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676B1 -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676B1
KR102422676B1 KR1020200097195A KR20200097195A KR102422676B1 KR 102422676 B1 KR102422676 B1 KR 102422676B1 KR 1020200097195 A KR1020200097195 A KR 1020200097195A KR 20200097195 A KR20200097195 A KR 20200097195A KR 102422676 B1 KR102422676 B1 KR 10242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silicone
pressure roller
impregnat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541A (ko
Inventor
김보환
김일환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Priority to KR102020009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6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C08J9/405Impregn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18Impregnating foam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29C44/5654Subdividing foamed articles to obtain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on multiple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Abstract

본 발명은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및 하부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실리콘 용액을 1차 함침시키는 1차 함침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열을 가하여 실리콘 용액을 경화하는 경화 단계; 및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하부로 통과시켜 실리콘 용액을 2차 함침시키는 2차 함침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Silicone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는 규소고무라고도 불리는 합성고무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합성고무의 주사슬이 탄소-탄소결합인 것에 반하여 주사슬이 규소-산소결합으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은 규소원자에 결합해 있는 유기기(有機基) R가 메틸기로 된 것이다.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을 원료로 해서 가수분해ㆍ축합등의 반응을 거쳐 생성시킨 고리 모양의 디메틸실록산을 염기 또는 산을 촉매로 고리 열림 중합을 일으킴으로써 디메틸실리콘 고무가 생성된다. 실리콘 고무의 가황(加黃)에는 일반적으로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한다. 가공할 때에 미립분말 실리카(이산화규소)를 보강성 충전제로서 첨가하는데, 이로써 가황물의 물리적 성질이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실리콘 고무의 최대 특징은 내열성, 내한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내수성, 내오존성, 내코로나성, 내후성,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열전선피복, 내열오일실, O-링(패킹의 일종), 각종 롤등 공업용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폼은 경도, 및 탄성복원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메모리폼, 라텍스 등을 사용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보다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03494호(2010.09.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및 하부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실리콘 용액을 1차 함침시키는 1차 함침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열을 가하여 실리콘 용액을 경화하는 경화 단계; 및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하부로 통과시켜 실리콘 용액을 2차 함침시키는 2차 함침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이다.
상기 1차 함침 단계의 상기 상부 가압롤러 및 하부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화 단계는 150~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함침단계에서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은 전체 부피 대비 10~50부피%가 실리콘 용액으로 2차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 단계 및 상기 2차 함침 단계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은 상기 2차 함침 단계 이후, 폴리우레탄 폼을 경화 및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이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전체 중량 대비 75~90중량%의 실리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아스카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의 경도가 6~8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용액으로 폴리우레탄 폼을 이중으로 함침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경도 및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용액으로 폴리우레탄 폼의 일부를 이중으로 코팅함으로써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경도를 갖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10)을 상부 가압롤러(6) 및 하부 가압롤러(6)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에 실리콘 용액을 1차 함침시키는 1차 함침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에 열을 가하여 실리콘 용액을 경화하는 경화 단계; 및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을 상부 가압롤러(6) 하부로 통과시켜 실리콘 용액을 2차 함침시키는 2차 함침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 제조방법이다.
상기 1차 함침 단계는 폴리우레탄 폼(10) 외부 및 내부에 실리콘 용액을 함심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이 컨베이어 벨트(1)를 통해 상기 상부 가압롤러(6) 및 하부 가압롤러(5) 사이를 통과하고, 통과 시 상기 상부 가압롤러(6) 및 하부 가압롤러(5) 외주면에 묻어있는 실리콘 용액은 상기 폴리우레탄 폼(10) 외부 및 내부로 함침된다.
상기 상부 가압롤러(6) 외주면에 묻어있는 실리콘 용액은 상부 가압롤러(6) 위쪽에 존재하는 실리콘 용액 저장부(4)에 보관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 용액은 상기 실리콘 용액 저장부(4) 하단부에 존재하는 상부 가이드(3)를 통해 일정한 양으로 상부 가압롤러(6) 외주면에 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압롤러(5) 외주면에 묻어있는 실리콘 용액은 상기 실리콘 용액이 담겨있는 하부 저장소(7)에 하부 가압롤러(5)가 회전하면서 묻을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용액은 하부 가압롤러(5)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하부 가이드(2)를 이용하여 하부 가압롤러(5) 외주면에 일정한 양으로 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가압롤러(6) 및 하부 가압롤러(5)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은 압축 후 팽창되면서 실리콘 용액을 최대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 가압롤러(6) 및 하부 가압롤러(5)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용액이 폴리우레탄 폼(10)에 함침되는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은 폴리에테르 폼(Polyether foam)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Polyester foam)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와 폴리올 (Polyol)의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되는 열경화성수지로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합성비율에 따라 물성조절이 용이하고 그 취급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재료들을 제작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이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내부에 발포재가 함유된 스폰지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의 사용 용도 중 내부에 기공이 많이 형성된 스폰지 형태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폰지 형태의 폴리우레탄은 크게 폴리에테르 폼(Polyether foam) 또는 폴리에스테르 폼(Polyester foam)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기공(메쉬) 크기는 15 PPI로부터 90 PPI인 것이 바람직하고, 밀도는 20∼50 kg/㎥이며, 개방형(Open cell)일 수 있다. 상기 개방형 폴리우레탄 폼은 공기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느슨한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기공 크기가 15 PPI보다 작으면 폼의 밀도가 높아서 실리콘 용액이 함침되기 어렵고, 90 PPI보다 크면 폼의 밀도가 작아서 실리콘 용액이 폼의 내부에 잔류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함침은 액체 상태의 실리콘 용액을 상기 폴리우레탄 폼(10) 외부 및 내부로 침투시켜 폴리우레탄 폼(10)의 특성을 사용목적에 맞게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용액은 실록산 60~90중량% 및 유기용매 10~40중량%를 혼합하여 5~3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된다. 또한, 실리콘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유기용매를 추가로 첨가하여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25℃에서 실리콘용액의 점도는 2,000~800,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록산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또는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기 용매로는 자일렌,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류; 아세톤,메틸 에틸케톤 등의 케톤 류; 메틸아세테이트,에틸아세테이트,부틸아세테이트 등의 저급 지방산 에스테르 류; 및 메틸에테르,에틸 에테르,테트라하이드로푸란,디옥산 등의 에테르 류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자일렌,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 유기 용매일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는 폴리우레탄 폼(10)의 탄성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폴리우레탄 폼(10) 외부 및 내부에 함침된 실리콘 용액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경화는 150~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 용액이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0)을 컨베이어 벨트(1)를 이용하여 고온 가열 오븐기(8)로 이동시킨 후, 열풍 건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단계 이후,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을 냉각시키는 1차 냉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2차 함침단계는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의 경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을 실리콘 용액으로 2차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2차 함침 단계에서 상기 하부 가압롤러(5)는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은 상기 상부 가압롤러(6) 하부로 통과되고, 상부 가압롤러(6) 외주면에 묻어있는 실리콘 용액이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의 상부에만 2차 함침된다.
상기 2차 함침단계에서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은 실리콘 용액으로 전체 부피 대비 10~50부피%가 함침될 수 있다.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의 전체 부피 대비 10부피% 미만으로 실리콘 용액이 2차 함침되면,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의 경도가 저하되어 방석 또는 매트리스로 사용하기에 탄성력이 낮을 수 있고, 50부피%를 초과하며 함침되면 경도가 너무 높아져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함침단계에서 롤러 간 간격은 0.2~1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5~0.9mm일 수 있다. 상기 롤러간 간격이 0.2mm 미만이면 2차 코팅 시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의 전체 부피 대비 10부피% 미만으로 함침될 수 있고, 1mm를 초과하면, 2차 코팅 시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1)의 전체 부피 대비 50부피%를 초과하여 함침될 수 있다.
상기 2차 함침단계 이후, 상부가 2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2)을 경화 및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경화 및 냉각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후, 2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12)은 프레스 코팅기(9)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석 또는 매트리서 토퍼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은 외부 및 내부 전체에 실리콘 용액이 1차 함침되어 있고, 전체 부피대비 10~50부피%가 실리콘 용액으로 2차 함침되어 있다. 따라서,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은 기존의 폴리우레탄보다 인장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다.
또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은 상부가 2차 코팅됨으로써 하부보다 경도가 높다. 이에 따라 단단한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이 모두 존재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부분을 위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열, 자외선, 물 등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여 세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용액의 함량은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 전체 중량 대비 75~90중량%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6~86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용액의 함량이 75중량% 미만이면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의 경도가 저하되어 탄성력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90중량%를 초과하면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의 경도가 너무 높아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은 아스카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의 경도가 6~8일 수 있으며, 경도가 6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되어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의 수명이 저하되고, 경도가 8을 초과하면 표면이 너무 단단하여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100)은 방석용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일 수 있으며,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보다 경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
디메틸폴리실록산 70중량%, 자일렌 25중량% 및 토르말린 5중량%를 합하여 실리콘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두께가 25mm인 폴리우레탄 폼(신화 우레탄, 대한민국)을 간격이 0.1mm이고, 외주면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리콘 용액이 묻어있는 상부 및 하부 가압롤러(한라공조, 대한민국) 사이로 통과시켜 1차 함침 시킨다. 상기 실리콘 용액이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가열 오븐기에 넣고 180℃에서 경화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킨다. 이후, 하부 가압롤러는 작동시키지 않고, 롤러 간 간격을 0.7mm로 조절한 후, 상부 가압롤러만 작동시켜 실리콘 용액으로 폴리우레탄 폼의 전체 부피 대비 30%를 2차 함침시킨다. 이후, 2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가열 오븐기에 넣고 180℃에서 경화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2차 함침 시 롤러간 간격을 0.25mm로 조절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전체 부피 대비 10%를 2차 함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2차 함침 시 롤러간 간격을 0.9mm로 조절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전체 부피 대비 50%를 2차 함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2차 함침 시 롤러간 간격을 1.1mm로 조절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전체 부피 대비 70% 함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께가 25mm인 폴리우레탄 폼(신화 우레탄, 대한민국)을 간격이 0.1mm이고, 외주면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실리콘 용액이 묻어있는 상부 및 하부 가압롤러(한라공조, 대한민국) 사이로 통과시켜 1차 함침 시킨다. 상기 실리콘 용액이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가열 오븐기에 넣고 180℃에서 경화한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 1차 함침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가 25mm인 폴리우레탄 폼(신화 우레탄, 대한민국)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과 비교예 2의 폴리우레탄 폼의 실리콘 용액 함량, 인장 강도 및 신율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의 상면 및 하면의 경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실리콘 용액 함량 :
Figure 112020081664236-pat00001
인장 강도 : 인장 시험기(ASTM D412)을 통해 측정
신율 : 인장 시험기(ASTM D412)을 통해 측정
경도 : 아스카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
구분 실리콘 용액 함량
(중량%)
인장강도
(kgf/mm2)
신율
(%)
경도
실시예1 상면 81 0.24 350 7
실시예1 하면 81 0.24 350 4
실시예2 상면 78 0.24 390 6
실시예2 하면 78 0.24 390 4
실시예3 상면 86 0.24 320 8
실시예3 하면 86 0.24 320 4
실시예4 상면 92 0.25 300 10
실시예4 하면 92 0.25 300 4
비교예1 76 0.24 410 4
비교예2 0 0.1 260 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리콘 용액 함량이 76~86중량%이고, 10~50부피% 2차 함침된 경우(실시예 1 내지 3), 2차 코팅된 상면의 경도가 6~8이고, 하면의 경도가 4로, 서로 다른 쿠션 감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용액 함량이 76~86중량%이고, 10~50부피% 2차 함침된 경우(실시예 1 내지 3), 인장강도가 0.2~0.3kgf/mm2 이고, 신율이 300% 이상으로,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경도와 탄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리콘 용액 함량이 92중량%이고, 70부피% 2차 함침된 경우(실시예 4)는 신율이 낮고 인장강도 및 경도가 너무 높아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10~50부피% 2차 함침된 경우(실시예 1 내지 3)에는 높은 경도의 상면이 물체를 탄력 있게 잡아주는 동시에, 경도가 낮은 하면이 충격을 크게 흡수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바닥 면에 주는 충격을 크게 완화시켜 준다.
반면, 2차 코팅을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는 신율은 높으나 경도가 상면 및 하면 모두 낮아 높은 무게의 압력을 받았을 때 바닥 면에 그대로 충격을 받게 되고, 1차 코팅도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에는 인장강도, 신율 및 경도가 모두 낮고 이에 따른 탄성복원력이 저조하여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0 :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10 : 폴리우레탄 폼 11 :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
12 : 2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
1 : 컨베이어 벨트 2 : 하부 가이드
3: 상부 가이드 4 : 실리콘 용액 저장부
5 : 하부 가압롤러 6 : 상부 가압롤러
7 : 하부 저장소 8 : 가열 오븐기
9 : 프레스 코팅기

Claims (10)

  1.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및 하부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실리콘 용액을 1차 함침시키는 1차 함침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열을 가하여 실리콘 용액을 경화하는 경화 단계; 및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가압롤러 하부로 통과시켜 실리콘 용액을 2차 함침시키는 2차 함침 단계;
    를 포함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2차 함침 단계에서 상기 1차 함침된 폴리우레탄 폼은 전체 부피 대비 10~50부피%가 실리콘 용액으로 2차 함침되고,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전체 중량 대비 75~90중량%의 실리콘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의 2차 함침된 부분의 경도는 아스카 C형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의 6~8이고,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2차 함침된 부분의 경도는 1차 함침된 부분과 상이하며,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은 방석 또는 매트리스 토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함침 단계의 상부 가압롤러 및 하부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단계는 150~2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은 상기 경화 단계 및 상기 2차 함침 단계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은 2차 함침 단계 이후, 폴리우레탄 폼을 경화 및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97195A 2020-08-04 2020-08-04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95A KR102422676B1 (ko) 2020-08-04 2020-08-04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95A KR102422676B1 (ko) 2020-08-04 2020-08-04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41A KR20220017541A (ko) 2022-02-14
KR102422676B1 true KR102422676B1 (ko) 2022-07-20

Family

ID=8025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95A KR102422676B1 (ko) 2020-08-04 2020-08-04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24B1 (ko) * 2004-08-27 2005-03-14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 스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6100B1 (ko) * 2012-09-28 2013-12-31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 함침 시일링 부재의 제조방법
KR102123796B1 (ko) 2018-10-26 2020-06-17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진동 및 소음 감소를 위한 액추에이터 커버용 다공질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9625A1 (de) * 2005-08-22 2007-03-01 Basf Ag Offenzelliger Schaumstoff mit brandhemmenden und oleophoben/hydrophob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8062742B2 (en) 2007-12-03 2011-11-22 Seoung Kyu Oh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e foam having an air permeable structure
KR101775022B1 (ko) * 2015-12-31 2017-09-05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 필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24B1 (ko) * 2004-08-27 2005-03-14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 스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6100B1 (ko) * 2012-09-28 2013-12-31 주식회사 동성실리콘 실리콘 함침 시일링 부재의 제조방법
KR102123796B1 (ko) 2018-10-26 2020-06-17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진동 및 소음 감소를 위한 액추에이터 커버용 다공질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41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10300A1 (en) Air-permeable spong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ir-permeable sponge by using the same
EP1682597B1 (en)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
TWI415178B (zh) 研磨墊用緩衝材
US3051601A (en) Laminated polyurethane foam cushion
CN107857865B (zh) 一种汽车座椅用全水环保阻燃型胀气记忆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JP5754977B2 (ja) 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20012516A2 (pt) processo de produção de espumas, espuma de poliuretano, materiais híbridos, métodos de reciclagem de espuma e de reciclagem de materiais híbridos, uso de espuma, uso de poliuretano flexível, elemento de acolchoamento, palmilha para calçados e calçados
KR101088628B1 (ko) 점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CN1606580A (zh) 低回弹软质聚氨酯泡沫体及其制造方法
US3787278A (en) Molded multiple density polyurethane foam
JP7368102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とその製造方法
DeBolt et al. Flexible polyurethane foams formulated with polyols derived from waste carbon dioxide
CN113583205B (zh) 一种慢回弹海绵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32975A (zh) 一种mdi体系的透气慢回弹聚氨酯
KR102422676B1 (ko) 실리콘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Adnan et al. Impact of the hard‐segment concentration on highly resilient polyurethane foams based on palm olein polyol
EP2751177B1 (en) Method for prepar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 with hydrolysable silane compounds
JP2006328199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該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を用いた自動車用シート
JP5756266B2 (ja) マットレス用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該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を用いてなるマットレス
JP5636164B2 (ja) 独泡ウレタン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98623A (zh) 软质无感棉及其制备方法
JP20061317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
KR101346100B1 (ko) 실리콘 함침 시일링 부재의 제조방법
CN111051605A (zh) 人造革及其制造方法
KR101491089B1 (ko) 연질 폴리우레탄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