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018B1 -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018B1
KR102424018B1 KR1020170078774A KR20170078774A KR102424018B1 KR 102424018 B1 KR102424018 B1 KR 102424018B1 KR 1020170078774 A KR1020170078774 A KR 1020170078774A KR 20170078774 A KR20170078774 A KR 20170078774A KR 102424018 B1 KR102424018 B1 KR 10242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boiler
information
arrival time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93A (ko
Inventor
조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07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0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제어 서버는, 보일러로부터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저장부 및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BOILOR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TIME OF ARRIVAL OF SETTING TEMPERATURE AND METHOD TEHEROF}
본 발명은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일러 시스템은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시설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최근 스마트홈 기술이 각광을 받으면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일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보일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보일러 시스템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보일러의 설정 온도에 대한 정보, 연료 사용량에 대한 정보(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4182호) 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래의 보일러 시스템은 현재의 실내 온도(이하, '현재온도'라 칭함)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실내 온도(이하 '설정온도'라 칭함)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보일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4182호
본 발명은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일러로부터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는 다른 보일러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상기 제2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보일러의 유사 장소에 상응하고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2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일러로부터 수신된 신규온도정보가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보일러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기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하고,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설정온도정보 및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현재온도정보를 전송하는 보일러;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보일러 시스템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에는 다른 보일러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상기 제2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보일러의 유사 장소에 상응하고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2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기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신규온도정보가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하고,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하는 보일러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은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제어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예상시간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출력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효율 판단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100)은 보일러(110), 보일러제어서버(120) 및 이동통신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일러(110)는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실내에 설치된 난방 배관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보일러(110)는 메인 장치(미도시), 댁내제어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장치(미도시)는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 배관에 온수를 공급하여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댁내제어장치(미도시)는 메인 장치(미도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실내 곳곳에 설치된 제어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보일러의 전원,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댁내제어장치(미도시)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실내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댁내제어장치(미도시)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정보(이하, '설정온도정보'라 칭함)를 생성하여 메인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장치(미도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실내 온도에 상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110)는 구비된 온도센서(특히 댁내제어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현재 온도에 대한 정보(이하, '현재온도정보'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보일러(110)와 이동통신망,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40)을 통해 연결되어 보일러(11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예를 들어, 설정온도정보, 현재온도정보 등)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보일러(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당해 보일러(110)가 설치된 장소의 현재의 실내 온도(이하 '현재온도'라 칭함)가 사용자의 희망한 온도(이하, '설정온도'라 칭함)로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설정온도정보가 생성된 시점'부터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시점'까지의 실제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이하, '최신도달시간정보'라 칭함)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효율에 대한 정보(이하, '보일러효율정보'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보일러제어서버(120)가 예상신호정보 및/또는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동통신단말기(130)는 보일러(110) 및/또는 보일러제어서버(120)와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폰, PC, 노트북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온도정보를 생성하여 보일러제어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고,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설정온도신호를 보일러(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보일러(110)는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40)는 보일러(110) 및/또는 보일러제어서버(120)로부터 현재온도정보, 설정온도정보 및/또는 예상시간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보일러(110)의 동작에 의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예상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40)는 보일러제어서버(120)로부터 보일러효율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보일러(110)의 현재 효율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보일러(1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온도정보 및 보일러(11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설정온도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보일러(110)의 동작에 따라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가 되기까지의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50) 등을 이용하여 당해 예상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보일러제어서버(120)가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제어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제어서버(12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140)에 접속된 보일러(110), 이동통신단말기(130) 등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보일러(110)로부터 현재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일러(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설정온도정보와 구비된 온도센서를 통해 생성된 현재온도정보를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10)는 현재온도정보 및/또는 설정온도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30)는 보일러(110)로부터 현재온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30)는 보일러(110)로부터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온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30)는 현재온도정보 및/또는 설정온도정보를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10)는 현재온도정보는 보일러(210)로부터 수신하고, 설정온도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수신된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하드디스크(Hard Disk),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공간일 수 있다. 저장부(230)에는 당해 보일러(110) 및 통신부(210)와 연결된 다른 보일러들(미도시)에 대한 도달시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달시간정보는 과거에 임의의 보일러가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로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달시간정보는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임의의 보일러가 A온도(시작온도)에서 B온도(목표온도)로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도달시간정보는 보일러정보(임의의 보일러의 일련번호 등과 같은 ID), 시작온도정보, 목표온도정보 및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도달할 때 소요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달시간정보는 임의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GPS정보, 지번정보, 동호수정보(다세대 건축물인 경우), 실내 면적 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당해 보일러(110)에 대한 도달시간정보'와 '다른 보일러(미도시)에 대한 도달시간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제1 도달시간정보로 칭하고 후자를 제2 도달시간정보로 칭한다.
제어부(220)는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정보'(이하 '제1 후보시간정보'라 칭함)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온도정보가 섭씨 20도 상응하고, 설정온도정보가 섭씨 25도에 상응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시작온도정보가 섭씨 20도 상응하고, 목표온도정보가 섭씨 25도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1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현재온도정보, 설정온도정보, 시작온도정보 및/또는 목표온도정보가 소수점을 포함하는 경우 소수점을 무시하거나 반올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어부(220)는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230)에 저장된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간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1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간이 '6개월 이전'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 시간부터 6개월 이전에 생성된 정보를 제1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시간부터 6개월 이내에 생성된 정보는 제1 후보시간정보로 독출될 수 없다.
결국 제어부(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독출하되, 미리 설정된 기간에 생성된 정보를 제1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개수가 10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독출된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10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온도에서 설정온도로 도달하는 예상 시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개수의 표본(즉 제1 후보시간정보)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판단 결과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220)는 독출된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독출된 복수의 제1 후보시간정보에 포함된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도달할 때 소요된 시간 정보'들의 평균값을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제어부(220)는 당해 보일러(110)가 설치된 지역과 유사한 장소(이하 '유사장소'라 칭함)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미도시)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간에 상응하는 정보들을 제2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보일러(110)가 설치된 장소가 다세대 주택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당해 다세대 주택과 동일한 건물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미도시)에 상응하는 제2 도달시간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만일 당해 다세대 주택과 동일한 건물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미도시)가 없다면, 제어부는(220)는 당해 다세대 주택과 다른 건물에 설치되었지만 당해 보일러가 설치된 실내 면적에 상응하는 제2 도달시간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방법에 따라 검출된 제2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독출하되, 미리 설정된 기간에 생성된 정보를 제2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독출된 제2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220)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독출된 복수의 제2 후보시간정보에 포함된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도달할 때 소요된 시간 정보'들의 평균값을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생성된 예상시간정보를 통신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입력된 예상시간정보를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수신된 예상시간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는데 까지 소요될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보일러(11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이벤트가 발생된 순간의 실내 온도에 대한 정보(이하,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설정온도정보가 생성된 후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변경될 때' 또는 '설정온도정보가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보일러(110)는 '설정온도정보가 생성된 후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만큼 변경될 때' 또는 '설정온도정보가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신규온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신규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신규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신규온도정보가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신규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신규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 또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한 후 예상시간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업데이트된 예상시간정보를 통신부(210)로 출력할 수 있고, 통신부(210)는 업데이트된 예상시간정보를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에 디스플레이된 예상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남은 시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비교 결과 신규온도정보가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제어부(220)는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현재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신규온도정보가 입력된 시간을 확인하여 최신도달시간정보(즉,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에 대한 정보, 이하 '소요시간정보'라 칭함)를 생성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최신도달시간정보는 추후 제1 도달시간정보 또는 제2 도달시간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여기서 최신도달시간정보는 소요시간정보 외에 보일러정보, 시작온도정보, 목표온도정보 및/또는 최신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시작온도정보 및 목표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가장 먼저"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시작온도정보 및 목표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가장 먼저 생성된 것을 '과거시간정보'로서 독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최신도달시간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도달시간정보에 포함된 소요시간정보가 50분이고, 최신도달시간정보에 포함된 소요시간정보가 1시간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동일한 조건에서 실내 온도를 올리기 위하여 과거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점보다 최근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점에서 10분이 더 소요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제어부(2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인 50분을 기준으로 최신도달시간정보인 10분이 증가하였으므로 20%의 시간이 증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보일러(210)의 효율이 80% 정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80%에 상응하는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생성된 보일러효율정보를 통신부(210)로 출력할 수 있고, 통신부(210)는 입력된 보일러효율정보를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수신된 보일러효율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당해 보일러(110)의 효율을 인지하여 수리 또는 교체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100)은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하고, 당해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보일러(110)의 효율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예상시간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출력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30)에 현재온도가 섭씨 20도이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온도가 섭씨 25도인 경우가 예시된다. 이때 보일러제어서버(120)에서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예상시간정보가 45분이고, 예상시간정보가 이동통신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예상 도달 시간 45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일러제어서버(120)의 각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일러제어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S41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단계 S430의 판단 결과,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독출된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독출된 복수의 제1 후보시간정보에 포함된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도달할 때 소요된 시간 정보'들의 평균값을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단계 S430의 판단 결과, 제1 후보시간정보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당해 보일러(110)가 설치된 지역과 유사한 장소(이하 '유사장소'라 칭함)에 설치된 다른 보일러(미도시)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간에 상응하는 정보들을 제2 후보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독출된 제2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독출된 복수의 제2 후보시간정보에 포함된 '시작온도에서 목표온도까지 도달할 때 소요된 시간 정보'들의 평균값을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생성된 예상시간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30) 및/또는 보일러(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상시간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30) 및/또는 보일러(110)는 예상시간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실내 온도가 희망 온도에 도달하는데 소요될 예상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보일러(110)에서 수신된 신규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를 비교하여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신규온도정보가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지 않으면 제어부(220)는 신규온도정보와 설정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반면, 신규온도정보가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여 구비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S490). 최신도달시간정보는 추후 제1 도달시간정보 또는 제2 도달시간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의 효율 판단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효율 판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일러제어서버(120)의 각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일러제어서버(1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최신도달시간정보는 소요시간정보 외에 보일러정보, 시작온도정보, 목표온도정보 및/또는 최신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S51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최신도달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가장 먼저"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시작온도정보 및 목표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가장 먼저 생성된 것을 '과거시간정보'로서 독출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최신도달시간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단계 S520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른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도달시간정보에 포함된 소요시간정보가 50분이고, 최신도달시간정보에 포함된 소요시간정보가 1시간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보일러제어서버(120)는 동일한 조건에서 실내 온도를 올리기 위하여 과거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점보다 최근도달시간정보가 생성된 시점에서 10분이 더 소요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과거도달시간정보인 50분을 기준으로 최신도달시간정보인 10분이 증가하였으므로 20%의 시간이 증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보일러(210)의 효율이 80% 정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일러제어서버(120)는 80%에 상응하는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보일러제어서버(120)는 생성된 보일러효율정보를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보일러(110) 및/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수신된 보일러효율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당해 보일러(110)의 효율을 인지하여 수리 또는 교체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100)은 현재온도가 설정온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계산이 가능하고, 당해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보일러(110)의 효율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 방법, 도달 시간을 이용한 보일러 효율 판단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보일러시스템
110 : 보일러
120 : 보일러제어서버
130 : 이동통신단말기
140 : 네트워크

Claims (16)

  1. 보일러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에는 다른 보일러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상기 제2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보일러의 유사 장소에 상응하고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2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2. 보일러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현재온도정보 및 설정온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가 하나 이상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입력되면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일러로부터 수신된 신규온도정보가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하고,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보일러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기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9.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설정온도정보 및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현재온도정보를 전송하는 보일러;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공간에는 다른 보일러에 대한 제2 도달시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상기 제2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보일러의 유사 장소에 상응하고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2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2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시스템.
  10.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설정온도정보 및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생성한 현재온도정보를 전송하는 보일러;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보일러에 대한 제1 도달시간정보 중 상기 현재온도정보 및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는 제1 후보시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예상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제어 서버;
    를 포함하되,
    상기 보일러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신규온도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신규온도정보가 상기 설정온도정보에 상응하면 최신도달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에 상응하는 제1 도달시간정보 중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생성된 것을 과거도달시간정보로 독출하여,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와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제1 후보시간정보의 평균값을 상기 예상시간정보로 생성하는 보일러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예상시간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하는 보일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과거도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한 상기 최신도달시간정보의 증가율을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생성하는 보일러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 서버는 상기 보일러효율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보일러로 전송하는 보일러 시스템.
KR1020170078774A 2017-06-21 2017-06-21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KR10242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74A KR102424018B1 (ko) 2017-06-21 2017-06-21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74A KR102424018B1 (ko) 2017-06-21 2017-06-21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93A KR20180138493A (ko) 2018-12-31
KR102424018B1 true KR102424018B1 (ko) 2022-07-25

Family

ID=6495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74A KR102424018B1 (ko) 2017-06-21 2017-06-21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4372A (ja) 2012-02-23 2013-09-05 Yazaki Energy System Corp 空調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19B1 (ko) * 2004-11-19 2006-09-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온돌난방 예측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697607B1 (ko) * 2015-05-19 2017-01-20 (주) 솔텍시스템 냉난방 제어 장치, 냉난방 장치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70004182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나노켐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보일러 단독 가스사용량 검출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4372A (ja) 2012-02-23 2013-09-05 Yazaki Energy System Corp 空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93A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283B1 (en) Thermostat control based on activity within property
US10655876B1 (en) Dynamically programmable thermostat
EP34707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heating of air conditioner compressor
KR101724135B1 (ko)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6129280B2 (ja) 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09022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appliances
US201300675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8870753B (zh) 一种智能热水器的控制方法及智能热水器
JP2015104171A (ja) 電力需要予測装置、電力需要予測方法および電力需要予測プログラム
RU2628929C2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CN107306383B (zh) 推定操作者的方法、装置以及记录介质
KR20170129551A (ko) 스마트 홈 기반 실내 환경 제어모드 추천 장치 및 방법
US201900681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115111816A (zh) 用于检测电子膨胀阀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40032137A1 (en) Heating system state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and device
KR102424018B1 (ko) 설정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 계산이 가능한 보일러 시스템 및 그 계산 방법
JP5633918B2 (ja) 電気機器判別装置、電気機器判別方法および電気機器判別プログラム
KR101684466B1 (ko) Leed 크레딧 산출 방법 및 leed 크레딧 산출 서버
JP5314813B1 (ja) 熱電併給システム
US10754405B1 (en) Power handling thermostat
JP202016756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15143638B (zh) 热水器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233016B1 (ko) 서버 및 홈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1821153B1 (ko) 보일러 난방 열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6511866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