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407B1 -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407B1
KR102425407B1 KR1020200100078A KR20200100078A KR102425407B1 KR 102425407 B1 KR102425407 B1 KR 102425407B1 KR 1020200100078 A KR1020200100078 A KR 1020200100078A KR 20200100078 A KR20200100078 A KR 20200100078A KR 102425407 B1 KR102425407 B1 KR 10242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electrode terminal
holder
elastic mem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9535A (ko
Inventor
홍장석
공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Priority to KR102020010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4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유리 홀더 조립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접합유리 홀더 조립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될 수 있는 투과율가변필름, 상기 투과율가변필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층, 상기 한 쌍의 접합층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투과율가변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일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홀더 바디 및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합유리용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용 홀더는,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접합유리의 투과율가변필름과 연결된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 상기 홀더 바디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넘침 방지 턱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넘침 방지 턱의 하측에 위치한 공간에 채워지는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는 상기 실란트에 안착된다.

Description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LAMINATED GLASS HOLDER ASSEMBLY AND HOLDER FOR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보다 쾌적한 주행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주행 상황에 맞게 운전자가 자유롭게 차량용 유리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접합유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유리는 차량의 옆 유리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접합유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접합유리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요소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이러한 전기적 연결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의 옆 유리에 접합유리가 적용되는 경우, 차량의 옆유리는 승하강 이동을 하므로,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될 때의 단차에 의한 이격 공간에서의 움직임으로 인해 전기적 연결 요소와의 단선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합유리는 홀더에 삽입될 때, 실란트에 의한 전기적 연결 요소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적 연결 요소와의 단선 및 간섭이 예방되는 접합유리 및 접합유리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접합유리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할 수 있는 투과율가변필름, 상기 투과율가변필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층, 상기 한 쌍의 접합층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리층 및 상기 투과율가변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는, 일면이 상기 한 쌍의 유리층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투과율가변필름, 상기 한 쌍의 접합층 및 상기 한 쌍의 유리층이 적층되는 방향을 적층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제2 전극단자를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접합유리용 홀더는,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바디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접합유리의 투과율가변필름과 연결된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가운데가 돌출되도록 휘어져, 양 끝단은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되고, 돌출된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전극단자에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합유리용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넘침 방지 턱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넘침 방지 턱의 하측에 위치한 공간에 채워지는 실란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는 상기 실란트에 안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홀더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합유리용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의 상측 말단에서 상기 접합유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리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홀더 바디는, 상하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제1 벽 및 상기 제1 벽의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벽의 사이에는 상기 접합유리가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될 수 있는 투과율가변필름, 상기 투과율가변필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층, 상기 한 쌍의 접합층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투과율가변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일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홀더 바디 및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합유리용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전극단자와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이 있는 부재를 전기적 연결요소로 사용하므로, 접합유리와 접합유리용 홀더 간의 단차에 의한 단선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란트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 턱을 통해 실란트가 전기적 연결 요소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유리용 홀더와 접합유리의 전기적 연결요소가 일체화 되므로,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요소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는, 투과율가변필름(110), 한 쌍의 접합층(120), 한 쌍의 유리층(130) 및 전극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투과율가변필름(11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할 수 있다. 한 쌍의 접합층(120)은 투과율가변필름(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리층(130)은 한 쌍의 접합층(120)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투과율가변필름(110), 한 쌍의 접합층(120) 및 한 쌍의 유리층(130)이 배치되는 순서는 유리층, 접합층, 투과율가변필름, 접합층, 유리층 의 순서일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투과율가변필름(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투과율가변필름(110)의 하측면과 연결되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일면이 한 쌍의 유리층(13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가 한 쌍의 유리층(13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되기 위해 전극단자(140)와 한 쌍의 유리층(130)의 외측면 사이에 접착제(150)를 도포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제1 전극단자(141) 및 제2 전극단자(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단자(141)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단자(142)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극단자(141)와 제2 전극단자(142)는 서로 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단자(141)는 음극에 연결되고, 제2 전극단자(142)는 양극에 연결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제1 전극단자(141) 및 제2 전극단자(142)는 적층 방향(D)을 따라 바라볼 때,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층 방향(D)은 투과율가변필름(110), 한 쌍의 접합층(120) 및 한 쌍의 유리층(130)이 적층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는 후술할 접합유리용 홀더(200)에 삽입될 때, 접합유리(100)와 접합유리용 홀더(200) 간의 단차에 의한 단선이 예방될 수 있다.
<접합유리용 홀더(20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가 삽입될 수 있는 접합유리용 홀더(200)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접합유리용 홀더(200)는 차량의 옆유리가 삽입되어 승하강 할 수 있는 홀더(2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가 삽입될 수 있는 접합유리용 홀더(200)는 홀더 바디(210) 및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210)는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유리(100)는 내부 공간(211)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투과율가변필름(110)과 연결된 전극단자(140)와 접촉하여 전극단자(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전극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전극단자(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탄성부재(220)는 제1 전극단자(141) 및 제2 전극단자(142)와 대응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어, 한 개의 탄성부재(220)는 제1 전극단자(141)와 접촉하고, 다른 한 개의 탄성부재(220)는 제2 전극단자(142)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유리용 홀더(200)에서 접합유리(100)의 전극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가 탄성이 없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차량의측면에 적용된 접합유리용 홀더(200)가 승하강 하는 경우, 접합유리(100)와 접합유리용 홀더(200) 사이에 존재하는 단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격 때문에 접합유리(100)가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고, 그로 인해 전극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전극단자(140)와의 연결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이 있는 부재를 전기적 연결요소로 사용하므로, 접합유리(100)와 접합유리용 홀더(200) 간의 단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단선이 예방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가운데가 돌출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220)의 양 끝단은 홀더 바디(210)에 결합되고, 돌출된 가운데 부분은 전극단자(140) 에 접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20)는 'U'자 모양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탄성부재(220)의 모양이 이와 같은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이 있는 부재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수철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접합유리용 홀더(200)는 넘침 방지 턱(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넘침 방지 턱(230)은 홀더 바디(210)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넘침 방지 턱(230)은 탄성부재(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유리용 홀더(200)의 내부에는 실란트(240)가 채워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실란트(240)는 내부 공간(211) 중 넘침 방지 턱(230)의 하측에 위치한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즉, 실란트(240)는 넘침 방지 턱(230)을 상측 경계로 삼아 내부 공간(211)에 채워질 수 있다. 실란트(240)는 유동성 물질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합유리(100)는 실란트(240)에 안착될 수 있다. 넘침 방지 턱(230)으로 인해, 접합유리(100)에 의해 실란트(240)가 가압되어 상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유리용 홀더에서 실란트(240)의 넘침을 방지하는 구성요소가 없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접합유리(100)가 실란트(240)를 가압함에 따라, 실란트(240)는 상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전극단자(14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에 실란트(240)가 닿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란트(240)가 상측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 턱(230)을 통해 실란트(240)가 전기적 연결 요소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 바디(210)는, 연결 도선(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도선(212)은 탄성부재(220)와 외부전원(P)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도선(212)은 홀더 바디(210)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접합유리용 홀더(200)는 커버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50)는 홀더 바디(210)의 상측 말단에서 접합유리(100)를 향해 돌출되어 탄성부재(220)를 가릴 수 있다. 즉, 상측에서 접합유리용 홀더(200)를 바라 봤을 때, 탄성부재(2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 바디(210)는, 제1 벽(213) 및 한 쌍의 제2 벽(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213)은 상하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213)에는 접합유리(100)가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벽(214)은 제1 벽(213)의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 바디(210)는 'U'자 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벽(214)의 사이에는 접합유리(100)가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선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a) 및 실시예 2의 접합유리(100a)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200a)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a)는 전극단자(140a)의 배치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접합유리(100)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a)의 제1 전극단자(141a) 및 제2 전극단자(142a)를 적층 방향(D)을 따라 바라볼 때, 제1 전극단자(141a) 및 제2 전극단자(142a)는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없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전극단자(141a)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제2 전극단자(142a)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적층 방향(D)으로 바라 볼 때는 겹치는 부분이 없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a)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200a, 200a')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의 접합유리용 홀더(200a, 200a')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접합유리용 홀더(200a)는 제1 전극단자(141a)와 접촉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220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접합유리용 홀더(200a')는 제2 전극단자(142a)와 접촉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접합유리용 홀더(200a, 200a')는 전술한 홀더 바디(210a, 210a'), 내부 공간(211a, 211a'), 연결 도선(212a, 212a'), 제1 벽(213a, 213a'), 한 쌍의 제2 벽(214a, 214a'), 넘침 방지 턱(230a, 230a'), 커버부재(250a, 250a') 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합유리용 홀더(200a, 200a')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의 외부 전원(Pa, Pa')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에선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b) 및 실시예 3의 접합유리(100b)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200b)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에 실란트가 채워지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가 접합유리용 홀더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b)는 전극단자(140b)의 배치에 있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 100a)와 차이가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접합유리(100, 100a)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b)의 제1 전극단자(141b)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제2 전극단자(142b)는 한 쌍의 유리층(1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제1 전극단자(141b)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전극단자(141b)와 제2 전극단자(142b)는 한 쌍의 유리층(130)의 외측면 중 같은 면에 결합되고, 적층 방향(D)을 바라 볼 때,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b)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200b)의 탄성부재(220b, 200b')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탄성부재(220b, 20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의 탄성부재(220b, 200b')는 한 쌍의 제2 벽(214b) 중 전극단자(140b)가 위치한 측의 제2 벽(214b)에 결합될 수 있다.
<접합유리(100) 홀더 결합체>
이하에서는, 접합유리(100) 및 접합유리용 홀더(200)가 결합된 접합유리(100) 홀더 결합체에 관하여 상술한다. 접합유리(100)는 투과율가변필름(110), 한 쌍의 접합층(120), 한 쌍의 유리층(130) 및 전극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율가변필름(11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될 수 있다. 한 쌍의 접합층(120)은 투과율가변필름(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유리층(130)은 한 쌍의 접합층(120)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투과율가변필름(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전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 100a, 100b)의 전극단자(140, 140a, 140b)의 배치와 같게 배치될 수 있다.
접합유리용 홀더(200)는, 홀더 바디(210) 및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210)는 일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211)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전극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전극단자(140)와 접촉하여 전극단자(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전술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접합유리(100, 100a, 100b)가 삽입되는 접합유리용 홀더(200, 200a, 200b)의 탄성부재(220, 220a, 220a' 220b, 220b')의 배치와 같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단자(140)는 제1 전극단자(141) 및 제2 전극단자(142)를 포함하고, 탄성부재(220)는 제1 전극단자(141)와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220) 및 제2 전극단자(142)와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유리용 홀더(200,200a,200b)와 접합유리(100,100a,100b)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요소가 일체화 되므로,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요소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접합유리
110: 투과율가변필름
120: 접합층
130: 유리층
140, 140a, 140b: 전극단자
141, 141a, 141b: 제1 전극단자
142, 142a, 142b: 제2 전극단자
150: 접착제
200, 200a, 200b: 접합유리용 홀더
210, 210a, 210a': 홀더 바디
211, 211a, 211a': 내부 공간
212, 212a, 212a': 연결 도선
213, 213a, 213a': 제1 벽
214, 214a, 214a', 214b: 제2 벽
220, 220a, 220a', 220b, 220b': 탄성부재
230, 230a, 230a': 넘침 방지 턱
240: 실란트
250, 250a, 250a': 커버부재
D: 적층 방향
P, Pa, Pa': 외부전원

Claims (12)

  1. 전기적 신호에 의해 투과율이 변화될 수 있는 투과율가변필름, 상기 투과율가변필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접합층, 상기 한 쌍의 접합층이 사이에 배치되게 한 쌍의 접합층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유리층, 상기 투과율가변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및
    일 방향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갖는 홀더 바디 및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합유리용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용 홀더는,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접합유리의 투과율가변필름과 연결된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
    상기 홀더 바디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넘침 방지 턱;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넘침 방지 턱의 하측에 위치한 공간에 채워지는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는 상기 실란트에 안착되는,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한 쌍의 유리층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전극단자와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3. 삭제
  4. 삭제
  5. 상측으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홀더 바디;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접합유리의 투과율가변필름과 연결된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단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
    상기 홀더 바디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넘침 방지 턱; 및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넘침 방지 턱의 하측에 위치한 공간에 채워지는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유리는 상기 실란트에 안착되는, 접합유리용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가운데가 돌출되도록 휘어져, 양 끝단은 상기 홀더 바디에 결합되고, 돌출된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전극단자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접합유리용 홀더.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도선을 더 포함하는, 접합유리용 홀더.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의 상측 말단에서 상기 접합유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리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합유리용 홀더.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바디는,
    상하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제1 벽; 및
    상기 제1 벽의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벽의 사이에는 상기 접합유리가 배치되게 마련되는, 접합유리용 홀더.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00078A 2020-08-10 2020-08-10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KR10242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78A KR102425407B1 (ko) 2020-08-10 2020-08-10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78A KR102425407B1 (ko) 2020-08-10 2020-08-10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35A KR20220019535A (ko) 2022-02-17
KR102425407B1 true KR102425407B1 (ko) 2022-07-27

Family

ID=8049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78A KR102425407B1 (ko) 2020-08-10 2020-08-10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4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219A (ja) * 2000-03-15 2001-11-30 Ushio Inc 放電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68665A1 (en) * 2014-11-25 2016-06-02 View, Inc. Window antennas
KR102150024B1 (ko) * 2019-01-21 2020-08-31 코리아 오토글라스 주식회사 접합유리용 홀더 및 접합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219A (ja) * 2000-03-15 2001-11-30 Ushio Inc 放電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35A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098B1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JP4957048B2 (ja) 電子制御装置
US9099817B2 (en) Waterproof connector
US10199625B2 (en) Bus bar including thick portion connected to thin portion by bend portions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07425334B (zh) 连接器
US9331312B2 (en) Secondary battery
US9825272B2 (en) Wiring module
JP4600411B2 (ja) コネクタ
WO2016110886A1 (ja) 蓄電ユニット
US20180332722A1 (en) Substrate unit and substrate assembly, and camera module using same
CN105791642A (zh) 摄像头模块和用于车辆的摄像头
US5929739A (en) Fusible link
KR102425407B1 (ko) 접합유리 홀더 결합체 및 접합유리용 홀더
WO2019017209A1 (ja) コネクタ
JP6304748B2 (ja) 蓄電装置
WO2019073630A1 (ja) 半導体モジュールユニット
CN109964362B (zh) 具有简单感测结构的电池模块
KR101479078B1 (ko) 커넥터
JP3996904B2 (ja) 電子素子用の表面実装ベース
JPWO2019130880A1 (ja) 電池システム及び保持体
US11139135B2 (en)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and fusible link unit
JP2013235968A (ja) コンデンサ実装構造
KR20180018051A (ko)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6901118B2 (ja) コネクタ
JP429325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