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636B1 -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636B1
KR102423636B1 KR1020190139818A KR20190139818A KR102423636B1 KR 102423636 B1 KR102423636 B1 KR 102423636B1 KR 1020190139818 A KR1020190139818 A KR 1020190139818A KR 20190139818 A KR20190139818 A KR 20190139818A KR 102423636 B1 KR102423636 B1 KR 10242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information
audio
uniq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762A (ko
Inventor
황유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리굿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리굿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리굿즈
Priority to KR102019013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636B1/ko
Priority to PCT/KR2019/016468 priority patent/WO2021091003A1/ko
Publication of KR2021005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3Query formulation using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6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콘텐츠와 적어도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한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콘텐츠가 발견되면, 상기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copyright of content}
본 발명은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2차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텐츠의 제작 기술이 일반인에게도 널리 보급되고, 이를 유통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이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 1인 미디어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1인 미디어 시장은 단순히 콘텐츠를 취미 등의 차원에서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하거나 유상의 광고를 유치하여 수익화를 실현하는 것으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크게 문제되고 있다.
몇몇 메이저 콘텐츠 유통 플랫폼에서는 자체적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 타인의 저작권 침해가 의심되는 콘텐츠의 업로드 및 유통을 차단하는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타인의 저작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가지고 있지만, 이를 일부 변형 및 편집하는 2차 저작물을 차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음원 및 영상의 편집 기술이 발전하고 이러한 기술이 대중들에게 널리 보급됨에 따라 2차 저작물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그리고 콘텐츠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러한 2차 저작물에 대한 소비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차 저작물은 1차 저작자의 이용 허락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허락을 요청하거나 수익을 분배하는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정확도 높은 방법으로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저작물에 따른 수익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0315호 미국 등록특허 제953654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저작권에 의해 발생한 수익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저작물의 1차 저작물을 탐색하고, 1차 저작물과의 이용 관계를 용이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콘텐츠와 적어도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한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콘텐츠가 발견되면, 상기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할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추출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설정된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의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중 상기 노이즈 특징 정보에 따라 알맞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선택된 오디오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오디오 노이즈 특징에 대한 복수의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거나 포함하여 생성된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 중 상기 제2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구간의 길이 및 비중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에 기반하여 발생한 수익을 상기 제1 콘텐츠 기여분과 상기 제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서버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상기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서버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저작권에 의해 발생한 수익을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저작물의 1차 저작물을 탐색하고, 1차 저작물과의 이용 관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이 수행되는 서버를 포함한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중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중 오디오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하나의 단일한 서버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각 단계가 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의해서 구분되어 또는 협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아래에서는 하나의 서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각 단계가 둘 이상의 서버 장치에 의해서 구분되어 또는 협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작권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복수로 존재하여 각각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서버(100)는 통신부(110), 고유정보 추출부(120), 탐색부(130), 판단부(140),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및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서버(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 단계를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은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100),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S300),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 제1 콘텐츠 수익을 제1, 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S600) 및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1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동영상, 음악,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저작물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콘텐츠가 음악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서버(100)는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콘텐츠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가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업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공받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제1 콘텐츠 데이터 또는 제1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등을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유정보란 제1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구분시킬 수 있는 고유한 특징들만 추출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유정보는 제1 콘텐츠 자체보다 용량 및 크기가 작아 제1 콘텐츠의 내용 전체를 비교·분석할 필요 없이 교유정보만을 비교·분석하여 콘텐츠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유정보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핑거프린트 정보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핑거프린트 정보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오디오 콘텐츠인 경우 멀티미디어 핑거프린트 정보는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는 오디오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서 추출된 메타 데이터이다.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는 경우에 따라 저작권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가 삽입되어 오디오 콘텐츠가 생성된 이후에 유통되는 과정에서도 그 저작권자,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정보를 추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이용하면 쉽게 콘텐츠간의 동일성 및 유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고유정보는 예를 들어, 워터마크 등 핑거프린트와 구분되는 다른 형태의 메타데이터인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는 구체적인 세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는, 제1 콘텐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S210),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0), 오디오 신호의 고유정보 추출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230) 및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콘텐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S210)는 제1 콘텐츠가 오디오 콘텐츠가 아닌 동영상 콘텐츠일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콘텐츠로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영상에서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여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단계(S210)는 제1 콘텐츠가 오디오 콘텐츠인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0)는 제1 콘텐츠에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원본 신호만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식의 노이즈 제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고, 그 특징 정보에 알맞은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 단계(S220)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0)는,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21), 유형에 맞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S222) 및 선택된 오디오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21)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유형 및 특징 등을 파악하여 콘텐츠의 유형 및 특징에 따른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가 콘서트 녹음 콘텐츠라는 특징을 가질 경우, 이러한 제1 콘텐츠에는 유형화된 노이즈(관객들의 환호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콘텐츠가 특정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고 나래이션이 포함된 개인 방송이라는 특징을 가질 경우, 이러한 제1 콘텐츠에는 나래이션이 유형화된 노이즈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보다 세부적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21)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오디오 노이즈 특징에 대한 복수의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S221a)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S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에 오디오 노이즈 특징에 대한 복수의 유형을 제공하는 단계(S221a)는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콘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21a)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업로드하려는 또는 업로드한 제1 콘텐츠가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선택하라는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정식 발매된 음원, 편집된 음원, 콘서트 등에서 녹음된 음원 및 음원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콘텐츠 등의 보기를 제공하고 이러한 보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S221b)는 사용자가 이러한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유형에 맞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S222)는 서버(100)가 복수의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중 노이즈 특징 정보에 따라 유형에 맞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이전 단계(S221b)에서 수신된 오디오 노이즈 특징에 대한 유형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100)는 복수의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거나 이를 외부에서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어 있을 수 있다.
선택된 오디오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3)는 서버(100)가 이전 단계(S222)에서 선택된 오디오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서버(100)는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220)가 완료되면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서버가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0)가 수행되기 전에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추출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오디오 신호의 추출 대상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간 구간을 설정하는 것은 서버(100)에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추출 대상 구간이 설정되면 해당 구간을 대상을 핑거프린트 정보 생성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이후의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가 확보되면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S300)가 수행된다.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S300)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제1 콘텐츠와 적어도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한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S300)는 서버(100)가 보유하고 있는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160) 또는 서버(100)가 접근 가능한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제2 콘텐츠가 될 수 있는 후보군 고유정보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이 알고리즘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두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얼마나 유사한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알고리즘에 의해 판단된 일치 정도 및 유사 정도 등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와 적어도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한 제2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이 단계(S300)에서 제2 콘텐츠가 탐색되면 다음의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로 진행한다. 그러나 이 단계(S300)에서 제2 콘텐츠가 탐색되지 않으면,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는 진행되지 않고,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가 진행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이전 단계(S300)에서 제2 콘텐츠가 발견된 경우에 수행된다.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를 직접 비교하거나,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제2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판단된다.
여기서,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제2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것은 상술한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S300)에서 사용된 알고리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 중 제2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구간의 길이 및 비중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이라는 것은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거나 포함하여 생성된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서는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의 최초 창작 시점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이전 단계(S300)에서 제2 콘텐츠가 발견된 경우에 수행된다. 그리고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는,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는 서버(100)가 제2 콘텐츠의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읽어와 상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서버(100)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통신부(110)가 포함된 서버(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 통신부(110)가 포함된 서버(100)가 접근 가능한 별도의 서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저작권 이용 정보란 해당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이 해당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허용한다면 구체적인 허용 조건, 허용 유형, 허용 시기 및 허용 지역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작권 수익 정보란 해당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이 해당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이용할 경우 발생하는 수익의 조건(최소 또는 최대 콘텐츠 이용료), 분배비율, 정산방법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콘텐츠에 의해 발생한 수익을 1차 콘텐츠 기여분과 2차 콘텐츠 기여분으로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가 수행되고 나면, 사용자는 제공받은 이용 및 수익 정보에 동의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제공받은 이용 및 수익 정보에 동의한다면 제1 콘텐츠는 서버(100)에서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게 된다.
제1 콘텐츠 수익을 제1, 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S6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콘텐츠의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수행된다.
만약, 제1 콘텐츠의 서비스 제공이 개시되었으나 별도의 제1 콘텐츠로 인한 별도의 수익은 발생하지 않고, 제2 콘텐츠를 이용함에 따른 이용료를 과금해야 할 경우, 서버(100)는 제1 콘텐츠의 창작자 또는 서비스 수혜자에게 이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제1 콘텐츠 수익을 제1, 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S600)에서 서버(100)는 제1 콘텐츠에 기반하여 발생한 수익을 제1 콘텐츠 기여분과 제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한다.
서버(100)는 수익을 구분한 이후에 구분된 수익을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의 창작자 또는 서비스 수혜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는 서버(100)가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저장된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는 제1 콘텐츠가 다른 제3 콘텐츠의 1차 저작물로 사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에서,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 뿐만 아니라 제1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는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제1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는 서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콘텐츠는 2차 저작물이면서 1차 저작물인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콘텐츠는 제2 콘텐츠를 이용한 2차 저작물이면서, 제3 콘텐츠에 대한 1차 저작물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100)가 제3 콘텐츠를 수신하고, 제3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면, 1차 저작물로 제2 콘텐츠가 탐새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제3 콘텐츠에 의해 발생한 수익은 제1 콘텐츠 기여분, 제2 콘텐츠 기여분 및 제3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는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0) 이후라면 어느 시점에서든지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700)는 제1 콘텐츠가 제2 콘텐츠의 2차 저작물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이후이면서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 이전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저작권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버
110: 통신부
120: 고유정보 추출부
130: 탐색부
140: 판단부
150: 저작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고유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2)

  1.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콘텐츠와 적어도 일부 일치하거나 유사한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콘텐츠가 발견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제2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거나 포함하여 생성된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 상기 2차 저작물은 1차 저작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1차 저작물을 일부 변형 및 편집한 것임 -;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2차 저작물인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는 2차 저작물이 상기 제2 콘텐츠를 1차 저작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 허용한다면 구체적인 허용 조건 및 수익의 분배비율과 정산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에 동의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에 기반하여 발생한 수익을 상기 제1 콘텐츠 기여분과 상기 제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저작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 중 상기 제2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구간의 길이 및 비중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상기 제1 콘텐츠와 제2 콘텐츠의 최초 창작 시점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오디오 노이즈 특징에 대한 복수의 유형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추출 대상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오디오 신호의 설정된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핑거프린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 특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복수의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 중 상기 노이즈 특징 정보에 따라 알맞는 오디오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선택된 오디오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오디오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에 기반하여 발생한 수익을 상기 제1 콘텐츠 기여분과 상기 제2 콘텐츠 기여분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서버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고유정보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상기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서버가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콘텐츠의 고유정보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저작권 이용 및 수익에 관한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KR1020190139818A 2019-11-04 2019-11-04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KR10242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18A KR102423636B1 (ko) 2019-11-04 2019-11-04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PCT/KR2019/016468 WO2021091003A1 (ko) 2019-11-04 2019-11-27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18A KR102423636B1 (ko) 2019-11-04 2019-11-04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762A KR20210053762A (ko) 2021-05-12
KR102423636B1 true KR102423636B1 (ko) 2022-08-18

Family

ID=7584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818A KR102423636B1 (ko) 2019-11-04 2019-11-04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3636B1 (ko)
WO (1) WO2021091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358B1 (ko) * 2021-11-24 2024-03-11 주식회사 샵캐스트 개인방송 서비스의 저작물 이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315B1 (ko) 2004-06-03 2005-04-07 (주)뮤레카 오디오 유전자 생성 및 검색을 이용한 저작권 관리시스템및 관리방법
KR100782055B1 (ko) * 2005-05-25 2007-12-04 (주)뮤레카 오디오유전자를 이용한 음악관련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838208B1 (ko) * 2006-11-30 2008-06-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제공 서버와, 이를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웹하드 서버
KR20070110813A (ko) * 2007-10-02 2007-11-20 (주)코인미디어 랩 복제콘텐츠를 포함한 매체 내 광고 수익 분배 방법
US9177209B2 (en) * 2007-12-17 2015-11-03 Sinoeast Concept Limited Temporal segment based extraction and robust matching of video fingerprints
KR101002217B1 (ko) * 2008-06-30 2010-12-20 (주)와이즈피어 디지털 저작권 보호/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1214A (ko) * 2012-11-13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US9536546B2 (en) 2014-08-07 2017-01-03 Google Inc. Finding differences in nearly-identical audio record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003A1 (ko) 2021-05-14
KR20210053762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58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video signal processing
US202000580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tent treatment
US201901143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CN103282931B (zh) 包括旋律识别和选择退出的联合
US8126918B2 (en) Using embedded data with file sharing
US8055899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digital watermarking and identifier extraction to provide promotional opportunities
US8924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979464B2 (en) Associating rights to multimedia content
US200600313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file sharing
CN104050217B (zh) 媒体内容替换方法和系统
US201400410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transferring and removing previously owned digital media
JP2004537760A (ja) 録音の多段階識別関連出願の相互参照本出願は、「デジタル音楽の多段階識別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題された米国仮出願第60/308,594号(発明者:デールT.ロバーツ(DaleT.Roberts)ら、出願日:2001年7月31日)に関連し、これを優先権主張するとともに、本願明細書に援用するものである。
US2010028720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elementary content portions from an edited content
KR20020041328A (ko) 음악 또는 다른 미디어에서 디지털 워터마킹을 이용하는방법들 및 시스템
US20170116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digital work
KR102423636B1 (ko)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KR100838208B1 (ko)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제공 서버와, 이를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웹하드 서버
KR101612997B1 (ko) 내용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단말기 간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776A (ko) 동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3431B1 (ko)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74338A (ko)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1189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30079291A (ko)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제공 서버와, 이를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 및 웹하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