치된 광원(11)에서 발광된 빛은 제2입사부(42)를 통해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내부로 입사된다.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전방으로 진행되면서, 둘레방향으로 빛을 발산한다.
제2빛맺힘발산부(43)는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고,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즉 표면거칠기를 가진다. 이는 광량보강렌즈(40)의 다른 부분이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것과 구분된다.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은, 단순히 배광공간부(S)로 확산, 직진되는 것이 아니라, 제2빛맺힘발산부(43)에 의해 광량보강렌즈본체부(41)의 둘레에 맺히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2빛맺힘발산부(43)에 대응되는 형태의 점등이미지를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50)는 하프미러본체부(51), 반투광반사부(52), 스팟방지홈부(53), 명암대비홈부(54)를 포함한다.
하프미러본체부(51)는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배광공간부(S)의 일단부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하프미러본체부(51)는 배광공간부(S)의 전방부를 커버가능한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반투광반사부(52)는 하프반사면(F1)을 형성하는 장치부로,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하프미러본체부(51)의 후면부에 형성된다.
하프반사면(F1)은 빛의 일부는 투광시키고, 빛의 다른 일부는 미러(60)로 반사시키는 광학적 작용을 구현한다. 하프반사면(F1)은 미러부(60)의 미러반사면(F2)과 전후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빛맺힘발산부(33)를 통해 발산된 빛은 하프반사면(F1)과 미러반사면(F2)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무한반사됨과 동시에 일부가 전방으로 투광되면서, 육안으로 보기에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와 광도가 점차 감소하는 연속된 선형의 형태로 표현된다.
여기서, '육안으로 보기에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와 광도가 점차 감소하는 연속된 선형의 형태로 표현된다'는 것은, 라이트가이드(20) 및 발산렌즈(30)의 x방향 길이와, 광원(11)(예를 들어, LED)의 광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설정차이를 두고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이미지와, 실재 시각적으로 보았을 때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감소하는 이미지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포괄한다.
스팟방지홈부(53)는 발산렌즈(30)의 하프미러조립부(34)와 조립되는 장치부로, 하프미러본체부(51)의 가장자리부에 홈 또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프미러본체부(51)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스팟방지홈부(53)는 전체적으로 톱니 형상을 이루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팟방지홈부(53)는 하프미러본체부(51)의 가장자리부에 하프미러본체부(51)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스팟방지홈부(53)는 함몰 깊이는 발산렌즈(30)의 x축 반경방향 길이보다 짧다. 이에 따라 발산렌즈(30)의 일부는 베젤(70)의 발산렌즈커버부(732)에 의해 커버, 지지되고, 발산렌즈(30)의 다른 일부는 하프미러(50)의 스팟방지홈부(53)에 의해 커버, 지지된다.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는 베젤(70)의 발산렌즈커버부(732), 스팟방지홈부(53)와 접하여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구속되고, 전방에 배치되는 베젤(70)의 디자인커버부(73) 및 하프미러(50)와 접하여 전방으로의 유동이 구속되며, 후방에 배치되는 베젤(70)의 광원설치부(71) 및 기판(12)과 접하여 후방으로의 유동이 구속된다. 이러한 조립 구조에 의해
발산렌즈(30)의 하프미러조립부(34)는, 특히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를 향하는 제1빛맺힘발산부(33)의 내측단부는, 하프반사면(F1)을 전방으로 통과하여 스팟방지홈부(53)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때, 발산렌즈(30)의 전단부는 하프미러본체부(51)의 전단부와 동일한 yz평면 상에 배치되고, 하프미러조립부(34) 중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는 내측단부는 스팟방지홈부(53)에 의해 커버, 지지된다.
발산렌즈(30)의 전단부와 하프미러(50)의 하프반사면(F1)을 상호 접하거나 마주하게 배치 시, 발산렌즈(30)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특히 빛 맺힘이 뚜렷한 발산렌즈(30)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빛 얼룩이 하프미러(50)의 전반에 걸쳐 다수개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스팟방지홈부(53)를 형성하고, 발산렌즈(30)를 스팟방지홈부(53)에 끼워맞춤 조립함으로써, 이와 같이 하프미러(50) 상에 의도치 않게 빛 얼룩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목적하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고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
명암대비홈부(54)는 발산렌즈(30)에서 발산되는 빛과 명암대비효과(明暗對比效果, contrast effect)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부로, 스팟방지홈부(53)의 사이에 하프미러본체부(51)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명암대비홈부(54)에는 불투광 소재로 이루어진 베젤(70)의 명암대비돌출부(723)가 끼워맞춤 조립된다.
도 1,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젤(70)은 광원설치부(71), 렌즈설치부(72), 디자인커버부(73)를 포함한다. 광원설치부(71), 렌즈설치부(72), 디자인커버부(73)는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전방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배광공간부(S)가 형성된 케이스 형상을 가진다. 베젤(70)의 크기와 형상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의 실질적인 크기와 형상이 된다.
광원설치부(71)는 베젤(70) 중 광원(11)이 설치되는 장치부로,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베젤(70)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설치부(71)는 제1베젤본체부(711)와 투광홀부(712)를 포함한다.
제1베젤본체부(711)는 광원설치부(71)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배광공간부(S)의 후방부에 대응되는 판 형상 또는 링 형상을 가지고, 광원(11)이 배치되는 기판(12)의 전방에 배치된다. 투광홀부(712)는 제1베젤본체부(71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광원(11)을 수용가능한 공간부나, 광원(11)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가능한 통로를 형성한다.
투광홀부(712)는 복수개의 광원(11)과 라이트가이드(2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투광홀부(712)의 내부에는 라이트가이드(20)의 후단부가, 즉 제1입사부(22)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원(11)에서 발산된 빛이 투광홀부(712) 상에서 손실 없이 라이트가이드(20)로 안정되게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11)은 원형 기판(12)의 전방부에 복수개가 탑재된 구조를 가진다. 기판(12)과 제1베젤본체부(711)를 체결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상호 결합함으로써, 광원(11)을 투광홀부(712) 상의 설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렌즈설치부(72)는 베젤(70) 중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가 설치되는 장치부로,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배광공간부(S)의 둘레부를 구성한다. 렌즈설치부(72)는 내부가 중공된 통 내지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광원설치부(71)의 전방에 배치된다.
렌즈설치부(72)의 후단부는 광원설치부(71)와 연결되고, 전단부는 디자인커버부(73)와 연결된다.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는, 렌즈설치부(72) 중 배광공간부(S)와 접하는 내면부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설치부(72)는 제2베젤본체부(721), 커버홈부(722), 명암대비돌출부(723)를 포함한다.
제2베젤본체부(721)는 렌즈설치부(72)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배광공간부(S)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통 내지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광원설치부(71)의 전방에 배치된다. 커버홈부(722)는 라이트가이드(20), 발산렌즈(30)와 조립되는 장치부로, 배광공간부(S)와 접하는 제2베젤본체부(721)의 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커버홈부(722)는 제2베벨본체부(72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베젤본체부(72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커버홈부(722)의 내부에는 라이트가이드(20)가 수용되고, 발산렌즈(30)의 광확산입사부(32)가 배치된다.
명암대비돌출부(723)는 커버홈부(722)의 사이에 배광공간부(S)의 중앙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명암대비돌출부(723)는 제2베벨본체부(721)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커버홈부(722)에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를 조립한 상태에서, 발산렌즈(30)와 명암대비돌출부(723)는 배광공단부(S)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발산렌즈(30)의 제1빛맺힘발산부(33)에서 발산된 빛은 명암대비돌출부(72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의 진행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발산렌즈(30)의 제1빛맺힘발산부(33)에 의해 전후방으로 연장된 선형의 점등이미지 각각을 보다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의 점등 상태를 촬상한 사진이다.
상기와 같이 발산렌즈(30)에서 발산되는 빛과 명암대비돌출부(723) 간의 밝기차에 의해 명암대비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산렌즈(30) 각각이 형성하는 발광선이 이웃한 다른 발광선과 뚜렷하게 구분된 상태로 배광공간부(S)의 둘레를 따라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베젤(70)을 검은색의 불투광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 이러한 명암대비효과를 보다 부각시킬 수 있다.
디자인커버부(73)는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의 전단부, 하프미러(50)의 가장자리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베젤(70)의 전방부를 구성한다. 디자인커버부(73)는 렌즈설치부(72)와 하프미러(50)의 전방에서 렌즈설치부(7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커버부(73)는 제3베젤본체부(731), 발산렌즈커버부(732), 돌출베젤커버부(733)를 포함한다.
제3베젤본체부(731)는 배광공간부(S)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라이트가이드(20)의 전단부를 커버가능한 링 형상을 가진다. 제1베젤본체부(711), 제2베젤본체부(721), 제3베젤본체부(731)는 체결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발산렌즈커버부(732)는 발산렌즈(30)의 전단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제3베젤본체부(731)의 내면부에 x축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산렌즈커버부(732)는 발산렌즈(30)의 전단부를 커버하는 스팟방지홈부(53)를 함께 커버하면서, 하프미러(5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기능을 할 수 있게, 발산렌즈(30)의 전단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돌출베젤커버부(733)는 명암대비돌출부(723)의 전단부를 커버하는 장치부로, 제3베젤본체부(731)의 내면부를 따라 발산렌즈커버부(732)와 교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돌출베젤커버부(733)는 명암대비돌출부(723)의 전단부를 커버하는 명암대비홈부(54)를 함께 커버하면서, 하프미러(5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기능을 할 수 있게, 명암대비돌출부(723)의 전단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설치부(71), 렌즈설치부(72), 디자인커버부(73)는 상호 분리 제작된 후 조립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나, 이는 바람직한 일례를 개시하고자 한 것이지 이로써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광원설치부(71), 렌즈설치부(72), 디자인커버부(73)는 기능에 따라 구분하여 명칭한 것으로, 광원설치부(71)와 렌즈설치부(7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렌즈설치부(72)와 디자인커버부(73)가 일체로 형성되는 등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1)에 의하면, 라이트가이드(20)와 발산렌즈(30)를 이용해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하프미러(50)와 미러(60)간의 무한반사에 의해 후방으로 갈수록 너비와 광도가 단계적,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끊김없는 선형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광학적 작용에 의해 전후방으로 무한의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산렌즈(30)를 배광공간부(S)의 둘레를 따라 배치 시, 복수개의 발광선에 의해 둘러싸인 터널 형태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의 깊이감을 보다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방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선형의 점등이미지를 구현함에 따라, 점 또는 링 형상의 빛이 전후방으로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무한 적층된 형태로 표현되는 기존의 무한 반사 점등이미지와 명확하게 차별되는 새로운 램프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사이즈보다 긴 무한의 깊이감을 가지는 입체 점등이미지를 차량용 램프 디자인으로써 구현할 수 있어, 차량의 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의 구성품으로써 적용 시,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트가이드(20), 발산렌즈(30), 하프미러(50), 미러(60)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차량의 헤드램프, 리어램프 등의 구성품으로써 적용 시,기존의 무한 반사 타입의 차량용 램프와 비교해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어, 차량용 램프 구성품의 제작, 관리, 조립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1 : 광원
12 : 기판 20 : 라이트가이드
21 : 라이트가이드본체부 22 : 제1입사부
23 : 내향출사부 24 : 전반사부
30 : 발산렌즈 31 : 발산렌즈본체부
32 : 광확산입사부 33 : 제1빛맺힘발산부
34 : 하프미러조립부 35 : 미러조립부
40 : 광량보강렌즈 41 : 광량보강렌즈본체부
42 : 제2입사부 43 : 제2빛맺힘발산부
50 : 하프미러 51 : 하프미러본체부
52 : 반투광반사부 53 : 스팟방지홈부
54 : 명암대비홈부 60 : 미러
70 : 베젤 71 : 광원설치부
72 : 렌즈설치부 73 : 디자인커버부
711 : 제1베젤본체부 712 : 투광홀부
721 : 제2베젤본체부 722 : 커버홈부
723 : 명암대비돌출부 731 : 제3베젤본체부
732 : 발산렌즈커버부 733 : 돌출베젤커버부
F1 : 하프반사면 F2 : 미러반사면
S : 배광공간부

Claims (18)

  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및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라이트가이드본체부;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제1입사부;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발산렌즈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외부로 빛이 출사되는 내향출사부;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배광공간부의 외부를 향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향출사부를 향해 빛을 전반사하는 전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렌즈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복수개가 상기 배광공간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선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산렌즈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마주하는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되며, 입사광을 확산가능한 요철 형상을 가지는 광확산입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둘레부 중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제1빛맺힘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6.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 및
    상기 배광공간부의 중앙부에 상기 발산렌즈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기 배광공간부로 발산하는 광량보강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보강렌즈는,
    광량보강렌즈본체부;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제2입사부; 및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광량보강렌즈본체부의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맺힘을 유도가능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제2빛맺힘발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8.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및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프미러는,
    투광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광공간부의 일단부를 커버하게 배치되는 하프미러본체부;
    빛을 반사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일면부에 형성되고, 빛의 일부는 투광되고, 빛의 다른 일부는 상기 미러로 반사하는 하프반사면을 형성하는 반투광반사부; 및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광공간부를 향하는 상기 발산렌즈의 내측단부가 끼워져 커버되는 스팟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렌즈는,
    발산렌즈본체부;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프반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스팟방지홈부에 끼워지는 하프미러조립부; 및
    상기 발산렌즈본체부의 연장방향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러와 조립되는 미러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방지홈부는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단부가 상기 하프반사면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는,
    상기 스팟방지홈부의 사이에 상기 하프미러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 명암이 구분되는 불투광 소재가 끼워지는 명암대비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상기 발산렌즈, 상기 하프미러, 상기 미러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광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
    상기 광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내면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가 배치되는 렌즈설치부; 및
    상기 렌즈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프미러와 접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의 단부를 커버하는 디자인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4.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 및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상기 발산렌즈, 상기 하프미러, 상기 미러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광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설치부는,
    제1베젤본체부; 및
    상기 제1베젤본체부 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광원을 수용가능한 공간부나 상기 광원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단부가 배치되는 투광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5.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 및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상기 발산렌즈, 상기 하프미러, 상기 미러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광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 및
    상기 광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내면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가 배치되는 렌즈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설치부는,
    제2베젤본체부; 및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제2베젤본체부의 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수용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설치부는,
    상기 커버홈부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의 밝기차에 의해 명암대비효과를 구현하는 명암대비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7.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의 진행경로를 배광공간부를 향해 전향하여 출사하는 라이트가이드;
    상기 배광공간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가이드로부터 입사된 빛을 선형의 형태로 발산하는 발산렌즈;
    상기 발산렌즈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하프미러;
    상기 발산렌즈의 타측부에 상기 하프미러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하프미러와의 사이에 반사시키는 미러; 및
    불투광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 상기 발산렌즈, 상기 하프미러, 상기 미러를 수용하면서 상기 배광공간부를 형성하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설치부;
    상기 광원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내면부 상에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가 배치되는 렌즈설치부; 및
    상기 렌즈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프미러와 접하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기 발산렌즈의 단부를 커버하는 디자인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자인커버부는,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링 형상의 제3베젤본체부; 및
    상기 제3베젤본체부의 내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발산렌즈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설치부는,
    제2베젤본체부;
    상기 배광공간부와 접하는 상기 제2베젤본체부의 내면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라이트가이드가 수용되며, 상기 발산렌즈의 일부가 배치되는 커버홈부; 및
    상기 커버홈부의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산렌즈와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발산렌즈에서 발산되는 빛과의 밝기차에 의해 명암대비효과를 구현하는 명암대비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커버부는,
    상기 제3베젤본체부의 내면부를 따라 상기 발산렌즈커버부와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명암대비돌출부의 연장방향 일단부를 커버하는 돌출베젤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KR1020200147470A 2020-11-06 2020-11-06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KR10242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70A KR102426338B1 (ko) 2020-11-06 2020-11-06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US17/136,203 US11236880B1 (en) 2020-11-06 2020-12-29 Three-dimensional image lighting apparatus
DE102020135081.3A DE102020135081A1 (de) 2020-11-06 2020-12-30 Dreidimensionalbild-beleuchtungs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70A KR102426338B1 (ko) 2020-11-06 2020-11-06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158A KR20220062158A (ko) 2022-05-16
KR102426338B1 true KR102426338B1 (ko) 2022-07-29

Family

ID=8003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70A KR102426338B1 (ko) 2020-11-06 2020-11-06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6880B1 (ko)
KR (1) KR102426338B1 (ko)
DE (1) DE10202013508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68B1 (ko) 2014-03-14 2014-07-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20160109084A1 (en) 2014-10-16 2016-04-21 Valeo Lighting Systems North America, Llc Multi-function optical system with shared exit optic
JP2018181788A (ja) 2017-04-21 2018-11-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814B2 (en) * 2007-12-13 2015-03-24 Valeo North America, Inc. Dynamic three dimensional effect lamp assembly
FR2954457B1 (fr) * 2009-12-21 2014-08-22 Valeo Vision Dispositif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vec effet optique 3d
FR2957652B1 (fr) 2010-03-19 2013-05-31 Automotive Lighting Rear Lamps France Dispositif pour procurer un effet d'infini a un feu de signal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0021939A1 (de) 2010-05-28 2011-12-01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KR20130011779A (ko) * 2011-07-22 201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램프 조립체
TWI455838B (zh) * 2012-07-27 2014-10-11 Tyc Brother Ind Co Ltd 車用複合反射及折射多重成像裝置
JP6430719B2 (ja) 2013-09-02 2018-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20170064016A (ko) * 2015-11-30 2017-06-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580682B1 (ko) * 2015-12-02 2023-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80072417A (ko) * 2016-12-21 2018-06-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11336463A (zh) * 2020-03-04 2020-06-26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三维发光效果的光学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68B1 (ko) 2014-03-14 2014-07-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20160109084A1 (en) 2014-10-16 2016-04-21 Valeo Lighting Systems North America, Llc Multi-function optical system with shared exit optic
JP2018181788A (ja) 2017-04-21 2018-11-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158A (ko) 2022-05-16
DE102020135081A1 (de) 2022-05-12
US11236880B1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990B2 (en) Vehicle light
CN109506205B (zh) 光束调整装置、车灯与机动车辆
JP6560514B2 (ja) 車両用灯具
EP3315854B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2012169231A (ja) 車両用灯具
JP7011443B2 (ja) 車両用灯具
JP2012064535A (ja) 車両用灯具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KR102426338B1 (ko) 입체 점등이미지 라이팅장치
JP6737644B2 (ja) 車両用灯具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JP2015153577A (ja) 車両用灯具
KR20180078729A (ko) 차량용 램프
US11732855B2 (en) Lamp module and vehicle lamp including the same
JPH08268154A (ja) 車両用灯具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JP6518459B2 (ja) 車両用灯具
CN110500556B (zh) 用于车灯的导光部件、用于机动车辆的车灯和机动车辆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CN110023674B (zh) 车辆用照明装置
CN108916805B (zh) 车灯透镜
US5746496A (en) Blink lamp
JP7390249B2 (ja) 車両用灯具
WO2024053323A1 (ja) 車輌用灯具
JP7324090B2 (ja) 車両用標識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