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502B1 - 필터그룹 - Google Patents

필터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502B1
KR102423502B1 KR1020167031731A KR20167031731A KR102423502B1 KR 102423502 B1 KR102423502 B1 KR 102423502B1 KR 1020167031731 A KR1020167031731 A KR 1020167031731A KR 20167031731 A KR20167031731 A KR 20167031731A KR 102423502 B1 KR102423502 B1 KR 10242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wall
central axis
filter
filt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743A (ko
Inventor
조르지오 지론디
Original Assignee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7000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2Installation or removal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15Bayonet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B01D2201/4053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using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2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 F01M2001/103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comprising centrifugal filt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인 관형 필터벽(33) 및 상기 필터벽(33)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30)로서, 지지 플레이트(32)는 필터벽(30) 맞은편에 지지 플레이트(32)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필터벽(33)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을 정의하며 필터벽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3412,3413;2132,2133)를 정의하는 후킹바디(34,2120)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필터그룹{A FILTER GROUP}
본 발명은 필터그룹 및 필터그룹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를 지지하도록 예정된 지지바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분야, 가령 자동차 또는 중대형 차량 등의 분야에서 연료, 오일 또는 연소공기용 필터그룹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내연기관 분야에서 디젤의 여과는 일반적으로 유체가 여과되는 유입구 및 여과된 유체의 배출구가 제공된 외부 케이싱을 구비한 그룹과, 피여과 유체의 유입구와 함께 소통챔버를 정의할 수 있는 필터 카트리지로 획득된다.
이런 식으로, 필터그룹의 유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흐르는 유체는 가능하게는 안에 있는 불순물을 잡아두는 필터벽을 통과하도록 강제된다.
대표적인 필터 카트리지는 관형 형상이며 상부 및 하부의 2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갖는 필터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필터벽의 대향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지지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통상적으로 필터벽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된 중앙 개구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필터벽의 내부 공간은 필터벽이 안에서 밖으로 횡단되도록 구성된 경우에 피여과 유체의 유입구, 또는 필터벽이 밖에서 안으로 횡단되도록 구성된 경우 여과된 유체의 배출구와 소통하게 설정된다.
이런 타입의 필터들에서 케이싱은 대개 필터 카트리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바디를 포함하거나 지지바디에 연결된다.
몇몇 애플리케이션에서, ??터 카트리지의 설치 및 교체는 이동 및 기동 단계와 관련된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를 설치하는 직원의 일을 덜어주기 위한 시도로, 종래 기술은 필터 카트리지를 케이싱에 탈착식으로 후킹(hooking)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가령, 비이커 바디 또는 지지바디의 리드)을 제공한다.
제 1 타입의 이런 방안은 베요넷(bayonet) 결합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런 타입의 후크-업(hook-up)은 필터 카트리지에 정의된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돌기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돌기부가 지지 플랜지에 구현된 특수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어, 지지 플랜지를 향한 필터 카트리지의 적절한 축방향 평행이동 및 이에 따라 필터 카트리지의 축에 대해 적절한 회전에 의해 후크-업이 실행된다.
그러나, 이들 베요넷은 주로 후크-업의 필연적인 복잡함과 프로파일 돌기부의 역(逆)방향 언후킹(unhooking)이 방지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몇가지 단점들을 나타낸다.
이런 이유로, 실제로 필터 카트리지와 지지 플랜지(또는 케이싱) 간에 역회전을 차단하는 수단들, 가령 가요성 타입의 디바이스들, 미로식 프로파일 또는 스레드식 기구들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이들 차단 시스템들은 한편으로는 시간에 걸쳐 특히 필터 카트리지의 반복된 교체 후에 매우 신뢰할 수 없고 내구력이 없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 상기 차단 시스템들로 필터 카트리지와 케이싱(지지바디)의 생산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필터 카트리지를 교체하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 동안 필요로 하는 시간의 증가로 인한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베요넷 결합에 대한 대안으로 공지된 제 2 타입의 후크는, 스냅-핏(snap-fit) 후크가 보이지 않게 숨기는 지지바디에 대한 후킹동작 동안에서와 같이, 하지만, 특히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하도록 예정된 지지바디(케이싱)에 비해 무게와 크기가 많이 나가고 후킹수단의 정확한 위치지정이 어려운 타입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액셜-핏(axial-fit) 후크의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오히려 어려운 이런 타입의 필터 카트리지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필요성은 특히 튼튼하고 이에 따라 제거하기가 어려운 축방향 스냅-핏을 반드시 구현하게 한다.
이런 결함들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디에 대한 카트리지의 지향수단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어, 일단 정렬된 다음 상기 수단들은 후킹티스(hooking teeth)와 후킹시팅(hooking seating) 간에 역(逆)후킹을 위해 축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게 되며, 지향수단은 실제로 후킹티스를 후킹시팅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한다.
그러나, 필터 카트리지와 후킹티스 간에 역후킹이 안정적이도록 후킹티스가 축방향 굴곡에 큰 내성을 보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후킹시팅에 후킹티스를 푸시하는데 필요한 스러스트가 가끔 커야해서, 직원이 필터그룹을 어셈블리하기 쉽지 않다.
공지된 타입의 제 3 타입의 후크는 실질적으로 2개의 상술한 방안들의 혼합으로, 스냅-핏 후킹티스가 필터 카트리지의 축에 대해 역회전을 수행함으로써 지지바디 상에 있는 후킹시팅으로 스냅-핏되고, 가령 후킹시팅의 전체 측면 플랭크 위로 뻗어 있는 해당 램프와 함께, 지지바디로부터 필터 카트리지의 언후킹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 플랭크 상에 램프를 나타낸다.
또한, 지지바디의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의 회전 동안 후킹시팅을 향해 후킹티스를 가이드하도록 필터 카트리지에 대한 캠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형성된 생크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여하튼 후킹티스와 각각의 후킹시팅은 가령 후킹시팅에 대해 후킹티스의 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실린더부에 정의된다.
이들 공지된 타입의 후크에서 마주치는 첫 번째 단점은 이들이 가령 실질적으로 표준 치수를 갖는 실린더부로 구현되므로, 필터그룹에 적합하지 않은 필터 카트리지가 잘못 삽입되어 필터그룹의 지지바디에 후크될 수 있다는 사실로서, 이는 가령 필요에 따라 기능하지 못하거나 후크의 파손과 관계된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다.
이들 공지된 타입 후크에서 마주치는 두 번째 단점은, 베요넷 타입인지 하이브리드 타입(베요넷 및 스냅-핏)인지 간에, 후킹티스와 각각의 시팅 간에 후킹을 완료하는데 요구되는 회전각도가 실제로 후킹티스(또는 후킹시팅)의 각도 아크(arc)의 2배로 특히 크다는 것인데, 이는 작은 개수의 후킹티스들(가령 2개에서 4개)로 양호한 안정적인 후크-업을 보장하기 위해 너무 국한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안으로 종래 기술의 상술한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독립항에 언급된 본원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및/또는 특히 이점적인 태양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은 특히 실질적인 관형 필터벽 및 상기 필터벽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로서, 지지 플레이트는 필터벽 맞은편에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필터벽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로파일면을 정의하며 필터벽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를 정의하는 후킹바디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방안은 필터 카트리지의 회전이 포함되는 후킹에 필요한 회전각도를 줄이게 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지지바디에 후킹연결의 소정의 기계적 코히어런스를 보장할 수 있어 축방향 타입의 후크-업에도 또한 확장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일태양으로, 프로파일면은 필터벽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에 중심을 두며 실질적으로 아치형인 길이방향 중앙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후킹바디는 원주방향으로 프로파일면의 경계를 정의하는 2개의 대향한 측면 플랭크를 포함하고, 측면 플랭크는 수렴 면상에서 필터벽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수렴축에 놓인다.
이 방안을, 측면 플랭크는 후킹바디의 후크-업 및 해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완만한 드래깅 표면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후킹바디는 중심축 부근에 있고 코너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프로파일면의 경계를 반경방향으로 정의하는 프로파일 전면을 포함한다.
프로파일면은 이점적으로 오목부가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며 중심축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코너 부근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며 중심축에 더 가까이 있는 코너 부근에 볼록부를 나타낸다.
실제로, 프로파일면은 후킹바디용 캠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프로파일면은 이점적으로 실질적으로 불규칙한 사다리꼴 형을 나타내고, 더 작은 밑변이 필터벽의 중심축 가까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후킹바디는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승하고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버팀대가 제공된 후킹티스와 상기 버팀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후킹헤드를 포함하고, 프로파일면은 버팀대로부터 돌출한 후킹헤드의 표면에 의해 정의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형 벽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디스크형 벽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프로파일면을 정의하며 디스크형 벽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코너들을 정의하는 후킹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크형 벽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를 더 개시한다.
이 방안은 필터 카트리지의 회전이 포함되는 후킹에 필요한 회전각도를 줄이게 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지지바디에 후킹연결의 소정의 기계적 코히어런스를 보장할 수 있어 축방향 타입의 후크-업에도 또한 확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목적으로, 프로파일면은 디스크형 벽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에 중심을 둔 실질적으로 아치형인 길이방향 중앙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태양으로, 후킹바디는 실질적으로 디스크형 벽에 직각이고 (적어도 이상적인 연장으로) 원주상으로 프로파일면의 경계를 정의하는 2개의 대향한 측면 플랭크를 포함하고, 측면 플랭크는 수렴 면상에서 필터벽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수렴축에 놓인다.
측면 플랭크는 디스크형 바디로부터 상승하고, 원주방향에 대해, 후킹소자로부터 디스크형 벽의 바깥쪽 외주를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한 각각의 벽들에 의해 정의된다.
이 방안으로 일단 후크된 상태에서 필터 카트리지와 지지바디 간에 역회전을 차단 및/또는 한정하는 2개의 접촉면을 정의할 수 있다.
이들 벽들은 높이가 다르다.
이런 식으로, 지지바디로부터 필터 카트리지의 전용 언후킹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후킹바디는 이점적으로 디스크형 바디로부터 상승하고 프로파일면에 의해 아래 및/또는 위로 경계가 정해진 아치벽에 구현된 후킹 윈도우를 포함한다.
아치벽은 디스크형 벽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곡률 축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필터 카트리지와 지지바디 간에 기계적 호환성이 실질적으로 코히어런트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바디와,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필터그룹으로서, 필터 카트리지의 후킹바디는 지지바디의 후킹바디에 탈착식으로 후크될 수 있는 필터그룹을 더 개시한다.
후킹티스의 후킹헤드는 가령 축방향 유격으로 윈도우의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윈도우에 의해 정의된 후킹시팅에 일단 후크된 후킹티스는 축방향으로 유격되나, 축방향으로 지지바디에 구속된다.
후킹티스의 버팀대가 후킹헤드가 윈도우에 삽입될 때 디스크형 벽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한 벽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꼭 맞게 축방향으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후킹티스가 윈도우에 의해 정의된 후킹시팅에 일단 후크되면 원주방향으로 지지바디에 구속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실질적인 디스크형 지지바디와, 지지 플레이트와 지지바디 사이에 개입된 후킹수단에 의해 지지바디에 동축으로 탈착식으로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가 단부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관형인 필터가 제공된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상술한 바를 참조로 또한 별개로 보호될 수 있는 필터그룹에 관한 것으로, 후킹수단은 후킹부분이 프로파일 생크에 구현된 한 쌍의 대향한 후킹시팅들에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한 후킹티스를 포함하고, 각 후킹티스는 프로파일 생크의 아치벽에 구현된 윈도우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 생크는 각 윈도우의 일측에 원주상으로 위치되고 분할벽에 의해 떨어져 있는 하부영역을 포함하고, 하부영역은 가령 후킹티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윈도우의 중간 높이에 배열된 지지바디와 필터 카트리지 간에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안착면을 정의하고, 하부영역과 윈도우 간에 후킹티스를 이송하기 위해 중심축에 대해 업라이트와 후킹티스의 후킹부분 간에 스냅-핏이 정의된다.
이 방안으로, 후킹수단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필터그룹의 영역드레 있을 때조차도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로의 스냅-핏팅이 쉽고, 안전하며 신속해진다.
또한, 이 방안으로 인해 관련된 구조적 및 기능적 이점들과 함께 후킹수단은 스냅-핏 타입을 유지하면서 후킹 및 언후킹 모두에 가역적 이동으로 가이드되므로, 결합 및 결합해제의 간단함과 신속함을 향상시키면서 베요넷 후크-업의 대표적인 이점들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프로파일 생크는 분할벽의 밑변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횡으로 돌출한 제 1 벽을 포함하고, 제 1 벽은 실질적으로 휴지면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후킹티스는 우발적 후킹을 방지하며 각각의 후킹시팅에 일단 삽입된 다음 회전시 차단된다.
다시, 동일한 목적으로, 프로파일 생크는 프로파일 생크의 아치벽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횡으로 돌출하고 윈도우에 대해 제 1 벽의 대향측에 설비된 제 2 벽을 포함하고, 제 2 벽은 윈도우의 최대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큰 높이를 나타낸다.
실제로, 각 후킹티스는 각각의 후킹시팅에 결합시 제 1 벽과 제 2 벽 간에 원주방향으로 구속되고, 벽들의 다른 높이는 윈도우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방향 및 후킹티스의 퇴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파일 생크는 이점적으로 후킹시팅의 윈도우와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후킹시팅의 하부영역 사이에 개입된 실질적으로 원주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부는 프로파일 생크의 아치벽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나타낸다.
이 방안으로, 각각의 윈도우에 대한 후킹티스의 원주 정렬은 프로파일 생크의 후킹티스가 하부영역을 차지할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프로파일 생크는 각각의 후킹시팅에 또는 후킹시팅으로부터 각 후킹티스의 후킹 및 언후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강제 경로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태양으로, 경사램프는 하부영역의 상승부와 안착면 사이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아치벽은 곡률의 중심축을 향해 바라보고 중심축에 대해 오프세트된 오목부를 나타낸다.
이 방안으로, 각각의 후킹시팅에 후킹티스를 후킹 및 언후킹하는데 필요한 회전각도가 크게 제한된다.
또한, 본원의 방안으로 후킹시팅이 접근될 수 있다. 즉, 후킹티스의 적은 수의 변형들에 기계적으로 호환될 수 있고, 따라서 필터그룹을 유지할 때 일치하는 원래 부분들이 사용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승구역과 아치벽은 이점적으로 중심축으로부터 다른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하부영역의 안착면은 실질적으로 L형인 평면 전개를 나타내고, 원주방향에 대해 횡인 제 1 부는 제 1 벽의 상부 가장자리에 정의되고 제 2 부는 원주방향으로 상승부를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이런 방안으로, 결합티스가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 모두에서 프로파일 생크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실질적으로 하부영역의 내부에 꼭 맞게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으로, 각 후킹티스는 가령 반경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버팀대 및 (자유단부에서) 버팀대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해 뻗어 있고 중심축과 분할벽의 중심축으로부터 원단부 간의 거리보다 더 짧은 중심축으로부터 제 1 거리에 위치된 버팀대로부터 적어도 원단부가 제공되는 후킹헤드를 포함한다.
이 방안으로, 후킹시팅과 후킹티스 간에 기계적 호환성이 최적화된다.
후킹헤드는 이점적으로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들을 정의하는 프로파일 형태를 나타낸다.
후킹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밑변이 중심축에 가까이 있는 불규칙한 사다리꼴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방향 섹션을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역후킹 회전 동안 프로파일 생크와 후킹 티스 간에 접촉이 점차 진행되어 버팀대의 탄성 굴곡 및 이에 따른 역 스냅-피팅을 용이하게 한다.
버팀대는 이점적으로 오목부가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며 세장형 및 아치형을 갖는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방안으로, 버팀대는 두께가 같다면 휨에 대해 더 큰 내성을 나타낸다.
다시, 후킹티스의 버팀대의 적어도 일부는 상승부의 일부, 아치벽 및 프로파일 생크의 제 2 벽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헤드의 일부는 형성된 플랭크의 아치벽의 거리에 대해 적어도 동일한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필터그룹은 필터 카트리지의 필터벽의 중심축을 지지바디의 디스크형 벽의 중심축과 축방향으로 중심에 두도록 구성된, 필터 카트리지와 지지바디 간에 협력하는, 센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방안으로, 기동 공간의 열악한 가시성 및 열악한 이용가능성의 조건들을 포함한 각각의 윈도우에 후킹티스를 쉽게 근접시킬 수 있고, 따라서 지지바디에 필터 카트리지의 후킹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표들의 도면들의 도움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써 하기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드러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디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횡단면선 IV-IV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 1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 2 입체도이다.
도 7은 후킹티스가 각각의 후킹시팅에 삽입된 도 4의 제 3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의 입체도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세부내용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횡단면선 XI-XI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세부내용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세부내용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어셈블리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그룹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횡단면선 XV-XV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1 디마운트 구성의 도 14의 필터그룹의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횡단면선 XVII-XVII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2 디마운트 구성의 도 14의 필터그룹의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횡단면선 XIX-XIX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디마운트 구성의 도 14의 필터그룹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11의 입체도이다.
도 22는 도 5의 상세내용 XXII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디의 입체도이다.
도 24는 디마운트 구성과 마운트 구성 간에 중간 구성의 필터그룹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필터그룹의 후킹티스가 제공된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특히 도면(특히 도 14-20)을 참조로, 참조부호(10)는 가령 연료(예컨대, 디젤유), 오일, 공기 또는 내연기관 분야의 또 다른 유체용 필터그룹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필터그룹(10)은 적어도 필터 카트리지(30)에 대한 지지바디를 포함하고 정의할 수 있는 전체적으로 20으로 표시된 외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비어커형 바디(20)는 차례로 비어커 바디(21) 및 상기 비이커형 바디(21)를 막는데 적합한 커버(22)를 포함한다.
(도 14에서만 위에 있는) 커버(22)는 예에서 실질적으로 리드와 일치되고 비이커형 바디(21)의 개방 가장자리에 정의된 해당 스레드(외부)에 나사고정될 수 있는 스레드(내부)를 나타낸다.
커버(22)는 바람직하게는 중앙위치에 있는 배출도관(221)과 함께 커버(22)의 상단벽에 구현된 예에서 적어도 피여과 유체의 유입도관(220) 및 여과된 유체의 배출도관(221)을 제공한다.
배출도관(221)은 커버(22)에 동축으로 위치되고 제 1 실린더형 시팅(22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의 내부에 돌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필터 카트리지(30)를 지지하는 지지바디를 정의하는 비이커 바디(21)는 실질적인 디스크형 하단벽(210) 및 실질적인 실린더형 측벽(211)을 포함한다.
후킹바디는 예에서 가령 직경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2개의 대향 후킹시팅들(213)을 갖는 프로파일 생크(212)(특히 도 1-7, 14-20, 및 22를 참조)에 의해 정의된 하단벽(210)으로 드러난다.
예에서, 프로파일 생크(212)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2×2 및 가령 등거리의 4개의 후킹시팅들(213)을 포함한다.
각 후킹시팅들(213)은 프로파일 생크(212)의 각각의 아치벽(2120)에 구현된다.
도시된 예에서, 아치벽(2120)은 가령 실질적으로 만곡된 길이방향 축과 함께 (비이커형 바디(21)의 중심축에 직각인) 세장 횡단면을 나타낸다.
예에서,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직각인 면에 놓인 아치벽(2120)의 길이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을 향해 대면한 오목면과 함께 아치를 이룬다.
특히, 아치축(2120)의 길이방향 축은 하단벽(210)의 중심축에 대해 나란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의 중심이 된다.
후킹시팅은 가령 프로파일 생크(212)의 각 아치벽(2120)에 구현된 횡방향(즉,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지나는 윈도우(213)에 의해 정의된다.
가령, 윈도우(213)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나타내고(도 22의 세부내용 참조) 가령 비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직각인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에 의해 아래에, 가령 또한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지각인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에 의해 위에 경계 지어지며 하부 플랫면(2130)에 대해 평면에서 보면 이점적으로 겹친다.
가령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과 같은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은 비이커 바디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들(2132,2133)을 정의하는 프로파일 형태, 가령 다각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코너(2132)는 중심축에서 제 2 코너(2133)의 거리(D2)보다 작은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D1)(도 12 참조)를 나타낸다.
예에서, 제 1 코너(2132)는 아치벽(2120)의 (위에서 본) 평면도에서 우측 코너이다.
예를 들어,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의 형태와 같은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곡률이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을 향해 바라보는) 2개의 아치사이드가 제공된 아치형 사다리꼴이다.
실제로, (아치벽(2120) 및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과 같은)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은 실질적으로 아치형이며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아치벽(2120)과 동일한) 만곡부의 축의 중심에 놓인 길이방향 주축을 나타낸다.
또한, 윈도우(213)는 측면(2134)(도 22 참조)에 의해 (제 1 코너(2132), 즉 반경방향으로 더 안쪽의 코너를 포함한) 일측에서 닫히고, 남아 있는(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2)은 반대측에서 개방된다.
프로파일 생크(212)는 특히 각 아치벽(2120)의 일측, 즉, 각 윈도우(213)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되고 분할벽(2122)에 의해 분리된 하부영역(2121)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생크(212)의 하부영역(2121)은 아치벽(2120)의 높이보다 낮은 (하단벽(210)의) 높이를 나타낸다.
하부영역(2121)은 (반경방향으로 더 내부에) 제 1 코너(2132)를 포함한 윈도우(213)의 (닫힌) 측에 위치된다.
하부영역(2121)은 윈도우(213)의 가운데 높이, 즉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의 높이와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의 높이 사이의 중간에 설비된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안착면(2123)을 정의한다.
아치벽(2120)에 구현된 윈도우로부터 하부영역(2121)을 분할하는 분할벽(2122)은 윈도우(213)을 향하는 일측에 실제로 윈도우의 경계를 정하는 측면(2134)을 그리고 하부영역(212)을 향하는 타측에 아치벽(2120)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영역(2121)의 안착면(2123)을 연결하는 스텝의 높이를 정의한다.
예컨대, 분할벽(2122)은 실질적으로 다각형, 가령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하단벽(210)의 중심축에 직각인) 횡단면을 나타낸다.
예컨대, 분할벽(2122)의 횡단면은 가령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의 제 1 코너(2132)를 정의하는 (평면보기로 정렬된) 코너에 대해 맞은편 꼭지점에서 (완전히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을 나타낸다.
상기 예에서, 분할벽(2122)은 아치벽(2120)의 외부 플랭크에 의해 구현된다.
비스듬한 꼭지점(2124)은 거리(D3)만큼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다(도 12 참조).
프로파일 생크(212)는 가령 하단벽(210)의 외주를 향해 분할벽(2122)의 밑변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한 제 1 벽(212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벽(2125)은 실질적으로 곧은 (횡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축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벽(2125)의 길이방향 축은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 1 벽(2125)은 안착면(2123)과 실질적으로 같은, 실제로 안착면의 일부를 정의하는 높이를 나타낸다.
프로파일 생크(212)는 상기 프로파일 생크(212)의 아치벽(2120)으로부터 원주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예컨대, 하단벽(210)의 외주를 향해) 돌출하고 윈도우(213)에 대해 제 1 벽(2125)의 맞은편 측에 설비된 제 2 벽(2126)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 2 벽(2126)은 실질적으로 곧은 (횡방향으로의) 길이방향 축을 나타낸다.
또한, 제 2 벽(2126)의 길이방향 축은 반경방향에(그리고 또한 제 1 벽(212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예컨대, 제 1 벽(2125) 및 제 2 벽(2126)의 길이방향 축은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대해 오프세트된 지점에 수렴된다.
제 2 벽(2126)은 윈도우(213)의 최대 높이와 같거나 더 크고, 최대 높이라는 것은 윈도우(213)의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의 높이를 말한다.
상기 예에서, 제 2 벽(2126)은 프로파일 생크(212)의 아치벽(212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다; 실제로 제 2 벽(2126)은 아치벽의 전개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방향으로 전혀 방해 없는 아치벽의 연장이다.
프로파일 생크(212)는 실질적으로 주위로 길이방향 전개를 갖는 상승부(2127)를 더 포함하고, 상승부는 후킹시팅의 윈도우(213)와 원주방향으로 연속인 후킹시팅의 하부영역(2121) 사이에 개입된다.
예컨대, 상승부(2127)는 윈도우(213)에 대해(즉, 제 1 벽(2125)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제 2 벽(2126)으로부터, 가령 중간부에서, 분기된다.
실제로, 상승부(2127)는 프로파일 생크(212)의 아치벽(2120)(및 이에 따라 또한 제 2 벽(2126))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다.
상승부(2127)와 아치벽(2120)은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르며, 실제로 상승부는 아치벽(2120)의 중심축으로부터 (평균)거리보다 더 먼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으로부터의 (평균) 거리에 있다.
프로파일 생크(212)는 상승부(2127)와 하부영역(2121)의 안착면(2123) 사이에 개입된 경사램프(2128)를 포함한다.
경사램프(2128)는 약간의 기울기를 가지며 상승부(2127) 부근에 있는 제 1 부와 예컨대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에 나란한 셰이퍼(shaper)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에 연속이고 안착면(2123)에 근접한 제 2 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에서, 하부영역(2121)의 안착면(2123)은 실질적으로 L형인 평면전개를 나타내고, 아치벽(2120) 부근의 제 1 부는 원주전개에 대해 횡방향인 길이방향 전개를 나타내며 제 1 벽(2125)의 상부 가장자리에 의해 정의되고, 제 2 부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상승부(2127)에 의해 정의된다.
안착면(2123)의 제 2 부와 상승부(2127) 간에 개입된 경사램프(2128)는 실질적으로 이와 함께 원주방향으로 정렬된다.
실제로, 프로파일 생크(212)는 각 아치벽(2120)에 구현된 올라간 상부 가장자리가 제공된 폐쇄 프로파일을 원주방향으로 나타내고, 각 상승부(2127)와 각 제 2 벽(2126) 및 아래쪽 상부 가장자리는 (각각의 경사램프(2128)에 의해 올라간 상부면에 각각 연결된) 하부영역(2121)의 각 안착면(2123)에 구현된 올라간 상부 가장자리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된다.
필터그룹(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령 동축으로 케이싱(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에 의해,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이커 바디에 의해 예에서 정의된 지지바디에 후크될 수 있는 도 8-11, 31 및 21에 상세히 도시된 필터 카트리지(30)를 포함한다.
필터 카트리지(30)는 도시된 예에서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내부 부피를 정의하고 경계를 정하는 주름식 벽에 관형 형태의 필터벽(33)의 대향 단부들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31)와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를 포함한다.
필터 카트리지(30)는 필터벽(33)의 내부에 삽입되고 피여과 유체의 통과를 위한 관통개구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지지 코어들(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31)는 필터벽(33)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가운데 놓인 중앙홀(310)을 나타낸다.
특히, 상부 지지 플레이트(310)는 축방향으로 중앙홀(310)의 경계를 정의하고 연장시키는 실질적인 실린더형 중앙 생크(311)를 나타낸다.
중앙 생크(311)는 제 1 환형 개스켓(312)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시, 각각의 제 1 환형 개스켓(312)이 달린 중앙 생크(311)는 케이싱(20), 즉 커버(22)의 제 1 실린더 시팅(223)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는 가령 디스크형이다.
후킹바디가 필터벽(33)에 고정된 면의 맞은편에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의 표면으로부터 드러나고, 본 예에서 후킹바디는 가령 직경방향으로 반대인 한 쌍의 대향하는 오프세트된 후킹티스(34)이다.
상기 예에서,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는 2×2씩 반대로 그리고 가령 역방향으로 등거리인 4개의 후킹티스(34)를 포함한다.
각 후킹티스(34)는 가령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이 있는 버팀대(340)를 포함하고 버팀대의 하부 단부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로부터 분기되고 버팀대의 상부 단부는 자유롭다.
버팀대(340)는 도시된 예에서 가령 실질적으로 만곡된 길이방향 축을 갖는(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에 직각인) 세장 횡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예에서,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에 직각인 면에 놓인 버팀대(340)의 길이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필터 카트리지의 중심축을 향해 바라보는 오목면과 아치를 이룬다.
특히, 버팀대(340)의 길이방향 축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과 일치하거나 중심축에 매우 가까운 (나란하고 오프세트 량이 줄어든 오프세트로) 만곡부의 축의 중심에 있다.
후킹티스(34)의 버팀대(340)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상승부(2127), 제 2 벽(2126) 및 프로파일 생크(212)의 아치벽(2120)의 길이의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즉, 프로파일 생크(212)의 일부는 더 큰 높이를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필터 카트리지(30)가 동축으로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에 근접한 경우, 후킹티스(34)의 자유단부(즉, 버팀대(340))는 프로파일 생크(212)의 높이보다 더 큰 하나 이상의 부분들과, 즉, 상승 구역(2127), 제 2 벽(2126) 및 아치벽(2120)의 자유단부들 중에서 하나 이상과 접촉할 수 있다.
버팀대(340)는 제 1 벽(2125)과 제 2 벽(2126)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거리(가령 최소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약간 더 작은) 원주방향으로의 폭을 나타낸다.
실제로, 버팀대(340)는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30)와 비이커 바디(21) 간에 역 후킹-업 동안 제 1 벽(2125)과 제 2 벽(2126) 사이에 작은 주변 유격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후킹헤드(341)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버팀대(340)로부터 실질적으로 돌기해 뻗으면서 버팀대(340)의 자유 상단부로부터 분기된다.
예컨대, 후킹헤드(341)는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을 향해 버팀대(34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후킹헤드(341)의 일부는 이점적으로 특히 윈도우(213)의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및/또는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에서 프로파일 생크(212)의 아치벽(2120)의 거리와 적어도 같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를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후킹헤드(341)의 적어도 일부는 후킹시팅에서 후킹티스(34)의 축방향 보유를 위해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및/또는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에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겹치며 윈도우(213)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후킹헤드(341)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를 향해 평평하게 대면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한(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에 직각인) 제 1 프로파일면(3410)과, 가령 또한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가령 제 1 프로파일면(3410)에 평행한(또는 요건에 따라 경사진) 제 2 프로파일면(3411)을 포함한다.
제 2 프로파일면(3411)은 아치벽(212)의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 및 윈도우(213)의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로부터 떨어져 있다.
후킹헤드(341)(도 13 참조)에는 (축방향으로, 제 1 프로파일면(3410)과 제 2 프로파일면(3411)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버팀대(340)로부터 말단에 적어도 하나의 코너(3412)가 있고, 상기 코너는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과 분할벽(2122)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 간의 거리(D3)보다 더 작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d1)에 위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후킹헤드(341)는 가령 더 작은 밑변이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에 가까이 있는 실질적으로 불규칙한 사다리꼴과 일치하는 프로파일 형태를 나타내고, 프로파일 형태는 가령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 가까이에 라운드형인 (축방향으로 제 1 프로파일면(3410)과 제 2 프로파일면(3411)을 함께 연결할하는) 적어도 2개의 코너(3412,3413)를 정의한다.
코너(3412,3413)는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르고, 특히 제 1 코너(3412), 즉,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의 (아래에서 본) 평면도에서 좌측 코너는 제 2 코너(3413)의 거리(d2)보다 더 작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 1 코너(3412)는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과 분할벽(2122)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 간의 거리(D3)보다 더 작은 필터 카트리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d1)에 위치된 후킹헤드(341)의 코너인 반면, 제 2 코너(3413)는, 가령,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과 분할벽(2122)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 간의 거리(D3)와 같거나 더 큰 필터 카트리지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d2)에 위치된다.
제 1 코너(3412)와 제 2 코너(3413) 간에, 가령, 후킹헤드(341)는 가령 오목면이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고, 분할벽(2122)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의 비스듬한 프로파일을 실질적으로 보완하는 제 2 코너(3413) 가까이에 오목부(3415)가 제공된 프로파일면(3414)(도 13 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파일면(3414)은 가령 오목부에 인접하고, 오목면이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을 향해 대면한 제 1 코너(3412) 가까이에 볼록부(3416)를 포함한다.
후킹헤드(341)의 원주방향으로 마주보는 측면 플랭크(3417,3418)는 경사진 프로파일, 가령 반경방향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다른 경사를 나타내며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예컨대, 자유단부가 제 1 코너(3412)에 의해 정의된 후킹헤드(341)의 제 1 측면 플랭크(3417)는, 반경방향에 대해, 자유단부가 제 2 코너(3413)와 함께 정의된 제 2 측면 플랭크(3418)의 더 큰 경사(및 더 큰 길이)를 나타낸다.
후킹헤드(341)의 측면 플랭크(3417,3418)는 실제로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오프세트되며 가령 제 2 코너(3413)를 향해 이동된 수렴축에 수렴면 상에 놓인다.
후킹헤드(341)는 가령 후킹헤드(341)의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안착면(2123)에 놓이는 프로파일 생크(212)의 하부 영역(2121)에 실질적으로 꼭맞게 수용되도록 일치된다.
실제로, 후킹티스(34)가 프로파일 생크(212)의 하부영역(2121)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면, 후킹헤드(341)의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하부영역의 안착면(2123)에 놓인다.
동시에 비스듬한 꼭지점(2124)은 후킹헤드(341)의 프로파일면(3414)의 오목부(3415)에 기대어 놓이고 (또는 여하튼 후킹티스(34)에 대한 원주 접촉부를 정의하고) 경사램프(2128)의 제 2 부가 후킹티스(34)의 플랭크, 즉, 제 1 코너(3412) 가까이에 있는 후킹헤드(341) 및/또는 버팀대(340)에 기대어 놓인다(또는 후킹티스(34)에 대한 원주 접촉부를 정의한다).
이 위치에서, 가령, 제 1 코너(3412)는 하부영역(2121)의 내부에 배열되는 반면, 후킹티스(34)(즉, 버팀대(340) 및 후킹헤드(341))는 부분적으로 (가령 제 2 코너(3413)를 포함한 전진부와 함께) 윈도우(213) 및 (제 1 코너(3412)를 포함한 후퇴부와 함께) 하부 시팅(2121)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다.
필터그룹(10)의 가능한 실시예로, 센터링 수단(40)이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30)와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싱(20), 가령 비이커 바디(21)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센터링 수단(40)은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 길이방향축을 케이싱(20) 또는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과 축방향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센터링 수단(40)은,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가령 윈도우(213)에서 후킹티스(34)의 후킹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도 2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센터링 수단(40)은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에 동축으로 고정된 가령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또는 부분적으로 실린더형인 경계벽(41)을 포함한다.
경계벽(41)은 프로파일 생크(212)의 비이커 바디(31)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더 큰 내직경을 나타낸다.
경계벽(41)은 프로파일 생크(212)의 높이보다 더 큰 하단벽(210)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낸다.
예컨대 경계벽(41)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되고 가상 원주에 대해 정렬되며, 각각은 프로파일 생크(212)의 상승부(2127)와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경계벽(41)은 또한 연속 실린더형 생크일 수 있다.
실제로, 필터 카트리지(30)는 후킹티스(34)가 하단벽(210)을 향해 대면하며 비이커 바디(21)에 삽입되고, 후킹티스 그 자체, 즉, 대부분의 외부 원주면은 실질적으로 꼭 맞게 경계벽(41)에 들어가며, 경계벽은 실제로 비이커 바디(21)와 동축인 필터 카트리지(40)를 배치해,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후킹티스(34)를 끌어들여 윈도우(213)와 후크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센터링 수단(40)은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로부터, 즉, 필터벽(33)에 고정된 면에 대향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의 표면으로부터(후킹티스(34)가 상승하는 동일한 표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센터링 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센터링 소자(42)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와 동축이다.
센터링 소자(42)는 후킹티스(34)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센터링 수단(42)은 실질적으로 별 모양의 평면 단면도를 나타나지만, 그러나 임의의 형태(다면체 또는 심지어 회전체)로 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센터링 수단(40)은 가령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에 동축으로 정의된 센터링 시팅(43)을 더 포함하고 약간의 반경방향 유격으로 센터링 소자(42)를 수용할 수 있다. 센터링 소자(42)와 상대적인 센터링 시팅(43) 간의 결합은 비이커 바디(21)에 대해 동축 위치에 필터 카트리지(30)의 위치지정을 보장한다.
또한, 센터링 시팅(43) 간의 연결은 센터링 소자(43)가 축방향으로 센터링 시팅(43)의 내부에 삽입될 경우 가령 센터링 소자와 센터링 시팅 간에 그리고 이에 따라 비이커 바디(21)에 대해 필터 카트리지(30)의 (회전의 제한된 아크(arc)에 대해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역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센터링 시팅(42)은 실질적으로 다각형 또는 별 모양인 (별모양인 경우, 센터링 시팅(43)에 센터링 소자(42)의 부분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센터링 소자(42) 암의 폭보다 더 큰 암 폭을 가지며) 실린더형 공동을 나타낸다.
센터링 소자는 또한 후킹티스(34)의 높이에 대해 더 작은 양만큼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링 에이전트가 비이커 바디의 내부 공동으로 뻗어 있고 필터 카트리지의 중심 길이방향 축을 케이싱의 중심축과 축방향으로 정렬하도록 센터링 소자를 삽입할 수 있기에 충분한 높이를 갖는 원주방향 전개벽에 의해 경계지어진 센터링 시팅의 내부에 삽입된다.
센터링 소자(42)가 (동축으로) 비이커 바디의 하단벽(210)에 더 정의되고 센터링 시팅(43)이 가령 중앙홀(관통홀 또는 블라인드홀)에 의해 구현된 하부 지지 플레이트(32)에 더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가령 본 실시예에서) 센터링 소자(42)는 예를 들어 씰링을 개입함으로써 (하부 지지플레이트(32)로 이루어진) 센터링 시팅(43)에 꼭 맞게 삽입된 가령 밸브바디, 예컨대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필터그룹(10)의 기능 소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실제로, 필터 카트리지(30)는 후킹티스(34)가 하단벽(210)을 향해 대면하며 비이커 바디(21)에 삽입되면, 센터링 소자(42)는 실질적으로 꼭 맞게 센터링 시팅(43)에 들어가고, 센터링 시팅(43)은 실질적으로 비이커 바디(21)와 동축으로 필터 카트리지(40)를 배치하여 후킹티스(34)를 끌어들여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윈도우(213)와 후크된다.
상기를 고려하면, 필터그룹(1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필터그룹(10)을 어셈블리하기 위해 케이싱(20)이 개방되어, 즉, 커버(22)가 비이커 바디(21)로부터 제거되어, 비이커 바디(21)의 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령, 센터링 수단(40)의 도움으로) 필터 카트리지(30)를 축방향으로 먼저 삽입하기에 충분하다.
특히, 비이커 바디(21)의 내부 공동의 치수와 필터 카트리지(30)의 외부 부피로 인해 필터 카트리지는 비이커 바디(21)에 삽입된 다음 필터 카트리지(30)의 중심축이 실질적으로 비이커 바디(21)의 중심축과 동축이게 된다.
필터 카트리지(30)는 비이커 바디(21)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 지지 플레이트(32)는 기설정된 바람직한 방향 없이 그리고 가역적 접촉을 꾀하며 비이커 바디의 하단벽(210)을 향해 마주본다.
실제로, 후킹티스(34)의 제 2 프로파일면(3411)은 아치벽(2120)에서 상승부(2127) 및/또는 제 2 벽(2126)의 가령 프로파일 생크의 부분이 더 큰 높이를 나타내는 프로파일 생크(212)의 상부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프로파일 생크(212)는 필터 카트리지(30)에 대한 제 1 축방향 엔드-런 접촉부를 정의한다.
후킹티스(34), 즉, 후킹티스의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프로파일 생크(212)에 드래그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안착면(2123)에 각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안정적으로 놓이기까지 프로파일 생크(212)의 각각의 하부영역(2121)으로 들어갈 때까지, 가령 반시계방향으로, 중심축 주위로 회전시 필터 카트리지(30)를 동작시킴으로써 프로파일 생크(212)의 후킹 윈도우(213)에 대해 필터 카트리지(30)의 후킹티스(34)의 센터링이 얻어진다.
이 위치에서, 각 후킹티스(34), 특히 후킹티스의 후킹헤드(341)는 윈도우(213)에 의해 정의된 후킹시팅에 (원주방향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측면에 접해진다.
필터 카트리지(30)가 계속 회전하면, 후킹헤드(341)가 가령 제한된 각도(15-25°, 예컨대 21°)로 윈도우(213)에 들어가 이에 스냅-핏된다.
실제로, 후킹 회전 동안 (오목부(3415)로부터, 볼록부(3416)를 따라, 제 1 코너(3412)까지) 후킹헤드(341)의 프로파일면(3414)과 분할벽(2122)의 비스듬한 꼭지점(2124) 간에 역방향 드래깅은 반경방향상 외부방향으로 후킹티스(34), 즉, 버팀대(340)를 휘게 한다.
실제로, 후킹헤드(341)의 프로파일면(3414)의 볼록부(3417)는 가령 축방향 후킹 역회전 동안 분할벽(2122)과 후킹헤드(31) 간에 강제 접촉시 반경방향 굴곡으로 버팀대(340)를 밀도록 구성된 후킹티스(34)에 대한 캠 프로파일을 정의한다.
후킹 회전에 이어, 제 1 코너(3412)가 비스듬한 꼭지점(2124)을 지나고 후킹티스(34)가 실질적으로 윈도우(213)와 반경방향으로 정렬되면, 후킹티스는 윈도우와 후킹헤드(341)를 치합하도록 휴지위치로 탄성적으로 자유롭게 복귀한다.
특히, 후킹티스(34)가 휴지위치에 있는 이 후킹 구성에서, 후킹헤드(341)는 실질적으로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과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후킹티스(34)는 가령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윈도우의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에 놓일 때까지(또는 제 1 프로파일면(3410)이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에 놓일 때까지) 윈도우(213)를 따라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실제로, 필터 카트리지(30)는, 가령 자신의 무게에 의해, 하단벽(210)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고, 후킹헤드(341)의 제 2 프로파일면(3411)이 윈도우(213)의 하부 플랫 프로파일면(2130)에 놓인다.
이 근접한 위치에서, 각 후킹티스(34)의 버팀대(340)는 (후킹티스(34)의 측면과 각각의 벽(2125,2126) 간에 실질적인 정면 가역 접촉의 효과로 인해) 필터 카트리지(30)와 비이커 바디(21) 간에 임의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각각의 제 1 벽(2125)과 각각의 제 2 벽(2126)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입되어, 동시에 후킹티스(34)의 굴절 가능성도 방지한다.
후킹 위치에 있는 필터 카트리지(30)로, 비이커 바디(21)에 대한 관련된 커버(22)를 나사고정함으로써 케이싱(20)을 폐쇄할 수 있다.
비이커 바디(21)에 커버(22)의 막음에 이어, 필터 카트리지(30)의 축방향(또는 회전) 이동이 방지된다.
케이싱(20)으로부터 필터 카트리지(30)의 제거를 진행하기 위해, 필터그룹(10)의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 것과 관련해 실질적으로 반대로 아래와 같이 동작하면 충분하다.
먼저 커버(22)가 비이커 바디(21)로부터 나사풀리고, 커버(22)와 필터 카트리지(30) 간에 결과적으로 발생한 부착은 제 2 벽(2126)(및/또는 제 1 벽(2125)에 의해 가해진 원주방향 회전 차단 및 후킹티스(34)의 제 1 프로파일면(3410)에 윈도우(213)의 상부 플랫 프로파일면(2131)에 의해 가해진 결과적으로 발생한 임의의 축방향 차단에 대립된다.
커버(22)가 제거된 다음, 비이커 바디(21)의 하단벽(210)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방향으로 필터 카트리지(30)를 축방향 평행이동으로 작동시킨다면 충분하므로, 후킹티스의 제 2 프로파일(3411)은 하부영역(2121)의 안착면(2123)보다 더 큰 높이에 이르게 된다.
하단벽(210)으로부터 상승된(분리된) 필터 카트리지(30)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적절한 회전각도(가령 15-20°, 바람직하게는 21°)로 필터 카트리지(30)를 작동시킨다면 충분하다.
이 분리회전으로 제 1 코너(3412)는 비스듬한 꼭지점(2124)을 지나고 후킹티스(34)는 하부영역(2121)에 수용된, 가령 안착면(2123)에 놓이는, 휴지위치로 탄성적으로 자유롭게 복귀한다.
특히, 이 분리 구성에서 필터 카트리지(30)는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는 비이커 바디(21)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자유롭게 슬라이드한다.
고안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많은 변형 및 변경을 받을 수 있고, 모두가 본 발명의 개념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반경방향) 스냅-피팅 및 베요넷 피팅을 포함한 즉, 비이커 바디(21)에 대해 필터 카트리지(30)의 로토-평행이동(roto-translation)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후크-업이 기술되었으나, 역방향 후크-업은 가령 후킹헤드(341)가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윈도우(213)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들어갈 수 있는 축방향 스냅-핏이 될 수 있다.
또한, 등가로 프로파일 생크(212)가 비이커 바디(21)의 디스크형 벽(210)에 위치되는 필터 카트리지(30)와 후킹티스(34)의 지지 플레이트(32)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등가로, 비이커 바디(21)가 아니라 커버(22)에 구현된 (즉, 윈도우(213) 또는 후킹티스(34)에 제공되는 프로파일 생크(212))후킹바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상세한 내용들은 다른 기술적으로 등가의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들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모양 및 치수들은 하기 청구항들의 보호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요건에 따라 임의적일 수 있다.

Claims (19)

  1. 관형 필터벽(33) 및 상기 필터벽(33)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30)로서,
    지지 플레이트(32)는 필터벽(33) 맞은편에 지지 플레이트(32)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필터벽(33)의 중심축에 직각인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을 정의하며 필터벽(33)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3412,3413;2132,2133)를 정의하는 후킹바디(34,2120)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은 필터벽(33)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에 중심을 두며 아치형인 길이방향 중앙축을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후킹바디(34,2120)는 원주방향으로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의 경계를 정의하는 2개의 대향한 측면 플랭크를 포함하고, 측면 플랭크는 수렴 면상에서 필터벽(33)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수렴축에 놓이는 필터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후킹바디(34)는 중심축 부근에 있고 코너들(3412,3413)을 함께 연결할 수 있는 프로파일면(3410,3411)의 경계를 반경방향으로 정의하는 프로파일 전면(3414)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면(3414)은 오목부가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며 중심축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코너(3413) 부근에 오목부(3415) 및 볼록부가 중심축을 향해 대면하며 중심축에 더 가까이 있는 코너(3412) 부근에 볼록부(3416)를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은 불규칙한 사다리꼴 형을 나타내고, 사다리꼴 형의 더 작은 밑변이 필터벽(33)의 중심축 가까이 있는 필터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후킹바디는 지지 플레이트(32)로부터 상승하고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버팀대(340)가 제공된 후킹티스(34)와 상기 버팀대(34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후킹헤드(341)를 포함하고, 프로파일면(3410,3411)은 버팀대(340)로부터 돌출한 후킹헤드(341)의 표면에 의해 정의되는 필터 카트리지.
  8. 디스크형 벽(210)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직각인 프로파일면(2130,2131;3410,3411)을 정의하며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으로부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코너들(2132,2133;3412,3413)을 정의하는 후킹바디(2120,34)를 포함하는 디스크형 벽(210)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21).
  9. 제 8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면(2130,2131;3410,3411)은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에 중심을 둔 아치형인 길이방향 중앙축을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0. 제 8 항에 있어서,
    후킹바디(2120,34)는 디스크형 벽(210)에 직각이고 원주상으로 프로파일면(2130,2131;3410,3411)의 경계를 정의하는 2개의 대향한 측면 플랭크를 포함하고, 측면 플랭크는 수렴 면상에서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수렴축에 놓이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측면 플랭크는 디스크형 벽(210)으로부터 상승하고, 원주방향에 대해, 후킹바디(2120)로부터 디스크형 벽(210)의 바깥쪽 외주를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한 각각의 벽들(2125, 2126)에 의해 정의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2. 제 11 항에 있어서,
    벽들(2125, 2126)은 높이가 다른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3. 제 8 항에 있어서,
    후킹바디는 디스크형 바디(210)로부터 상승하고 프로파일면(2130,2131)에 의해 아래 및/또는 위로 경계가 정해진 아치벽(2120)에 구현된 후킹 윈도우(213)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아치벽(2120)은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세트된 만곡부의 축을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5. 제 13 항에 있어서,
    후킹 윈도우(213)의 일측에 원주상에 위치되고 분할벽(2122)에 의해 떨어져 있는 하부영역(2121)을 포함하고, 하부영역(2121)은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직각인 안착면(213)을 정의하고 후킹 윈도우(213)의 중간 높이에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
  16. 디스크형 벽(210)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에 직각인 프로파일면(2130,2131;3410,3411)을 정의하며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으로부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코너들(2132,2133;3412,3413)을 정의하는 후킹바디(2120,34)를 포함하는 디스크형 벽(210)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의 지지바디(21)와,
    관형 필터벽(33) 및 상기 필터벽(33)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32)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30)로서, 지지 플레이트(32)는 필터벽(33) 맞은편에 지지 플레이트(32)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고 필터벽(33)의 중심축에 직각인 프로파일면(3410,3411;2130,2131)을 정의하며 필터벽(33)의 중심축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중심축 부근에 적어도 2개의 코너(3412,3413;2132,2133)를 정의하는 후킹바디(34,2120)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30),
    를 포함하는 필터그룹(10)으로서,
    필터 카트리지(30)의 후킹바디(34,2120)는 지지바디(21)의 후킹바디(2120,34)에 탈착식으로 후크될 수 있는 필터그룹.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30)의 후킹바디는 지지 플레이트(32)로부터 상승하고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버팀대(340)가 제공된 후킹티스(34)와 상기 버팀대(34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후킹헤드(341)를 포함하고, 프로파일면(3410,3411)은 버팀대(340)로부터 돌출한 후킹헤드(341)의 표면에 의해 정의되며,
    지지바디(21)의 후킹바디는 디스크형 바디(210)로부터 상승하고 프로파일면(2130,2131)에 의해 아래 및/또는 위로 경계가 정해진 아치벽(2120)에 구현된 후킹 윈도우(213)를 포함하고,
    후킹티스(34)의 후킹헤드(341)는 축방향 유격으로 후킹 윈도우(213)의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필터그룹.
  18. 제 17 항에 있어서,
    후킹티스(34)의 버팀대(340)는 후킹헤드(341)가 후킹 윈도우(213)에 삽입될 때 디스크형 벽(210)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한 벽들(2125,2126) 간에 꼭 맞게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필터그룹.
  19. 제 16 항에 있어서,
    필터 카트리지(30)의 필터벽(33)의 중심축을 지지바디(21)의 디스크형 벽(210)의 중심축과 축방향으로 중심에 두도록 구성된, 필터 카트리지(30)와 지지바디(21) 간에 협력하는, 센터링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그룹.
KR1020167031731A 2014-05-15 2015-05-12 필터그룹 KR102423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E20140051 2014-05-15
ITRE2014A000051 2014-05-15
PCT/IB2015/000684 WO2015173624A1 (en) 2014-05-15 2015-05-12 A filter gro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743A KR20170007743A (ko) 2017-01-20
KR102423502B1 true KR102423502B1 (ko) 2022-07-21

Family

ID=5103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731A KR102423502B1 (ko) 2014-05-15 2015-05-12 필터그룹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35722B2 (ko)
EP (1) EP3142768B1 (ko)
JP (1) JP6453906B2 (ko)
KR (1) KR102423502B1 (ko)
CN (1) CN106714928B (ko)
BR (1) BR112016026608B1 (ko)
CA (1) CA2946352C (ko)
ES (1) ES2673626T3 (ko)
MX (1) MX356419B (ko)
WO (1) WO2015173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8789A1 (de) * 2016-05-20 2017-11-23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einrichtung
IT201600097797A1 (it) * 2016-09-29 2018-03-29 Ufi Filters Spa Involucro per assieme di filtrazione, assieme di filtrazione e assieme riscaldatore
DE102017010797A1 (de) * 2016-11-22 2018-05-24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und Fluidfilter mit drehbarem Bajonettring
PL3551315T3 (pl) * 2016-12-06 2022-10-03 Mann+Hummel Gmbh Tarcza końcowa, element filtracyjny z tarczą końcową i system filtracyjny
IT201800001611A1 (it) * 2018-01-22 2019-07-22 Ufi Filters Spa Gruppo filtrante
IT201800001629A1 (it) * 2018-01-22 2019-07-22 Ufi Filters Spa Gruppo filtrante
CN108130150B (zh) * 2018-02-08 2023-12-22 江苏优耐特过滤装备有限公司 一种天然气过滤器
CN110755953B (zh) * 2018-07-27 2023-10-20 上海索菲玛汽车滤清器有限公司 过滤单元
DE102019004927B3 (de) * 2019-07-15 2021-01-14 Daimler Ag Fluidfilter für einen Kraftwagen und Filterkartusche für einen Fluidfilter
DE102019005323A1 (de) * 2019-07-25 2021-01-28 Rt-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EP4091692A1 (en) * 2021-05-21 2022-11-23 MANN+HUMMEL GmbH A filter system with a filter element and a safety assembly, a safety assembly and a filter element
DE102021128604A1 (de) * 2021-11-03 2023-05-04 Mann+Hummel Gmbh Filterelement, Filtergehäuseteil, Filtersystem, und Verwendung eines Filterelements in einem Filter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511A1 (en) 2001-06-12 2002-12-19 Ufi Filters S.P.A. Liquid filter f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50000886A1 (en) 2003-07-01 2005-01-06 Reynolds Anita L. Filter assembly with slip thread
DE202007017614U1 (de) 2007-12-14 2009-04-30 Mann + Hummel Gmbh Ölfilter
JP2010502438A (ja) 2006-09-05 2010-01-28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1455A (en) * 1986-06-03 1989-10-03 Facet Enterprises, Inc. Filter assembly with lockable lug means
US5154823A (en) * 1991-10-30 1992-10-13 Woon-Hawk Engineering Plastics, Inc. Filter apparatus and distributor plate therefor
JPH11247639A (ja) * 1998-03-04 1999-09-14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用オイルフイルタ
EP1656193B1 (en) * 2003-04-10 2009-02-25 Pall Corporation Filter assemblies
ITRE20040002A1 (it) * 2004-01-15 2004-04-15 Ufi Filters Spa Filtro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JP4609027B2 (ja) * 2004-10-07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微小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DE102008062556A1 (de) * 2008-12-16 2010-06-17 Mahle International Gmbh Fluidfilter
DE102010016497A1 (de) 2010-04-16 2011-10-20 Hengst Gmbh & Co. Kg Kraftstofffilter mit Vor- und Haupt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511A1 (en) 2001-06-12 2002-12-19 Ufi Filters S.P.A. Liquid filter f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50000886A1 (en) 2003-07-01 2005-01-06 Reynolds Anita L. Filter assembly with slip thread
JP2010502438A (ja) 2006-09-05 2010-01-28 ポール・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および組立体
DE202007017614U1 (de) 2007-12-14 2009-04-30 Mann + Hummel Gmbh Öl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35722B2 (en) 2019-07-02
ES2673626T3 (es) 2018-06-25
CA2946352A1 (en) 2015-11-19
KR20170007743A (ko) 2017-01-20
MX356419B (es) 2018-05-29
US20170216745A1 (en) 2017-08-03
EP3142768A1 (en) 2017-03-22
EP3142768B1 (en) 2018-04-18
CA2946352C (en) 2022-10-18
MX2016014910A (es) 2017-07-19
WO2015173624A1 (en) 2015-11-19
CN106714928B (zh) 2018-06-12
JP2017515657A (ja) 2017-06-15
BR112016026608A2 (ko) 2017-08-15
JP6453906B2 (ja) 2019-01-16
CN106714928A (zh) 2017-05-24
BR112016026608B1 (pt)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502B1 (ko) 필터그룹
KR102394972B1 (ko) 필터 그룹
US20230330576A1 (en) Filter element
KR102632648B1 (ko) 필터 시스템 및 필터 엘리먼트
US20180036659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US10961956B2 (en) Filter with perforated end cap and pre-formed gasket capping perforations
EP2665535B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module
US20130075319A1 (en) Filter, Filter Element, Fastening Housing Part of a Filter Housing and Telescopic Switching Element of a Switching Device of a Releasable Detent Connection
BR112014001886B1 (pt) Unidade de filtragem
US20220288511A1 (en) Filter device
CN109789349A (zh) 液体过滤器组件
CN104379230A (zh) 在允许完成组装之前正确滤芯在流体过滤组件中的安装
US20230166208A1 (en) System comprising a connector for coupling to a fluid filter element, fluid filter elem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U2006212431B2 (en) A quick attach and safe release arrangement for a port of a water pump
US11260327B2 (en) Filter element having intermittent coupling with housing cover
US20200353386A1 (en) Filter for liquid fil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