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229B1 -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 Google Patents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229B1
KR102426229B1 KR1020210163267A KR20210163267A KR102426229B1 KR 102426229 B1 KR102426229 B1 KR 102426229B1 KR 1020210163267 A KR1020210163267 A KR 1020210163267A KR 20210163267 A KR20210163267 A KR 20210163267A KR 102426229 B1 KR102426229 B1 KR 10242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support
foot plate
scaffold
foot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6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 점검 시설의 발판을 내측 발판과 외측 발판으로 분할 구분한 후 서로 끼움 조립하여 시설 시공의 편의성과 함께 신속성을 도모하며 점검 시설의 견고함과 함께 발판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함을 제공하도록, 교량 측벽에서 메인브라켓을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베이스브라켓의 상부에 배열 배치하여 점검 시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점검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내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단에 결속지지홈을 형성하는 내측발판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외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발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하되 상기 내측발판에 대응된 일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돌기를 형성하는 외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발판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반대편에 상향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발판의 측부를 마감 가능하게 구성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는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Assembly Type Foothold for Inspection Facility}
본 발명은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등 점검 시설의 발판을 내측 발판과 외측 발판으로 분할 구분한 후 서로 끼움 조립하여 시설 시공의 편의성과 함께 신속성을 도모하며 점검 시설의 견고함과 함께 발판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를 비롯하여 강이나 바다를 가로지르는 도로를 구축함에는 각종 형태의 교량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에 대해서는 가설 위치 및 구조 형식, 교차 조건, 하부 지지 조건 등의 제반 조건을 감안하여 주요 구조를 교통 흐름의 제한 없이 항상 점검할 수 있는 점검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점검 시설은 교량구조물 각 부위의 기능상태 및 노후도, 결함 등의 확인점검과 유지보수 등의 교량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교통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교량의 하부 즉, 교량을 지지하는 교각의 상부 측에 주로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교량 점검 시설과 이 교량 점검로에 접근하기 위한 사다리 등을 포함하는 출입 계단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점검 시설의 구조를 살펴보면, 교각의 벽면에 고정되는 교각브라켓과, 교각브라켓의 하측부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발판브라켓과, 발판브라켓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포스트 및 난간과, 발판브라켓의 상면에 연속 설치하여 작업자가 보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점검 시설의 발판은 발판브라켓에 대응하여 볼트에 의해 고정되나 인접한 발판과의 연결수단이 없어 발판이 흔들리며 작업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2147호(2006.03.16.)에는 일정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수평부의 양측이 수직 하부로 일정길이 절곡되어 수직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의 끝단이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곡되는 조립식 발판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일측은 상기 수직부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돌출부가 형성된 타측은 상기 돌출부의 동일한 높이와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 함몰된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게 구성됨에 따라 발판의 흔들림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조립식 발판 플레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180279호(2012.08.31.)에는 교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다수의 바닥판이 안착 결합되어지는 교량 점검시설용 바닥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 상면에는 지지클립 체결을 위한 클립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체결공에는 지지클립이 고정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클립은 바닥판의 플렌지부를 일정 탄성 가압력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와 클립체결공에 일정 탄성 가압력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2탄성부가 양단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 일측에는 발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발빠짐 방지턱이 일정 높이로 돌출 구비되었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플렌지부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서, 상기 지지클립에 의한 가압 지지가 이루어지게 구성됨에 따라 바닥판의 설치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교량 점검시설용 바닥판 설치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2147호의 경우에는, 발판의 양측단이 각각 돌출부와 삽입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발판의 조립시공에 따른 양쪽 끝단에서 돌출부를 지지하거나 삽입부에 결합 가능한 별도의 마감부재가 요구되고, 이는 별도의 마감부재를 제조 생산해야만 하여 시공비용이 증가하며 마감작업에 의한 번거로움과 함께 시공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180279호의 경우에도 바닥판 즉 발판 간에 이음 연결하여 마감하는 연결패드를 적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결패드를 생산함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어 시공비용이 증가하며, 발판 간에 연결패드로 마감하는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공기가 늦춰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147호 (2006.03.16.) KR 등록특허공보 제10-1180279호 (2012.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발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된 외측 발판을 상호 끼움 조립하면서 외측 발판의 일측에 자체적인 마감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므로 시공이 간편하면서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발판의 유지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은 교량 측벽에서 메인브라켓을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베이스브라켓의 상부에 배열 배치하여 점검 시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점검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내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단에 결속지지홈을 형성하는 내측발판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외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발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하되 상기 내측발판에 대응된 일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돌기를 형성하는 외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발판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반대편에 상향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발판의 측부를 마감 가능하게 구성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는, 외측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측발판의 결속돌기에 대한 결속상태를 받침 지지하는 결속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지지단의 상단은 상기 내측발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발판 및 상기 외측발판의 상판 두께와 동일한 단차를 형성하게 구성한다.
상기 내측발판에는, 상기 결속지지홈에서 상기 결속지지단의 반대편 벽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측발판의 결속돌기를 상기 결속지지홈의 결속지지단에 밀착시키는 결착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결속지지단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 형성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에 의하면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외측발판의 결속돌기를 끼움 조립하여 발판을 조성하면서 외측발판 자체적으로 측부를 마감하는 마감단부를 구성하므로, 조립에 의한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에 의한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자체적 마감 구조로부터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며, 발판의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적용한 점검 시설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내측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내측발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내측발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내측발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외측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외측발판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본 발명은 교량 측벽에서 메인브라켓을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베이스브라켓의 상부에 배열 배치하여 점검 시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점검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내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단에 결속지지홈을 형성하는 내측발판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외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발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하되 상기 내측발판에 대응된 일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돌기를 형성하는 외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발판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반대편에 상향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발판의 측부를 마감 가능하게 구성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는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 측벽에서 메인브라켓(10)을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베이스브라켓(20)의 상부에 배열 배치하여 점검 시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점검 시설용 발판(100)에 있어서, 내측발판(110)과, 외측발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처럼 상기 메인브라켓(10)은 교량의 교각 측벽에 대응하여 고정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0)을 지지 고정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20)은 상기 메인브라켓(10) 상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0)의 반대쪽 타단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난간지지대(25) 즉 상기 베이스브라켓(20)으로부터 수직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난간포스트(26)와 함께 상기 난간포스트(26) 상에 상하 간격을 두고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난간봉(27)이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내측발판(110) 및 상기 외측발판(120)은 전체적인 발판(100)을 조성하기 위한 상호 조립 구조를 이루며, 상기 내측발판(110) 및 상기 외측발판(12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20)의 상부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내측발판(1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브라켓(20) 상에 발판(100) 중 내측 중앙에 배치하게 구성한다.
상기 내측발판(110)에는 하부에 연장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0)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구비하는 복수의 내측받침단(111)을 형성한다.
상기 내측받침단(111)은 상기 베이스브라켓(20)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내측발판(110)이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게 지지한다.
상기 내측발판(11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쪽 측단에 결속지지홈(113)을 형성한다.
상기 결속지지홈(113)은 상기 내측발판(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하고, 상기 외측발판(120)이 상기 내측발판(11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게 연결한다.
상기 결속지지홈(113)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측발판(120) 중 하기 결속돌기(123)를 수용하여 결속 결합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결속지지홈(113)은 상기 결속돌기(123)보다 미세하게 넓은 폭(0.5~1.5㎜)을 이루게 형성하므로, 상기 결속지지홈(113)을 향한 상기 결속돌기(123)의 원활한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속지지홈(113)에는 외측에 상향 돌출 형성하는 결속지지단(114)을 구비한다.
상기 결속지지단(114)은 상기 외측발판(120)의 결속돌기(123)를 수용하되 상기 결속지지홈(113) 내 상기 결속돌기(123)에 대한 결속상태를 받침 지지한다.
상기 결속지지단(114)의 상단은 상기 내측발판(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발판(110) 및 상기 외측발판(120)의 상판 두께와 동일한 단차를 이루게 형성한다. 즉, 상기 결속지지홈(113) 내 상기 결속돌기(123)가 수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발판(110)의 상면과 상기 외측발판(120)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측발판(11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속지지홈(113)에서 상기 결속지지단(114)의 반대편 벽면에 돌출 형성하는 결착돌기(11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착돌기(115)는 상기 외측발판의 결속돌기(123)를 상기 결속지지홈(113)의 결속지지단(114) 측으로 밀착시킨다. 즉, 상기 내측발판(110)의 결속지지홈(113) 내 상기 외측발판(120)의 결속돌기(123)가 진입할 때, 상기 결속돌기(123)의 일측에 상기 결착돌기(115)가 접하면서 상기 결속지지홈(113)의 결속지지단(114)에 면 접촉상태로 밀착시키므로, 견고한 조립 결속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착돌기(115)는 상기 결속지지단(114)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 형성하게 구성하므로, 결속지지홈(113)을 향하여 결속돌기(123)가 진입할 때 상기 결착돌기(115)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결속지지홈(113) 내 결속돌기(123)가 결합함에 따른 밀착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측발판(110)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속지지홈(113)의 결속지지단(114) 측 일면에 자력을 생성시키는 자석부재(1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석부재(117)는 상기 결속지지홈(113)의 결속지지단(114) 상에 띠 형태로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자석부재(117)는 상기 결속지지홈(113)을 향한 상기 결속돌기(123)에 자력에 의한 접착력을 생성시켜 상기 결속지지단(114)에 상기 결속돌기(123)를 부착시키므로, 우수한 결속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측발판(1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발판(110)의 외측 즉 상기 내측발판(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하게 구성한다.
상기 외측발판(120)에도 상기 내측발판(110)의 내측받침단(111)과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브라켓(20)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구비하는 외측받침단(121)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받침단(121)은 상기 베이스브라켓(20)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외측발판(120)이 수평상태를 이룰 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외측발판(12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외측받침단(121)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외측발판(120)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발판(110)의 결속지지홈(113)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돌기(123)를 형성한다.
상기 결속돌기(123)는 상기 외측발판(120) 중 상기 내측발판(110)에 대응된 일측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즉, 상기 결속돌기(123)는 상기 외측발판(120) 상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하향 굴곡지게 형성하여 상기 내측발판(110)의 결속지지홈(113) 상에 끼움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외측발판(120)의 결속돌기(123)에는 상기 내측발판(110)의 결속지지홈(113) 상에 결합할 때, 상기 결속지지단(114)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124)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발판(120)에는 발판(100)의 측부를 마감 가능하게 구성하는 마감단부(127)를 구성한다.
상기 마감단부(127)는 상기 외측발판(120)에서 상기 결속돌기(123)의 반대편 외곽에 상향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발판(10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20) 상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내측발판(110)과 일체로 조립된 상기 외측발판(120)을 스크류볼트(B)로 고정 설치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에 의하면,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외측발판의 결속돌기를 끼움 조립하여 발판을 조성하면서 외측발판 자체적으로 측부를 마감하는 마감단부를 구성하므로, 조립에 의한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에 의한 시공공기를 단축하고, 자체적 마감 구조로부터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며, 발판의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여 유지 관리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메인브라켓 20 : 베이스브라켓
25 : 난간지지댄 26 : 난간포스트
27 : 난간봉 100 : 발판
110 : 내측발판 111 : 내측받침단
113 : 결속지지홈 114 : 결속지지단
115 : 결착돌기 117 : 자석부재
120 : 외측발판 121 : 외측받침단
123 : 결속돌기 124 : 수용홈
127 : 마감단부

Claims (4)

  1. 교량 측벽에서 메인브라켓을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베이스브라켓의 상부에 배열 배치하여 점검 시설의 바닥을 형성하는 점검 시설용 발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내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좌우 양측단에 결속지지홈을 형성하는 내측발판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응하여 접촉 지지하게 연장된 외측받침단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발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배치하되 상기 내측발판에 대응된 일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결속돌기를 형성하는 외측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발판에는 상기 결속돌기의 반대편에 상향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발판의 측부를 마감 가능하게 구성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발판의 결속지지홈에는, 외측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측발판의 결속돌기에 대한 결속상태를 받침 지지하는 결속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지지단의 상단은 상기 내측발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발판 및 상기 외측발판의 상판 두께와 동일한 단차를 형성하게 구성하며,
    상기 내측발판에는, 상기 결속지지홈에서 상기 결속지지단의 반대편 벽면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측발판의 결속돌기를 상기 결속지지홈의 결속지지단에 밀착시키는 결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결속지지단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 형성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발판에는, 상기 결속지지홈의 결속지지단 측 일면에 자력을 생성시키는 띠형상의 자석부재를 부착하여 상기 결속지지단과 상기 결속돌기 사이에 자력을 생성시켜 자력 결속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63267A 2021-11-24 2021-11-24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KR10242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67A KR102426229B1 (ko) 2021-11-24 2021-11-24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67A KR102426229B1 (ko) 2021-11-24 2021-11-24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229B1 true KR102426229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267A KR102426229B1 (ko) 2021-11-24 2021-11-24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2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47Y1 (ko) 2005-12-29 2006-03-23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조립식 발판 플레이트
KR101180279B1 (ko) 2012-04-23 2012-09-06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 점검시설용 바닥판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147Y1 (ko) 2005-12-29 2006-03-23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조립식 발판 플레이트
KR101180279B1 (ko) 2012-04-23 2012-09-06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 점검시설용 바닥판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KR101922889B1 (ko) * 2018-05-11 2019-02-27 주식회사 제현산업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6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922889B1 (ko) 조립식 발판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20150117292A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KR102310827B1 (ko) 응력 분산 연결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로
KR102426229B1 (ko) 점검 시설용 조립식 발판
KR100535178B1 (ko) 건축구조물의 조립식 계단구조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65643B1 (ko) 데크로드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472319B1 (ko) 조립형 바닥판
KR20050029967A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20030095606A (ko) 조립식계단
EP0713942A1 (en) Temporary stairway with landing and method for arrangement thereof
KR20190094675A (ko) 교량 점검로
JP2002038419A (ja) 鋼製壁高欄及び鋼製壁高欄の設置方法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KR100608096B1 (ko) 건축물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구조
KR200303255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및 그 난간 고정장치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KR101365484B1 (ko) 내진용 조립식 계단블록을 이용한 계단구조
JP3233531B2 (ja) 組み立て階段
KR102498600B1 (ko) 고정 러그 브라켓형 고정 조립구조를 갖는 비상 탈출용 미끄럼틀
CN219219598U (zh) 一种无痕安装的混凝土楼梯木踏步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100393314B1 (ko) 계단용답단및유니트계단및계단의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