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239B1 -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 Google Patents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239B1
KR102423239B1 KR1020210119448A KR20210119448A KR102423239B1 KR 102423239 B1 KR102423239 B1 KR 102423239B1 KR 1020210119448 A KR1020210119448 A KR 1020210119448A KR 20210119448 A KR20210119448 A KR 20210119448A KR 102423239 B1 KR102423239 B1 KR 10242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ing
output unit
hand washing
bas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riority to KR102021011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239B1/ko
Priority to PCT/KR2022/010366 priority patent/WO20230382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239B1/ko
Priority to US17/963,193 priority patent/US116459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09B19/0084Dental hygie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 장치는,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들여 출력부에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양치질 입력부;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손씻기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또는 손씻기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 양치질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양치질 출력부; 및 손씻기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손씻기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Education Device teaching how to brush teeth and clean hands}
본 발명은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위생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은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3대 만성 질환)을예방을 예방하는 차원을 넘어서,적절한 전신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치아 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모든 면을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치태가 침착되지 않도록 잘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구강 위생관리의 일반적인 방법은 양치질이다.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적절한 방법으로 충분한 시간동안(최소 2분간)양치질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뿐만 아니라,양치질이 잘 시행되었다고 하더라도,치아사이 부분(치간 부위)의 세정은 여전히 불가능하다.이 부분의 세정을 도와주는 것이 바로 치실, 치간칫솔,수압식 구강세정기등의 치간 세정 도구이다.하지만,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70%는 평생 한번도 치간 세정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이 수치가 20%정도는 낮다.원인을 살펴보면,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번째는 적절한 치간 세정도구 사용 방법을 모르는 경우이다.보건기관,교육기관에서 적절한 치실 사용 교육을 하여야 할 것이다.두번째로는 방법을 안다고 하더라도,동기부여의 부족으로 실제로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이다.이번 기술은 이런 두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발명되었다.
종래 특허기술의 일례인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70756호는 서로 관련이 있는 양치질과 손씻기에 대한 방법을 하나의 장치에 구현하지 못하여 아동 등 사용자가 따로따로 학습하거나 교육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사용방법이나 교육방법이 복잡하여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 장치에 있어서,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들여 출력부에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양치질 입력부;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손씻기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또는 손씻기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 양치질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양치질 출력부; 및 손씻기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손씻기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 장치는 고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치질 입력부는 고래 모양의 일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상기 손씻기 입력부는 고래 모양의 타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고래 모양의 배 부분에 해당하고,
상기 손씻기 출력부는 고래 모양의 물 뿜기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상하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단과 하단은 좌우를 기준으로 다시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영역은 시각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영역은 상단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상단 기본 영역으로 구성되고, 하단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하단 기본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영역 중의 한 기본 영역에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동적 디스플레잉을 제어할 때 인접영역에는 타이머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5, 제6 상단 및 제1, 제2, 제5, 제6 하단 기본 영역은 어금니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어금니에 대응되는 기본 영역에 대하여 어금니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제4 상단 및 제3, 제4 하단 기본 영역은 앞니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앞니에 대응되는 기본 영역에 대하여 앞니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여 치아의 안쪽면, 씹는면, 바깥면에 대한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상단 기본 영역 및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하단 기본 영역을 6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손씻기 보조 안내 디스플레잉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는 양치질과 손씻기 등의 시간과 방법을 알려주게 되고, 흥미를 유발하여 정기적으로 양치질과 손씻기 등을 하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양치질과 손씻기방법을 알려주는 교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교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출력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출력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픽셀 영역을 구획하여 치아의 안쪽면, 씹는면, 바깥면에 대한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개별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픽셀 영역을 구획하여 손씻기 안내에 대한 보조 디스플레잉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육 장치(100)는 메모리(110),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언어 변환부(140), 양치질 입력부(101), 손씻기 입력부(102), 음성 출력부(103), 양치질 제1 출력부(104), 양치질 제2 출력부(105), 손씻기 제1 출력부(106), 손씻기 제2 출력부(107)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10)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들여 출력부(103,104,105,106,107)에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 메모리(111)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111)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02)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부로 동작하면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교육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언어 변환부(140)는 교육 장치(100)가 음성 출력부(103)를 통해 안내하는 양치 및 손씻기 안내를 출력하는 언어를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양치질 입력부(101)는 사용자가 교육 장치(100)를 통해 양치질에 대한 안내를 받기 위해 터치 센서 등 센싱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의 물리적 접촉을 인지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20)로 송신함으로써 양치 안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씻기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교육 장치(100)를 통해 손씻기에 대한 안내를 받기 위해 터치 센서 등 센싱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의 물리적 접촉을 인지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20)로 송신함으로써 손씻기 안내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03,104,105,106,107)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방법 데이터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에 따른 양치질 방법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고, 손씻기 방법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음성 출력부(103)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방법 데이터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에 따른 양치질 방법을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양치질 제1 출력부(104),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방법 데이에 따라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사람의 구강 구조를 기준으로 양치질 제1 출력부(104)는 하악 부분에 대응하고 및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상악 부분에 대응한다.
양치질 제1 출력부(104)는 좌우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되고,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좌우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3에서 후술한다.
손씻기 제1 출력부(106), 손씻기 제2 출력부(107)는 광 출력이 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손씻기 안내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3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교육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육 장치(100)는 양치질 입력부(101), 손씻기 입력부(102), 음성 출력부(103), 양치질 제1 출력부(104), 양치질 제2 출력부(105), 손씻기 제1 출력부(106), 손씻기 제2 출력부(107)를 포함한다.
교육 장치(100)는 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동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장치(100)는 고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치질 입력부(101)는 고래 모양의 일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손씻기 입력부(102)는 고래 모양의 타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양치질 출력부(104, 105)는 고래 모양의 배 부분에 해당하고, 손씻기 출력부(106, 107)는 고래 모양의 물 뿜기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치질 출력부는 상하를 기준으로 사람의 구강 구조를 기준으로 양치질 제1 출력부(104)는 하악 부분에 대응하고 및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상악 부분에 대응한다. 또한, 양치질 제1 출력부(104)와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상단과 하단은 좌우를 기준으로 다시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된다.
양치질 제1 출력부(104)는 제1 하단 기본 영역(104a), 제2 하단 기본 영역(104b), 제3 하단 기본 영역(104c), 제4 하단 기본 영역(104d), 제5 하단 기본 영역(104e), 제6 하단 기본 영역(104f)로 구분될 수 있다.
양치질 제2 출력부(105)는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 제3 상단 기본 영역(105c), 제4 상단 기본 영역(105d), 제5 상단 기본 영역(105e), 제6 상단 기본 영역(105f)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복수의 기본 영역은 특정 치야 영역에 대해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하단 기본 영역(104c), 제4 하단 기본 영역(104d)은 하악 앞니에 대응하고, 제3 상단 기본 영역(105c), 제4 상단 기본 영역(105d)은 상악 앞니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하단 기본 영역(104b), 제5 하단 기본 영역(104e)은 하악의 작은 어금니에 대응하고,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 제5 상단 기본 영역(105e)은 상악의 작은 어금니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하단 기본 영역(104a), 제6 하단 기본 영역(104f)은 하악의 큰 어금니에 대응하고,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 제6 상단 기본 영역(105f)은 상악의 큰 어금니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양치질 데이터를 불러들여 양치질 제1 출력부(104) 및 양치질 제2 출력부(105)에서 출력할 수 있다. 양치질 데이터는 성인, 아동 등 타겟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된 양치질 방법에 대한 시각 출력 정보와 음성 출력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에서 순차적으로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여 제6 상단 기본 영역(105f)에 도달할 수 있다. 이후 제6 하단 기본 영역(104f)에서 다시 순차적으로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여 제1 하단 기본 영역(104a)로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디스플레잉시에 각 해당 기본 영역에서 음성 출력부(103)는 대응되는 양치질 방법을 기설정된 언어로 안내할 수 있다. 언어의 변경은 언어 변환부(1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하악 앞니에 대응하는 제3 하단 기본 영역(104c), 제4 하단 기본 영역(104d) 및 상악 앞니에 대응하는 제3 상단 기본 영역(105c), 제4 상단 기본 영역(105d)은 칫솔을 세로로 세워서 하나씩 닦는 방법 사용하도록 안내하고, 특히 치석이 더 잘생기는 아래 앞니 안쪽 면을 바깥면보다 15% 이상 더 길게 할당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 앞니 바깥면 6초, 안쪽면 7초, 아래 앞니 바깥면 6초, 안쪽면 7초가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하악의 작은 어금니에 대응하는 제2 하단 기본 영역(104b), 제5 하단 기본 영역(104e) 및 상악의 작은 어금니에 대응하는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 제5 상단 기본 영역(105e)에 대해서는 충치가 더 잘생기는 어금니부위를 앞니 보다 80% 이상 더 길게 시간 할당하고, 특히 씹는면에 대해서는 어금니 옆면에 비해 30~40% 더 길게 시간 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 어금니 바깥면 6초, 씹는면 10초, 안쪽면 7초, 아래 어금니 바깥면 7초, 씹는면 10초, 안쪽면 6초를 할당하도록 시각적 안내 및 청각적 안내를 수행하도록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어금니의 안쪽면 및 바깥면, 앞니 바깥면으로는 옆으로 진동하다가 세로로 내리면 닦는 방법을 안내하고, 씹는면에는 앞뒤로 움직이면 닦는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하악의 큰 어금니에 대응하는 제1 하단 기본 영역(104a), 제6 하단 기본 영역(104f) 및 상악의 큰 어금니에 대응하는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 제6 상단 기본 영역(105f)에 대해서는 충치가 더 잘생기는 어금니부위를 앞니 보다 80% 이상 더 길게 시간 할당하고, 특히 씹는면에 대해서는 어금니 옆면에 비해 30~40% 더 길게 시간 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 어금니 바깥면 6초, 씹는면 10초, 안쪽면 7초, 아래 어금니 바깥면 7초, 씹는면 10초, 안쪽면 6초를 할당하도록 시각적 안내 및 청각적 안내를 수행하도록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손씻기 데이터를 불러들여 손씻기 제1 출력부(106) 손씻기 제2 출력부(107)에서 시각적 안내 디스플레잉을 수행하고, 음성 출력부(103)을 통해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20초 동안 손씻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손씻기를 6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손씻기 제1 출력부(106) 손씻기 제2 출력부(107)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1. 양쪽 손바닥: Rub palms together
2. 왼쪽 손등: Rub backs of left hand
3. 오른쪽 손등: Rub backs of right hand
4. 손가락 사이: Palm to palm with interlaced fingers
5. 손끝 및 손톱: Rub finger tips and nails
6. 양쪽 엄지: Rub both thumb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손씻기 제1 출력부(106)는 손씻기 제2 출력부(107) 분수 모양으로 갈라지며 연결되는 연결부와 두 개의 구형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외형은 데포르메되어 있으나 구형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역 및 광량을 실시간으로 조절함으로써 양손의 손씻기를 위한 효율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씻기 제1 출력부(106)는 왼손에 대응하고 손씻기 제2 출력부(107)는 오른손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양손 손바닥 손씻기의 경우, 손씻기 제1 출력부(106) 및 손씻기 제2 출력부(107)의 구의 하부 영역에서 광원이 회전하도록 출력함으로써 양쪽 손바닥의 손씻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왼쪽 손등 씻기의 경우, 손씻기 제1 출력부(106)의 구의 상부 영역에서 광원이 회전하도록 출력함으로써 손등 씻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오른쪽 손등 씻기의 경우, 손씻기 제2 출력부(107)의 구의 상부 영역에서 광원이 회전하도록 출력함으로써 손등 씻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손가락 사이 씻기의 경우, 손씻기 제1 출력부(106)와 손씻기 제2 출력부(107)의 서로 인접한 방향쪽 및 분수의 연결부에서 광원이 서로 좌우로 왕복하도록 출력함으로써 손가락 사이 씻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손끝 및 손톱 씻기의 경우, 손씻기 제1 출력부(106)와 손씻기 제2 출력부(107)에서 복수의 소형 광원을 출력하고 해당 광원이 상호간에 인접했다가 멀어지도록 진동시킴으로써 손끝 및 손톱 씻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데포르메 된 시각적 출력부인 손씻기 제1 출력부(106) 및 손씻기 제2 출력부(107)의 안내 정보를 보완하도록 음성 출력부(103)를 통해 음성 안내를 병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출력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양치질 출력부를 구성하는 기본 영역은 시각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치아 영역에 대응하는 기본 영역이 다시 복수의 픽셀로 구성됨으로써, 제어부(120)는 칫솔의 세로로 세워 닦기, 가로로 눕혀 닦기, 진동하기, 치아의 안쪽면, 바깥쪽면, 씹는면 영역별 닦기 등 세부적인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디스플레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상기 기본 영역 중의 한 기본 영역, 예를 들어,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에 어금니 양치질과 관련된 안내 디스플레잉이 수행중일 때, 안내 기능을 수행필요가 없는 인접 기본 영역, 예를 들어,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에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특정 기본 영역에 동적 디스플레잉을 제어할 때 인접 기본 영역에는 타이머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기본 영역에서 수행중인 동작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안내하거나, 치아의 형상이나 치아에서 양치질이 필요한 세부적인 정보에 대한 칫솔질 영역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은 일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상단 기본 영역(105c)에 앞니 양치질과 관련된 안내 디스플레잉이 수행중일 때, 안내 기능을 수행필요가 없는 인접 기본 영역, 예를 들어, 제4 상단 기본 영역(105d) (또는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에는 타이머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칫솔질 영역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픽셀 영역을 구획하여 치아의 안쪽면, 씹는면, 바깥면에 대한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개별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본 영역을 기존에 구획된 방식이 아닌 세부 단위 요소인 픽셀 단위로 재구획하여 제어부(120)가 보다 용이하게 양치질 또는 손씻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내 디스플레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금니에 해당하는 제1 상단 기본 영역(105a), 제2 상단 기본 영역(105b)은 종래에는 좌우 방향으로 2개의 기본 영역에 대응하였으나 이를 단일 단위로 재편하고, 횡 방향으로 단일 기본 영역에 대응하는 구획방식 대신 바깥면 영역(r1), 안쪽면 영역(r2), 씹는면 영역(r3)로 재편하여 양치질 정보를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앞니에 해당하는 제3 상단 기본 영역(105c) 및 제 4 상단 기본 영역(105d)의 경우, 좌우 방향으로 2개의 기본 영역에 대응하였으나 이를 단일 단위로 재편하고, 횡 방향으로 단일 기본 영역에 대응하는 구획방식 대신 윗 영역(r4), 아랫 영역(r5)으로 재편하여 효율적인 앞니 양치질 정보를 디스플레잉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의 양치질 출력부의 픽셀 영역을 구획하여 손씻기 안내에 대한 보조 디스플레잉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세밀한 정보 출력이 어려운 손씻기 출력부(106, 107)를 보완하기 위해서 양치질 출력부(104, 105)를 보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을 살피면, 양치질 출력부(104, 105)를 손씻기 디스플레잉을 위한 손바닥 손씻기 영역(S1), 왼쪽 손등 손씻기 영역(S2), 오른쪽 손등 손씻기 영역(S3), 엄지 손씻기 영역(S4), 손톱 손씻기 영역(S5), 손가락 손씻기 영역(S6)으로 구획하고, 손씻기 출력부(106, 107)를 통해 손씻기 안내 디스플레잉이 수행되는 중에, 양치질 출력부(104, 105)도 동시간대에 손씻기 보조 안내 디스플레잉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장치는 하기와 같은 모드별로 개별 동작이 가능하다.
양치질의 경우 A. 성인 모드는 일반적인 성인 치열에 맞는 양치질 방법 안내.성인 치아는 일반적으로 사랑니를 포함하여 32개의 치아를 가진다.이를 상기된 16개 구 역으로 나뉘어서 세밀한 치아 관리를 할 수 있는 양치질 방법을 제공한다. B. 어린이 모드는 일반적으로 만6세 미만의 어린이는 20개 미만의 치아를 가지고,만12세 미만의 어린이는 24개 미만의 치아를 가진다.또한 성인에 비 해 잇몸 밖으로 나와 있는 치아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치아의 옆면이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을 매우 좁다.따라서 성인과 달리 어린이는 전체 치아 구역으로 6개 로 단순하게 나누어서,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양치질을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2. 모드분류 2 (작동 시간별 분류) A. 표준 모드는 일반적인 표준 양치모드로,예를 들어 2분 동안 수 행된다. B. 고급 모드는 일반 모드보다 20% 이상 양치 시간을 늘려서,좀 더 충분한 세정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드이다.예를 들어 2분 30초 시간동안 수행된 다.
3. 양치 기능 이용 내역 기록 및 가중치 활용 33-24 2021-06-03
A. 상기 제어부는 당일에 실행된 양치질 횟수를 저장장치에 매일 저장한다. B. 양치질이 시작되면, 전날에 실행된 양치질 횟수를 메모리에서 불러온다.만약 2회 미만이면,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고,상기된 고급 모드 로 진입 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만약,아무 입력이 없으면,상기된 고급 모드로 자 동 진입 되고,이를 통해 전날 부족했던 양치질 시간을 보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만약,사용자에 의해취소 버튼이 선택되면,상기된 표준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C. 지정기간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하루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양치질 기능이 작동되었을 시에는,지정기간의 마지막 날에 칭찬 메시지를 주어서, 사용자에게 양치관리 습관을 고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양치질 손씻기 교육 장치
110 : 메모리
120 : 제어부
130 : 송수신부
140 : 언어 변환부
101 : 양치질 입력부
102 : 손씻기 입력부
103 : 음성출력부
104 : 양치질 제1 출력부
105 : 양치질 제2 출력부
106 : 손씻기 제1 출력부
107 : 손씻기 제2 출력부

Claims (11)

  1.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 장치에 있어서,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들여 출력부에 양치질 및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양치질 입력부;
    손씻기 방법을 안내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손씻기 입력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양치질 또는 손씻기 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
    양치질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양치질 출력부; 및
    손씻기 방법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손씻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손씻기 방법을 보조 안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손씻기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상기 손씻기 출력부를 통해 손씻기 안내 디스플레잉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손씻기 영역들을 통해 손씻기 보조 안내 디스플레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장치는 고래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질 입력부는 고래 모양의 일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상기 손씻기 입력부는 고래 모양의 타단의 지느러미에 해당하고,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고래 모양의 배 부분에 해당하고,
    상기 손씻기 출력부는 고래 모양의 물 뿜기 부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질 출력부는 상하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단과 하단은 좌우를 기준으로 다시 복수의 기본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역은 시각 출력이 가능한 복수의 픽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영역은 상단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상단 기본 영역으로 구성되고, 하단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하단 기본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영역 중의 한 기본 영역에 양치질 방법을 안내하도록 동적 디스플레잉을 제어할 때 인접영역에는 타이머 디스플레잉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5, 제6 상단 및 제1, 제2, 제5, 제6 하단 기본 영역은 어금니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부는 어금니에 대응되는 기본 영역에 대하여 어금니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상단 및 제3, 제4 하단 기본 영역은 앞니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부는 앞니에 대응되는 기본 영역에 대하여 앞니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본 영역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여 치아의 안쪽면, 씹는면, 바깥면에 대한 양치질 안내 디스플레잉을 개별적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장치.
  11. 삭제
KR1020210119448A 2021-09-08 2021-09-08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KR10242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48A KR102423239B1 (ko) 2021-09-08 2021-09-08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PCT/KR2022/010366 WO2023038272A1 (ko) 2021-09-08 2022-07-15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US17/963,193 US11645945B2 (en) 2021-09-08 2022-10-11 Education device teaching how to brush teeth and clean h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48A KR102423239B1 (ko) 2021-09-08 2021-09-08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239B1 true KR102423239B1 (ko) 2022-07-19

Family

ID=8260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48A KR102423239B1 (ko) 2021-09-08 2021-09-08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3239B1 (ko)
WO (1) WO202303827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8239A1 (en) * 2000-10-04 2002-05-16 Chi-Hsiang Wang Teaching and entertaining apparatus
JP3133257U (ja) * 2007-04-24 2007-07-05 サラヤ株式会社 衛生指導装置
KR20100052084A (ko) * 2008-11-10 2010-05-19 한국과학기술원 어린이 구강위생 교육장치 및 방법
KR20160000263U (ko) * 2014-07-14 2016-01-25 김태현 양치 교육 장치
KR20190081877A (ko) * 2017-12-29 2019-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표시장치와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
KR20210038057A (ko) * 2019-09-30 2021-04-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치 학습 및 훈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3768B2 (en) * 2017-04-24 2020-10-13 Karen Rubin Kay Illumination and hygiene assistance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8239A1 (en) * 2000-10-04 2002-05-16 Chi-Hsiang Wang Teaching and entertaining apparatus
JP3133257U (ja) * 2007-04-24 2007-07-05 サラヤ株式会社 衛生指導装置
KR20100052084A (ko) * 2008-11-10 2010-05-19 한국과학기술원 어린이 구강위생 교육장치 및 방법
KR20160000263U (ko) * 2014-07-14 2016-01-25 김태현 양치 교육 장치
KR20190081877A (ko) * 2017-12-29 2019-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러 표시장치와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
KR20210038057A (ko) * 2019-09-30 2021-04-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치 학습 및 훈련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263호(2016.1.25.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8057호(2021.4.7. 공개) 1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2/0058239호(2002.5.16.) 1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33257호(2007.7.5. 발행)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272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etz et al. Toothbrushing education via a smart software visualization system
US20230017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oth-brushing guide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WO2019196646A1 (zh) 基于人工智能的刷牙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rbe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plaque removal and motivation between a manual toothbrush and an interactive power toothbrush in adolesc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A single-center, examiner-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S2795030T3 (es) Dispositivo de higiene personal
KR20130057688A (ko)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Tosaka et al. Analysis of tooth brushing cycles
Levi Jr et al. Non-surgical control of periodontal dseases
KR102423239B1 (ko) 양치질과 손씻기를 교육하는 교육 장치
KR102202551B1 (ko) 양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양치 정보 제공 시스템
Bauer The index of ADOH: concept of measuring oral self‐care functioning in the elderly
US20150305482A1 (en) Toothbrush with full-gripping handle
US11645945B2 (en) Education device teaching how to brush teeth and clean hands
Grimaldi et al. Randomised methodology development study to investigate plaque removal efficacy of manual toothbrushes
Janet Jaccarino Helping the special needs patient maintain oral health
Erbe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uko et al. Design of interactive aids for children's teeth cleaning habits
Niederman et al. Oral hygiene skill achievement index I
Palanisamy et al. Navigating Oral Hygiene Challenges in Spastic Cerebral Palsy Patients: A Narrative Review for Management Strategies for Optimal Dental Care
JP2021023778A (ja) ブラッシング方法
CN113436471B (zh) 口腔清洁科普教具和实时交互平台
Ndukwe et al. Oral hygiene practices and status among orthodontic patients in a Nigerian teaching hospital
KR20220163738A (ko) 양치질과 손씻기방법을 알려주는 도우미 시스템
KR20220117438A (ko) 양치질과 치간 세정법을 알려주는 도우미 시스템
Na Correlation between human need conceptual model and plan of dental hygiene intervention of the job of dental hygienists for the incremental dental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