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777B1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5777B1 KR102425777B1 KR1020207011958A KR20207011958A KR102425777B1 KR 102425777 B1 KR102425777 B1 KR 102425777B1 KR 1020207011958 A KR1020207011958 A KR 1020207011958A KR 20207011958 A KR20207011958 A KR 20207011958A KR 102425777 B1 KR102425777 B1 KR 102425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terminal device
- transmitted
- cell group
- radio bear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 H04W72/048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 처리 방법(200) 및 단말 기기(130, 300, 400)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200)은 단말 기기(130, 300, 400)가 상기 단말 기기(130, 300, 400)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210) -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에 의해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되, 상기 제1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130, 300, 400)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220)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200)과 단말 기기(130, 300, 400)는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Description
본 출원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베어러에 대해 분할 베어러(split bearer)의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하위에 두개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가 각각 연결되되, 각 RLC가 하나의 셀 그룹에 대응되며, 어느 하나의 분할 무선 베어러에 전송해야 할 업링크 데이터가 존재할 때, 단말 기기가 어떻게 셀 그룹을 선택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것인가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감안한 본 출원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에 의해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되, 상기 제1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Split bearer의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양과 전처리가 수행된 데이터양의 합과, split bearer의 임계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할 목표 셀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PDCP 계층에는 두개의 RLC 계층이 연결되되, 하나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은 마스터 셀 그룹일 수 있고, 다른 하나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은 세컨더리 셀 그룹일 수 있으며, 상기 PDCP는 마스터 셀 그룹에 위치될 수도 있고 세컨더리 셀 그룹에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는 이미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한 임의의 하나의 RLC 계층의 데이터양과 PDCP 계층의 현재 데이터양의 합일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개의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는 상기 제1 RLC 계층이 포함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BSR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PDCP 계층의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RLC 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BSR을 송신해야 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 RLC 계층이 상기 송신될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되,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에는 상기 측면을 실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가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상기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하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간단 명료하고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의 가능한 일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듀얼 커넥티비티 시나리오에서의 split bearer의 프로토콜 아키텍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다른 일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듀얼 커넥티비티 시나리오에서의 split bearer의 프로토콜 아키텍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방법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다른 일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아래에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특히,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희소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과 같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반한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며, 물론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예를 들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적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화된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iltered-OFDM, F-OFDMA) 시스템 등과 같은,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적용한 멀티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응용 가능하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러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가입자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변조복조기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의 진화형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 B, NB)일 수도 있고,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또한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릴레이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의 진화형 PLMN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의 일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의 단말 기기(130) 주변의 네트워크 기기는 마스터 네트워크 기기(110) 및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네트워크 기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네트워크 기기(120)는 각각 마스터 네트워크 기기(110)와 연결되어 멀티 커넥티비티를 구성하며, 각각 단말 기기(130)와 연결되어 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 기기(130)는 마스터 네트워크 기기(110) 및 세컨더리 네트워크 기기(120)를 통해 동시에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130)와 마스터 네트워크 기기(110) 사이에 설정된 연결은 마스터 연결이고, 단말 기기(130)와 세컨더리 네트워크 기기(120) 사이에 설정된 연결은 세컨더리 연결이다. 단말 기기(130)의 제어 시그널링은 마스터 연결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의 데이터는 마스터 연결과 세컨더리 연결을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도 있고, 세컨더리 연결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도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매크로셀(Macrocell)일 수 있고, 세컨더리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셀(Microcell), 피코셀(Picocell), 펨토셀(Femtocell)일 수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시피, 하나의 PDCP 하위에 두개 이상의 RLC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나의 베어러를 분할 베어러, 즉 split bearer라 지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듀얼 커넥티비티 시나리오에서의 split bearer의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업링크 다운링크의 측면에서 설명하면, PDCP가 어느 하나의 셀 그룹(Cell Group, CG)에 위치되되, 상기 CG가 바로 앵커 셀 그룹(anchor CG)이며, CG에는 마스터 셀 그룹과 세컨더리 셀 그룹이 포함되는바, PDCP가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마스터 셀 그룹과 세컨더리 셀 그룹 내의 RLC로 송신할 수 있어, 두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상이한 셀 그룹의 RLC,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거친 후,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다운링크) 또는 기지국(업링크)에 대응되는 MAC, RLC 계층에 도달하고, 마지막으로 PDCP에서 다시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상위 계층에 전달된다.
LTE에 있어서, 각 split bearer에 대해, 프로토콜은 하나의 임계값을 정의하였는바, PDCP 데이터양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BSR을 하나의 디폴트 CG에만 리포팅하고, 상기 CG의 업링크 그랜트가 도달할 때,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송신하여 RLC PDU를 구성하며, PDCP 데이터양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BSR을 동시에 두개의 CG에 리포팅하고, 어느 하나의 CG의 업링크 그랜트가 도달할 때,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송신하여 RLC PDU를 구성한다. LTE에 있어서, 상위 계층 데이터가 도달한 후 PDCP 계층에 유지되며, 마스터 셀 그룹 또는 세컨더리 셀 그룹의 업링크 그랜트가 단말 기기에 도달할 때, 단말 기기가 다시 데이터를 아래로 마스터 셀 그룹 또는 세컨더리 셀 그룹의 RLC 계층으로 송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측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처리 방식의 단점이라면, 업링크 그랜트가 단말 기기에 도달해야만 단말 기기가 데이터를 PDCP로부터 아래로 RLC로 송신하여 RLC PDU를 생성하고, 이어서 MAC PDU를 생성하므로, 단말 기기의 즉각 처리 능력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NR에 있어서, 상기 문제점에 대해 전처리를 제안하였는바, 즉 단말 기기가 업링크 그랜트가 단말 기기에 도달하기 전에 데이터를 PDCP로부터 RLC에 송신하여 RLC PDU를 생성하며, 업링크 그랜트가 도달한 후에 이어서 MAC PDU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UE의 즉각 처리 능력에 대한 요구를 경감한다. 단말 기기가 어느 한 split bearer의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LTE에서 상기 split bearer에 대해 정의된 임계값에 결부시켜 어떤 방식으로 단말 기기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셀 그룹을 결정함으로써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할 것인가가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대다수 경우에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바,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및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인 세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또한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에서는 여러 부분에서 하나의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해 하나의 PDCP에 두개의 RLC가 연결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방법(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하기의 일부 내용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S210: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되,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에 의해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며, 상기 제1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S220: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토콜을 통해 단말 기기의 각 split bearer에 대해 하나의 임계값이 약정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 기기를 위해 하나의 임계값이 설정될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가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어느 하나의 split bearer의 PDCP 내의 일부 또는 전부 데이터를 우선 상기 split bearer 하의 일부 RLC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 기기가 비교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하의 이미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양과 전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데이터양의 합을 상기 분할 무선 베어러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split bearer의 일부 RLC가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일부 RLC가 전처리를 수행할 수 없으며, 이미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는, 단말 기기가 상기 일부 데이터를 상기 split bearer의 PDCP로부터 상기 split bearer의 전처리 능력을 가진 RLC로 송신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를 위해, 전처리 능력을 가진 하나의 RLC를 디폴트 RLC로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의 송신될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기기가 일부 데이터를 상기 split bearer의 PDCP로부터 디폴트 RLC로 송신한다. 단말 기기가 동일한 split bearer의 PDCP 내의 데이터양과 RLC 내의 전처리 데이터양을 임계값과 비교한 후, 비교한 크기 관계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동일한 하나의 split bearer 하의 상이한 RLC가 상이한 셀 그룹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목표 셀 그룹은 하나의 셀 그룹일 수도 있고, 복수의 셀 그룹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split bearer의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양과 전처리가 수행된 데이터양의 합과, split bearer의 임계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할 목표 셀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개의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의 어느 하나의 split bearer 내의 데이터에 대해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데이터를 PDCP로부터 특정 RLC로 송신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가 PDCP 내의 데이터양과 상기 RLC 내의 데이터양의 합을 상기 split bearer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으며, 임계값보다 작으면, 하나의 연결을 사용하여 현재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하의 특정 RLC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선택하여 현재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임계값보다 크면, 하나의 연결을 사용하여 현재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을 선택하여 현재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측이 단말 기기의 split bearer 1에 대해 하나의 디폴트 RLC를 설정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split bearer 1의 데이터를 PDCP로부터 사전에 디폴트 RLC로 송신하고,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가 사전에 디폴트 RLC 내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상기 디폴트 RLC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기기가 전처리되지 않은, 아직 PDCP 내에 있는 데이터를 상기 디폴트 RLC, MAC로 송신하고, 이어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폴트 RLC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도달시킨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단말 기기의 split bearer 1에 2개의 RLC인 RLC1 및 RLC2가 연결되되, RLC1 및 RLC2는 모두 전처리 능력을 갖고 있고,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 내의 데이터 1 및 데이터 2를 각각 사전에 RLC1 및 RLC2로 송신하며, 단말 기기가 RLC1 내의 데이터양, RLC2 내의 데이터양 및 PDCP 현재의 데이터양의 합을 상기 split bearer 1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고, 단말 기기가 RLC1 및 RLC2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양과 PDCP 현재의 데이터양의 합을 상기 split bearer 1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으며, 임계값보다 크면 단말 기기가 RLC1 및 RLC2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모두 목표 셀 그룹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RLC1 및 RLC2 내의 전처리된 데이터는 직접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대응되는 셀 그룹에 도달하고, PDCP 내의 전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는 우선 RLC1 및 RLC2를 통과한 후, 이어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거쳐 각각 대응되는 셀 그룹에 도달한다. 임계값보다 작으면, 단말 기기가 RLC1 및 RLC2 중 임의의 하나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목표 셀 그룹으로 선택한다. 즉,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의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 내의 데이터를 RLC1로 송신하나, RLC2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 기기가 RLC1 내의 전처리된 데이터양과 PDCP의 현재 데이터양의 합을 split bearer 1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split bearer 1 내의 데이터를 RLC2로 송신하나, RLC1로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단말 기기가 RLC2 내의 전처리된 데이터양과 PDCP의 현재 데이터양의 합을 split bearer 1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목표 셀 그룹으로 선택할 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1 RCL 계층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BSR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시피, BSR은, 토탈 얼마나 많은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UE의 업링크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서빙 네트워크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단말 기기가 일단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한 후 단말 기기가 특정 split bearer에 대한 BSR을 상기 목표 셀 그룹 내의 네트워크로 리포팅할 수 있다.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된 목표 셀 그룹이 복수의 셀 그룹이면, 단말 기기가 복수의 셀 그룹에 각각 그와 상응한 BSR을 리포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의 split bearer 1에 2개의 RLC인 RLC1 및 RLC2가 연결되되, RLC1 및 RLC2는 모두 전처리 능력을 갖고 있고,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가 상기 split bearer 1 내의 데이터 1 및 데이터 2를 각각 사전에 RLC1 및 RLC2로 송신하며, 단말 기기가 결정된 목표 셀 그룹에 RLC1에 대응되는 셀 그룹과 RLC2에 대응되는 셀 그룹이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가 BSR을 RLC1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리포팅하여, PDCP 현재의 데이터양과 상기 RLC1 내의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을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 기기가 BSR을 RLC2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리포팅하여, PDCP 현재의 데이터양과 상기 RLC2 내의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을 지시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가 MAC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BSR을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가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한 후, 단말 기기가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만 하면,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의 업링크 그랜트에 대해, 데이터를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에 의해 결정된 목표 셀 그룹이 상기 split bearer 1의 RLC1에 대응되는 셀 그룹이면, 단말 기기가 RLC1에 대응되는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그랜트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상기 RLC1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송신할 수 있는바, 그 말인즉, 단말이 다른 RLC에 대응되는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더라도, 단말 기기가 데이터를 split bearer 1의 다른 RLC에 대응되는 셀 그룹으로 송신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일단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한 후, 단말 기기가 후속적인 일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되, 해당 동작에는, 목표 셀 그룹이 위치하는 연결에 대해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함, 목표 셀 그룹에 BSR 리포팅을 수행함, 목표 셀 그룹의 업링크 그랜트에 대해 목표 셀 그룹에 데이터 제출을 수행함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특정 분할 무선 베어러와 그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은 하기 조건 하에서 트리거링된다.
선태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BSR을 송신해야 할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태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 RLC 계층이 상기 송신될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태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상기 여러 가지 트리거링 조건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하나의 분할 무선 베어러의 일차적인 데이터에 대해서만 한차례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는 두개의 RLC 계층이 포함되되, 상기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에는 마스터 셀 그룹과 세컨더리 셀 그룹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는 듀얼 커넥티비티이되, 하나의 RLC는 마스터 셀 그룹에 대응되고, 다른 하나의 RLC는 세컨더리 셀 그룹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PDCP는 상기 마스터 셀 그룹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세컨더리 셀 그룹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 설명될,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 사이의 인터랙션 및 관련 특성, 기능 등은 단말 기기의 관련 특성, 기능과 상응하다. 관련 내용은 상기 방법(100)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는바,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응당 그 기능과 내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아무런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하기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설명할 것이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특징들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제1 결정 유닛(310)과 제2 결정 유닛(3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정 유닛(310)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에 의해 전처리된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결정 유닛(320)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는 split bearer의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양과 전처리가 수행된 데이터양의 합과, split bearer의 임계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할 목표 셀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개의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는 상기 제1 RLC 계층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BSR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PDCP 계층의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RLC 계층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BSR을 송신해야 할 경우,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RLC 계층이 상기 송신될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는 두개의 RLC 계층이 포함되되, 상기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에는 마스터 셀 그룹과 세컨더리 셀 그룹이 포함된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 내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들은 각각 도 3의 방법에서의 단말 기기의 해당 프로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도 4에서의 단말 기기(300)일 수 있으며 도 3에서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의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단말 기기(4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 기기(400)는, 입력 인터페이스(410), 출력 인터페이스(420), 프로세서(430) 및 메모리(4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410), 출력 인터페이스(420), 프로세서(430) 및 메모리(440) 사이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포함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430)는 상기 메모리(440) 내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입력 인터페이스(4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4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출원 실시예의 단말 기기는 split bearer의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데이터양과 전처리가 수행된 데이터양의 합과, split bearer의 임계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할 목표 셀 그룹을 선택함으로써, 셀 그룹 사이의 부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해해야 할 점이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4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430)는 또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소자, 이산 게이트 또는 다이오드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4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43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4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4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43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방법의 내용은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완료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 완료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440)에 위치되고, 프로세서(430)가 메모리(440) 내의 정보를 판독하여, 그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단말 기기(300) 내의 제1 결정 유닛 및 제2 결정 유닛은 도 5의 프로세서(430)로 구현 가능하고, 단말 기기(300) 내의 제1 송신 유닛, 제2 송신 유닛 및 제3 송신 유닛은 도 5의 출력 인터페이스(420)로 구현 가능하다.
해당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인 유닛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결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구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가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상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응당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리는 단지 논리적 기능상의 분리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 시에 다른 분리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또는 언급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된 컴포넌트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컴포넌트는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하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인 또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헌을 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이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하나의 컴퓨팅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가 포함된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응당 청구항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2)
-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 및 제2 RLC 계층의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되, 상기 제1 RLC 계층 및 상기 제2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되,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개의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는 상기 제1 RLC 계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PDCP 계층의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RLC 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는 두개의 RLC 계층이 포함되되, 상기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에는 마스터 셀 그룹과 세컨더리 셀 그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 단말 기기로서,
제1 결정 유닛과 제2 결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예정된 임계값의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에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의 데이터양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서 제1 RLC 계층 및 제2 RLC 계층의 데이터양의 합이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계층 및 제2 RLC 계층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디폴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크기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복수의 셀 그룹으로부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목표 셀 그룹을 결정하되,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RLC 계층에 대응되는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 대응되는 적어도 두개의 셀 그룹을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RLC 계층에는 상기 제1 RLC 계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버퍼 상태 보고(BSR)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BSR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PDCP 계층의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분할 무선 베어러의 RLC 계층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목표 셀 그룹에 의해 송신된,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상기 목표 셀 그룹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BSR을 송신해야 할 경우,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RLC 계층이 상기 송신될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할 때,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송신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업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크기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CN2017/103523 WO2019061036A1 (zh) | 2017-09-26 | 2017-09-26 | 用于数据处理的方法和终端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105A KR20200055105A (ko) | 2020-05-20 |
KR102425777B1 true KR102425777B1 (ko) | 2022-07-27 |
Family
ID=6590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958A KR102425777B1 (ko) | 2017-09-26 | 2017-09-26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 |
Country Status (16)
Country | Link |
---|---|
US (2) | US10939327B2 (ko) |
EP (2) | EP3923656B1 (ko) |
JP (1) | JP7035172B2 (ko) |
KR (1) | KR102425777B1 (ko) |
CN (2) | CN111294863B (ko) |
AU (1) | AU2017433763B2 (ko) |
BR (1) | BR112020005820A2 (ko) |
CA (1) | CA3076255C (ko) |
DK (1) | DK3687238T3 (ko) |
ES (1) | ES2896229T3 (ko) |
MX (1) | MX2020003738A (ko) |
PT (1) | PT3687238T (ko) |
RU (1) | RU2740399C1 (ko) |
SG (1) | SG11202002586SA (ko) |
TW (1) | TWI769314B (ko) |
WO (1) | WO201906103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24794B (zh) * | 2019-06-28 | 2022-04-08 |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 通信数据传输方法及系统 |
KR20220120449A (ko) | 2019-12-23 | 2022-08-30 |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 장치 |
US11234283B2 (en) * | 2020-02-10 | 2022-01-25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dual connectivity network environments |
CN113507726B (zh) * | 2021-07-14 | 2024-05-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分离承载模式下的数据传输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
CN113992651B (zh) * | 2021-09-24 | 2024-05-14 | 深圳市有方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文件传输协议ftp的下载方法和相关产品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8538A1 (ja) | 2015-07-30 | 2017-02-02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端末 |
JP2017038335A (ja) * | 2015-08-14 | 2017-02-16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
JP2017163599A (ja) | 2017-05-19 | 2017-09-14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20176B2 (en) | 2013-07-26 | 2017-11-14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a device therefor |
KR102130296B1 (ko) * | 2013-07-31 | 2020-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WO2015046780A1 (ko) * | 2013-09-26 | 2015-04-02 | 주식회사 케이티 | 업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CN105659543B (zh) * | 2013-10-07 | 2019-06-18 | 瑞典爱立信有限公司 | 下行链路流管理 |
CN104581824A (zh) * | 2013-10-17 | 2015-04-2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包分流传输的方法及系统 |
GB2520923B (en) * | 2013-11-01 | 2017-07-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Bearer reconfiguration |
US9480029B2 (en) * | 2014-01-06 | 2016-10-25 | Intel IP Corporation | Power headroom reporting with dual connectivity |
CN104812074B (zh) * | 2014-01-27 | 2019-08-2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终端设备及其发送上行数据的方法 |
WO2015119411A1 (en) * | 2014-02-09 | 2015-08-1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alculating and submittung an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a device therefor |
EP3122140A4 (en) * | 2014-03-19 | 2017-11-15 | Sharp Kabushiki Kaisha |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
CN104955064B (zh) * | 2014-03-28 | 2019-01-11 |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 一种在双连接系统中处理用户设备端rlc/pdcp实体的方法与设备 |
US9532376B2 (en) * | 2014-11-11 | 2016-12-27 | Inte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censed shared access radio |
CN106211352A (zh) * | 2015-05-04 | 2016-12-0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数据无线承载的建立方法和装置 |
CN106304342B (zh) * | 2015-05-14 | 2020-02-04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一种进行上报的方法和设备 |
WO2016183708A1 (zh) * | 2015-05-15 | 2016-11-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用于分裂承载的上行数据传输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
US9591582B1 (en) * | 2015-09-10 | 2017-03-07 | Qualcomm Incorporated | Smart co-processor for optimizing service discovery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service platforms |
WO2017049558A1 (zh) * | 2015-09-24 | 2017-03-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上行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
CN106572479B (zh) * | 2015-10-10 | 2020-02-14 |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 一种无线数据承载的选择方法、触发方法、装置及基站 |
CN109417723B (zh) * | 2017-02-02 | 2022-04-19 | Lg电子株式会社 | 用于发送数据单元的方法和设备 |
WO2018212535A1 (en) * | 2017-05-16 | 2018-11-22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equipment (ue) operating a split bearer |
KR102667001B1 (ko) * | 2017-06-02 | 2024-05-21 |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
GB2563590B (en) * | 2017-06-16 | 2021-12-29 | Tcl Communication Ltd | Methods and devices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uplink split bearer in new radio |
-
2017
- 2017-09-26 JP JP2020516902A patent/JP7035172B2/ja active Active
- 2017-09-26 DK DK17927507.8T patent/DK3687238T3/da active
- 2017-09-26 BR BR112020005820-3A patent/BR112020005820A2/pt unknown
- 2017-09-26 WO PCT/CN2017/103523 patent/WO2019061036A1/zh unknown
- 2017-09-26 CN CN202010089210.8A patent/CN111294863B/zh active Active
- 2017-09-26 SG SG11202002586SA patent/SG11202002586SA/en unknown
- 2017-09-26 MX MX2020003738A patent/MX2020003738A/es unknown
- 2017-09-26 CN CN201780092513.1A patent/CN110786064B/zh active Active
- 2017-09-26 ES ES17927507T patent/ES2896229T3/es active Active
- 2017-09-26 RU RU2020114515A patent/RU2740399C1/ru active
- 2017-09-26 PT PT179275078T patent/PT3687238T/pt unknown
- 2017-09-26 KR KR1020207011958A patent/KR1024257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6 CA CA3076255A patent/CA3076255C/en active Active
- 2017-09-26 AU AU2017433763A patent/AU2017433763B2/en active Active
- 2017-09-26 EP EP21189631.1A patent/EP3923656B1/en active Active
- 2017-09-26 EP EP17927507.8A patent/EP3687238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9-20 TW TW107133260A patent/TWI769314B/zh active
-
2020
- 2020-03-25 US US16/829,915 patent/US10939327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2-09 US US17/171,414 patent/US1158264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8538A1 (ja) | 2015-07-30 | 2017-02-02 | 京セラ株式会社 | 無線端末 |
JP2017038335A (ja) * | 2015-08-14 | 2017-02-16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
JP2017163599A (ja) | 2017-05-19 | 2017-09-14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 R2-17087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1501493A (ja) | 2021-01-14 |
EP3687238A4 (en) | 2020-09-16 |
SG11202002586SA (en) | 2020-04-29 |
CN110786064A (zh) | 2020-02-11 |
DK3687238T3 (da) | 2021-11-01 |
US20210168652A1 (en) | 2021-06-03 |
US11582644B2 (en) | 2023-02-14 |
US20200229036A1 (en) | 2020-07-16 |
AU2017433763B2 (en) | 2023-01-12 |
RU2740399C1 (ru) | 2021-01-14 |
KR20200055105A (ko) | 2020-05-20 |
BR112020005820A2 (pt) | 2020-09-24 |
EP3923656A1 (en) | 2021-12-15 |
ES2896229T3 (es) | 2022-02-24 |
JP7035172B2 (ja) | 2022-03-14 |
CA3076255A1 (en) | 2019-04-04 |
TW201916724A (zh) | 2019-04-16 |
CN110786064B (zh) | 2024-05-24 |
CN111294863A (zh) | 2020-06-16 |
AU2017433763A1 (en) | 2020-05-07 |
MX2020003738A (es) | 2020-08-03 |
CN111294863B (zh) | 2023-07-18 |
PT3687238T (pt) | 2021-09-27 |
EP3923656B1 (en) | 2023-12-20 |
US10939327B2 (en) | 2021-03-02 |
EP3687238A1 (en) | 2020-07-29 |
WO2019061036A1 (zh) | 2019-04-04 |
CA3076255C (en) | 2023-08-22 |
TWI769314B (zh) | 2022-07-01 |
EP3687238B1 (en) | 2021-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5777B1 (ko)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기기 | |
KR102477765B1 (ko) |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
US11272568B2 (en) | Comm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 |
EP3672128B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KR102420332B1 (ko) |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
KR102307719B1 (ko) | 페이징 방법 및 페이징 장치 | |
US11290994B2 (en) |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 |
JP2021512518A (ja) |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装置 | |
KR102319652B1 (ko)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송수신 노드 | |
KR20200080301A (ko)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기기 | |
CN113169847A (zh) | 一种传输资源选择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 | |
CN107534984B (zh) | 一种分量载波组的配置方法及设备 | |
US11297545B2 (en) | Switching method and access network device | |
CN109661839B (zh) | 用于数据处理的方法和终端设备 | |
WO2019061037A1 (zh) | 用于数据处理的方法和终端设备 | |
CN110710314A (zh) | 上行授权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