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863A - 스마트 쉐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쉐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863A
KR20190115863A KR1020180039088A KR20180039088A KR20190115863A KR 20190115863 A KR20190115863 A KR 20190115863A KR 1020180039088 A KR1020180039088 A KR 1020180039088A KR 20180039088 A KR20180039088 A KR 20180039088A KR 20190115863 A KR20190115863 A KR 20190115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de
bolt
longitudinal direc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043B1 (ko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18003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H05B37/0218
    • H05B37/0227
    • H05B37/028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을 가리는 차양막(쉐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라이팅(lighting) 효과를 주어 아름다운 공간을 연출하는 스마트 쉐이드(smart shade)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삽입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일측이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볼트 삽입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 삽입 슬릿 각각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볼트 연결판 삽입홈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서 직립하여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동 브라켓들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 일측에 결합되는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면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을 상기 광확산판의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들과, 상기 각각의 수평 라이팅 프레임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상기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볼 조인트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로프걸이들과, 시간, 조도, 온도 중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쉐이드{SMART SHADE}
본 발명은 햇빛을 가리는 쉐이드(shad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라이팅(lighting) 효과를 주어 아름다운 공간을 연출하는 스마트 쉐이드(smart shade)에 관한 것이다.
햇빛을 가리거나 비를 피하기 위한 용도로 쉐이드(shade)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쉐이드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개인용 쉐이드도 있고, 공공시설로서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용 쉐이드도 있다. 보통 개인용 쉐이드는 고정용 쉐이드에 비해 크기가 현저히 작지만, 펜션, 휴양 시설 등지에서도 고정용 쉐이드가 설치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굳이 개인용과 고정용 쉐이드를 구분할 필요는 없다.
도 1은 고정용 쉐이드의 일 예인 조립식 쉐이드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조립식 쉐이드는,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수직기둥(10)과,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10)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수평프레임(13)과,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10)의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는 측면 수평프레임(11)과, 상기 측면수평프레임(11)의 전면에 각각 설치된 연결체(14)와, 양쪽 연결체(14) 사이에 고정되는 전방 수평프레임(12)과, 상기 수직기둥(10)의 전면과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11)의 하단 사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과,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11)과 후방 수평프레임(13)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프레임(17)과,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11)과 전방 수평프레임(12)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프레임(16)과, 상기 측면 수평프레임(11)의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중앙 상부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앙프레임(18)과, 상기 중앙프레임(18)이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체(20)와, 상기 고정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나사(21)와 상기 조절나사(21)의 상측에 원형판(22)과, 상기 원형판(22) 위에 중앙이 설치되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외측단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그늘막(30)과, 상기 그늘막(30) 중앙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반구형판(23)과, 상기 수직기둥(10) 상단과 연결체(14)의 상부돌기(14a)를 연결하는 보강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쉐이드는 그 구성품들이 매우 많아 시공이 쉽지 않음은 물론, 시공 시간 역시 길고, 수직 기둥(10)이 한쪽에만 위치하는 관계로 시공시 보조장비가 필요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그늘막(30)의 높이를 변경하기 쉽지 않으며, 위치를 바꿔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조립식 쉐이드의 경우 아파트 단지, 경기장 주변, 휴양 시설 등에 설치되어 시민들이 햇빛을 피하거나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별도의 조명시설이 없기 때문에 야간에는 오히려 설립 목적과는 달리 시민들이 회피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1766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조립식 쉐이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은 조립 및 시공이 쉽고 그늘막의 높이 및 설치방향의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야간에는 주위 환경과 어울리는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주, 야간 구분없이 시민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쉐이드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면적을 용이하게 확장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연출이 가능하고, 그늘막 주변의 밝기를 밝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쉐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쉐이드를 구성하는 그늘막과 프레임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지면에도 다양한 색상을 발산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조도와 온도에 따라 광원의 점등과 색상의 자동 제어까지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한 쉐이드를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야간에 광원을 찾아 모여드는 해충을 격퇴할 수도 있는 스마트한 쉐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는,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삽입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일측이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볼트 삽입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 삽입 슬릿 각각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볼트 연결판 삽입홈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서 직립하여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동 브라켓들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 일측에 결합되는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면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을 상기 광확산판의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들과;
상기 각각의 수평 라이팅 프레임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상기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볼 조인트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로프걸이들과;
시간, 조도, 온도 중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스마트 쉐이드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각각은 원통형 프레임으로써 내부에 구조용 강관이 삽입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원통형의 상기 수직 프레임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3개 내지 8개의 볼트 삽입 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 조인트에는 전원공급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내부 타이머, 조도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해충을 쫓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광원 점등시에 초음파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들, 수평 라이팅 프레임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라이팅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유동 브라켓들과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 및 로프걸이들을 이용하면, 쉐이드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 장소의 크기와 모양에 구애 받지 않고 쉐이드를 용이하게 확장, 변형해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는, 야간에 주위 환경과 어울리는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주, 야간 구분없이 시민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그늘막 주변의 밝기를 밝게 밝힐 수 있어 야간에 하나의 혐오 시설로 간주될 수 있는 그늘막을 시민 친화적인 시설로 전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쉐이드는 그늘막과 프레임에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지면에도 다양한 색상을 발산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조도와 온도에 따라 광원의 점등과 색상의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야간에 광원을 찾아 모여드는 해충까지 격퇴할 수 있는 시민 친화적인 시설물이다
도 1은 고정용 쉐이드의 일 예인 조립식 쉐이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의 전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유동 브라켓(130)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의 다양한 전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의 광원 색상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의 전개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는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삽입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들(105)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105)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직립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마주하는 두 수직 프레임(110) 사이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지면과 그늘막(160)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을 연결하기 위한 유동 브라켓들(130)과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140), 그리고 그늘막(160)을 수직 프레임들(11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로프걸이들(150)을 포함한다.
각각의 로프걸이(150) 역시 저면 플레이트와 그 저면 플레이트에서 직립 형성된 고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프걸이(150)의 저면 플레이트에도 볼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115)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기구적 구성들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는 시간, 조도, 온도 중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광원(예를 들면 LED)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았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는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수직 프레임(110)과 이격되어 별도의 박스 형태로 스마트 쉐이드(100)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5)는 지중에 매립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 쉐이드(100)의 상세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0)의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수직 프레임(110)은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삼각 기둥, 사각 기둥, 육각 기둥과 같이 다면체 기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삽입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는 수직 프레임들(110) 각각에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볼트 삽입 슬릿(111)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 삽입 슬릿(111) 각각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 내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연결판(115)이 삽입 가능하되, 상기 볼트 연결판(115)은 후술할 유동 브라켓(130)을 구성하는 저면 플레이트(132)를 관통하는 볼트가 일부 결합되어 수직 프레임(110) 최상단에 형성된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에 끼워져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볼트의 조임에 위해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한 수직 프레임(110) 각각의 내부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성 보강을 위해 구조용 강관(117)이 더 삽입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상기 수직 프레임(110)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3개 내지 8개의 볼트 삽입 슬릿(111)이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스마트 쉐이드(100)를 전개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수직 프레임(110)의 최상단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캡(119)이 결합된다.
참고적으로 수직 프레임(110)의 일측은 베이스 플레이트(105)와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05)에서 직립 형성된 동일 형상의 결합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된 후 볼트 결합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5)에 고정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예시한 두 가지 방식 모두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110)의 설치 각도는 조절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은 연결하기 위한 유동 브라켓(13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유동 브라켓(130)을 예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유동 브라켓(130)의 하프 타입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은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115)과 볼트 결합되는 저면 플레이트(132)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132)에서 직립하여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저면 플레이트(132)에는 볼트 연결판(115) 결합용 볼트 삽입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쌍을 이루되 서로 마주하게 되는 또 하나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유동 브라켓용 볼트 삽입홀(1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 한 쌍을 마주하여 볼트 결합하기 전에, 도 5에서 설명할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볼 조인트(142)를 서로 마주하는 볼 조인트 결합부(134) 내에 삽입하여 원하는 위치로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볼트 조임하면, 한 쌍의 유동 브라켓(130)에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볼 조인트(142)가 결합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을 예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유동 브라켓(130)이 형성하는 볼 조인트 결합부(134)에 삽입 고정되는 볼 조인트(14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후술할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프레임 결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 조인트(142)에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내에 수용되는 전자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선 및 신호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1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46)을 통해 수직 프레임(110)내에 수용되는 전원공급선과 신호선들은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외부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한 면에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삽입홀(148)이 추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은 후술할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양측 끝단 각각에 결합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수직 프레임(11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유동 브라켓(130)의 볼 조인트 결합부(134)에 결합 고정된다.
이하 상술한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에 양측 끝단 각각이 결합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수직 단면을 예시한 것으로,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123)과 상기 프로파일(123) 일측에 결합되는 광확산판(121)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면, 예를 들면 지면과 그늘막(160)으로 빛이 발산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을 광확산판(121)의 내부에 수용한다. 도 6에서 참조번호 125는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이 삽입 고정되는 기판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판(121)의 양 끝단은 프로파일(123) 양측에 형성된 끼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빛이 발산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양측 각각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마트 쉐이드(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부연 설명하면,
우선 작업자는 수직 프레임(110)을 세울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들(105)을 배치한 후 고정볼트 삽입홀에 볼트를 체결하여 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들(105)을 단단히 고정한다.
이어서 각 베이스 플레이트(105) 위에 수직 프레임(110) 일측을 고정 결합하되, 원하는 기울기 각도에 맞게 수직 프레임(110) 일측 끝단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용접 등을 통해 고정 결합한다.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 일측을 베이스 플레이트들(105)에 고정한 후, 작업자는 볼트에 의해 로프걸이(150)가 연결되어 있는 볼트 연결판(115)을 각 수직 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으로 삽입하여 수직 프레임(110)의 볼트 삽입 슬릿(11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볼트를 조임으로써 로프걸이(150)는 수직 프레임(110)에 필요한 갯수 만큼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볼트에 의해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이 연결되어 있는 볼트 연결판(115)을 각 수직 프레임(110)에 형성된 볼트 연결판 삽입홈(113)으로 삽입하여 수직 프레임(110)의 볼트 삽입 슬릿(11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에 연결되어 있는 볼트를 조여 위치 고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의 볼 조인트 결합부(134) 위에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일측에 결합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볼 조인트(142)를 올려 놓고 나머지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 중 상부에 위치하는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의 볼 조인트 결합부(134)를 볼 조인트(142)에 맞추어 볼트를 조인다.
이로써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된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의 볼 조인트 결합부(134)에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일측에 결합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볼 조인트(142)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직 프레임(110)에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일측이 결합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수직 프레임(110)에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을 결합하여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후,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일측에 결합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140)의 볼 조인트(142)를 볼 조인트 결합부(134)에 결합 고정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마트 쉐이드(100)의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의 조립이 완성된다.
각 수직 프레임(110)에 로프걸이(150)를 고정 결합하고, 이어서 한 쌍의 하프형 유동 브라켓(130)을 고정 결합하고, 이어서 또 다른 로프걸이(150)를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그늘막(160)에 연결되는 로프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110)에 결합 고정된 상단 및 하단의 로프걸이(150)에 걸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전한 스마트 쉐이드(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물론 각 수직 프레임(110)의 상단에 상단 캡(119)을 결합함으로써 쉐이드 조립 작업은 종료된다.
도 2에서는 사각형상의 스마트 쉐이드(100)를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110)의 위치를 원형 광장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디자인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들(110),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을 연결하기 위한 유동 브라켓들(130)과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140) 및 로프걸이들(150)을 이용하면, 쉐이드(100)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설치 장소에 따라 쉐이드(100)를 용이하게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 장소의 크기와 모양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그늘막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는 스마트 쉐이드(100)에 있어서 광원의 색상을 가변하기 위한 회로적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컨트롤 박스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의 광원 색상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쉐이드(100)를 구성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120) 내에 수용되는 광원소자의 색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는 기본적으로, 상기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광원 구동부(34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50)와,
내부 타이머(300), 조도감지센서(310), 온도감지센서(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러(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330)는 광원소자의 점등 및 소등은 물론, 색상을 가변 제어할 수 있고, 점멸 주기 제어, 밝기 제어가 가능하다.
즉, 컨트롤러(330)는 현재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300)의 값에 따라 정해진 시간이 되면(오후 6시) 광원소자 및 전자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광원소자인 LED의 색상을 제어하기 위한 색상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색상제어신호에 따라 광원 구동부(340)는 광원소자인 3원색 LED의 색상을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이 광확산판(121)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지면과 그늘막(160)을 향해 발산된다.
일몰, 일출 시간이 가변되는 지역에서는 타이머(300)의 값에 따라 광원소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기 보다는 주변 조도를 감지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컨트롤 박스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감지센서(310)를 더 포함하여 컨트롤 박스를 구현하면, 컨트롤러(330)는 감지된 조도에 따라 광원소자인 3원색 LED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300) 혹은 조도감지센서(310) 중 어느 하나와 병행하여 컨트롤 박스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320)를 더 포함하여 컨트롤 박스를 구현하면, 컨트롤러(330)는 광원소자인 3원색 LED를 점등 제어함에 있어, 주변 온도를 고려해 시원함 혹은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색상의 빛이 발산되도록 광원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더운 여름 저녁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 향하는 빛이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청색 계열의 색상으로 발산되도록 광원소자를 제어할 수 있고, 추운 겨울 저녁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으로 향하는 빛이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적색 계열의 색상으로 발산되도록 광원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는 해충을 쫓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광원 주변으로 해충이 모여드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해충이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기(360)를 구비해 컨트롤 박스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광원소자 점등에 맞춰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초음파 발생기(360)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충이 싫어하는 파장을 가지는 색상의 빛이 발산되도록 광원소자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등)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관리자 혹은 스마트 쉐이드 이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광원 제어앱을 통해 근거리에서 광원소자의 점등과 소등, 색상을 가변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33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광원 제어명령에 따라 광원소자를 점등, 소등, 색상을 가변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를 이용하게 되면, 야간에 주위 환경과 어울리는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주, 야간 구분없이 시민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그늘막 주변의 밝기를 밝게 밝힐 수 있어 야간에 하나의 혐오 시설로 간주될 수 있는 그늘막을 시민 친화적인 시설로 전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쉐이드는 그늘막과 프레임에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지면에도 다양한 색상을 발산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조도와 온도에 따라 광원의 점등과 색상의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야간에 광원을 찾아 모여드는 해충까지 격퇴할 수 있는 시민 친화적인 시설물이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삽입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일측이 하나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볼트 삽입 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 삽입 슬릿 각각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볼트 연결판 삽입홈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서 직립하여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동 브라켓들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 일측에 결합되는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면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광원소자가 부착된 전자회로기판을 상기 광확산판의 내부에 수용하는 수평 라이팅 프레임들과;
    상기 각각의 수평 라이팅 프레임 끝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상기 하프형 볼 조인트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볼 조인트가 돌출 형성된 프레임 고정 브라켓들과;
    상기 볼트 연결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 연결판에 볼트 결합되는 로프걸이들과;
    시간, 조도, 온도 중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각각은 원통형 프레임으로써 내부에 구조용 강관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원통형의 상기 수직 프레임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3개 내지 8개의 볼트 삽입 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에는 전원공급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내부 타이머, 조도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에 따라 상기 광원소자의 색상을 가변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해충을 쫓기 위한 초음파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광원 점등시에 초음파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쉐이드.
KR1020180039088A 2018-04-04 2018-04-04 스마트 쉐이드 KR10214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88A KR102146043B1 (ko) 2018-04-04 2018-04-04 스마트 쉐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88A KR102146043B1 (ko) 2018-04-04 2018-04-04 스마트 쉐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63A true KR20190115863A (ko) 2019-10-14
KR102146043B1 KR102146043B1 (ko) 2020-08-19

Family

ID=6817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088A KR102146043B1 (ko) 2018-04-04 2018-04-04 스마트 쉐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60B1 (ko) * 2022-02-15 2022-07-21 한국조명 주식회사 스마트 막구조물
EP4123109A1 (en) * 2021-07-20 2023-01-25 Robert Brouwers Portable wind resistant shade structure
USD1016330S1 (en) 2021-05-25 2024-02-27 Andrea LYNN BROUWERS Shade structure
US11933064B2 (en) 2021-07-20 2024-03-19 Andrea LYNN BROUWERS Portable wind-resistant shade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246U (ko) * 2012-06-25 2014-01-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잎형 캐노피
JP2017096093A (ja) * 2016-11-28 2017-06-01 株式会社越智工業所 組み立てテント及びその支柱座部
KR101817663B1 (ko) 2015-12-28 2018-01-15 (주)마스트 조립식 차양막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246U (ko) * 2012-06-25 2014-01-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잎형 캐노피
KR101817663B1 (ko) 2015-12-28 2018-01-15 (주)마스트 조립식 차양막 구조
JP2017096093A (ja) * 2016-11-28 2017-06-01 株式会社越智工業所 組み立てテント及びその支柱座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6330S1 (en) 2021-05-25 2024-02-27 Andrea LYNN BROUWERS Shade structure
EP4123109A1 (en) * 2021-07-20 2023-01-25 Robert Brouwers Portable wind resistant shade structure
US11933064B2 (en) 2021-07-20 2024-03-19 Andrea LYNN BROUWERS Portable wind-resistant shade structure
KR102423360B1 (ko) * 2022-02-15 2022-07-21 한국조명 주식회사 스마트 막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43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863A (ko) 스마트 쉐이드
US20160320036A1 (en) Flexible housing assembly for ssl light fixtures
US8540398B2 (en) Multidirectional light emitting fixture
EP2003393B1 (en) Daylight reflecting artificial light
JP3154164U (ja) ランプ装置
US8740423B1 (en) Unit for use in placing and orienting ground light supporting stake elements
AU2009317226A1 (en) Multifunctional supply element
US20160323978A1 (en) Wirelessly controlled lighting device
US11109539B2 (en) Light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CA3089271C (en) Skylight fixture
KR101506492B1 (ko) 터널등용 하우징
EP2264356B1 (en) Lighting device
KR20090100094A (ko) 경관 가로등
JP2015140644A (ja) 建物
KR101922616B1 (ko) 문양의 교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 장치
US11143369B2 (en) Controllable illumination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interior or exterior use
KR101201196B1 (ko) 조명 기구
US20130094190A1 (en) Led taper candle and wreath
US9989226B2 (en) Up—down tree lighting
KR200423488Y1 (ko) 조명장치
KR20050117855A (ko) 연출 조명을 갖는 가로등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20170102652A (ko) 조명 기능을 갖는 캐노피 패널 구조
KR101271661B1 (ko) 조경용 엘이디 조명기구
CN208418295U (zh) 一种新型投光灯
KR20180089255A (ko) BoT 횡단보도 집중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