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332B1 -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332B1
KR102420332B1 KR1020197036885A KR20197036885A KR102420332B1 KR 102420332 B1 KR102420332 B1 KR 102420332B1 KR 1020197036885 A KR1020197036885 A KR 1020197036885A KR 20197036885 A KR20197036885 A KR 20197036885A KR 102420332 B1 KR102420332 B1 KR 10242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radio bearer
rlc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412A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RB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 요구가 더 높으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지속적인 연구과제로 되고 있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RB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무선 베어러의 복제 데이터 전송 상태에 대응되는 베어러를 구성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은 업 링크 데이터 전송의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 있고, 단말 간(Device-to-Device, D2D) 통신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도 있다.
무선 베어러(RB)는 PDCP 엔티티,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엔티티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엔티티와 물리 계층(PHY)에서 할당한 일련의 리소스 등을 포함한 네트워크 기기가 사용자 기기를 위해 할당한 일련의 프로토콜 엔티티 및 구성에 대한 총칭이다. 무선 베어러(RB)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SRB)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를 포함하며,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는 시스템의 시그널링 메시지가 실제로 전송되는 채널이고,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는 사용자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채널이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 개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동시에 스위칭할 수 있다. 하나의 선택적 방식에 있어서, 비트맵의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무선 베어러의 상태를 지시한다. 다른 하나의 선택적 방식에 있어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를 단말 기기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아래와 같이 미리 약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을 표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RLC 엔티티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즉, 하나의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분할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RLC 엔티티가 전송하는 것은 모두 하나의 PDCP PDU의 일부 내용임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어느 하나의 RLC 엔티티 또는 일부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의 식별자일 수 있다. 또는, 명시적 지시의 방식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RLC 엔티티 또는 일부 RLC 엔티티가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어느 RLC 엔티티가 데이터 전송을 정지하기 위한 것임을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함 - 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반정적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오직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7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또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측면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임의의 선택적 구현 방식 중의 방법, 또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임의의 선택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하기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일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반송파 집성 시나리오에서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프로토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기기의 다른 예시적 블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통신 시스템, 뉴 라디오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직교 다중 액세스 기술에 기반한 각종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파스 코드 다중 액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이며,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직교 다중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전송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을 사용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휴대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한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일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 및 네트워크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망에 접속되도록 하며,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하는 업 링크/다운 링크 전송을 표시한다.
현재의 NR 연구에서, PDCP가 데이터 복제 기능을 지지할 수 있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즉 PDCP의 복제 데이터 기능을 이용하여, 복제된 데이터로 하여금 2개 또는 복수 개의 논리 채널에 대응되도록 하고, 결국 복제된 복수 개의 동일한 PDCP PDU가 상이한 물리 계층 집성 반송파 상에서 송신되는 것을 확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달성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에 도 2와 결합하여, 복제 데이터를 상이한 물리 반송파 상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계층은 분할 베어러 복제 기능을 가지며, PDCP SDU1의 데이터 프로세스를 PDCP PDU1 및 PDCP PDU2로 복제하여 패키징하며, PDCP PDU1 및 PDCP PDU2는 동일한 내용을 가지며, 즉 반송된 데이터 payload와 header는 모두 동일하다. PDCP PDU1 및 PDCP PDU2는 각각 상이한 RLC 엔티티에 맵핑되며, RLC 엔티티는 PDCP PDU1 및 PDCP PDU2를 상이한 논리 채널(논리 채널 1 및 논리 채널 2)에 배치하며, MAC의 경우, 어느 논리 채널들이 하나의 동일한 PDCP PDU의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인식한 후, 이러한 복제 데이터를 상이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엔티티를 통해 상이한 반송파에서 전송하며, 예를 들어, 논리 채널 1에 반송된 복제 데이터는 HARQ 엔티티 1을 통해 물리 반송파 1에서 전송되고, 논리 채널 2에서 반송된 복제 데이터는 HARQ 엔티티 2를 통해 물리 반송파 2에서 전송된다.
현재 연구에서, PDCP 엔티티에 대한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구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및 상응한 베어러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는 현재 명확한 방안이 없다.
당업자는, 업 링크 PDCP 데이터 복제 기능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이한 무선 베어러는 PDCP 복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PDCP 복제 데이터 전송을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선 베어러는 PDCP 프로토콜 엔티티, RLC 프로토콜 엔티티 및 MAC와 PHY가 할당한 일련의 리소스 등을 포함한, 기지국이 UE를 위해 할당한 일련의 프로토콜 엔티티 및 구성에 대한 총칭이다. 무선 베어러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를 포함하고, SRB는 시스템의 시그널링 메시지가 실제로 전송되는 채널이고, DRB는 사용자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채널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100)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110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RB를 구축하는 단계 S120;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구축될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현재 서비스가 데이터 전송에 대해 신뢰성 요구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신뢰성 요구가 비교적 높은 경우, 상기 초기 상태를 온 상태로 구성하도록 단말 기기에 통지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에 의해 구축될 어느 무선 베어러는 최종적으로 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축된 어느 무선 베어러의 PDCP 엔티티 및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연관시킬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신뢰성 요구가 높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초기 상태를 오프 상태로 구성하도록 단말 기기에 통지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에 의해 구축된 어느 무선 베어러는 최종적으로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구축된 어느 무선 베어러의 PDCP 엔티티와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연관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하고,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지시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구축될 무선 베어러의 PDCP 엔티티와 하나의 RLC 엔티티를 연관시킨 것일 수도 있으므로, 단말 기기는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에 기반하여 베어러를 구축하므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반정적 구성 정보를 통해 상응한 베어러를 구축하며, 일정한 시간 내에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는 고정된 것임을 표시하며, 네트워크 기기가 일정한 시간 내에 단말 기기에 추가로 지시하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에 구성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에서 계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 단말 기기는 일정한 시간 내에, 상기 RB를 통해 계속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며,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구성한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가 온 상태일 경우, 단말 기기는 일정한 시간 내에, 상기 RB를 통해 복제 데이터를 계속하여 전송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에서 언급했듯이, 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설명을 위해, 아래에 2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것을 예로 일부 예시하였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의 유연성을 더 높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일정한 시간 후에, 현재 채널 품질 등 상황에 따라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어느 무선 베어러의 전송 품질이 양호하지 않음을 발견하고, 앞서 구성된 상기 RB 구성 상태가 오프 상태라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무선 베어러가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무선 베어러가 상기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함을 지시할 수 있으며, 즉 단말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RB 를 사용하여 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어느 무선 베어러의 전송 품질이 아주 양호함을 발견하고, 앞서 구성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와 2개의 RLC 엔티티를 연관시킨다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무선 베어러가 오프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무선 베어러가 상기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사용을 정지함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상기 2개의 RLC 엔티티 중의 하나의 RLC 엔티티를 이용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술한 내용은 네트워크 기기가 하나의 RB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고, 네트워크 기기는 복수 개의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일부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직접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비트맵 방식으로 복수 개의 RB를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하나의 비트로 어느 하나의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미리 약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은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함을 표시하며,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RB를 사용하여 복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0”은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사용을 정지함을 표시하며,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RB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하나의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 중에서 하나의 비트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네트워크 기기는 지시 정보 중에서 하나의 비트를 멀티플렉싱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비트는 지시 정보 중에 원래 포함되어 다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동시에 지시할 수 있다. 동일하게,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 개의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를 표시해야 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하나의 비트맵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수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한 무선 베어러의 개수를 표시하며, 상기 비트맵 중의 각 비트는 비트맵이 대표하는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는 최대 8 개의 DRB가 있으며, 하나의 8비트의 비트맵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8 개의 DRB를 상기 비트맵에 미리 맵핑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비트맵에서 각 비트는 상기 8 개의 DRB 중의 하나의 DRB를 표시하고,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이런 맵핑 관계를 미리 다 알고 있으며, 단말 기기가 상기 비트맵을 수신한 후, 단말 기기는 이러한 맵핑관계에 따라, 각 비트가 표시하는 DRB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 중, 각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응한 무선 베어러가 상기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각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응한 무선 베어러가 상기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사용을 정지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아래와 같이 미리 약정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송신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어느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어느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지를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이러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를 송신하고, 단말 기기는 이러한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 약정한 규칙에 따라 어느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어느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지를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단말 기기는 상응한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복제 데이터 또는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두 가지 지시 방식은 오직 예시적인 설명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임의의 방식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어느 무선 베어러의 상태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즉 어느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사용을 정지함을 지시하면, 다시 말하면, 앞서 단말 기기가 상기 RB를 사용하여 송신한 것이 복제 데이터라면,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 자체는 2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의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는 일정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어느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지를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어느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지를 지시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어느 RLC 엔티티가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지를 지시할 수도 있으며, 그러면, 단말 기기는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다른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RLC 엔티티를 릴리즈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RB 구성의 디폴트 상태는 데이터 복제 전송 기능의 사용을 정지하는 경우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무선 베어러는 앞서 항상 비복제 데이터만 전송하였고, 이 경우,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하나의 PDCP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대응시킬 수 있으나, 네트워크는 앞서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하였고,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하나의 RLC 엔티티 또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를 사용하여 비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가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능하게 함을 지시할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일부 또는 전부 RLC 엔티티를 직접 사용하여 복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어느 하나의 RLC 엔티티나 일부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식별자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일부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한, 상기 논리 채널의 RLC 엔티티를 어느 무선 베어러의 PDCP와 연관시킬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일부 논리 채널 식별자를 수신하는 한, 상기 논리 채널 이외의 논리 채널에 대응되는 RLC 엔티티를 어느 RLC 엔티티와 연관시킬 수 있음을 표시함을 미리 약정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어느 논리 채널에 대응되는 RLC 엔티티를 어느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와 연관시킬 수 있음을 지시할 수도 있다. 단말 기기가 “1”은 논리 채널 0을 표시하고, “0” 은 논리 채널 1을 표시한다고 약정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단말 기기는 어느 RB와 연관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어느 논리 채널에 대응되는 RLC 엔티티와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를 연관시킬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는 “0”과 “1” 두 가지 숫자만 예로 설명하였으나, 각 비트의 구체적인 값은 하나의 집합 내의 값이 될 수 있으며, “0”과 “1”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0” 내지 “2”를 각각 사용하여 논리 채널 0 내지 논리 채널 2를 각각 대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값이 대표하는 의미도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안된 스위칭 정보는 MAC 시그널링에 반송될 수 있고, 제1 지시 정보는 다른 계층의 시그널링에 반송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PHY 시그널링, RLC 계층 시그널링 등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2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반정적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10)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PDCP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을 구성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비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오직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설명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사이의 상호 작용 및 관련 특징, 기능 등과 단말 기기의 관련 특징, 기능은 대응한다. 또한, 관련 내용은 상기 방법(10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의 크기는 수행 선후 순서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프로세스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해야 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과정에 대해 그 어떤 한정을 해서도 안 된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아래에, 도 5 내지 도 8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기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 특징은 아래 기기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유닛(310)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RB를 구축하기 위한 구축 유닛(320); 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함 - ; 및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300)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함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 상기 지시 정보는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송신한 상기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에서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도 3의 방법 중의 단말 기기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반정적 구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410)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단말 기기에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420); 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 중의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비복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가 송신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제1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오직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에 대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4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도 4의 방법 중의 네트워크 기기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500)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 기기(500)는 도 5의 단말 기기(300)일 수 있으며, 도 3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의 컨텐츠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말 기기(50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5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530)는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540) 의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5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5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형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54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4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되어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본 기술분야의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 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5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40) 중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기기(300) 중의 제1 수신 유닛 및 제2 수신 유닛은 도 7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300)의 송신 유닛은 도 7의 출력 인터페이스(5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 기기(300)의 구축 유닛은 도 7의 프로세서(5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600)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도 6의 네트워크 기기(400)일 수 있으며, 도 4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60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10), 출력 인터페이스(620), 프로세서(630) 및 메모리(6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630)는 입력 인터페이스(6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완성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640) 의 프로그램, 명령 및 코드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에 유리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6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및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64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3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64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40)는 기기 타입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6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공개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6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40)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400)의 제1 송신 유닛, 제2 송신 유닛 및 제3 송신 유닛은 도 8의 출력 인터페이스(6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400)의 수신 유닛은 도 8의 입력 인터페이스(6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400)의 결정 유닛은 도 8의 프로세서(6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수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한 몇개의 실시예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오직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으며, 또는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논의된 상호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위치에 있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단독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의 일부를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몇개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6)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무선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수신 유닛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제2 수신 유닛을 통해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반정적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송신 유닛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스위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송신 유닛을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 중의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오직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복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반정적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는 무선 베어러(RB)에 대응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 기능의 초기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함 - ;
    상기 반정적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무선 베어러(RB)를 구축하기 위한 구축 유닛;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유닛 - 상기 지시 정보는 제1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스위칭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며 - 상기 스위칭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의 복제 데이터 전송의 상태를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초기 상태는 온 상태일 경우,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상기 제1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비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제1 무선 베어러는 하나의 PDCP 엔티티 및 상기 하나의 PDCP 엔티티에 대응되는 하나의 무선 링크 제어(RLC)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는 오프 상태이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복수 개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LC 엔티티 중의 적어도 2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며;
    또는,
    상기 제1 무선 베어러에 대응되는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지시 정보는 복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RLC 엔티티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하나의 RLC 엔티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RLC 엔티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복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스위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KR1020197036885A 2017-06-16 2017-06-16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420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8659 WO2018227555A1 (zh) 2017-06-16 2017-06-16 用于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412A KR20200017412A (ko) 2020-02-18
KR102420332B1 true KR102420332B1 (ko) 2022-07-13

Family

ID=646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885A KR102420332B1 (ko) 2017-06-16 2017-06-16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0834720B2 (ko)
EP (1) EP3621394A4 (ko)
JP (1) JP7035094B2 (ko)
KR (1) KR102420332B1 (ko)
CN (2) CN110622606A (ko)
AU (1) AU2017418642A1 (ko)
BR (1) BR112019025895A2 (ko)
CA (1) CA3066821A1 (ko)
IL (1) IL271243B2 (ko)
MX (1) MX2019015028A (ko)
PH (1) PH12019502798A1 (ko)
RU (1) RU2740161C1 (ko)
SG (1) SG11201912008VA (ko)
TW (1) TW201906443A (ko)
WO (1) WO2018227555A1 (ko)
ZA (1) ZA201908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32B1 (ko) 2017-06-16 2022-07-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AU2017425323A1 (en) * 2017-07-28 2020-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149418B (zh) * 2017-09-22 2024-02-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11404633B (zh) * 2019-01-03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传输模式的方法及设备
WO2020147776A1 (en) * 2019-01-18 2020-07-23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duplication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EP3918738B1 (en) * 2019-02-01 2022-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communication devic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CN112291863A (zh) * 2019-07-23 2021-01-2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链路复制的激活配置方法、激活配置装置、基站及终端
EP3860064A1 (en) * 2020-01-31 2021-08-04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 first network device, first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1812A1 (en) * 2003-08-29 2015-11-26 Ineoquest Technologies, Inc. Video quality monitoring
CN100387071C (zh) * 2004-06-30 2008-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空中接口实现多媒体广播多播业务的方法
CN101166344B (zh) * 2006-10-18 2011-04-20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恢复数据方式的选取方法及无线网络控制器
JP5207637B2 (ja) * 2007-02-23 201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一以上のセカンダリストレージシステムで複数のバックアップを取得するバックアップ制御方法
US9386557B2 (en) * 2007-08-13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94489B1 (ko) * 2007-12-27 2012-10-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암호화 방법
US9293773B2 (en) * 2008-04-08 2016-03-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lytes for wide operating temperature lithium-ion cells
US9225481B2 (en) * 2008-08-11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grant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074441A2 (en) * 2008-12-26 2010-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KR101669966B1 (ko) * 2009-05-11 201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복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55709A1 (zh) * 2012-04-20 201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分流配置方法、基站系统和用户终端
CN106332198B (zh) * 2012-05-18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设备及通讯系统
CN104113875B (zh) * 2013-04-19 2018-05-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装置及设备
WO2015006896A1 (zh) * 2013-07-15 2015-01-2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装置和方法
WO2015177846A1 (ja) * 2014-05-19 2015-11-2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11343672A (zh) * 2015-11-30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CN106162730B (zh) * 2016-07-12 2019-11-1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ES2849955T3 (es) * 2016-08-10 2021-08-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onfiguración de planificación semipersistente y V2X en una red inalámbrica
CN110121848B (zh) * 2017-01-06 2022-06-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方法及装置
US11121831B2 (en) * 2017-02-24 2021-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packet duplication relating to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8174775A1 (en) * 2017-03-24 2018-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uplicated dci transmission
CN113316219B (zh) * 2017-04-19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重复传输的方法及装置
EP4329272A3 (en) * 2017-04-24 2024-06-05 Motorola Mobility LLC Duplicating pdcp pdus for a radio bearer
EP3529933B1 (en) * 2017-06-15 2020-04-01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control
CN110731112B (zh) * 2017-06-15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可靠通信的多发送接收点协作的方法和设备
CN109151891B (zh) * 2017-06-1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和通信装置
KR102420332B1 (ko) * 2017-06-16 2022-07-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2546*
3GPP R2-1704247*
3GPP R2-1704374*
3GPP R2-1704916
3GPP R2-170505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9145A (ja) 2020-10-01
EP3621394A1 (en) 2020-03-11
IL271243B1 (en) 2023-10-01
KR20200017412A (ko) 2020-02-18
CN111130719B (zh) 2021-03-05
BR112019025895A2 (pt) 2020-06-30
AU2017418642A1 (en) 2020-01-16
TW201906443A (zh) 2019-02-01
WO2018227555A1 (zh) 2018-12-20
CA3066821A1 (en) 2018-12-20
RU2740161C1 (ru) 2021-01-12
SG11201912008VA (en) 2020-01-30
IL271243A (en) 2020-01-30
MX2019015028A (es) 2020-02-26
EP3621394A4 (en) 2020-06-03
CN110622606A (zh) 2019-12-27
ZA201908253B (en) 2020-10-28
US20200092870A1 (en) 2020-03-19
US10834720B2 (en) 2020-11-10
PH12019502798A1 (en) 2020-09-28
CN111130719A (zh) 2020-05-08
JP7035094B2 (ja) 2022-03-14
US20200389877A1 (en) 2020-12-10
US11323996B2 (en) 2022-05-03
IL271243B2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33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RU2730002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672302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2001497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67212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TWI751346B (zh) 用於傳輸數據的方法、終端設備和網絡設備
CN109792312A (zh) 一种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