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360B1 - 스마트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스마트 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360B1
KR102423360B1 KR1020220019657A KR20220019657A KR102423360B1 KR 102423360 B1 KR102423360 B1 KR 102423360B1 KR 1020220019657 A KR1020220019657 A KR 1020220019657A KR 20220019657 A KR20220019657 A KR 20220019657A KR 102423360 B1 KR102423360 B1 KR 10242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source unit
light
membra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근
이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조명 주식회사
(주)아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명 주식회사, (주)아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한국조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 막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막구조물은 막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부에서 상기 제2광원부의 빛을 반사하는 막부재; 상기 지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막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막지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막구조물{smart pavilion structure}
본 발명은 스마트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물은 지지골격에 경량의 막재료를 상부에 씌워 천막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야외 공원, 신호등 근방, 박람회 시설 등에 사용되고 있다.
막구조물의 구성 중 막재료는 코팅된 직물(coated fabrics)으로 구성될 수 있고, 투광성을 지녀 반 옥외적인 내부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막구조물에 있어서는 구조역학적인 무게의 분산이 중요하다. 특히, 접이식 막구조물은 하나의 지주가 넓은 범위의 무게를 수용해야 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가 중요하였다.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막구조물에 조명을 도입하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다. 조명의 무게를 충분히 감안하여 막구조물의 뼈대를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더라도 조명자체가 출력이 높다면 방열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방열판 등의 구성요소의 도입으로 무게가 무거워져 조명의 수가 늘어날 수록 시스템 조명을 구축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 중 하나는 방열 성능이 우수하여 별도의 방열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리드프레임을 개발한 바 있다(등록번호 10-1340029). 해당 리드프레임을 본 발명에서는 ‘자체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이라 부르기로 한다. 자체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리드프레임을 이용하여 어떤 막구조물의 기하학적 구조에도 중량의 부담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 조명 시스템까지 구축하고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분한 출력을 제공하면서 기능성도 갖춘 조명을 포함하는 스마트 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편의성, 위생성, 사용성이 강화된 스마트 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은 막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부에서 상기 제2광원부의 빛을 반사하는 막부재; 상기 지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막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막지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는 각각 자체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리드프레임을 포함하여 방열판을 요하지 않아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부착 설치되며,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는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파장대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정 영역에 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소정 영역에 사람이 들어오는 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광원부는 살균기능을 가진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2광원부는 조명용 빛을 조사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소정 영역에 사람이 들어온 경우 상기 제1광원부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2광원부를 구동하고, 사람이 없는 경우 상기 제1광원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2광원부를 구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정 영역에 대하여 제1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센서부; 및 상기 소정 영역과 다른 영역에 대하여 제2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시간 내에서, 상기 제1감지정보 및 상기 제2감지정보의 생성횟수 및 순서의 조합에 따라 미리 정의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소정 영역에 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정보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부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생성된 상기 감지정보의 생성횟수 및 순서의 조합에 따라 미리 정의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거운 방열구조 없이 고출력의 조명 그룹이 설치된 스마트 막구조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의성, 위생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스마트 막구조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의 전자적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의 전자적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의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의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전자적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스마트 막구조물(100)에 비하여 일방향으로 훨씬 긴 구조로 형성되어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전자적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개별제어부(120)가 제어가능한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가 연결된 단위 그룹이 여러개로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낸다. 각각의 단위 그룹에는 복수의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각각의 개별제어부(120) 또는 개별제어부(120),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12)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광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막구조물(100)은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개별제어부(120), 제1광원부(130), 제2광원부(140), 지주부(150), 제1연결부(160), 제2연결부(170), 막지지부(180), 막부재(190) 및 중앙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근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부(110) 근접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센서부(110)는 제어모듈도 포함하여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센서부(110)는 사람의 동작의 속도, 숫자, 규모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센서부(110)는 개별제어부(120) 및 중앙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센서부(110)와 개별제어부(120)는 물리적, 논리적으로 그 일부가 분리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여부에 대한 제1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생성된 제1감지정보를 개별제어부(120) 및 중앙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제1센서부(110)는 스마트 막구조물(100)을 이루는 골격 중 위치를 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센서부(110)는 지주부(150)에 설치하되, 제1연결부(160)의 높이보다는 낮게 설치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소정 범위의 복수의 제1광원부(130) 및 복수의 제2광원부(140)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범위는 제1센서부(110)의 감지정보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가 설치된 범위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제1광원부(130)들 및 제2광원부(140)들을 의미한다.
제2센서부(112)는 제1센서부(110)와 마찬가지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근의 동작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센서부(112) 근접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2센서부(112)는 제어모듈도 포함하여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센서부(112)는 개별제어부(120) 및 중앙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센서부(112)와 개별제어부(120)는 물리적, 논리적으로 그 일부가 분리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제2센서부(112)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여부에 대한 제2감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센서부(112)는 생성된 제2감지정보를 개별제어부(120) 및 중앙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제2센서부(112)는 스마트 막구조물(100)을 이루는 골격 중 위치를 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센서부(112)는 제1센서부(1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다르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센서부(112)는 사용자가 머리 위로 손을 들어야 감지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센서부(112)는 소정 범위의 복수의 제1광원부(130) 및 복수의 제2광원부(140)와 연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범위는 제2센서부(112)의 감지정보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가 설치된 범위 또는 이에 대응하는 제1광원부(130)들 및 제2광원부(140)들을 의미한다.
개별제어부(120)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제1광원부(130), 제2광원부(140) 및 중앙제어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개별제어부(120)는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12)가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개별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의 적어도 하나의 온/오프(on/off), 밝기, 작동 시간, 깜빡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1광원부(130)는 자체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리드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드프레임은 제1 파장대의 엘이디(LED)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리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제1광원부(130)는 제1연결부(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하방을 향하여 엘이디광이 조사되도록 설치된다.
제1광원부(130)가 제공하는 광원은 피부미용용, 살균용 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파장대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미용용 광은 약 660nm인 붉은 계열 가시광선과 약 850nm의 근적외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용 광은 자외선(UV) 광을 포함할 수 있으며, 200nm 내지 405nm의 파장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405nm(오차범위 5nm)의 가시광은 바이러스를 비활성화하는 데 효과가 있어 항 바이러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1광원부(130)들은 이들이 조사하는 범위 영역에 사람이 있는 경우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피부미용용 광을 조사하거나, 사람이 없는 경우 살균용 광을 조사하는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광원부(130)는 광조사 범위가 적어도 지주들 내부, 즉 막 내측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광원부(140)는 자체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리드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드프레임은 제2 파장대의 엘이디(LED)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리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광원부(140)는 제2연결부(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상방을 향하여 엘이디광이 조사되도록 설치된다.
제2광원부(140)가 제공하는 광원은 조명용 광 특히, 간접조명용 파장대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2광원부(140)가 제공하는 파장 영역은 조명용 파장 영역이라면 제한없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제2광원부(140)들은 이들이 조사하는 상부의 막부재(190) 범위에 대응하는 하부 면적을 광조사 범위로 할 수 있다. 제2광원부(140)는 광조사 범위가 적어도 지주들 내부, 즉 막 내측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주부(150)는 막구조물을 땅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수직방향 구조체이다.
지주부(150)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측으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및 개별제어부(120)는 지주부(150)를 형성하는 관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 미관을 깔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12)는 그 일부가 지주부(150) 외부로 돌출되거나 지주부(150)를 형성하는 관 외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160)는 지주부(150)와 지주부(150)를 연결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60)는 이를 이루는 관 내부에 지주부(150)와 마찬가지로 제1광원부(130)로 연결되는 배선이 이루질 수 있다.
제2연결부(170)는 지주부(150)와 지주부(150)를 연결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170)는 제1연결부(16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170)는 이를 이루는 관 내부에 지주부(150)와 마찬가지로 제2광원부(140)로 연결되는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막지지부(180)는 막구조의 지주부(150)와 연결부를 제외한 골격부분 중 주로 막부재(19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막지지부(180)는 응력의 분산과 막부재(190)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막지지부(180)의 상부에는 막부재(190)가 결합된다.
막부재(190)는 직물(fabric)로 형성될 수 있다.
막부재(190)의 하부에는 코팅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코팅부(192)는 제2광원부(140)에서 조사된 광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효율적인 반사란 반사율이 높고 반사의 방향이 주로 천막 내측을 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및 개별제어부(120)와 각각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앙제어부(200)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및 개별제어부(120)와 매쉬 지그비(mesh ZigBee)에 의한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12)로부터 각각의 감지신호를 획득하고 개별제어부(120)에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제1센서부(110) 및 제2센서부(112)가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온도, 습도 및 조도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제어신호를 개별제어부(12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스마트 막구조물(100)에서의 광원에 대한 제어는 제1센서부(110), 제2센서부(112), 개별제어부(120) 및 중앙제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한다.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이하에서는 편의상‘제어모듈’이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일부 영역에는 사람들이 들어와 있고 일부 영역에는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제1센서부(110)는 제1센서부(110)가 감지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사람의 존재여부에 대한 제1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제1감지정보는 제어모듈에 제공된다.
제어모듈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한 제1센서부(110)가 배치된 곳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의 제1광원부(13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off 동작). 대신, 제어모듈은 상기 영역에서 제2광원부(14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동작). 이러한 동작은 소정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살균기능의 광원은 구동하지 않고 조명기능의 광원만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LZ). 제1광원부(130)가 피부미용용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광원부(130) 및 제2광원부(14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지 않은 제1센서부(110)가(즉, 빈공간) 배치된 곳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의 제1광원부(13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동작). 대신, 제어모듈은 상기 영역에서 제2광원부(14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off 동작). 이러한 동작은 소정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살균기능의 광원은 구동하고 조명기능의 광원은 구동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SZ).
제어모듈은 적어도 사람이 특정 영역에 머물러 있다가 퇴장한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5분) 동안은 살균기능을 갖는 광원이 구동되도록 제1광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막구조물(100)에 있어서, 제1센서부(110)와 제2센서부(112)가 각각 감지하는 감지정보의 조합에 따라 제어명령신호를 생성할 수있다. 제어명령신호는 감지정보를 제공받은 제어모듈 중 어느 하나가 생성할 수 있다.
제1센서부(110)는 사람이 지주부(150) 사이를 통과를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센서부(112)는 사람이 머리 위로 손을 드는 것을 감지하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막구조물(100)에서는 제1센서부(110)와 제2센서부(112)가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제1센서부(110)와 제2센서부(112))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각각의 감지정보들의 조합이 정의될 수 있다. 이들 감지정보는 기설정 시간 내(예를 들어, 10초) 생성될 때 조합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감지정보의 조합을 정의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a에서는 사람이 전면의 양 지주부(150) 사이로 진입한다. 이 때, 지주부(150)에 설치된 제1센서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제1조합정보를 생성한다. 도 7b에서는 사람이 머리 위로 손을 든다. 제2센서부(112)는 이를 감지하여 제2조합정보를 생성한다. 도 7c에서는 사람이 측면의 양 지주부(150) 사이로 퇴장한다. 이 때, 지주부(150)에 설치된 제1센서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제3조합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조합정보 내지 제3조합정보가 순차적으로 기설정 시간 내 생성된 경우 모든 광원의 구동을 해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합정보, 제2조합정보, 다시 제1조합정보가 순차적으로 생성된 경우 제1광원부(130)만이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의 조합정보들은 제1센서부(110) 또는 제2센서부(112)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구분되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가능한 모든 제어신호들이 정의될 수 있다. 조합정보들은 생성횟수 및 순서에 따라 생성될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합정보 2회생성 후 제2조합정보가 1회생성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조합정보는 사람의 유무 이외에도 동작의 속도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손을 빨리 흔들거나 느리게 흔드는 동작에 의하여 조명의 디밍(diming) 수준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정의한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1센서부(110)가 감지하는 사람의 수 내지 규모에 따라 조명의 밝기가 높아지도록 제1광원부(1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정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마트 막구조물(100)의 조명 제어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하여 반자동으로 실현될 수도 있어 보다 제어측면의 편의성과 자율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막구조물
110: 제1센서부
112: 제2센서부
120: 개별제어부
130: 제1광원부
140: 제2광원부
150: 지주부
160: 제1연결부
170: 제2연결부
180: 막지지부
190: 막부재
192: 코팅부
200: 중앙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막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부에서 상기 제2광원부의 빛을 반사하는 막부재;
    상기 지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막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막지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는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되,
    소정 영역에 대하여 제1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센서부; 및
    상기 소정 영역과 다른 영역에 대하여 제2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영역에 대응하여 구동되도록 정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시간 내에서, 상기 제1감지정보 및 상기 제2감지정보의 생성횟수 및 순서의 조합에 따라 미리 정의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막구조물.
  5. 막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주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중 적어도 두 개의 지주부를 연결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제2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
    상부에서 상기 제2광원부의 빛을 반사하는 막부재;
    상기 지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막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막지지부; 및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는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고,
    소정 영역에 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정보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부에 따라 구분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설정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생성된 상기 감지정보의 생성횟수 및 순서의 조합에 따라 미리 정의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광원부 및 상기 제2광원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막구조물.
KR1020220019657A 2022-02-15 2022-02-15 스마트 막구조물 KR10242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57A KR102423360B1 (ko) 2022-02-15 2022-02-15 스마트 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57A KR102423360B1 (ko) 2022-02-15 2022-02-15 스마트 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360B1 true KR102423360B1 (ko) 2022-07-21

Family

ID=8261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657A KR102423360B1 (ko) 2022-02-15 2022-02-15 스마트 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3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27B1 (ko) * 2019-04-30 2019-10-07 최혜주 벨트차단봉을 구비한 차양 어셈블리
KR20190115863A (ko) * 2018-04-04 2019-10-14 이창수 스마트 쉐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863A (ko) * 2018-04-04 2019-10-14 이창수 스마트 쉐이드
KR102029627B1 (ko) * 2019-04-30 2019-10-07 최혜주 벨트차단봉을 구비한 차양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2094B2 (ja) ユーザ位置依存照明を備える個人用の鏡
US10125946B2 (en) Luminair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ask lighting and decorative lighting
JP6847045B2 (ja) 車両用灯具
CN106103280B (zh) 用于控制乘客服务的方法、系统和可执行程序产品
CN102668696B (zh) 多光束照射系统和照射方法
US8192056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s
JP2016520968A5 (ko)
CN106103191A (zh) 用于控制照明的方法、系统和可执行程序产品
RU2615494C2 (ru) Светильник
EP3449181B1 (en) Modular light panel
WO2021195003A1 (en) Continuous, real-time ultraviolet disinfection of populated indoor spaces systems and methods
CN102979263A (zh) 具有照明功能的扶手
JP2005228566A (ja) 照明装置
KR102423360B1 (ko) 스마트 막구조물
KR102510156B1 (ko)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JP6882008B2 (ja) 自動車の客室用の照明システム
JP7113245B2 (ja) 制御装置、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7055320B2 (ja) 照明装置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EP3008375B1 (en) Light-emitting panel
CN208871411U (zh) 多投影地毯灯组件
ITTO970237A1 (it) Dispositivo proiettore di fasci di luci.
KR102634765B1 (ko) 승강기용 입력버튼
JPH10227138A (ja) 自動照明付き部屋
CN209084524U (zh) 一种用户引导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