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831B1 -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831B1
KR102422831B1 KR1020200145400A KR20200145400A KR102422831B1 KR 102422831 B1 KR102422831 B1 KR 102422831B1 KR 1020200145400 A KR1020200145400 A KR 1020200145400A KR 20200145400 A KR20200145400 A KR 20200145400A KR 102422831 B1 KR102422831 B1 KR 10242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stage
uni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802A (ko
Inventor
안홍구
Original Assignee
안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홍구 filed Critical 안홍구
Priority to KR102020014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가 제공된다. 안전 도르래장치는, 일단부가 무대 천정의 견인장치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물품 견인용 와이어가 걸리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에 있어서, 견인장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지점에 배치되며 와이어를 굴절시켜 타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가 형성된 낙하점도르래유닛, 낙하점도르래유닛에 배치되어 와이어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 및 낙하점도르래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에 수직한 두 축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두 축 사이로 와이어가 통과되며, 두 축 사이의 회전중심 둘레로 회전되며 와이어에 걸리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로드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압롤러로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Safety pulley apparatus for stage}
본 발명은 무대에서 무대소품, 장치, 도구 등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무대용 도르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추락 등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연이나 행사 등이 이루어지는 공연장, 극장 등에 무대가 설치된다. 무대는 좌석이 바라보는 전면에 위치하며 관람객은 조명이 비춰진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을 관람하게 된다. 대부분 막 등으로 가려져 있으나 무대 상부, 후면 등에는 앵글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배치되며 이러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무대를 설치하고 각종 무대장치나 도구 등을 배치하거나 위치를 바꾸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대의 천정에 위치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견인용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로 무대의 각종 무대장치, 소품 등을 견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막간에 무대설비나 무대장치의 배치를 신속하게 바꾸어 줄 수도 있고 필요한 위치로 무대설비를 편리하게 움직일 수도 있다. 종래 윈치 등 견인장치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사용한 예 등이 개시되고 있다(예, 대한민국 특허 10-1190550 등).
그러나 종래의 경우 와이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견인장치에 문제 등이 생기는 경우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예상치 못한 이유로 와이어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견인장치에 문제 등이 발생하여 위험한 경우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안전구조가 없어 물품 추락 등 사고에 대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0550호, (2012. 10. 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의 추락 등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를 통해 견인장치와 독립적으로 물품 추락 등의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는, 일단부가 무대 천정의 견인장치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물품 견인용 와이어가 걸리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굴절시켜 타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가 형성된 낙하점도르래유닛;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 및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수직한 두 축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축 사이로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며, 상기 두 축 사이의 회전중심 둘레로 회전되며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로드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로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두 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중심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위치를 바꾸는 위치조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위치조정판이 회전하면 서로 간의 축간격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축이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변동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곡선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위치조정판에 상기 회전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곡선가이드홈은,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위치조정판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위치조정판을 구동시키는 웜으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은, 상기 도르래의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센서는 상기 도르래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의 축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대 천정에 배치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활용한 견인작업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예상치 못한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견인장치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별도로 도르래장치 자체에서 직접 와이어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상대적으로 작은 움직임으로 와이어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와이어 및 견인장치 등과 함께 사용이 가능하고 범용성이 높아 적용이 편리하므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공연이나 행사 등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낙하점도르래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잠금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잠금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견인장치(2)와 연결된 와이어(10)의 일 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무대 천정에 형성된 앵글 등의 구조물(A)에 배치할 수 있으며, 역시 무대 천정의 구조물(A)에 형성된 견인장치(2)와 이격되어 물품(B)을 승강시키기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낙하점도르래유닛(100)으로 와이어(10)가 하강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와이어(10)가 하강하는 위치를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견인장치(2)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편리하게 무대설비, 도구 등 다양한 물품(B)을 무대 위로 견인할 수 있다.
또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와이어(10)가 걸리는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하부에서 와이어(10)를 직접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유닛(200)을 포함한다. 잠금유닛(200)은 와이어(10)의 양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210)를 회전시켜 위치를 바꾸어 와이어(10)를 가압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와이어(10)에 접촉하여 와이어(10)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멈출 수 있으므로 위험상황에서 견인장치(2)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와이어(10)를 바로 고정시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낙하점도르래유닛(100)에 배치된 로드센서(130)를 통해 와이어(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신호에 따라 잠금유닛(200)을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미묘한 상황변화 등에도 빠르게 대응하여 추락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게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일단부가 무대 천정의 견인장치(2)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물품 견인용 와이어(10)가 걸리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에 있어서, 견인장치(2)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지점에 배치되며 와이어(10)를 굴절시켜 타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110)가 형성된 낙하점도르래유닛(100), 낙하점도르래유닛(100)에 배치되어 와이어(10)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130), 및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와이어(10)에 수직한 두 축[롤러축(211)과 동등함]에 각각 롤러(212)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축 사이로 와이어(10)가 통과되며, 상기 두 축 사이의 회전중심[후술하는 회전축(도 4 및 도 5의 221참조)과 동등함] 둘레로 회전되며 와이어(10)에 걸리는 한 쌍의 가압롤러(210)를 포함하여,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압롤러(210)로 와이어(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잠금유닛(200)은 한 쌍의 가압롤러(210)의 두 축과 연결되며 회전중심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한 쌍의 가압롤러(210)의 회전위치를 바꾸는 위치조정판(220)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이 회전하면 서로 간의 축간격이 변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회전하는 동시에 상호 간격이 줄어들며 와이어(10)를 양 쪽에서 역방향으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잠금유닛(200)을 이용하여 보다 간결한 움직임으로 신속하게 와이어(10)를 멈추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의 구조 및 작용효과 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낙하점도르래유닛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잠금유닛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기본으로 하되, 도 3 및 도 4의 구조를 함께 참조하여 각 구성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점도르래유닛(100), 로드센서(130), 및 잠금유닛(200)을 포함하며 무대설비 등을 견인하는 물품 견인용 와이어(10)와 연결된 형태로 배치된다. 와이어(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단부가 견인장치(2)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것으로서, 견인장치(2)는 무대 천정의 앵글과 같은 구조물(A)에 설치된다. 견인장치(2)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와이어(10)와 연결되어 와이어(10)를 감거나 푸는 견인 휠(21)이 형성되어 있고 견인 휠(21)이 구동모터(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동모터(22)와 견인 휠(21) 사이에는 회전속도 등을 조정하는 감속기(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견인장치(2)는 와이어(10)를 감거나 풀어 승강시키는 구동을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견인장치(2)가 무대 천정의 구조물(A) 상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와이어(10)는 일단부가 이러한 무대 천정의 견인장치(2)에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와이어(10)를 다음과 같은 구조를 통해 지지하고 경로를 바꾸어 주며, 위험 상황에서는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먼저,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은 견인장치(2)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낙하점도르래유닛(100)에는 와이어(10)와 접하여 와이어(10)를 굴절시키며 와이어(10)의 타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110)가 형성된다.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은 천정의 앵글과 같은 구조물(A)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견인장치(2)와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구조물(A)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와이어(10)가 수직방향으로 하강되는 위치를 바꾸어 줄 수 있고 따라서 무대 위 어느 지점에서도 무대설비나 각종 도구 등 물품(B)을 상하로 견인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은 와이어(10)를 굴절시켜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구조이며 이로 인해 와이어(10)는 견인장치(2)으로부터 낙하점도르래유닛(100)까지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진행하다가[천정 구조물(A)의 높낮이나 전체적인 배치상태 등에 의해 와이어(10)는 약간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을 통과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와이어(10)는 일단부는 견인장치(2)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도르래(110)에 걸려 수직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타단부의 말단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무대설비와 같은 물품(B)이 결속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은 지지구조인 외판(101) 안쪽에 와이어(10)를 굴절시켜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110)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르래(110)의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롤러(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롤러(1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와이어(10)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르래(110)의 외주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롤러(120)를 이용하여 와이어(10)를 도르래(110)의 외면에 밀착시켜 줄 수 있으며 도르래(110)에 수평방향으로 진입되는 와이어(10)를 도르래(110)와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120)로 지지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 지점에 추가로 가이드롤러(120)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르래(110)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가이드롤러(120)는 와이어(10)와 함께 적어도 일부가 홈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와이어(10)가 도르래(110)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와이어(10)를 굴절시켜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로드센서(130)는 낙하점도르래유닛(100)에 배치되어 와이어(10)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한다. 로드센서(130)는 도르래(110)에 걸려 굴절되는 와이어(1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며 따라서 하중 변화 등으로부터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센서(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110)의 축과 연결되어 도르래(110)의 축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와이어(10)는 수직방향으로 하강된 타단부 말단에 무대설비 등의 물품(B)을 결속하여 견인할 수 있고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도르래(110)는 무대 천정에서 이러한 와이어(10)를 받쳐 지지하므로 도르래(110)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로드센서(130)는 도르래(110)의 축과 연결되어 와이어(10)로부터 가해진 하중 및 하중 변화를 보다 면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르래(110)는 축이 외판(101)에 부분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로드센서(130)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한도 내에서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잠금유닛(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잠금유닛(200)은 와이어(10)의 수직방향으로 하강되는 부분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낙하점도르래유닛(1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유닛(200)도 앵글 등 무대 천정의 구조물(A)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지대 등을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는 낙하점도르래유닛(100)과 잠금유닛(200)을 바로 연결시킨 형태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잠금유닛(200)은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하부에서 와이어(10)와 접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를 바꾸어 가며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유닛(200)은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잠금유닛(200)은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동작하며 가압롤러(210)로 와이어(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잠금유닛(2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잠금유닛(200)은 와이어(10)에 수직한 두 축에 각각 롤러(212)가 결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압롤러(210)를 포함한다. 가압롤러(210)의 축은 이하 롤러축(211)으로 지칭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와이어(10)에 수직한 두 롤러축(211) 각각에 롤러(212)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두 롤러축(211) 사이로 와이어(10)가 통과되며,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두 롤러축(211) 사이의 회전중심[후술하는 회전축(도 4 및 도 5의 221참조)및 중심홈(도 4의 230a참조)과 동등함] 둘레로 회전되며 와이어(10)에 걸려 와이어(10)를 가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잠금유닛(200)은 두 롤러축(211)과 연결되며 두 롤러축(211) 사이의 회전중심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한 쌍의 가압롤러(210)의 회전위치를 바꾸는 위치조정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정판(220)에는 회전축(221)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221)이 회전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에 결합되어 위치조정판(2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축(221)이 위치한 회전중심 둘레로 이를 테면, 공전하며 위치가 바뀔 수 있다(구체적인 동작은 도 5참조).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압롤러(210) 사이로 연장된 와이어(10)를 양 측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며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단순히 회전하며 위치가 바뀌는 데 그치지 않고 위치조정판(220)이 회전하면 서로 간의 축간격이 변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유닛(200)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유닛(200)은 가압롤러(210)의 축[즉, 롤러축(211)]이 삽입되어 이동하며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변동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곡선가이드홈(231)을 포함하는 고정판(230)을 포함하고,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에 회전중심[즉, 그와 동등하게 회전축(221)]에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정판(220)과 가압롤러(210)의 롤러(212) 사이에 위치하여 받침부(25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위치조정판(220)의 회전축(221)은 고정판(230)에 상기 회전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심홈(230a)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가압롤러(210)의 롤러축(211)은 고정판(230)에 형성된 곡선가이드홈(231)을 관통하여 도 4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가압롤러(210)의 롤러축(211)은 위치조정판(220)이 회전하면 곡선가이드홈(231)을 따라서 움직이며 상호간의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가압롤러(210)와 위치조정판(220)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과 연결되는 축[롤러축(211)]의 말단에 결합된 슬라이딩 블록(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조정판(220)은 회전중심[즉, 그와 동등하게 회전축(22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223)을 포함하여 슬라이딩 블록(213)을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홈(223) 내측에는 슬라이딩 블록(213)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베어링(223a)이 형성될 수 있고(예를 들면, 위치조정판(220)안에 삽입된 형태로 슬라이딩홈(223) 내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 상에서 슬라이딩홈(223)이 연장된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가 고정판(230)에 형성된 곡선가이드홈(231)의 가이드구조와 복합되어, 가압롤러(210)가 회전하면서 상호간의 축간격이 변동되는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위치조정판(220)은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에 결합된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롤러축(211)이 삽입된 곡선가이드홈(23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곡선가이드홈(231)은 회전축(221)이 있는 회전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동되는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가압롤러(210) 역시 그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중심에 대한 거리가 바뀌게 된다. 곡선가이드홈(231)은 예를 들어, 회전중심에 대해 일 회전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일 수 있다)으로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곡선가이드홈(231)은 도 4와 같이(확대도 참조-곡선가이드홈(231)을 평면으로 도시한 그림) 회전축(221)이 위치하는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져 고정판(230) 상에서 일정한 중심각(θ)만큼 회전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곡선가이드홈(231)의 일단부인 시작점으로부터 타단부인 도착점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곡선가이드홈(231)의 시작점에서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R1)는 도착점에서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R2)보다 상대적으로 멀 수 있으며 따라서 가압롤러(210)가 곡선가이드홈(231)을 따라 시작점에서 도착점으로 이동하면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선가이드홈(23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가압롤러(210)는 위치조정판(220) 상에서는 슬라이딩 블록(213)과 슬라이딩홈(223)의 결합구조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압롤러(210)를 회전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위치를 바꾸면서 동시에 상호간의 축간격도 감소되게 할 수 있다(동작은 도 5참조).
위치조정판(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웜(241)과 웜기어(222)의 치합구조로 회전될 수 있다. 즉 받침부(250) 일 측에 모터(24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241)을 배치하고 위치조정판(220) 외주부에 웜(241)에 치합되는 웜기어(222)를 형성하여 위치조정판(2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잠금유닛(200)은, 위치조정판(220)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웜기어(222)와, 웜기어(222)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위치조정판(220)을 구동시키는 웜(241)으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로 위치조정판(220)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다른 구동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5는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잠금유닛의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의 안전 도르래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잠금유닛(200)은 도 5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평상시에 잠금유닛(200)은 도 5의 (a)와 같이 한 쌍의 가압롤러(210)가 와이어(10)의 양 측에 배치되어 두 롤러축(211) 사이로 와이어(10)를 수직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0)는 전술한 견인장치(2)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며 원활하게 주행이 가능하다. 반면, 긴급한 상황에는 도 5의 (b)와 같이 한 쌍의 가압롤러(210)가 위치조정판(220)과 함께 회전되어(예를 들어, 시계방향 회전일 수 있다) 와이어(10)를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구조에 의해, 가압롤러(210)는 롤러축(211)이 곡선가이드홈(2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중심으로 접근하여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져 맞물릴 수 있다. 즉, 도 5의 (b)처럼, 한 쌍의 가압롤러(210)는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0)의 양 측에 밀착되고 동시에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져 와이어(10)를 양 편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눌러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짧은 회전으로도 와이어(10)를 견고하게 압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치조정판(220)은 모터(240)에 의해 구동되는 웜(241)과 웜기어(222)에 의해 치합되어 회전하며 이러한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작동하며 안전사고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는 전술한 것처럼 낙하점도르래유닛(100)에 배치되어 와이어(10)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130)를 포함하여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잠금유닛(200)을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잠금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면서 또한,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자동으로 가압롤러(210)로 와이어(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험상황에서 매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센서(130)의 감지신호(S1)를 전송받고 잠금유닛(200)으로 동작신호(S2)를 전송하는 제어유닛(3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어유닛(300)은 개념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구현방식에 따라 제어유닛(300)은 작은 칩 형태로 잠금유닛(200)에 구동부 등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유닛(300)은 연산기능을 갖춘 cpu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고 그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송출하여 잠금유닛(200)의 구동부를 동작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센서(130)의 감지값이 급격히 변동되거나, 변동폭이 예측된 수준을 벗어나는 경우 등의 비정상적인 여러 상황을 위험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작신호(S2)를 송출하도록 하여 잠금유닛(200)을 바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로드센서(130) 외에 와이어(10)와 접하여 와이어(10)의 장력변화 등을 감지하는 또 다른 감지센서를 설치해 줄 수도 있으며 로드센서(130)와 이러한 센서들의 감지신호를 복합하여 위험상황을 다각도로 정밀하게 파악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잠금유닛(200)은 낙하점도르래유닛(100)의 하부에서 신속이 작동하여 전술한 것처럼 와이어(10)를 가압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게 된다.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잠금유닛(200)을 배치하여 적소에서 와이어(10)의 잠금동작이 진행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소에는 잠금상태가 해제된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1)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물품(B)을 승강시키고(도 2와 같은 상태일 수 있다), 위험이 감지되면 도 6과 같이 잠금유닛(200)으로 와이어(10)를 긴급히 고정하여 위험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잠금유닛(200)이 작동할 때 제어유닛(300) 등을 이용하여 견인장치(2) 등에도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견인장치(2)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무대용 안전 도르래 장치(1)를 이용하여 매우 안전하게 무대설비 등을 견인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2: 견인장치
10: 와이어 21: 견인 휠
22: 구동모터 23: 감속기
100: 낙하점도르래유닛 101: 외판
110: 도르래 120: 가이드롤러
130: 로드센서 200: 잠금유닛
210: 가압롤러 211: 롤러축
212: 롤러 213: 슬라이딩 블록
220: 위치조정판 221: 회전축
222: 웜기어 223: 슬라이딩홈
223a: 롤러베어링 230: 고정판
230a: 중심홈 231: 곡선가이드홈
240: 모터 241: 웜
250: 받침부 300: 제어유닛
A: 구조물 B: 물품

Claims (8)

  1. 일단부가 무대 천정의 견인장치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물품 견인용 와이어가 걸리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천정의 다른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굴절시켜 타단부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키는 도르래가 형성된 낙하점도르래유닛;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 및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수직한 두 축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축 사이로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며, 상기 두 축 사이의 회전중심 둘레로 회전되며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로드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로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두 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중심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위치를 바꾸는 위치조정판을 더 포함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위치조정판이 회전하면 서로 간의 축간격이 변동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가압롤러의 축이 삽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변동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곡선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위치조정판에 상기 회전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가이드홈은, 상기 회전중심에 대해 일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위치조정판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위치조정판을 구동시키는 웜으로 이루어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점도르래유닛은, 상기 도르래의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센서는 상기 도르래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의 축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KR1020200145400A 2020-11-03 2020-11-03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KR102422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00A KR102422831B1 (ko) 2020-11-03 2020-11-03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00A KR102422831B1 (ko) 2020-11-03 2020-11-03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02A KR20220059802A (ko) 2022-05-10
KR102422831B1 true KR102422831B1 (ko) 2022-07-19

Family

ID=8159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400A KR102422831B1 (ko) 2020-11-03 2020-11-03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23B1 (ko) * 2012-09-07 2013-01-09 (주)하온아텍 바튼 안전 승강장치
KR101620316B1 (ko) * 2015-09-03 2016-05-12 (주)하온아텍 디스크형 드럼을 이용한 바튼 승강 안전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687A (ja) * 1994-04-02 1995-10-24 Keihin Dock Kk ロープ用ブレーキ装置
KR100963625B1 (ko) * 2008-05-28 2010-06-15 권영현 듀얼 브레이크를 갖는 무대장치
KR101190550B1 (ko) 2012-02-09 2012-10-16 (주)일선엠크래프트 무대용 윈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23B1 (ko) * 2012-09-07 2013-01-09 (주)하온아텍 바튼 안전 승강장치
KR101620316B1 (ko) * 2015-09-03 2016-05-12 (주)하온아텍 디스크형 드럼을 이용한 바튼 승강 안전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02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7974C (en) Platform lif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driving pulley and corresponding driving system
US5333809A (en) Reel suppor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djustment
CN111891990B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KR101500583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US20170158472A1 (en) Rope hoist
CN116891183B (zh) 一种桥梁工程施工用物料吊运装置
US6318507B1 (en) Emergency stop apparatus for elevator
KR102422831B1 (ko) 무대용 안전 도르래장치
KR101514259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CN105473487B (zh) 超速调节器张力滑轮组件
US6571970B1 (en) Monorail telescopic carrier
KR101882381B1 (ko) 무대장치
KR101339936B1 (ko) 무대장치
KR102422828B1 (ko) 무대용 안전 견인장치
EP4015442B1 (en) Device for lifting loads
WO2019229890A1 (ja) 溝摩耗検知装置
KR101167613B1 (ko) 자동각도조절이 가능한 활차
KR101628075B1 (ko) 높이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소형 무대 승강장치
KR100991207B1 (ko) 엘리베이터용 제동장치
KR20060126721A (ko)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KR102633128B1 (ko) 와이어로프의 자율안착활차 및 장력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구동장치
CN105392729B (zh) 电梯用调速器以及使用该电梯用调速器的电梯装置
JP7161819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538252A (zh) 曳引钢丝绳包角连续调整装置及调整方法
KR100368257B1 (ko) 선재코일의권취형상조정방법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