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156B1 -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156B1
KR102510156B1 KR1020200131183A KR20200131183A KR102510156B1 KR 102510156 B1 KR102510156 B1 KR 102510156B1 KR 1020200131183 A KR1020200131183 A KR 1020200131183A KR 20200131183 A KR20200131183 A KR 20200131183A KR 102510156 B1 KR102510156 B1 KR 10251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vc
sterilizer
ultraviolet
pair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513A (ko
Inventor
이철규
이재영
박덕신
김용기
고상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동 가능한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대상물의 순간 살균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는, 양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한 쌍의 대상물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한 쌍의 UVC 살균기; 한 쌍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 및 풀리를 둘러싸는 궤도단위체를 통해 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 한 쌍의 UVC 살균기와 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2 암; 제1 암과 제2 암, 제2 암과 UVC 살균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되어 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1, 2 암과 UVC 살균기를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켜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분사각도를 변경하는 제1, 2 회전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Automatic mobile sterilizer}
본 발명은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이동 가능한 본체가 이동하는 동안에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대상물의 순간 살균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빛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자외선은 체내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살균작용을 하는 등 이로운 역할을 하는 동시에 자외선에 노출되는 사용자로 하여금 피부 노화, 피부암, 건조, 피부염,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을 생기게도 한다.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직접 전달되는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장파장인 UVA(315~380 nm), UVB(280~315 nm) 및 UVC(100~280 nm)의 세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UVA 형태의 자외선은 식물에 작은 해를 입히고, UVB 형태의 자외선은 식물 조직의 손상과 인간의 피부암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UVC 형태의 자외선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태워 죽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UV 방전램프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을 수행하였으며, 종래의 UV 방전램프에는 주로 수은(Hg)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UV 방전램프의 경우, 강한 살균 특성이 있는 반면 대량의 수은(5 mg 이상)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UV 방전램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소모가 작으면서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UV LED 살균장치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UV LED 살균장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8473호(이하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715호(이하 '선행기술 2')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장파장, 중파장 및 단파장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발산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발산하는 자외선을 통해 대상물을 살균하는 살균 모듈 및 상기 살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2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을 살균하거나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입력부가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달하고, LED 모듈은 본체 밖으로 자외선을 포함한 광을 발산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플래쉬용 LED, 가시광선 LED(Visible LED, VLED), 적외선 LED(Infra Red LED, IRLED) 등의 이종의 LED가 더 포함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및 피부 관리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거나 피부를 관리하고 있으나, 자외선이 피부에 노출될 경우에는 피부 노화, 피부암, 건조, 피부염,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됨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살균 및 피부 관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어려우며, 살균 및 피부 관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사용자가 직접 장치에 신호를 입력하여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해야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됨에 따라, 살균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들은 사용자가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여야만 자외선 발산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자외선 발산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8473호(2010. 11. 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715호(2012. 05. 07.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이동 가능한 본체가 바닥에 형성된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양방향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며, 피측정인이 감지될 때 자외선의 발산을 일시정지할 수 있는 한 쌍의 UVC 살균기를 포함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형성된 표시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한 쌍의 UVC 살균기가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암 또는 선형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할 수 있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닥에 형성된 표시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암 또는 선형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 본체가 통로를 지나가는 동안에 한 쌍의 UVC 살균기가 통로의 내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는, 양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한 쌍의 대상물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한 쌍의 UVC 살균기; 한 쌍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 및 풀리를 둘러싸는 궤도단위체를 통해 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 한 쌍의 UVC 살균기와 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2 암; 제1 암과 제2 암, 제2 암과 UVC 살균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되어 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1, 2 암과 UVC 살균기를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켜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분사각도를 변경하는 제1, 2 회전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대상물과 인접한 바닥에 형성되되, 본체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라인을 인식하는 제1 센서; 바닥에 형성되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대기신호, UVC 살균기의 대기위치가 포함되는 UVC 살균기의 대기모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표시를 인식하는 제2 센서; 및 바닥에 형성되되,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신호, 자외선 발산위치, 자외선 발산각도, 자외선 발산시간 및 자외선 발산종료시간이 포함되는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된 제2 표시를 인식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센서가 라인을 인식하는 경우, 무한궤도유닛을 제어하여 라인에 저장된 본체의 이동방향으로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센서가 제1 표시를 인식하는 경우,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의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하나의 UVC 살균기에 구비된 PCB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하나의 UVC 살균기가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하나의 UVC 살균기를 제1, 2 암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선형 액추에이터를 신축한 후, 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2 선형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 하나의 UVC 살균기를 본체의 상측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3 센서가 제2 표시를 인식하는 경우,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가 자외선 발산신호에 따라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하나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하나의 UVC 살균기에 구비된 PCB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하나의 UVC 살균기가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가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제1 회전관절과 제2 회전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가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제3 회전관절의 모터를 구동한 후, 제1 선형 액추에이터를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킨 다음, 제2 선형 액추에이터를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는, 양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한 쌍의 대상물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한 쌍의 UVC 살균기; 한 쌍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 및 풀리를 둘러싸는 궤도단위체를 통해 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 본체와 연결되며, 제어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한 쌍의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는 한 쌍의 제1 선형 액추에이터; 한 쌍의 UVC 살균기와 연결되며, 제어부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한 쌍의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는 한 쌍의 제2 선형 액추에이터; 및 제1 선형 액추에이터와 제2 선형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되어 모터의 구동을 통해 제2 선형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 한 쌍의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하는 제3 회전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에 배치되는 대상물에 따른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함으로써, 대상물 살균 공정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VC 살균기가 통로의 내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UVC 살균기를 보호하여 살균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살균하는 동안 피측정인의 신체 일부분에 자외선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노화, 피부암, 건조, 피부염, 잔주름, 기미, 주근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 살균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 살균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가 살균하기 위한 대상물이 포함된 지하철 객실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는 본체(4)가 이동하는 동안 양방향에 배치되는 제1 대상물(1400a)과 제2 대상물(1400b)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제1, 2 대상물(1400a, 1400b)의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해 한 쌍의 UVC 살균기(1), 한 쌍의 암부(2), 한 쌍의 회전관절부(3), 본체(4) 및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5)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2 대상물(1400a, 1400b)은 열차, 지하철, 버스, 비행기 및 선박 등의 이동수단의 객실 내에 양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석일 수 있다.
한 쌍의 UVC 살균기(1)는 제1, 2 대상물(1400a, 1400b)에 각각 자외선을 발산하기 위해 제1 UVC 살균기(1a) 및 제2 UVC 살균기(1b)로 이루어진다.
제1 UVC 살균기(1a)는 제1 대상물(1400a)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는 살균기이며, 제2 UVC 살균기(1b)는 제2 대상물(1400b)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는 살균기이다.
한편, 후술될 한 쌍의 UVC 살균기(1)의 구성요소들은 제1 UVC 살균기(1a)와 제2 UVC 살균기(1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쌍의 UVC 살균기(1)는 자외선을 발산하기 위한 PCB(10), 케이스(20), 브래킷(30), 광원 모듈(40), 석영 렌즈(50), 오링(60), 커버(70), 인체감지센서(80), LED 표시등(90), 배터리(100) 및 방열판(110)이 구비된다.
PCB(10)는 피측정인의 위치에 따라 대상물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제어신호를 광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에 송신하여 광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제어신호인 제1 발광 제어신호 및 광원 모듈(40)이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인 제2 발광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PCB(10)는 인체감지센서(80)로부터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1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PCB(10)는 인체감지센서(80)로부터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에 송신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PCB(10), 광원 모듈(40), 석영 렌즈(50), 오링(60), 배터리(100) 및 방열판(110)이 배치된다.
여기서,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자외선 또는 빛이 발산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석영 렌즈(50), 광원 모듈(40) 및 오링(60), 방열판(110), PCB(10) 및 배터리(100)의 순서로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20)는 내부에 배치된 PCB(10), 광원 모듈(40), 인체감지센서(80), LED 표시등(90) 및 배터리(100)로부터 발산되는 열 또는 방열판(110)으로부터 분산되는 PCB(10), 광원 모듈(40) 인체감지센서(80), LED 표시등(90) 및 배터리(10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풍구(21)가 외연에 복수로 구비된다.
브래킷(30)은 케이스(20)의 후단을 밀폐시키며, 회전관절부(3) 중 제2 회전관절(310)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후단(32)이 제2 회전관절(310)로부터 착탈된다.
여기서, 브래킷의 후단(32)은 제2 회전관절(3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모듈(40)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며, PCB(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외선을 전단으로 발산하기 위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 및 기판(43)으로 이루어진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는 기판(43)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기판(43)이 PCB(10)로부터 제1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1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자외선 발산 상태가 되어 자외선을 전단으로 발산한다.
또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는 기판(43)이 PCB(10)로부터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제2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의 대기 상태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가 자외선을 발산하는 중이라면 자외선 발산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이며, 자외선의 발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의 대기 상태는 피측정인에게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는 대상물(1400)을 살균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315 내지 380 nm의 UVA(장파장), 280 내지 315 nm의 UVB(중파장) 및 100 내지 280 nm의 UVC(단파장)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다.
다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은 대상물(1400)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태워 죽이는 것이 가능하고, 자외선의 흡수율을 고려하여 UVC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는 기판(43)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구현되어 기판(43)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는 기판(43)의 중심부를 둘러싸도록 원형 배치되거나, 기판(43)의 중심부를 가로지르게 일렬 배치될 수 있다.
기판(43)은 PCB(10)로부터 수신하는 제1, 2 발광 제어신호를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에 송신하는 PCB 기판일 수 있다.
석영 렌즈(5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되, 광원 모듈(40)보다 전단에 배치되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에서 발산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며, 자외선의 투과를 위한 재질인 석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석영 렌즈(50)는 통과되는 자외선을 확산(굴절)시켜 UVC 살균기(1)가 대상물의 살균을 수행하도록 한다.
오링(60)은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되, 기판(43)의 외연을 감싸 광원 모듈(40)의 유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일례로, 오링(60)은 기판(43)이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70)의 후단과 접촉되는 경우, 광원 모듈(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43)의 외연을 감싸는 동시에, 기판(43)을 수용하기 위해 커버(7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용공간(미도시)의 내벽과 기판(43)의 사이공간에 배치되어 기판(43)을 밀폐시킴으로써, 광원 모듈(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70)는 케이스(20)의 전단을 밀폐시키며, 전단 및 후단을 관통하는 형태로 복수의 통풍구(71) 및 관통구(72)가 구비된다.
통풍구(71)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된 PCB(10), 광원 모듈(40), 인체감지센서(80), LED 표시등(90) 및 배터리(100)로부터 발산되는 열 또는 방열판(110)으로부터 분산되는 PCB(10), 광원 모듈(40) 인체감지센서(80), LED 표시등(90) 및 배터리(10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관통구(72)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로부터 발산되는 자외선이 각각 제1, 2 대상물(1100a, 1110b)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커버(7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 및 석영 렌즈(50)의 중심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인체감지센서(80)는 기설정된 시간에 피측정인이 감지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피측정인의 신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통해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PCB(10)에 송신한다.
여기서, 감지영역은 관통구(72)를 통해 발산되는 자외선의 발산영역과 중복되되, 상기 자외선 발산영역보다 영역의 범위가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인체감지센서(80)는 피측정인이 자외선 발산영역에 진입하기 전에 피측정인을 감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피측정인에게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80)는 PZT(지르콘산 티탄산연)계 또는 LiTaO3(탄탈산 리튬)계의 초전소자를 이용하여 감지영역 내의 피측정인의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PIR(Passive Infrared) 센서일 수 있다.
한편, PCB(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80)로부터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발광 제어신호 또는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에 송신한다.
LED 표시등(90)은 PCB(1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의 전원공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하는 제1 LED(91) 및 제2 LED(92)로 이루어진다.
제1 LED(91)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가 제1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자외선을 전단으로 발산하는 동안 빛을 출력하여 자외선이 발산되는 것을 피측정인에게 안내한다.
제2 LED(92)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가 제2 발광 제어신호에 따라 대기 상태인 동안 빛을 출력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가 대기 상태인 것을 피측정인에게 안내한다.
더 나아가, 제1 LED(91)과 제2 LED(92)는 빛의 색상과 빛의 방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제1 LED(91)는 초록색의 빛을 점멸 방식으로 발생시켜 피측정인에게 자외선의 발산을 안내할 수 있으며, 제2 LED(92)는 빨강색의 빛을 점등 방식으로 발생시켜 피측정인에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의 대기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배터리(100)는 PCB(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모듈(40) 및 LED 표시등(9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PCB(10)의 제어신호는 광원 모듈(40)을 제어하기 위한 제1, 2 발광 제어신호와 다른 제어신호로서, 전원 공급에 대한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배터리(10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해 방열판(110), 바람직하게는 방열판의 후단(112)에 구비되는 체결부재(113)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100)는 충전된 전원을 전량 소모하는 경우, 케이스(20)의 후단이 개방된 후 브래킷의 전단(31)으로부터 착탈되면, 전원공급수단(미도시)로부터 재차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거나 다른 배터리(100)로 교체될 수 있다.
방열판(110)은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켜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를 냉각한다.
또한, 방열판(110)은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의 냉각을 위해 전단(111)이 기판(43)과 접촉되며, 후단(112)이 PCB(10) 및 배터리(100)의 일측과 접촉되어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열판(110)은 접촉되는 배터리(110)의 유동방지를 위해 후단(112)에 배터리(100)의 체결이 가능한 체결부재(113)가 구비된다.
즉, 방열판(110)은 전단(111)이 기판(43)과 접촉되며, 후단(112)이 PCB(10)와 접촉되고, 체결부재(113)에 의해 배터리(100)가 체결됨에 따라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와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PCB(10), 광원 모듈(40) 및 배터리(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1)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석영 렌즈(50)를 투과하는 자외선에 의한 오존(O3)을 제거하기 위한 광학필터(미도시)가 관통구(72)에 설치되어 대상물에게 오존에 의한 영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1)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41)의 자외선을 집광시키기 위한 곡률 반경의 거울면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경(미도시)이 광원 모듈(40)의 전단과 석영 렌즈(5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자외선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암부(2)는 제1, 2 UVC 살균기(1a, 1b)와 본체(4)를 각각 연결하기 위해 제1 암부(2a) 및 제2 암부(2b)로 이루어진다.
제1 암부(2a)는 제1 UVC 살균기(1a)와 본체(4)를 연결하며, 제2 암부(2b)는 제2 UVC 살균기(1b)와 본체(4)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 2 암부(2a, 2b)는 회전관절부(3)에 의해 동일평면상에서 회전되어 제1, 2 UVC 살균기(1a, 1b)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각각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될 한 쌍의 암부(2)의 구성요소들은 제1 암부(2a)와 제2 암부(2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암부(2)는 제1 UVC 살균기(1)와 본체(4)를 연결하면서,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제1 암(200) 및 제2 암(21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암(200)은 일측에 본체(4)가 결합되면서 타측에 제1 회전관절(300)이 결합되는 암이며, 제2 암(210)은 일측에 제1 회전관절(300)이 결합되면서 타측에 제2 회전관절(310)이 결합되는 암이다.
한 쌍의 회전관절부(3)는 제1, 2 암(200, 210)의 회전을 통해 제1, 2 UVC 살균기(1a, 1b)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를 각각 변경시키기 위해 제1 회전관절부(3a) 및 제2 회전관절부(3b)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관절부(3a)는 제1 암부(2a)의 제1, 2 암(200a, 210a)과 제1 UVC 살균기(1a)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제1, 2 암(200a, 210a)을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켜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제2 회전관절부(3b)는 제2 암부(2b)의 제1, 2 암(200b, 210b)과 제2 UVC 살균기(1b)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제1, 2 암(200b, 210b)을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켜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후술될 한 쌍의 회전관절부(3)는 구성요소들은 제1 회전관절부(3a)와 제2 회전관절부(3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회전관절부(3)는 제1, 2 암(200, 210)을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제1 회전관절(300) 및 제2 회전관절(310)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관절(300)은 제1 암(200)과 제2 암(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관절로서 제1, 2 암(200, 210)을 회전시켜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회전관절(300)은 제1 모터(미도시)가 내장되며, 제1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제1, 2 암(200, 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관절(300)은 제1, 2 암(200, 210)을 회전시킴에 따라,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위치 뿐만 아니라,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2 회전관절(310)은 제2 암(210)과 UVC 살균기(1)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관절로서 UVC 살균기(1)를 직접 회전시켜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각도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회전관절(310)은 제2 모터(미도시)가 내장되며, 제2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UVC 살균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관절(310)은 UVC 살균기(1)를 회전시킴에 따라,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각도 뿐만 아니라,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회전관절(300, 310)은 하나의 회전관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2 암(200, 210) 및 UVC 살균기(1)의 3축 내지 6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회전관절로 분할될 수 있다.
본체(4)는 이동방향(또는 이동경로)과 동일하게 대상물(1400)과 인접한 바닥에 형성된 라인(1100)을 따라 자동 이동되는 동안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센서(400), 제2 센서(410), 제3 센서(420), 데이터베이스(430) 및 제어부(440)가 구비된다.
여기서, 라인(1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4)가 곡선이동(곡선주행) 및 전, 후, 좌, 우 등으로 이동되도록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서(400)는 본체(4)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라인(1100)을 인식한다.
제1 센서(400)가 라인(1100)을 인식하게 될 때, 제어부(440)는 라인(1100)에 저장되는 이동방향으로 본체(4)가 이동되도록 무한궤도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410)는 UVC 살균기(1)의 대기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표시(1200)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1 표시(1200)에 저장된 UVC 살균기(1)의 대기모드에 대한 정보에는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대기신호, UVC 살균기(1)의 대기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1200)는 대상물(1400)의 살균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이 시작되는 지점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센서(410)가 제1 표시(1200)를 인식하게 될 때, 제어부(440)는 제1 표시(1200)에 저장되는 대기모드로 UVC 살균기(1)가 동작되도록 PCB(10)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에 따른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UVC 살균기(1)의 대기모드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중이라면 자외선 발산을 일시정지하는 것이며, 자외선을 발산하지 않는 중이라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UVC 살균기(1)의 대기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C 살균기(1)가 제1, 2 암(200, 210)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한 상태의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UVC 살균기(1)의 대기위치는 UVC 살균기(1) 및 제1, 2 암(200, 210)을 수직방향으로 평행 배치시킴에 따라, 수직방향을 가로지르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4)가 이동되는 동안 수평방향에 설치된 구조물 등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3 센서(420)는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표시(1300)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2 표시(1300)에 저장된 자외선 발산모드에 대한 정보에는 자외선 발산신호, 자외선 발산위치, 자외선 발산각도, 자외선 발산시간 및 자외선 발산종료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1300)는 UVC 살균기(1)와 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이 종료되는 지점이면서 본체(4)가 구조물에 도달하기 전 지점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센서(420)가 제2 표시(1300)를 인식하게 될 때, 제어부(440)는 제3 센서(420)에 저장되는 자외선 발산신호에 따라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PCB(10)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UVC 살균기(1)가 제3 센서(420)에 저장되는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에 따라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제1 회전관절(300)의 제1 모터(미도시)와 제2 회전관절(310)의 제2 모터(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30)는 UVC 살균기(1)를 대기모드 또는 자외선 발산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기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30)는 제1 센서(410)가 라인(1100)을 인식할 때마다 본체(4)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30)는 제2 센서(410)가 제1 표시(1200)를 인식할 때마다 제1 표시(1200)의 대기신호 및 UVC 살균기(1)의 대기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430)는 제3 센서(420)가 제2 표시(1300)를 인식할 때마다 제2 표시(1300)의 자외선 발산신호, 자외선 발산위치, 자외선 발산각도, 자외선 발산시간 및 자외선 발산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데이터베이스(430)에 기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본체(4)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통해 본체(4)의 이동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데이터베이스(430)에 기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UVC 살균기(1)의 대기모드를 통해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데이터베이스(430)에 기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자외선 발산신호, 자외선 발산위치, 자외선 발산각도, 자외선 발산시간 및 자외선 발산종료시간을 통해 UVC 살균기(1)가 자외선 발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무한궤도유닛(5)은 본체(4)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본체(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무한궤도유닛(5a) 및 제2 무한궤도유닛(5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4)가 이동될 일방향은 라인(1100)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후술될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5)의 구성요소들은 제1 무한궤도유닛(5a)과 제2 무한궤도유닛(5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한궤도유닛(5)은 본체(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풀리(500) 및 궤도단위체(510)로 이루어진다.
풀리(500)는 제1 센서(400)가 라인(1100)을 인식하게 될 때, 제어부(440)에 의해 회전되어 본체(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궤도단위체(510)는 풀리(500)의 외측에 설치됨에 따라, 풀리(500)에서 회전이 발생될 때 풀리(5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본체(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무한궤도유닛(5)은 궤도단위체(510)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4)가 라인(1100)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 바닥 또는 지면에 형성된 단 또는 턱을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 또는 턱에 의해 본체(4)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4)는 이동수단 중 하나인 지하철(1000)의 객실(1010) 중 제1-1 대상물(1400a-1)과 제2-1 대상물(1400b-1)이 양방향에 배치되는 객실에서 제1 센서(400)가 인식하는 라인(1100)을 따라 이동되며, 제어부(440)는 한 쌍의 UVC 살균기(1a, 1b)가 자외선 발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켜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이 제1-1 대상물(1400a-1)과 제2-1 대상물(1400b-1)을 향해 발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410)가 제1-1 대상물(1400a-1)과 제2-1 대상물(1400b-1)의 살균 중에 객실(1010)의 바닥에 형성된 제1-1 표시(1200a)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440)는 UVC 살균기(1)가 자외선 발산모드로부터 대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의 발산이 일시정되도록 하면서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켜 UVC 살균기(1)가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VC 살균기(1)가 대기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본체(4)가 제1 발판(1025a)을 따라 제1 통로(1020a)를 통과한 후에 제3 센서(420)가 객실(1010)의 바닥에 형성된 제2-1 표시(1300a)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440)는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켜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이 제1-2 대상물(1400a-2)과 제2-2 대상물(1400b-2)을 향해 발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센서(410)가 제1-2 대상물(1400a-2)과 제2-2 대상물(1400b-2)의 살균 중에 제2-2 표시(1200b)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440)는 UVC 살균기(1)가 자외선 발산모드로부터 대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의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하면서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켜 UVC 살균기(1)가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VC 살균기(1)가 대기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본체(4)가 제2 발판(1025b)을 따라 제2 통로(1020b)를 통과한 후에 제3 센서(420)가 제2-2 표시(1300b)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440)는 UVC 살균기(1)가 대기 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모드로 동작되도록 PCB(10)에 재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제1, 2 회전관절(300, 310)의 모터를 구동시켜 UVC 살균기(1)로부터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이 제1-3 대상물(1400a-3)과 제2-3 대상물(1400b-3)을 향해 발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는 한 쌍의 UVC 살균기(1), 본체(4),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5), 한 쌍의 제1 선형 액추에이터(6), 한 쌍의 제2 선형 액추에이터(7) 및 한 쌍의 제3 회전관절(8)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UVC 살균기(1), 본체(4) 및 무한궤도유닛(5)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1 선형 액추에이터(6), 한 쌍의 제2 선형 액추에이터(7) 및 한 쌍의 제3 회전관절(8)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의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 쌍의 제1 선형 액추에이터(6)는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제1-1 선형 액추에이터(6a) 및 제1-2 선형 액추에이터(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선형 액추에이터(6a)는 제어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1-2 선형 액추에이터(6b)는 제어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1, 1-2 선형 액추에이터(6a, 6b)는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2 UVC 살균기(1a, 1b)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될 제1 선형 액추에이터(6)의 구성요소들은 제1-1 선형 액추에이터(6a)와 제1-2 선형 액추에이터(6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선형 액추에이터(6)는 제1 케이스(600) 및 제1 피스톤 로드(6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600)는 제1-1 피스톤 로드(610a)가 수용되는 제1-1 케이스(600a) 및 제1-2 피스톤 로드(610b)이 수용되는 제1-2 케이스(6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1-2 케이스(600a, 600b)는 제1-1, 1-2 피스톤 로드(610a, 610b)의 수용 뿐만 아니라, 제1-1, 1-2 피스톤 로드(610a, 610b)의 수직방향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스톤 로드(610)는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1 피스톤 로드(610a) 및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1-2 피스톤 로드(6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피스톤 로드(610a)는 일측에 제3-1 회전관절(8a)이 결합되며, 타측이 제어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2 피스톤 로드(610b)는 일측에 제3-2 회전관절(8b)이 결합되며, 타측이 제어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1, 1-2 피스톤 로드(610a, 610b)와 제어부(440)가 연결됨에 따라, 제1-1, 1-2 피스톤 로드(610a, 610b)의 수직방향 신장 또는 수축은 제어부(4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선형 액추에이터(7)는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제2-1 선형 액추에이터(7a) 및 제2-2 선형 액추에이터(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선형 액추에이터(7a)는 제어부(440)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2-2 선형 액추에이터(7b)는 제어부(440)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게서, 제2-1, 2-2 선형 액추에이터(7a, 7b)는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2 UVC 살균기(1a, 1b)를 피스톤 로드(710a, 710b)의 축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될 제2 선형 액추에이터(7)의 구성요소들은 제2-1 선형 액추에이터(7a)와 제2-2 선형 액추에이터(7b)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선형 액추에이터(7)은 제2 케이스(700) 및 제2 피스톤 로드(7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케이스(700)는 제2-1 피스톤 로드(710a)이 수용되는 제2-1 케이스(700a) 및 제2-2 피스톤 로드(710b)이 수용되는 제2-2 케이스(7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2-2 케이스(700a, 700b)는 제2-1, 2-2 피스톤 로드(710a, 710b)의 수용 뿐만 아니라, 제2-1, 2-2 피스톤 로드(710a, 710b)의 직선방향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피스톤 로드(710)는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1 피스톤 로드(710a) 및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제2-2 피스톤 로드(71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피스톤 로드(710a)는 일측에 제1 UVC 살균기(1a)와 결합되며, 타측이 제3-1 회전관절(8a)과 결합되고, 별도의 수단(예: 케이블 등) 또는 회로를 통해 제어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2 피스톤 로드(710b)는 일측에 제2 UVC 살균기(1b)와 결합되며, 타측이 제3-2 회전관절(8b)과 결합되고, 별도의 수단 또는 회로를 통해 제어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1, 2-2 피스톤 로드(710a, 710b)와 제어부(440)가 연결됨에 따라, 제2-1, 2-2 피스톤 로드(710a, 710b)의 직선방향 신장 또는 수축은 제어부(4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1, 2-2 피스톤 로드(710a, 710b)는 브래킷(30)을 통해 제1, 2 UVC 살균기(1a, 1b)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제1, 2 UVC 살균기(1a, 1b)는 브래킷(30)을 통해 제1-1, 1-2 피스톤 로드(610a, 610b)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회전관절(8)은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제3-1 회전관절(8a) 및 제3-2 회전관절(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1 회전관절(8a)은 제1-1 선형 액추에이터(6a)와 제2-1 선형 액추에이터(7a)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어부(440)에 의해 구동되는 제3-1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1 회전관절(8a)은 제3-1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제2-1 선형 액추에이터(7a)를 회전시켜 제1 UVC 살균기(1a)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3-2 회전관절(8b)은 제1-2 선형 액추에이터(6b)와 제2-2 선형 액추에이터(7b)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제어부(440)에 의해 구동되는 제3-2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2 회전관절(8b)은 제3-2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제2-2 선형 액추에이터(7b)를 회전시켜 제2 UVC 살균기(1b)의 자외선 발산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UVC 살균기(1)의 대기모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40)가 제1 선형 액추에이터(6)를 신축한 후, UVC 살균기(1)가 본체(4)의 상측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제3 회전관절(8)을 통해 제2 선형 액추에이터(7)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형 액추에이터(6)의 신축은 제1 피스톤 로드(610)의 일단이 본체(4)와 인접한 제1 케이스(600)의 일단과 접촉될 때까지 최대로 신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UVC 살균기(1)의 자외선 발산모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40)가 UVC 살균기(1)가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제3 회전관절(8)의 제3 모터(미도시)를 구동한 후, 제1 선형 액추에이터(6)를 수직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킨 다음, 제2 선형 액추에이터(7)를 직선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UVC 살균기, 1a: 제1 UVC 살균기,
1b: 제2 UVC 살균기, 2: 암부,
2a: 제1 암, 2b: 제2 암,
3: 회전관절부, 3a: 제1 회전관절,
3b: 제2 회전관절, 4: 본체,
5: 무한궤도유닛, 5a: 제1 무한궤도유닛,
5b: 제2 무한궤도유닛, 6: 제1 선형 액추에이터,
7: 제2 선형 액추에이터, 8: 제3 회전관절,
10: PCB, 11: 체결부재,
20: 케이스, 21: 통풍구,
30: 브래킷, 31: 브래킷의 전단,
32: 브래킷의 후단, 40: 광원 모듈,
41: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43: 기판,
50: 석영 렌즈, 60: 오링,
70: 커버, 71: 통풍구,
72: 관통구, 80: 인체감지센서,
90: LED 표시등, 91: 제1 LED,
92: 제2 LED, 100: 배터리,
110: 방열판, 111: 방열판의 전단,
112: 방열판의 후단, 113: 체결부재,
200: 제1 암, 210: 제2 암,
300: 제1 회전관절, 310: 제2 회전관절,
400: 제1 센서, 410: 제2 센서,
420: 제3 센서, 430: 데이터베이스,
440: 제어부, 600: 제1 케이스,
610: 제1 피스톤 로드, 700: 제2 케이스,
710: 제2 피스톤 로드, 1000: 이동수단,
1010: 객실, 1020: 통로,
1025: 발판, 1100: 라인,
1200: 제1 표시, 1300: 제2 표시,
1400: 대상물.

Claims (10)

  1. 양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상물을 향해 자외선을 발산하여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한 쌍의 UVC 살균기;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를 둘러싸는 궤도단위체를 통해 상기 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무한궤도유닛;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2 암; 및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 상기 제2 암과 상기 UVC 살균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제1, 2 암과 상기 UVC 살균기를 동일평면상에서 회전시켜 상기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분사각도를 변경하는 제1, 2 회전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대상물과 인접한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라인을 인식하는 제1 센서;
    상기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대기신호, 상기 UVC 살균기의 대기위치가 포함되는 상기 UVC 살균기의 대기모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표시를 인식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바닥에 형성되되, 상기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신호, 자외선 발산위치, 자외선 발산각도, 자외선 발산시간 및 자외선 발산종료시간이 포함되는 상기 UVC 살균기의 자외선 발산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된 제2 표시를 인식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상기 제2 표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가 상기 자외선 발산신호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산시간으로부터 상기 자외선 발산종료시간까지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도록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에 구비된 PCB에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가 상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상기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가 상기 대기모드로부터 자외선 발산위치 및 자외선 발산각도로 자외선을 발산하도록 상기 제1 회전관절과 상기 제2 회전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는,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이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도록 하거나, 상기 자외선의 발산을 일시정지시켜 상기 피측정인에게 상기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PCB;
    전단 및 후단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자외선 또는 빛이 발산되는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석영 렌즈, 광원 모듈 및 오링, 방열판, 상기 PCB 및 배터리가 순서대로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PCB로부터 자외선 발산 상태로 제어되기 위하여 제1 발광 제어신호 또는 상기 자외선의 발산을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로 제어되기 위하여 제2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상기 PCB로부터 상기 제1 발광 제어신호를 수신할 때 자외선을 전단으로 UVC의 자외선을 발산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상기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보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산된 자외선을 투과시키기 위한 석영으로 이루어지며, 통과되는 자외선을 확산시켜 상기 자외선에 의해 상기 대상물이 살균되도록 하는 상기 석영 렌즈;
    상기 케이스의 전단을 밀폐시키며,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자외선이 상기 한 쌍의 대상물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가 구비된 커버;
    상기 피측정인이 상기 관통구를 통해 발산되는 자외선의 발산영역보다 넓은 범위의 감지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피측정인의 신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피측정인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PCB로 송신하는 인체감지센서;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석영 렌즈를 투과하는 자외선에 의한 오존을 제거하는 광학필터; 및
    상기 광원 모듈의 전단과 상기 석영 렌즈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며, 곡률 반경의 거울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자외선을 집광시킴으로써 상기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라인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무한궤도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라인에 저장된 본체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표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UVC 살균기 중 적어도 하나의 UVC 살균기로부터 자외선의 발산이 일시정지되도록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에 구비된 PCB에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가 상기 대기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통해 상기 하나의 UVC 살균기를 상기 제1, 2 암과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1183A 2020-10-12 2020-10-12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KR10251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83A KR102510156B1 (ko) 2020-10-12 2020-10-12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183A KR102510156B1 (ko) 2020-10-12 2020-10-12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13A KR20220048513A (ko) 2022-04-20
KR102510156B1 true KR102510156B1 (ko) 2023-03-16

Family

ID=8139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183A KR102510156B1 (ko) 2020-10-12 2020-10-12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592B1 (ko) * 2023-04-18 2023-07-12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결합잔류염소 제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5166A1 (en) 2013-02-27 2016-12-29 Arthur Kreitenberg Internal sanitizing and communicating
KR101717559B1 (ko) * 2015-11-13 2017-03-2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장치
US20170112954A1 (en) 2014-11-10 2017-04-27 Daylight Medical, Inc.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6822957A (zh) 2015-12-07 2017-06-1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猪舍智能喷药机器人及其远程控制方法
KR101834332B1 (ko) 2011-06-08 2018-03-06 제넥스 디스인펙션 서비시즈, 엘엘씨 하나 이상의 반사기를 갖는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및 살균기기의 동작 파라미터와 소독 스케줄을 결정하는 시스템
CN210197071U (zh) 2019-07-26 2020-03-27 佛山市创鑫光电有限公司 一款自动消毒读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73B1 (ko) 2010-05-20 2010-12-06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장치
KR101145715B1 (ko) 2010-06-01 2012-05-14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및 피부 관리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332B1 (ko) 2011-06-08 2018-03-06 제넥스 디스인펙션 서비시즈, 엘엘씨 하나 이상의 반사기를 갖는 자외선 방전램프 장치 및 살균기기의 동작 파라미터와 소독 스케줄을 결정하는 시스템
US20160375166A1 (en) 2013-02-27 2016-12-29 Arthur Kreitenberg Internal sanitizing and communicating
US20170112954A1 (en) 2014-11-10 2017-04-27 Daylight Medical, Inc.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717559B1 (ko) * 2015-11-13 2017-03-2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장치
CN106822957A (zh) 2015-12-07 2017-06-13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猪舍智能喷药机器人及其远程控制方法
CN210197071U (zh) 2019-07-26 2020-03-27 佛山市创鑫光电有限公司 一款自动消毒读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13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94165B2 (en) Hard surface disinf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588102B1 (ko) 조명을 이용한 야생동물퇴치기
RU2615494C2 (ru) Светильник
WO2019022980A1 (en) DOWN-LIGHT UV LUMINAIRE WITH INTELLIGENT ENERGY LIGHTING CONTROL
WO2021195003A1 (en) Continuous, real-time ultraviolet disinfection of populated indoor spaces systems and methods
KR102510156B1 (ko) 자동 이동식 살균장치
KR20200034135A (ko) 스탠드형 이동식 살균장치
KR20190023890A (ko) 거리 측정 기반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ES2748386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la piel
CN111494660A (zh) 一种基于智能感知的紫外线广谱灭菌装置
WO2022157193A1 (en) Adaptive disinfecting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safety
US202102908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ing spaces or surfaces from stand-off distances
KR20160003886U (ko) 관절 구조를 지닌 피부치료용 led 조사기
KR102453971B1 (ko) 자외선살균시스템
KR102521148B1 (ko) 천정형 바이러스 제거장치
KR20150005313A (ko) 적외선 레이저 감시장치
CN217612112U (zh) 一种紫外线灭菌灯
GB2566950A (en) Lighting apparatus
KR20200100220A (ko) 자외선 엘이디 램프 제어 시스템
KR102513262B1 (ko) 자동차용 탈착형 휴대살균기
KR102407542B1 (ko) 바이러스 제거장치
KR102573027B1 (ko) Led 조명을 활용한 실내 공기 살균기
KR20230075733A (ko) 이동식 로봇 살균장치
KR20220053751A (ko) 자외선 살균 승강기
WO2022087710A1 (en) Ultraviolet disinfection robot with rotating ref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