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45B1 -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 Google Patents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45B1
KR102425645B1 KR1020200154368A KR20200154368A KR102425645B1 KR 102425645 B1 KR102425645 B1 KR 102425645B1 KR 1020200154368 A KR1020200154368 A KR 1020200154368A KR 20200154368 A KR20200154368 A KR 20200154368A KR 102425645 B1 KR102425645 B1 KR 102425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bottom plate
turbine valve
support
lift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292A (ko
Inventor
주대현
정다성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0Heavy object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44Clamping or supporting circumfer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캐스터들이 하부에 설치되고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의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면서 바닥판 상부에 둘레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 상에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와, 상기 바닥판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바닥판 상에 설치되는 터빈 밸브의 작동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리프트 테이블과, 상기 리프트 테이블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터빈 밸브 작동기를 교체 시 인양할 때 크레인 사용이 불가능한 사각지대에서 턴 오버 조절이 가능하고 보관 장소까지 운반할 수 있고 인양수단을 이용한 인양 작업 시 안전하고 정확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ACTUATOR CARRYING CART FOR REPLACEMENT OF TURBINE VALVE ACTUATOR}
본 발명은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터빈 밸브 작동기를 교체 시 인양할 때 크레인 사용이 불가능한 사각지대에서 턴 오버 조절이 가능하고 보관 장소까지 운반할 수 있고 인양수단을 이용한 인양 작업 시 안전하고 정확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터빈 밸브의 작동기는, 터빈 회전체에 증기를 공급, 조절, 차단하여 터빈 밸브를 동작시켜 주는 가장 핵심적인 부속품으로 발전소의 안정적인 출력운전과 비상시에 터빈회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고압의 유체를 이용하여 실린더와 스템이 동작되게 설계되어 있으며,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터빈 밸브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터빈 밸브의 작동기는, 4 가지 종류로 여러 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기의 크기는 예를 들면 길이(2630mm) x 폭(700mm) x 높이(850mm), 중량은 800 ~ 1200kg으로서, 유압실린더부, 스템부,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전소의 정비시에 터빈 밸브 작동기는 장기간 운전 중에 고온, 고압의 유체에 의한 작동기의 성능확인을 위하여 반드시 기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그런데, 터빈 밸브의 작동기를 밸브 본체와 분리하거나 부착하는 경우 현장 구조물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향 전환을 하여야 하고, 따라서 고중량인 터빈 밸브 작동기를 취급함에 있어서 크나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즉, 터빈 밸브 작동기는 수직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져 분리 또는 부착시 주변의 다른 기기들과의 간섭으로 여러번 방향전환이 필요하고, 터빈 밸브 작동기의 구조는 스템부가 노출되고 유압실린더 외부에 중요 부속부품이 부착되어 있어 다른 구조물과의 접촉시 추역에 의하여 기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터빈 밸브 작동기의 중량이 고중량인 관계로 부착된 위치가 중요기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대부분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종래와 같이 크레인을 활용한 분해 조립 작업시 거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빈 밸브의 작동기는, 약 1.5ton의 중량물로서 분해, 조립, 운반 시 크레인 및 지게차의 의존도가 높아서 중장비 부재(고/저압 터빈, 기타 중량물 인양 등) 시 작업지연 시간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 능률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변 공간이 협소하고 배관 등 장애물로 인한 크레인 사각지대 구역에서 작동기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경우 작동기 전도, 비래 및 정비원의 협착사고 등 안전관련 재해 유발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인양 보조장치로서 통상 나일론으로 구성된 슬링(Sling)을 직접 사용하여 작동기를 취급하고 있는 관계로 종래의 방식으로서는 작동기 연결부와 나일론 슬링 접촉부의 손상으로 기기의 손상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있으며, 작동기의 연결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제10-1795868호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공고 2017.11.09)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제10-1494692호 "공작기계 공구 장착장치" (공고 2015.02.23) [특허문헌 0003] 공개특허 제10-2011-0072078호 "증기발생기의 1차측 맨웨이 커버 개폐장치" (공개 2011.06.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에 따른 인양 시 크레인 사용이 불가능한 사각지대에서 턴 오버 조절이 가능하면서 보관 장소까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탑재된 교체 장비를 작동기 운반차에서 인양수단을 이용한 인양 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여 정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의 정확성 및 신뢰성 등 정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고 크레인 사용 사각지대에서의 체인블록에 의한 작동기 조립체의 지지대 설치 및 그네타기식 이동에 의한 동시 다발적으로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 하고 이에 따른 낙하, 전도, 협착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빈 밸브의 작동기 분해, 점검, 조립 작업시에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고, 균형 유지와 함께 방향 전환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스터들이 하부에 설치되고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의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면서 바닥판 상부에 둘레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 상에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와, 상기 바닥판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바닥판 상에 설치되는 터빈 밸브의 작동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리프트 테이블과, 상기 리프트 테이블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리프트부의 비작동 시 수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안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에는, 안착홈의 양측면 상에 리프트 테이블의 수평자세로 다운 시 리프트 테이블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완충받침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 지지대에는, 작동기가 탑재되고 일정 각도로 경사진 리프트 테이블가 전도되지 않도록 메인 플레이트의 양측을 고정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뚫린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 테이블은, 터빈 밸브의 작동기를 수직 상태로 받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하단에 돌출되어 작동기를 받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 테이블에는, 작동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 테이블에 묶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버클식 벨트 라체트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바닥판 상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단축에 하단이 연결되어 경사진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는, 리프트 테이블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가장자리 면에 테이블 지지대의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을 관통한 고정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전도방지용 체결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작동기의 탑재 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작동기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착용 삽입구멍과, 고하중의 작동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기의 일측 단부가 닿는 상기 삽입구멍의 둘레에 다수의 완충패드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부는, 바닥판의 안착홈내에 유압 공급 시 기립하면서 리프트 테이블을 밀어 올리거나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와, 손잡이가 설치된 바닥판 상에 페달 조작 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 공급기와, 상기 유압 공급기와 연결되고 조작 시 유압이 해소되도록 손잡이에 설치되는 유압 해제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빈 밸브 작동기의 교체에 따른 인양 시 크레인 사용이 불가능한 사각지대에서 턴 오버 조절이 가능하면서 보관 장소까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탑재된 교체 장비를 작동기 운반차에서 인양수단을 이용한 인양 작업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하여 정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의 정확성 및 신뢰성 등 정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고 크레인 사용 사각지대에서의 체인블록에 의한 작동기 조립체의 지지대 설치 및 그네타기 이동에 의한 동시 다발적 인력을 최소화 하고 이에 따른 낙하, 전도, 협착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빈 밸브의 작동기 분해, 점검, 조립 작업시에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고, 균형의 유지와 함께 방향 전환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터빈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b)는, 도 1에 나타낸 리프트 테이블과 바텀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스터(4)들이 하부에 설치되고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 상의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와 연결되면서 바닥판(10) 상부에 둘레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10) 상에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30)와, 상기 바닥판(1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바닥판(10) 상에 설치되는 터빈 밸브의 작동기(60)를 탑재할 수 있도록 리프트 테이블(40)과,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프트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부(50)의 비작동 시 수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안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에는, 안착홈(12)의 양측면 상에 리프트 테이블(40)의 수평자세로 다운 시 리프트 테이블(40)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완충받침대(1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 지지대(30)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기(60)가 탑재되고 일정 각도로 경사진 리프트 테이블(40)가 전도되지 않도록 메인 플레이트(42)의 양측을 고정볼트(6)로 체결할 수 있도록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32)이 뚫려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빈 밸브의 작동기(60)를 수직 상태로 받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4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2)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44)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2)의 하단에 돌출되어 작동기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바텀 플레이트(46)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에는, 작동기(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에 묶어 둘 수 있도록 하는 버클식 벨트 라체트(48)를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42)는, 바닥판(10) 상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단축(16)에 하단이 연결되어 일정한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42)에는, 리프트 테이블(4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 가장자리 면에 테이블 지지대(30)의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32)을 관통한 고정볼트(6)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전도방지용 체결공(42a)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플레이트(46)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기(60)의 탑재 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작동기(6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착용 삽입구멍(46a)과, 고하중의 작동기(60)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기(60)의 일측 단부가 닿는 상기 삽입구멍(46a)의 둘레에 다수의 완충패드(46b)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50)는,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의 안착홈(12)내에 유압 공급 시 기립하면서 리프트 테이블(40)을 밀어 올리거나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52)와, 손잡이(20)가 설치된 바닥판(10) 상에 페달(54) 조작 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압 공급기(56)와, 상기 유압 공급기(56)와 연결되고 조작 시 유압이 해소되도록 손잡이(20)에 설치되는 유압 해제레버(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작동기 운반차(2)를 터빈 밸브(도시하지 않음) 하부로 이동시킨 다음 터빈 밸브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분리한 작동기(60)를 작동기 운반차(2)의 리프트 테이블(40) 위 공중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 공급기(56)에 구비된 페달(54)을 밟는다, 페달(54) 조작으로 유압은 실린더부(52)에 공급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 로드가 전진함에 따라 실린더부(52)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 설치된 리프트 테이블(40)은 바닥판(10)에 수평 자세로 있다가 점차적으로 기립하게 된다. 즉, 리프트 테이블(40)은 페달(54)의 답단 조작에 의하여 연동하는 실린더부(52)의 작동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페달(54) 조작은 리프트 테이블(40)의 자세가 60°~70°로 경사지도록 조작하면 된다.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의 자세가 60°~70°로 경사지게 되면, 페달(54) 조작을 멈춘다, 그리고 나서 크레인을 조작하여 작동기(60)를 리프트 테이블(40) 상에 내려 놓아 안착시킨다. 이때, 리프트 테이블(40)의 기울어진 자세에 따라 작동기(60)는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60)가 리프트 테이블(40)에 안착되면, 작동기(60)가 이동 중 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플레이트(42)와 사이드 플레이트(44) 및 작동기(60)를 버클식 벨트 라체트(48)를 이용하여 결박시킨다. 즉, 버클식 벨트 라체트(48)를 이용하면 사이드 플레이트(44)의 상단 위치에서 메인 플레이트(42)와 작동기(60) 둘레를 견고하게 결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작동기(60)를 분해하기 위한 정밀 정비 작업장소로 이동하기 전에는, 미리 리프트 테이블(40)의 메인 플레이트(42)와 테이블 지지대(30)를 고정볼트(6)로 체결하여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테이블 지지대(30)의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32)과 메인 플레이트(42)의 전도방지용 체결공(42a)을 고정볼트(6)로 체결하여 두면 작동기 운반차(2)로 작동기(60)를 운반하는 중 예상지 못한 실린더부(52)의 유압이 빠지더라도 리프트 테이블(40)이 견고한 고정을 유지할 수 있어서, 작동기(6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동기 운반차(2)로 작동기(60)를 운반하는 중에 이동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만나게 되면, 테이블 지지대(30)에서 리프트 테이블(40)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있는 고정볼트(6)를 먼저 풀어 해제시킨다. 그리고 나서, 손잡이(20)에 설치된 유압 해제레버(58)를 가변적으로 조작하여 실린더부(52)의 유압을 배출시킨다. 상기 실린더부(52)의 유압이 낮아짐에 따라 피스톤로드는 후퇴하게 된다. 피스톤 로드가 후퇴하면 리프트 테이블(40)은 경사각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유압 해제레버(58)를 조작하면 리프트 테이블(40)에 결박된 작동기(60)의 자세를 나출 수 있어 장애물을 피하거나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리프트 테이블(40)의 다운이 멈출때에는 유압 해제레버(58)의 조작을 멈추면 된다. 리프트 테이블(40)이 바닥판(10)에 가라앉도록 한 후 유압 해제레버의 조작을 멈추고 정밀정비 작업장소까지 작동기 운반차(2)를 밀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기 운반차(2)의 이동 중 작동기에 의한 주변 시설물과 간섭시 쉽게 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작동기 운반차(2)는, 크레인 사각지대에서 주변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작동기(60)와 관련된 계측라인, 케이블 배관(파이프), 체인블록이 설치된 주변기기용 고정지지대 등의 손상없이 작동기(60)를 정밀정비 작업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 캐스터 6: 고정볼트
10: 바닥판 12: 안착홈
14: 완충받침대 16: 단축
20: 손잡이 30: 테이블 지지대
32: 테이블 고정용 볼트공 40: 리프트 테이블
42: 메인 플레이트 42a: 전도방지용 체결공
44: 사이드 플레이트 46: 바텀 플레이트
46a: 안착용 삽입구멍 46b: 완충패드
48: 버클식 벨트 라체트 50: 리프트부
52: 실린더부 54: 페달
56: 유압 공급기 58: 유압 해제레버
60: 터빈 밸브의 작동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캐스터(4)들이 하부에 설치되고 중량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 상의 일측에 수직 자세로 설치되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와 연결되면서 바닥판(10) 상부에 둘레를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10) 상에 설치되는 테이블 지지대(30)와; 상기 바닥판(10)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바닥판(10) 상에 터빈 밸브의 작동기(60)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터빈 밸브의 작동기(60)를 수직 상태로 받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 메인 플레이트(4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2)의 길이 방향 양측에 세워져 설치되는 사이드 플레이트(44)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42)의 하단에 돌출되어 작동기를 받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텀 플레이트(46)들로 구성된 리프트 테이블(40)과; 상기 리프트 테이블(40)을 배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프트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46)에는,
    작동기(60)의 탑재 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작동기(6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안착용 삽입구멍(46a)과,
    고하중의 작동기(60)를 보호하기 위하여 작동기(60)의 일측 단부가 닿는 상기 삽입구멍(46a)의 둘레에 다수의 완충패드(46b)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10. 삭제
KR1020200154368A 2020-11-18 2020-11-18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KR102425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68A KR102425645B1 (ko) 2020-11-18 2020-11-18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68A KR102425645B1 (ko) 2020-11-18 2020-11-18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292A KR20220068292A (ko) 2022-05-26
KR102425645B1 true KR102425645B1 (ko) 2022-07-28

Family

ID=8180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68A KR102425645B1 (ko) 2020-11-18 2020-11-18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3525A (ja) * 2011-08-23 2013-03-04 Kubota Corp 後部ゲート構造
KR101494692B1 (ko) * 2013-08-26 2015-02-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공작기계 공구 장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835Y2 (ja) * 1992-10-13 1998-06-04 輝雄 森田 台 車
KR20110072078A (ko) 2009-12-22 2011-06-29 조인철 증기발생기의 1차측 맨웨이 커버 개폐장치
KR101795868B1 (ko) 2015-11-24 2017-1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3525A (ja) * 2011-08-23 2013-03-04 Kubota Corp 後部ゲート構造
KR101494692B1 (ko) * 2013-08-26 2015-02-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공작기계 공구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292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372B2 (en) Support assembly
AU2012203778A1 (en) Support assembly
AU2013284281B2 (en) 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repair of a conveyor belt roller assembly
US10093521B2 (en) Barge lid lifter system and method
US7883131B2 (en) Crane hook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180362305A1 (en) Barge lid lifter system and method
KR101759872B1 (ko) 초중량 해상구조물 설치용 유압식 높이조절장치
KR101121801B1 (ko) 대형 실린더 운반용 지그
ES2736723T3 (es) Sistema para el montaje/desmontaje de palas en aerogeneradores
US9670038B2 (en) Drilling rig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KR102425645B1 (ko)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WO2014172770A1 (e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EP3695091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a bop stack for an onshore drilling rig
US20050135538A1 (en) Method of handling a structure and equipment of handling the same
KR20120114106A (ko)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CA2764703A1 (en) Mobile jack for a storage tank floating roof
KR101487459B1 (ko)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642690B1 (ko)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
WO2011041893A1 (en) High performance equipment elevating device
KR101642691B1 (ko) 슬래브 단부 돌출형 로딩 데크의 설치 및 해체 방법
JPH05323092A (ja) 倒立型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のための整備装置及び方法
KR102334695B1 (ko) 갠트리 크레인용 인양높이 조정 스페이서
CN215115124U (zh) 一种高空作业平台试验台架
JP3110090U (ja) 昇降床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