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760B1 - 연마기 - Google Patents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760B1
KR102422760B1 KR1020200121961A KR20200121961A KR102422760B1 KR 102422760 B1 KR102422760 B1 KR 102422760B1 KR 1020200121961 A KR1020200121961 A KR 1020200121961A KR 20200121961 A KR20200121961 A KR 20200121961A KR 102422760 B1 KR102422760 B1 KR 10242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osed
abrasive body
polish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175A (ko
Inventor
나성호
송용열
Original Assignee
나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호 filed Critical 나성호
Priority to KR102020012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7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2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면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면에서 연마될 제품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품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는 연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마기{POLISH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상과 헤어라인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연마는 소재의 표면을 그라인더와 같은 부품으로 매끄럽게 하는 것으로서, 각종 재질의 소재를 절삭, 접합 이후의 마감을 위해 중간 또는 마무리 공정으로서 진행된다.
여기서, 두 소재를 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립한 접합면은 치수 이상이나 매끄롭지 못한 부분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연마로써 해결하는 것을 사상이라고 한다.
한편, 스테인리스 소재와 같은 금속 소재는 소재 표면에 일방향으로 선과 같은 무늬를 내기 위한 연마, 소위 헤어라인 마감을 추가적으로 행할 수 있는데, 이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소재 연마 방법은 사상 및 헤어라인 작업이 이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제품의 모서리부는 용접 후 사상 및 헤어라인 작업이 수작업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제품 별 외관 품질이 일정하지 않으며 연마 시간이 오래 걸려 제품 생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인건비가 소요되고 이는 결국 제품 비용의 증가를 야기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소재의 접합 이후 사상 및 헤어라인을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연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마기 내부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구동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서 각 구성요소의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마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측면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면에서 연마될 제품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품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는 연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1 클램퍼;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2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2 클램퍼;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및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3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3 클램퍼;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4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4 클램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부가 상기 베이스에 닿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 상측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을 사상하는 제1 연마체;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을 사상하는 제2 연마체;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을 사상하는 제3 연마체;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하는 제4 연마체; 및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하는 제5 연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는 각각,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브라켓; 상기 보조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연마될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브라켓; 및 상기 구동브라켓에 고정되는 가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3 연마체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그라인더가 배치되고, 상기 제4 연마체 및 제5 연마체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직포가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는,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센서 내지 제6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1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2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3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3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4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4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4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5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5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6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였다가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마부를 x축 방향에서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일측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과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마부에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를 포함하여 두 소재의 접합 부분에 대한 사상 및 헤어라인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가공성(외관의 품질 향상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와 제어부로써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의 구동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베이스, 클램핑부 및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연마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마부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베이스, 클램핑부 및 클램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연마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연마부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1)는 크게 베이스(100), 클램핑부(200), 스토퍼(300), 고정프레임(400), 이동프레임(500) 및 연마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지면과 수평한 일방향을 x축 방향, 지면과 수평하면서 상기 x축과 수직한 방향을 y축 방향,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 정의한다.
또한, 후술할 클램핑부(200), 이동프레임(500) 및/또는 연마부(600)의 x, y, z축 이동은 기공지된 LM 가이드, 서보모터, 볼스크류, 이송너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측면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될 제품만 상측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후술할 스토퍼(300), 고정프레임(400), 이동프레임(500) 및 연마부(600)가 배치될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부(200)는 상기 베이스(100) 상측면에서 연마될 제품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부(200)는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1 클램퍼(210), 제2 클램퍼(220), 제3 클램퍼(230) 및 제4 클램퍼(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퍼(21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모서리가 안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퍼(22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x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2 모서리가 안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클램퍼(23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x축 및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3 모서리가 안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클램퍼(24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4 모서리가 안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마될 제품은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다면체를 형성하며, 각각의 면 중 어느 두 개의 면이 접하는 변은 용접 또는 전기압점 방식으로 체결되어 사상 또는 헤어라인 마감을 요하는 제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제1 클램퍼(210) 내지 제4 클램퍼(240)의 상단부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품의 하측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다면체 중 적합한 각도를 가진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상기 이동프레임(500)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부(6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5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30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상기 고정브라켓(310) 상에 배치되는 댐퍼(320)와, 상기 댐퍼(320) 상측에 배치되는 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300)의 높이는 후술할 연마부(6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할 이동프레임(500)이 하측(z축)으로 과이동 되더라도 후술할 연마부(600)를 상기 베이스(100) 또는 지면과 닿지 않게 하여 장비를 보호할 수 잇다.
상기 고정프레임(400)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프레임(40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41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410)의 상측부를 잇는 상측프레임을(420) 포함하여, 대략적으로 하측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상기 고정프레임(400)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이 x축과 수평한 기다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500)은 일측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과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5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후술할 연마부(600)를 적절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마될 제품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할 연마부(600)를 효과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브라켓(510)을 연마될 제품의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50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마부(600)는 상기 이동프레임(500)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00) 상에 배치된 제품을 연마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연마부(600)는 사상 및 헤어라인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마부(600)는 이동브라켓(610),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 센서부(6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브라켓(610)은 상기 이동프레임(500)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마체(620)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을 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이라 함은 상기 제1 클램퍼(210)와 제2 클램퍼(220)가 지지하는 하측변의 위치와 z축 방향으로 대응되는 어느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마체(630)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을 사상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마체(640)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을 사상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마체(650)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제5 연마체(660)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는 각각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고정되는 보조브라켓(621)과, 상기 보조브라켓(621) 상에 배치되는 실린더(622)와, 상기 실린더(622)의 구동에 따라 연마될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브라켓(623)과, 상기 구동브라켓(623)에 고정되는 가공모터(6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의 보조브라켓(621), 실린더(622), 구동브라켓(623) 및 가공모터(624)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3 및 도 4에서 제1 연마체(620)를 가지고 부재번호를 기술한다.
또한, 상기 제1 연마체(620) 내지 제3 연마체(640)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624)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그라인더(680)가 배치되고, 상기 제4 연마체(650) 및 제5 연마체(660)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624)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직포(69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브라켓(6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상기 이동브라켓(610)이 상기 이동프레임(500)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순차적으로 제품의 제1 상측변을 사상 및 헤어라인 마감 작업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하기 위해, 상기 연마부(600)는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610) 상에 배치되는 센서부(670)와, 상기 센서부(67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622) 또는 가공모터(62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70)는 상기 센서부(670)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센서(671) 내지 제6 센서(6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671)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1 연마체(62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연마체(62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672)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2 연마체(63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연마체(63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673)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3 연마체(64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연마체(64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674)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4 연마체(65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4 연마체(65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센서(675)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5 연마체(66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 연마체(660)의 실린더(622) 및 가공모터(624)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6 센서(676)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였다가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마부(600)를 x축 방향에서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622)는 에어실린더(622)일 수 있으며, 솔밸브(625)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제품 방향의 가압력은 레귤레이터(미도시)로써 적절한 공압을 부여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연마부(600)에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를 포함하여 두 소재의 접합 부분에 대한 사상 및 헤어라인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가공성(외관의 품질 향상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670)와 제어부로써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마체(620) 내지 제5 연마체(660)의 구동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연마기 100: 베이스
200: 클램핑부 210: 제1 클램퍼
220: 제2 클램퍼 230: 제3 클램퍼
240: 제4 클램퍼 300: 스토퍼
310: 고정브라켓 320: 댐퍼
330: 탄성체 400: 고정프레임
410: 한 쌍의 측면프레임 420: 상측프레임
500: 이동프레임 510: 가이드브라켓
600: 연마부 610: 이동브라켓
620: 제1 연마체 621: 보조브라켓
622: 실린더 623: 구동브라켓
624: 가공모터 625: 솔밸브
630: 제2 연마체 640: 제3 연마체
650: 제4 연마체 660: 제5 연마체
670: 센서부 671: 제1 센서
672: 제2 센서 673: 제3 센서
674: 제4 센서 675: 제5 센서
676: 제6 센서 680: 그라인더
690: 부직포

Claims (10)

  1. 지면과 수평한 일방향을 x축 방향, 지면과 수평하면서 상기 x축과 수직한 방향을 y축 방향,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 할 때,
    상측면에 연마될 제품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면에서 연마될 제품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제품을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을 사상하는 제1 연마체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을 사상하는 제2 연마체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을 사상하는 제3 연마체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상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하는 제4 연마체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상측변과 인접한 제1 측면에 헤어라인을 마감하는 제5 연마체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센서부, 그리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는 각각,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되는 보조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연마될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브라켓, 그리고 상기 구동브라켓에 고정되는 가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센서 내지 제6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1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2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3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3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4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4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4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5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5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구동시키고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5 연마체의 실린더 및 가공모터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6 센서가 가공될 제품을 감지하였다가 가공될 제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마부를 x축 방향에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1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1 클램퍼;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2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2 클램퍼;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및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3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3 클램퍼;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마될 제품의 제4 모서리가 안치되는 제4 클램퍼;를 포함하는 연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부가 상기 베이스에 닿지 않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낙하를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 상측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연마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5 연마체는 x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는 연마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마체 내지 제3 연마체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그라인더가 배치되고,
    상기 제4 연마체 및 제5 연마체는 각각 상기 가공모터의 회전축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직포가 배치되는 연마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일측에 고정되어 연마될 제품과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연마기.
KR1020200121961A 2020-09-22 2020-09-22 연마기 KR10242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61A KR102422760B1 (ko) 2020-09-22 2020-09-22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61A KR102422760B1 (ko) 2020-09-22 2020-09-22 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75A KR20220039175A (ko) 2022-03-29
KR102422760B1 true KR102422760B1 (ko) 2022-07-18

Family

ID=8099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61A KR102422760B1 (ko) 2020-09-22 2020-09-22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7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0484A (ja) 2011-07-26 2011-12-01 Honda Motor Co Ltd 工作機械
KR101949773B1 (ko) * 2018-10-10 2019-02-19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놀러지 판재가공물의 크기를 측정하고 고정하는 cnc 가공 공작기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60B1 (ko) * 2001-10-24 2003-12-31 주식회사 화인알텍 금속판재의 헤어라인 가공기
KR100530859B1 (ko) * 2003-12-09 2005-11-28 기양금속공업(주) 헤어라인 가공 장치
KR20120105690A (ko) * 2011-03-16 2012-09-26 세유특강(주) 헤어라인 가공장치
KR20190130188A (ko) * 2018-04-17 2019-11-22 주식회사 휴인텍 다기능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0484A (ja) 2011-07-26 2011-12-01 Honda Motor Co Ltd 工作機械
KR101949773B1 (ko) * 2018-10-10 2019-02-19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놀러지 판재가공물의 크기를 측정하고 고정하는 cnc 가공 공작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75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024B2 (ja) 工作機械
KR100435251B1 (ko) 유리물품의 가공 마무리 장치
JP3041030B2 (ja) グラインダロボット
US6062947A (en) Lens grinding apparatus
CN104802064A (zh) 一种五轴联动数控机械手抛光机
CN108637864A (zh) 一种智能双五轴联动五工位数控抛光机
CN204604046U (zh) 一种五轴联动数控机械手抛光机
CN102581764A (zh) 磨削抛光和检测一体式机床
KR102422760B1 (ko) 연마기
CN213164088U (zh) 桥式龙门铣磨复合机床
JP3990104B2 (ja) レンズ研削加工装置
CN210818931U (zh) 一种人造石浴缸表面打磨系统
JPH0639356U (ja) 研削ホイールの目直し装置
CN112847056A (zh) 一种自动抛光设备
CN213164878U (zh) 桥式龙门磨床的砂轮自动修整机构
CN220806823U (zh) 一种抛光装置
KR20180111133A (ko) 로봇작업라인용 사상작업장치
KR20210000792U (ko) 다중 그룹 연마 기구를 구비하는 그라인딩 머신
JPH08229812A (ja) 鋳造製品の研削・研磨装置
JPH0636758U (ja) 側面研削盤
JPH09117835A (ja) 研磨機のワーク固定治具
JP6900019B2 (ja) 多面体ワークの研削方法
CN112122664A (zh) 桥式龙门铣磨智能加工方法
CN110560759A (zh) 框架打磨设备
CN117733565A (zh) 铣磨一体化加工机床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