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868B1 -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868B1
KR101795868B1 KR1020150164555A KR20150164555A KR101795868B1 KR 101795868 B1 KR101795868 B1 KR 101795868B1 KR 1020150164555 A KR1020150164555 A KR 1020150164555A KR 20150164555 A KR20150164555 A KR 20150164555A KR 101795868 B1 KR101795868 B1 KR 10179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turbine valve
sling
valve actuato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40A (ko
Inventor
유승열
김강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8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계획 예방 정비시에 터빈 밸브 작동기를 분해, 점검, 조립 공정에서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방향전환 등다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외측부분과 서로 면접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링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슬링결합공이 형성된 인양부와; 그리고 작동기 플랜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기 플랜지를 서로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인양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Multiple handling device for turbine valve actuator}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계획 예방 정비시에 터빈 밸브 작동기를 분해, 점검, 조립 공정에서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방향전환 등다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터빈 밸브 작동기는 터빈 회전체에 증기를 공급, 조절 , 차단하여 터빈 밸브를 동작시켜 주는 가장 핵심적인 부속품으로 발전소의 안정적인 출력운전과 비상시에 터빈회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고압의 유체를 이용하여 실린더와 스템이 동작되게 설계되어 있으며,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터빈 밸브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터빈 밸브 작동기는 4 가지 종류로 여러 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기의 크기는 예를 들면 길이(2630mm) x 폭(700mm) x 높이(850mm), 중량은 800 ~ 1200kg으로서, 유압실린더부, 스템부,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전소의 정비시에 터빈 밸브 작동기는 장기간 운전 중에 고온, 고압의 유체에 의한 작동기의 성증 확인을 위하여 반드시 기기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그런데, 터빈 밸브 작동기를 밸브 본체와 분리하거나 부착하는 경우 현장 구조물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향 전환을 하여야 하고, 따라서 고중량인 터빈 밸브 작동기를 취급함에 있어서 크나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즉, 터빈 밸브 작동기는 수직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져 분리 또는 부착시 주면의 다른 기기들과의 간섭으로 여러번 방향전환이 필요하고, 터빈 밸브 작동기의 구조는 스템부가 노출되고 유압실린더 외부에 중요 부속부품이 부착되어 있어 다른 구조물과의 접촉시 추역에 의하여 기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터빈 밸브 작동기의 중량이 고중량인 관계로 부착된 위치가 중요기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대부분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종래와 같이 크레인을 활용한 분해 조립 작업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기의 점검을 위하여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작동기 형상이 수직으로 제작되어 취급이 어렵고, 길이가 길고 고중량으로 방향 전환작업 자체가 용이하지 않고, 작동기 외부에 스템이나 제어용 보조밸브 등 중요기기가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이 우려되며, 일반적인 인양 보조장치로서 아이볼트(Eye Bolt)나 샤클(Shackle)을 적용할 수 없는 구조물로서 통상 나일론으로 구성된 슬링(Sling)을 직접 사용하여 작동기를 취급하고 있는 관계로 종래의 방식으로서는 작동기 연결부와 나일론 슬링 접촉부의 손상으로 기기의 손상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있으며, 작동기의 연결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의 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1431호(공개일자: 2013. 03. 06.)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40202호(공개일자: 2001. 05. 22.)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7-201594호(공개일자: 1995. 08. 0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 밸브 작동기의 분해, 점검, 조립 작업시에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할 수 있고, 균형의 유지와 함께 방향 전환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동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외측부분과 서로 면접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링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슬링결합공이 형성된 인양부와; 그리고 작동기 플랜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기 플랜지를 서로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인양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인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를 채택 활용하게 되면, 원자력 발전소의 중요한 핵심설비인 터빈 밸브 작동기에 대한 정비작업을 손쉽고도 확실하며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정비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되고, 정비 작업시 무리한 행동이나 동작을 방지하여 중요기기에 대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다른 유사한 다른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기술력을 증대시키게 되며, 터빈 밸브 작동기의 분해 조립 작업시 작업성이 향상되어 재가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던 터빈 밸브 작동기의 정비시에도 안전사고를 차단 내지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사시도,
도 4는 사용 상태도로서 작동기 플랜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작동기의 플랜지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일부 생략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인양용 나일론 슬링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작동기(5)에 마련된 작동기 플랜지(50)의 가장자리 외측부분과 서로 면접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커트부(1)와, 상기 스커트부(1)의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링(6)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슬링결합공(20)이 형성된 인양부(2)와, 그리고 작동기 플랜지(5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기 플랜지(50)를 서로 체결구(4)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공(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1) 및 상기 인양부(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부(3)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커트부(1)의 내주면은 작동기 플랜지(50)의 외주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호형으로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인양부(2)는 상기 고정돌부(3)와 직각을 이루어 상향으로 형성되고 슬링결합공(20)은 슬링(6)이 끼워지는 경우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부(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들 한 쌍의 고정돌부(3) 사이에 작동기 플랜지(5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며, 고정 설치시엔 작동기 플랜지(5)의 체결공(52)과 고정돌부(3)의 고정공(30)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구(4)를 이들 고정공(30), 체결공(52) 및 고정공(30)을 경유하도록 끼우고 하부에서 체결구(4)에 너트(40)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 설치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작동기(5)에 본 발명인 취급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작동기(5)에 미리 형성되어 있던 작동기 플랜지(50)의 체결공(52)이 위치한 부위에 한 쌍의고정돌부(3) 사이 위치에 끼워 결합하고 호형으로 아루어진 스커트부(1)의 내주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작동기 플랜지(50)의 외주면과 서로 일치 밀착하면서 체결공(52)과 고정돌부(3)의 고정공(30)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후에 체결구(4)를 상부로부터 이들 고정공(30), 체결공(52) 및 고정공(30)을 경유하도록 끼우고 하부에서 체결구(4)에 너트(40)를 체결하여 작동기 플랜지(50)와 고정돌부(3)를 서로 단단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때, 본 발명인 취급장치는 작동기 플랜지(50)의 일측에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마주하는 대향측에도 또한 설치하여 슬링(6)을 설치하여 인양하는 경우에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취급장치를 작동기 플랜지(50)의 양측 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양부(2)의 슬링결합공(20)에 인양하는 경우에 사용하고자 하는 나일론 슬링(6)을 끼워 결합한 후에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슬링(6)을 걸어 결국 작동기(5)에 대한 인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인 취급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나일론 슬링(6)을 작동기(5)에 직접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의 중요한 핵심설비인 터빈 밸브 작동기(5)에 대한 정비작업시 무리한 행동이나 동작을 방지하여 중요기기에 대한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실제적인 정비작업을 손쉽고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정비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다른 유사한 다른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기술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터빈 밸브 작동기의 분해 조립 작업시 작업성이 향상되어 재가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던 터빈 밸브 작동기(5)의 정비시에도 안전사고를 차단 내지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 스커트부, 2: 인양부,
3: 고정돌부, 4: 체결구,
5: 작동기, 6: 슬링,
20: 슬링결합공, 30: 고정공,
40: 너트, 50: 플랜지,
52: 체결공

Claims (4)

  1. 작동기(5)에 마련된 작동기 플랜지(50)의 가장자리 외측부분과 서로 면접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커트부(1)와, 상기 스커트부(1)의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링(6)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슬링결합공(20)이 형성된 인양부(2)와, 그리고 작동기 플랜지(5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기 플랜지(50)를 서로 체결구(4)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공(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1) 및 상기 인양부(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부(3)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스커트부(1)의 내주면은 작동기 플랜지(50)의 외주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호형으로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양부(2)는 상기 고정돌부(3)와 직각을 이루어 상향으로 형성되고 슬링결합공(20)은 슬링(6)이 끼워지는 경우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돌부(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들 한 쌍의 고정돌부(3) 사이에 작동기 플랜지(5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4555A 2015-11-24 2015-11-24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KR10179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55A KR101795868B1 (ko) 2015-11-24 2015-11-24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55A KR101795868B1 (ko) 2015-11-24 2015-11-24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40A KR20170060640A (ko) 2017-06-02
KR101795868B1 true KR101795868B1 (ko) 2017-11-09

Family

ID=5922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55A KR101795868B1 (ko) 2015-11-24 2015-11-24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92A (ko) 2020-11-18 2022-05-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02A (ja) * 1999-11-11 2001-05-22 Hosen Kiki Seibi Kk 枕木吊上げ器のフック
CN203667811U (zh) 2013-12-12 2014-06-25 湖北金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制动鼓加工的吊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02A (ja) * 1999-11-11 2001-05-22 Hosen Kiki Seibi Kk 枕木吊上げ器のフック
CN203667811U (zh) 2013-12-12 2014-06-25 湖北金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制动鼓加工的吊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292A (ko) 2020-11-18 2022-05-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 밸브의 작동기 교체용 작동기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40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593B1 (ko) 자동잠금장치를 가진 중장비용 퀵커플러
KR101795868B1 (ko)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
WO2013031475A1 (ja) ディスク吊り上げ用治具
KR200489042Y1 (ko)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US20150044043A1 (en) Attachment device for non-permanently attaching a child component to a parent component
KR20120001768U (ko) 안전밸브 디스크 가이드 분해 장치
US11015698B2 (en) Gearbox mounting link
KR200482734Y1 (ko)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KR200473084Y1 (ko) 고압/저압 바이패스 밸브 고정장치
EP3048272B1 (en) V-band clamp with integral mount plate
CN103863942A (zh) 一种吊钩防脱装置
KR101631372B1 (ko) 대형 고압 수평형 밸브의 분해 조립 장치
KR101946219B1 (ko) 분할커플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임펠러의 상하 위치를 쉽게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
CN212900969U (zh) 水力试验塞提取装置
CN211423435U (zh) 一种气动球阀
CN204802816U (zh) 施工升降机标准节齿条连接组件
CN209586327U (zh) 一种可拆式井口放气阀保护装置
KR101444135B1 (ko) 장갑차용 인양장치
KR101943749B1 (ko) 고압터빈 케이싱 체결장치
KR20150002847U (ko) 원자로 조절봉 구동장치용 정비장치
CN217301795U (zh) 用于危急疏水气动阀的辅助开启装置
CN219013408U (zh) 一种深埋延长操作闸阀
CN211729034U (zh) 一种卸荷阀阀座拆卸工装
KR200465918Y1 (ko) 에어 구동 밸브 스템의 조정장치
CN210909689U (zh) 用于明杆阀门的辅助检修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