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058B1 -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058B1
KR102426058B1 KR1020180079113A KR20180079113A KR102426058B1 KR 102426058 B1 KR102426058 B1 KR 102426058B1 KR 1020180079113 A KR1020180079113 A KR 1020180079113A KR 20180079113 A KR20180079113 A KR 20180079113A KR 102426058 B1 KR102426058 B1 KR 10242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eat
support
unit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762A (ko
Inventor
서용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0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시트가 설치된 회전부재가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승강부재는 지지부재의 상단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력부는 지지부재의 상단부측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항상 지지부재에 힘을 작용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인력으로 시트를 들어서 상측으로 상승시킬 때, 가력부에서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하여 적은 힘으로 시트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SUPPORTING UNIT FOR SEAT AND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HAVING SAME}
본 발명은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기계란 농업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직접 관여하는 기계와 생산된 농작물을 가공처리하는데 관여하는 기계로 대별된다.
농작물의 생산에 직접 관여하는 농업기계에는 다양한 작업기를 연결하여 견인력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트랙터(Tractor) 및 농토를 주행하면서 농작물의 줄기를 예취(刈取)한 다음 탈곡 및 선별하는 콤바인(Combine)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이 있다.
트랙터의 전면측 및 후면측에는 다양한 작업기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트랙터의 전면측에 작업기가 연결된 경우 운전자를 포함하는 작업자는 운전용 시트에 앉아서 작업을 수행하고, 후면측에 작업기가 연결된 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용 시트에 앉아서 작업한다.
그런데, 소형의 트랙터는, 공간의 제약으로, 운전용 시트와 후방 작업용 시트를 별도로 설치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트랙터의 후면측에 작업기를 연결하여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운전용 시트를 회전시켜 트랙터의 후면측을 향하게 한 다음, 사용한다. 즉, 운전용 시트를 후방 작업용 시트와 공용으로 사용한다.
운전용 시트를 후방 작업용 시트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운전용 시트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로 인해, 트랙터에는 운전용 시트를 지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유닛이 설치되고, 지지유닛의 상측 부위에 운전용 시트가 탑재 지지된다.
운전용 시트 주위에는 많은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용 시트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운전용 시트가 주위 부품들과 부딪히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용 시트를 소정 높이 상승시킨 후, 회전시킨다.
운전용 시트가 설치된 지지유닛의 상측 부위는 운전용 시트와 함께 상승, 회전 및 하강한다.
종래의 트랙터에는, 작업자가 인력(人力)으로 시트를 상승시킬 때, 기계적인 힘으로 시트의 상승을 도와주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시트를 상승시키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이 대단히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시트를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는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지지유닛은,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Seat)가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시트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가력부(加力部)(25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차대(車臺); 상기 차대에 하측 부위가 설치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측 부위에 설치된 시트(Seat)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차대에 설치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가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시트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을 작용하는 가력부(加力部)(25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시트가 설치된 회전부재가 승강부재에 설치되고, 승강부재는 지지부재의 상단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력부는 지지부재의 상단부측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항상 지지부재에 힘을 작용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인력으로 시트를 들어서 상측으로 상승시킬 때, 가력부에서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하여 적은 힘으로 시트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이 설치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및 지지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유닛의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지지유닛의 승강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4a의 요부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받침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회전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지지유닛의 요부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의 요부 측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 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시트용 지지유닛이 트랙터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이 설치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및 지지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은 차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차대(110)의 하면에는 차축과 연결된 휠(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휠(120)이 회전함에 따라 트랙터가 주행함은 당연하다.
이하, 차대(110)를 포함한 구성 요소들의 방향 및 면을 지칭함에 있어서, 트랙터가 전진하는 방향측을 "전방 및 전면"이라 하고, 후진하는 방향측을 "후방 및 후면"이라 한다.
차대(110)의 상면에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작업자가 앉기 위한 시트(Seat)(130)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130)는 차대(110)에 설치된 후술할 지지유닛(200)의 상측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시트(130)의 후방측에는 트랙터의 전복 등에 의하여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복 보호구조물(ROPS: Rollover Protection System) 등과 같은 보호구조물(140)이 설치될 수 있다.
차대(110)의 전방측에는 로더(Loader) 등과 같은 작업기(151)가 설치될 수 있고, 후방측에는 백호(Back-hoe) 등과 같은 작업기(155)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기(151)(155)는 차대(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할 수 있다.
정상적인 경우, 시트(130)는 전방을 향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차대(110)의 전방측에 설치된 작업기(151)로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시트(130)에 앉아서 작업을 하면 된다. 그런데, 작업자가 차대(110)의 후방측에 설치된 작업기(155)로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전방을 향하는 시트(130)에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하기는 어렵다.
트랙터가 소형인 경우, 공간의 제약상, 차대(110)의 후방측에 설치된 작업기(155)용 시트를 추가로 설치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지지유닛(200)에 설치된 시트(130)를 180°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트(130)를 전방측 작업기(151) 및 후방측 작업기(155)의 용도로 사용한다. 즉, 시트(130)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시트(130)의 주위에는 많은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트(130)를 회전시킬 때, 시트(130)가 상기 부품들에 부딪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130)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시트(130)를 상승시킨 다음 회전시킨다.
시트(130)는 지지유닛(200)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고, 지지유닛(200)의 상측 부위는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시트(130)가 승강 및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지지유닛의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지지유닛의 승강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0)은 받침부재(210), 승강부재(220), 지지부재(230), 회전부재(240) 및 가력부(加力部)(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210)는 판 형상의 고정판(211)과 판 형상의 슬라이딩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211)은 차대(110)에 설치 고정될 수 있고, 슬라이딩판(215)은 고정판(211)의 상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판(211)의 상면 및 슬라이딩판(215)의 하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슬라이딩판(215)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자(雌)레일(212) 및 웅(雄)레일(216)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자레일(212)과 웅레일(216)에는 자레일(211)과 웅레일(216)을 상호 잠그거나 풀기 위한 잠금레버(217)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레버(217)를 이용하여 자레일(212)과 웅레일(216)을 잠그면 슬라이딩판(215)이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잠금을 해제하면 슬라이딩판(215)이 슬라이딩된다.
고정판(211)에 대하여 슬라이딩판(215)을 슬라이딩시켜,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슬라이딩판(215)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시트(1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승강부재(2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210)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강부재(220)는 후술할 지지부재(230)를 매개로 슬라이딩판(215)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판(215)과 함께 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판(215)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30)는 하단부측은 받침부재(210)에 지지되고, 상단부측은 승강부재(220)에 설치되어, 받침부재(210)와 승강부재(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측은 받침부재(210)의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통해 받침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단부측은 승강부재(220)의 승강부재회전중심(RC2)를 통해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30)는 승강부재(220)가 상승하였을 때, 승강부재(220)를 포함한 시트(13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30)는 운동바(231), 연동바(233) 및 연결바(235)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바(231)는 하측 부위가 슬라이딩판(215)의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에 각각 지지되어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측에는 승강부재(220)의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이 연결될 수 있다. 운동바(231)가 슬라이딩판(215)에 지지된 하측 부위를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면,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은 회전하면서 승강한다. 그런데,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에는 승강부재(22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부재(220)는 운동바(231)와 함께 운동하면서 승강한다. 즉, 운동바(231)의 하단부측은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통해 받침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단부측은 승강부재(220)의 승강부재회전중심(RC2)를 통해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동바(233)는 하측 부위가 슬라이딩판(215)의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에 각각 지지되어 진자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측에는 승강부재(220)의 좌측면측 및 우측면측이 연결될 수 있다. 연동바(233)는 운동바(2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바(235)는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이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에 각각 연결되어, 운동바(231)와 연동바(233)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연동바(233)는, 운동바(231)가 운동함에 따라, 운동바(231)와 연동하여 운동할 수 있다.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에 의하여 승강부재(220)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는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운동바(231)와 연동바(233)가 원활하게 상호 연동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에 연결된 연결바(235)의 부위는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에 각각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의 하단부측이 슬라이딩판(215)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230)가 슬라이딩판(215)과 함께 슬라이딩하면서 운동함은 당연하다. 그러므로,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의 상단부측이 지지되는 승강부재(220)도 슬라이딩판(215)과 함께 슬라이딩하면서 운동함은 당연하다.
받침부재(210)와 승강부재(220)의 좌측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230)와 우측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230)는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운동바(231)의 하단부측과 상단부측은,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240)는 승강부재(220)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20)와 함께 운동할 수 있으며, 승강부재(2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전부재(240)에는 시트(130)가 설치되며, 회전부재(240)와 시트(130)는 함께 운동한다. 따라서, 시트(13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240)가 시트(130)와 함께 회전하고, 시트(130)를 승강시키면 회전부재(240)와 승강부재(220) 및 지지부재(230)가 함께 승강한다. 이때,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는 진자운동중심을 기준으로 상단부측이 회전하면서 승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240)에 설치된 시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시트(130)를 상승시켜야 한다. 그런데, 시트(130)는 무거우므로, 인력(人力)으로만 시트(130)를 상승시키면 불편하다.
가력부(250)는, 인력으로 시트(130)를 상승시킬 때,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시트(130)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승강부재(220)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을 항상 승강부재(220)에 작용할 수 있다. 이때, 가력부(250)는 지지부재(230)의 상단부측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지지부재(230)에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는 하측 부위를 기준으로 진자 형태로 운동하므로,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이 상측에 위치되면 승강부재(220) 및 회전부재(250)를 통하여 시트(130)가 상승함은 당연하다.
가력부(2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력부(250)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251)와 탄성부재(251)의 탄성력이 작용하며 탄성부재(251)의 탄성력을 운동바(231)로 전달하는 전달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1)의 전단부측은 받침부재(210)의 슬라이딩판(215)의 전단부측에 지지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전달부(255)를 매개로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전달부(255)의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은 받침부재(210)와 승강부재(22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 운동바(231)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달부(255)는 운동바(231)에 형성된 바 형태 또는 운동바(231)에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51)의 후단부측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탄성부재(251)는 전달부(255)를 매개로 운동바(231)의 하단부측을 탄성부재(251)의 전단부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51)는 운동바(231)의 하단부측을 탄성부재(251)의 전단부측으로 당겨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은 시계 방향(도 5a에 도시된 회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측에 위치된다. 부언하면, 상기 탄성부재(251)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측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측이 전방측에 위치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판(215)의 전면측에는 탄성부재(251)의 전단부측이 지지되는 지지바(258)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130)가 설치된 승강부재(220)의 승강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 및 도 4a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20)가 하강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는, 시트(130)의 하중에 의하여 승강부재(22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이다.
최초의 상태에서, 승강부재(220)에 설치된 시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시트(130)를 들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 가력부(250)의 탄성부재(251)는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의 상단부측에 연결된 승강부재(220)를 상승시키려는 방향으로, 전달부(255)를 매개로, 항상 운동바(231)에 탄성력을 작용하고 있다. 그러면, 작업자는 탄성부재(251)의 탄성력에 해당하는 만큼, 적은 힘으로 시트(130)를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시트(1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시트(130)가 상승하여 상사점의 도달하면,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가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우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그러면, 경사진 운동바(231)와 연동바(233)에 설치된 승강부재(220)와 시트(130)의 자중 및 탄성부재(2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부재(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승강부재(220) 및 시트(130)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0)은, 승강부재(220)가 하강하였을 때 승강부재(220)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부재(220)가 상승하였을 때 승강부재(2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260)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받침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260)는 잠금레버(261), 제1잠금공(263) 및 제2잠금공(265)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레버(261)는 받침부재(210)의 슬라이딩판(215)의 좌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는 슬라이딩판(215)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잠금레버(261)는 슬라이딩판(215)의 내외측 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잠금공(263)은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중심의 상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운동바(231)가 진자 형태로 운동하여 운동바(231)의 상단부가 하사점의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레버(261)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도 6a 참조). 제2잠금공(265)은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중심의 하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운동바(231)가 진자 형태로 운동하여 운동바(231)의 상단부가 상사점의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잠금레버(261)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도 6b 참조).
시트(130)를 승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잠금레버(261)가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잠금레버(261)를 슬라이딩판(215)의 외측으로 당겨서 지지시킨 다음, 시트(130)를 승강시킨다.
시트(130)가 하강하여 하사점에 위치에 도달하면, 잠금레버(261)를 슬라이딩판(215)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제1잠금공(263)에 삽입한다(도 6a 참조). 그러면, 잠금레버(261)와 제1잠금공(263)에 의하여 운동바(231)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시트(130)가 상승하지 않는다. 시트(130)가 하사점에 위치에 도달하면, 시트(130)의 자중에 의해서 운동바(231)가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시트(130)가 상승하여 상사점에 위치에 도달하면, 잠금레버(261)를 슬라이딩판(215)의 내측으로 돌출시켜 제2잠금공(265)에 삽입한다(도 6b 참조). 그러면, 잠금레버(261)와 제2잠금공(265)에 의하여 운동바(231)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시트(130)가 하강하지 않는다. 시트(130)가 상사점에 위치에 도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운동바(231) 및 연동바(233)가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서도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잠금공(263)과 제2잠금공(265)은,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중심을 기준으로, 운동바(231)의 진자 운동 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부(260)는 슬라이딩판(215)의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부재(240)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4b,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회전부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회전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40)는 원판 형상의 제1회전판(241)과 사각판 형상의 제2회전판(2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회전판(241)과 제2회전판(245)은 상호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판(241)은 승강부재(220) 및 제2회전판(245)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부재(2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회전판(245)은 승강부재(2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시트(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판(241)과 제2회전판(245)은 승강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시트(130)를 회전시키면, 제2회전판(245)과 제1회전판(241)이 함께 회전한다.
제2회전판(245)에 지지축 등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을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면, 제1회전판(241)을 설치하지 않아도 제2회전판(245)이 승강부재(2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축은 승강부재(2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이 승강부재(2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지축이 승강부재(220)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승강부재(220)에는 회전부재(24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27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방지수단(270)은 회전바(271), 조작레버(273), 걸림바(275) 및 걸림공(277a, 277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바(271)는 승강부재(2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작레버(273)의 전단부측은 승강부재(220)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회전바(27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조작레버(273)의 전단부측을 조작하여 회전바(2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바(275)는 일측이 회전바(27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275)의 타측은 회전바(271)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부재(220)를 관통하여 제2회전판(245)에 걸릴 수 있다.
승강부재(220)에는 걸림바(275)의 타측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제2회전판(245)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제1걸림공(277a) 및 제2걸림공(277b)이 형성될 수 있다.
시트(130)가 전방을 향할 때에는 걸림바(275)의 타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제1걸림공(277a)에 삽입되어 걸리고, 시트(130)가 후방을 향할 때에는 걸림바(275)의 타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제2걸림공(277b)에 삽입되어 걸린다.
즉, 걸림바(275)의 타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제1걸림공(277a)에 걸린 상태에서, 조작레버(273)의 전단부측을 상측으로 당기면, 회전바(271)가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바(271)에 의하여 걸림바(275)의 타측이 회전 및 하강하므로, 걸림바(275)의 타측이 제1걸림공(277a)으로부터 이탈된다.
걸림바(275)의 타측이 제1걸림공(277a)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시트(130)를 회전시켜 시트(130)가 후방측을 향하게 한다. 그후, 조작레버(273)의 전단부측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회전바(271)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걸림바(275)의 타측이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그러면, 걸림바(275)의 타측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제2걸림공(277b)에 걸리므로, 회전부재(240)와 시트(13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후방을 향하는 시트(130)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향하게 할 경우에도, 전술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0)은 시트(130)가 설치된 회전부재(240)가 승강부재(220)에 설치되고, 승강부재(220)는 지지부재(230)의 상단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가력부(250)는 지지부재(230)의 상단부측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항상 지지부재(230)에 힘을 작용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시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인력으로 시트(130)를 들어서 상측으로 상승시킬 때, 가력부(250)에서 지지부재(230)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하여, 적은 힘으로 시트(13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시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다.
제2실시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지지유닛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의 요부 측면도로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10)의 슬라이딩판(215)의 좌측면 및 우측면측에 설치된 지지부재(230)는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대향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30)의 운동바(231)는 하측 부위가 슬라이딩판(215)에 지지되어 진자 형태로 운동할 수 있으며, 운동바(231)의 하측 부위가 진자운동중심일 수 있다.
가력부(350)는 회전축(351), 전달부(353) 및 가스실린더(3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51)은 좌단부측 및 우단부측이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운동바(231)의 진자운동중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전달부(353)는 연결링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측이 회전축(351)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타측은 회전축(35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스실린더(355)는 전단부측은 슬라이딩판(215)의 전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단부측은 전달부(353)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스실린더(355)는 전달부(353)를 가스실린더(355)의 후단부 외측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스실린더(355)는 전달부(353)의 타측을 가스실린더(355)의 후단부 외측으로 밀어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전달부(353)에 의하여 회전축(35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운동바(231)의 상단부측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측에 위치된다. 부언하면, 가스실린더(355)는, 도 10a에 회전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길이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지지부재(230)에 힘을 제공하여 지지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다. 전달부(353)는 가스실린더(355)의 지지력을 회전축(351)을 통하여 운동바(231)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구비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차대
200: 지지유닛
210: 받침부재
220: 승강부재
230: 지지부재
240: 회전부재
250: 가력부
260: 잠금부
270: 회전방지수단

Claims (13)

  1. 받침부재(210);
    상기 받침부재(210)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Seat)(130)가 설치되는 회전부재(240);
    상기 받침부재(210)와 상기 승강부재(220)를 연결하고, 상기 시트(130)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승강부재(2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230);
    상기 승강부재(220)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가력부(加力部)(250, 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부재회전중심(RC2)을 통해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력부(250, 350)는 상기 승강부재회전중심(RC2)이 상기 받침부재회전중심(RC1)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에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상기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250)는, 일단부는 상기 받침부재(210)의 일부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에 연결된 탄성부재(25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51)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부재(210)의 일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250)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251)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251)의 탄성력을 상기 지지부재(230)로 전달하는 전달부(2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350)는, 일단부는 상기 받침부재(210)의 일부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일부분에 연결된 가스실린더(355)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실린더(355)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일부분이 상기 받침부재(210)의 일부분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의 일부분에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350)는,
    일단부는 상기 받침부재회전중심(RC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스실린더(355)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가스실린더(355)의 힘을 상기 받침부재회전중심(RC1)으로 전달하는 전달부(3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 잠금레버(261);
    상기 지지부재(230)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261)가 삽입되면 하강한 상기 승강부재(220)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잠금공(263); 및
    상기 지지부재(230)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레버(261)가 삽입되면 상승한 상기 승강부재(2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잠금공(265)을 가지는 잠금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상기 받침부재회전중심(RC1)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2잠금공(265)은 상기 지지부재(230)의 하단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40)는,
    상기 승강부재(2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130)가 설치되는 제2회전판(245); 및
    상기 제2회전판(245)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40)는,
    상기 승강부재(22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판(2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판(241) 및 상기 제2회전판(245)은 서로 고정되어 일체로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270)은,
    상기 승강부재(2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271);
    일측은 상기 회전바(271)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바(27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회전판(245)측에 걸리는 걸림바(275); 및
    상기 제2회전판(245)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바(275)의 타측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제1걸림공(277a) 및 제2걸림공(27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지지유닛.
  13. 차대(車臺)(110);
    상기 차대(110)에 하측 부위가 설치된 지지유닛(200);
    상기 지지유닛(200)의 상측 부위에 설치된 시트(Seat)(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200)은,
    차대(110)에 설치된 받침부재(210);
    상기 받침부재(210)의 상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130)가 설치되는 회전부재(240);
    상기 받침부재(210)와 상기 승강부재(220)를 연결하고, 상기 시트(130)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승강부재(2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230);
    상기 승강부재(220)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을 작용하는 가력부(加力部)(250, 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
KR1020180079113A 2018-07-09 2018-07-09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KR10242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13A KR102426058B1 (ko) 2018-07-09 2018-07-09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13A KR102426058B1 (ko) 2018-07-09 2018-07-09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62A KR20200005762A (ko) 2020-01-17
KR102426058B1 true KR102426058B1 (ko) 2022-07-26

Family

ID=6936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13A KR102426058B1 (ko) 2018-07-09 2018-07-09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246126A (zh) * 2021-02-03 2022-12-01 強尼A 薩特菲爾德 可展開座椅底部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696A1 (en) 2007-12-20 2009-07-02 Comfort Concepts Pty Limited Seating systems incorporating self-inflating adjustable suppor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5390A (en) * 1975-06-17 1978-07-25 Versatile Manufacturing Ltd. Reversible seat and steering console for tractors
IT214867Z2 (it) * 1988-11-09 1990-07-04 Same Spa Sedile per trattori con postazione di guida reversibile
GB2440732A (en) * 2006-08-09 2008-02-13 Agco Gmbh A reversible driving arrangement for a 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696A1 (en) 2007-12-20 2009-07-02 Comfort Concepts Pty Limited Seating systems incorporating self-inflating adjustable sup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62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383B2 (en) Mid-mount mower with power transmission coupling
US9066468B2 (en) Foot platform for standing lawn mower
US20190169006A1 (en) Low profile compact tool carriers
KR102426058B1 (ko) 시트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농업용 작업차량
JP3359837B2 (ja) 芝刈機のモーア昇降操作装置
JP2020187910A (ja) 電動作業車用バッテリパック
KR102619055B1 (ko) 로더 승강 어셈블리 작업 장치
JP2018174895A (ja) 作業車両
US9725016B2 (en) Supporting structure of a seat for working vehicle
JP2016034257A (ja) ミッドマウント型草刈機
KR20200105277A (ko) 농업용 작업차량
JP7097830B2 (ja) 乗用型田植機
JP5069933B2 (ja) ロータリ作業機のエプロン跳ね上げロック装置
JP7145783B2 (ja) 作業ユニット
KR101914142B1 (ko) 트랙터용 써레
JP5510589B2 (ja) 苗移植機
JP2013208081A (ja) 田植機の苗載台分割構造
JP7145784B2 (ja) 作業ユニット
CN210211903U (zh) 脚轮结构
JP7396659B2 (ja) 耕耘装置
JPS6342008Y2 (ko)
JP7058614B2 (ja) 圃場作業機
JP5781817B2 (ja) ドーザ装置
JP2008173052A (ja) モアの昇降リンク機構
JP5437091B2 (ja) 乗用型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