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59B1 -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 Google Patents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59B1
KR102422359B1 KR1020220047572A KR20220047572A KR102422359B1 KR 102422359 B1 KR102422359 B1 KR 102422359B1 KR 1020220047572 A KR1020220047572 A KR 1020220047572A KR 20220047572 A KR20220047572 A KR 20220047572A KR 102422359 B1 KR102422359 B1 KR 102422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ship body
ship
wat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최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호 filed Critical 최연호
Priority to KR102022004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상에서 계류하는 함선의 롤링을 절감하여 구조적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부력을 가지어 수상에 부유하도록 된 함선본체와; 상기 함선본체와 연결로프를 통해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고정싱커와;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계류체와, 양단이 상기 함선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함선본체에 구비된 안내부재들을 경유하여 안내되어 상기 함선본체를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계류체가 고정된 계류로프와, 상기 계류로프의 타단에 상기 함선본체와 수중의 바닥면과의 사이공간에 위치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계류싱커;를 포함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링저감 함선시스템{Rolling reduction ship system}
본 발명은, 부잔교, 바지선 등과 같이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된 함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면상에서 계류하는 함선의 롤링을 절감하여 구조적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된 함선은, 하천, 강 또는 바다의 연안 등의 수면에 시공되는 수상휴게소, 부잔교, 바지선, 수상가옥, 수상 낚시터, 하역시설, 교량, 인공섬, 그 외 수상양식장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함선은 수면에 부유 되는 부유조립체를 구비하고, 이러한 부유조립체는 수중의 지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고정말뚝에 연결로프를 통해 고정되거나 혹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고정싱크에 연결로프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계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말뚝들은, 수중의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고정말뚝들에 부유조립체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고정싱크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인양장치를 통해 수중으로 투기되어 그 위치를 확보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3990호(명칭: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2013.04.2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면위에 부유되는 부유조립체와, 수중의 지반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파일과, 이 고정파일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유조립체의 저면에 결합된 복수의 이동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파일에는 부력체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파일이 부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파일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파일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파일의 외주면과 고정파일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파일의 상단에는 이물질 유입방지갓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갓은 상기 이동파일의 상단에서 하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갓의 내측면과 상기 이동파일의 외주면 사이공간은 그 공간이 좁아져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고압공간이 되고, 상기 이물질방지갓의 고압공간은 상기 이동파일과 상기 고정파일 사이의 이격틈새 위에 위치하는 계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3561호(명칭: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2014.03.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부표와 함께 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태양광모듈이 배치된 복수개의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을 수면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블록에 고정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다수개의 상기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과 수면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블록을 연결하는 로프나 고정걸개를 포함하여 형성된 계류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개의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하측 수면 아래에 상기 로프나 고정걸개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100)의 하단에 물속에 잠기도록 형성된 프레임부;가 형성되되, 상기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로프를 고정시키는 로프고정부; 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면아래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에 상기 로프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로프나 고정걸개가 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로프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로프나 고정걸개가 수면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사이에는 유지관리할 수 보조 부유물 장착수단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면서, 상기 다수개의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는 계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4893호(명칭: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2014.03.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상구조물용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수상구조물이 설치되며 내부에 부유체가 수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승강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레그가 복수개 구비되고, 하천의 바닥에 고정결합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지지레그가 안착되는 레그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지지링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선단 측 하천 바닥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베이스와; 상기 링크베이스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며, 내부에 이동실린더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심에 따라 길이가 신장 및 압축되며,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링크와; 상기 승강링크가 상기 링크베이스에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안착부는 상기 승강링크의 곡률반경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계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78910호(명칭: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2014.06.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과, 태양전지판을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주는 프레임 및 부유체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어셈블리를 계류시켜주는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로서, 상기 태양전지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롤러와; 일단은 수중 지면에 설치된 싱커에 연결되고 타단은 웨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의 중량이 상기 태양전지 어셈블리에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계류로프와; 상기 롤러가 상기 계류로프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위칭 부재와; 수위의 상승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수위의 하강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평상시에는 상기 스위칭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가 수위의 상승을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하거나 상기 제2감지센서가 수위의 하강을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하면 상기 스위칭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가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계류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3990호(2013.04.2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3561호(2014.03.2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4893호(2014.03.2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78910호(2014.06.2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상부유 함선들은, 수중의 바닥에 배치된 심관을 연결하는 로프에서 수면에 노출된 일부위가 수상부유구조물의 스크류에 감겨 안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면이 낮아지면서 팽팽해 졌던 로프가 느슨해지면 수상부유구조물의 유동이 그만큼 커지고 흔들림에 의한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강관파일을 통해 고정하는 구조는, 지반조사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설치기간이 길고 파일가이드의 설치되는 시공효율이 떨어져 시공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된 것으로, 수면상에서 계류하는 함선의 롤링을 절감하여 구조적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은, 부력을 가지어 수상에 부유하도록 된 함선본체와; 상기 함선본체와 연결로프를 통해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고정싱커와;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계류체와, 양단이 상기 함선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함선본체에 구비된 안내부재들을 경유하여 안내되어 상기 함선본체를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계류체가 고정된 계류로프와, 상기 계류로프의 타단에 상기 함선본체와 수중의 바닥면과의 사이공간에 위치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를 구비하는 계류싱커;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함선본체에서 각각 간격을 가지면서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롤러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계류로프는, 상기 함선본체에서 저면에 시설되는 상기 안내부재에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은, 함선본체가 고정싱크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계류로프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가 함선본체의 수위에 따라 수직상 승하강하여 계류로프가 항상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됨에 따라, 함선본체의 롤링(흔들림)이 절감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계류로프가 스크류에 감길 우려가 없어 사용상의 안전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보인 개략 저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에 적용되는 계류싱커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이 적용된 함선에 대하여 저수위에 부유할 때의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에 적용되는 함선본체에 대하여 시설되는 안내부재의 다른 시설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에 적용되는 신축심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은, 부력을 가지어 수상에 부유하도록 된 함선을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계류하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바지선 등과 같이 수상에서 부유하면서 계류하는 함선의 계류위치를 확고히 유지하면서 시설하도록 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은, 부력을 가지어 수상에 부유하도록 된 함선본체(2)와; 상기 함선본체(2)와 연결로프(3)를 통해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고정싱커(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함선본체(2)가 상기 연결로프(3)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고정싱커(4)에 의해 수상에 계류하도록 고정된다.
상기에서 연결로프(3)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싱커(4)가 결속되고, 타단에는 상기 함선본체(2)가 결속되며, 상기 함선본체(2)의 각각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상기 연결로프(3)들이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로프(3)에 각각의 상기 고정싱커(4)들이 결속되어, 상기 함선본체(2)에 대하여 다지점(모서리부위들)을 각각 고정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함선본체(2)의 유동폭을 줄이어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로프(3)는, '금속'를 재질로 하는 '금속체인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함선본체(2)는, 부잔교, 잔교, 콘크리트부잔교, 철함선 등 부잔교의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싱커(4)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량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은,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계류체(51)와, 양단이 상기 함선본체(2)를 관통하면서 상기 함선본체(2)에 구비된 안내부재(21)들을 경유하여 안내되어 상기 함선본체(2)를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계류체(51)가 고정된 계류로프(52)와, 상기 계류로프(52)의 타단에 상기 함선본체(2)와 수중의 바닥면과의 사이공간에 위치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53)를 구비하는 계류싱커(5);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계류로프(52)의 일단에 고정된 상기 무게추(53)가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에 따라 수직상 승하강하면서 상기 계류로프(52)가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함선본체(2)의 롤링(흔들림)이 절감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계류로프(52)가 별도의 스크류에 감길 우려가 없어 안전성과 안정성을 확보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내부재(21)는, 상기 함선본체(2)에서 각각 간격을 가지면서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롤러구조체'로 이루어져, 상기 무게추(53)의 승하강시 상기 계류로프(52)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계류로프(52)가 안내될 때, 상기 롤러구조체들이 공회전하여, 마찰력을 극소화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안내부재(2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함선본체(2)는, 부잔교, 잔교, 콘크리트부잔교, 철함선 등 부잔교의 시공시에 콘크리트를 타설중에 상기 계류로프(52)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P)와 상기 이동통로(P)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기 안내부재(21)를 선시공한 후 별도의 부력재를 고정시키어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형성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함선본체(2)의 형성 후, 상기 계류로프(52)를 상기 이동통로(P)에 구비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연결하고 상기 계류체(51) 및 상기 무게추(53)를 연결하여 설치하여 조립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선본체(2)의 폭에 따라 상기 안내부재(21)의 수량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더욱 안정적인 계류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계류체(51) 및 상기 무게추(53)는, '콘크리트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중량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계류체(51)보다 상기 무게추(53)의 하중을 작게 형성하게 되며, 상기 무게추(53)의 하중은, 상기 함선본체(2)의 부력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중량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계류체(51)가 상기 함선본체(2)의 부력에 의해 부유하되,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가 변동되는 방향으로 그 위치가 승강하게 되어, 상기 계류로프(52)의 장력이 항상 유지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계류로프(52)에 의해 상기 함선본체(2)의 양측부들이 항상 하측 방향으로 하중을 각각 인가받아 롤링(흔들림)이 절감된다.
상기에서 계류로프(52)는, '금속'를 재질로 하는 '금속체인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은,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가 변동되어 승하강할 때, 상기 계류로프(52)의 일단에 고정된 상기 무게추(53)가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에 따른 방향으로 승하강된다.
이때, 상기 계류체(51)는,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무게추(53)의 위치가 변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추(53)가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에 따른 방향으로 승하강되면, 상기 함선본체(2)에 구비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걸쳐진 상기 계류로프(52)의 장력이 손실되지 않고 팽팽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계류로프(52)에 의해 상기 함선본체(2)의 양측부가 항상 하측 방향으로 하중을 각각 인가받아 롤링(흔들림)이 절감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함선본체(2)의 각각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결속된 상기 연결로프(3)들에 각각의 상기 고정싱커(4)들이 결속되어, 상기 함선본체(2)에 대하여 다지점(모서리부위들)을 각각 고정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함선본체(2)의 유동폭을 줄이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에서, 상기에서 계류로프(52)는, 상기 함선본체(2)에서 저면에 시설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안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재(21)들이 상기 함선본체(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가 함선본체(2)에 대한 상기 계류싱커(5)의 계류압력이 상기 함선본체(2)의 하부에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함선본체(2)에 대한 제조 및 상기 안내부재(21)의 시설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에서, 상기에서 계류로프(52)는, 도 10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선본체(2)에서 상부에 시설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안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부재(21)들이 상기 함선본체(2)의 상부에에 구비되어 상가 함선본체(2)에 대한 상기 계류싱커(5)의 계류압력이 상기 함선본체(2)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21)들이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을 별도로 형성한 후, 상기 함선본체(2)의 상부에 결합조립하고, 그 상부를 별도의 상부덮개(6)를 통해 폐쇄하여 상기 함선본체(2)를 제조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상기 안내부재(21) 및 상기 계류로프(52)의 교체 및 수리작업이 상기 함선본체(2)의 상부에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에서, 상기 연결로프(3)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신축심재(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심재(7)를 통해 상기 연결로프(3)를 신축하도록 되어, 상기 함선본체(2)의 저수위시에 상기 연결로프(3)를 신축하여 팽팽하게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상기 연결로프(3)의 처짐 등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상의 안전성을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신축심재(7)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금속체인'(31)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금속체인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연결로프(3)에서 각각의 금속체인(31)들에 상기 고무밴드의 각각 점유부위들이 결속되어 각각의 금속체인(31)들에 대한 신축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무밴드를 통해 각각의 금속체인(31)들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시 신축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연결로프(3)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은, 다수의 상기 고정싱커(4)들을 통해 상기 함선본체(2)를 설치위치에 안정적으로 계류하도록 됨과 아울러, 다수의 상기 계류싱커(5)들을 통해 상기 함선본체(2)의 수위변동에 따른 승하강하시에 상기 함선본체(2)의 롤링(흔들림)을 절감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2 : 함선본체 21 : 안내부재
3 : 연결로프 31 : 금속체인
4 : 고정싱커
5 : 계류싱커 51 : 계류체
52 : 계류로프 53 : 무게추
6 : 상부덮개 7 : 신축심재
P : 이동통로

Claims (4)

  1. 부력을 가지어 수상에 부유하도록 된 함선본체(2)와; 상기 함선본체(2)와 연결로프(3)를 통해 연결되며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고정싱커(4)와; 수중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계류체(51)와, 양단이 상기 함선본체(2)를 관통하면서 상기 함선본체(2)에 구비된 안내부재(21)들을 경유하여 안내되어 상기 함선본체(2)를 지지하고 일단에 상기 계류체(51)가 고정된 계류로프(52)와, 상기 계류로프(52)의 타단에 상기 함선본체(2)와 수중의 바닥면과의 사이공간에 위치되며 중량물로 이루어지는 무게추(53)를 구비하는 계류싱커(5);를 포함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프(3)는,
    다수의 '금속체인'(31)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금속체인구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로프(3)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신축심재(7)가 구비되되;
    상기 신축심재(7)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로프(3)에서 각각의 금속체인(31)들에 상기 고무밴드의 각각 점유부위들이 결속되어 각각의 금속체인(31)들에 대한 신축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1)는,
    상기 함선본체(2)에서 각각 간격을 가지면서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롤러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로프(52)는,
    상기 함선본체(2)에서 저면에 시설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로프(52)는,
    상기 함선본체(2)에서 상부에 시설되는 상기 안내부재(21)에 안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KR1020220047572A 2022-04-18 2022-04-18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KR10242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72A KR102422359B1 (ko) 2022-04-18 2022-04-18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572A KR102422359B1 (ko) 2022-04-18 2022-04-18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59B1 true KR102422359B1 (ko) 2022-07-19

Family

ID=8260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572A KR102422359B1 (ko) 2022-04-18 2022-04-18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35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975A (ja) * 1998-04-06 1999-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浮揚構造物の係留システム
KR20130043990A (ko)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3561A (ko) 2012-08-31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34893A (ko) 2011-07-07 2014-03-20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한 다층 인쇄 배선판, 및 상기 다층 인쇄 배선판의 제조 방법
KR20140078910A (ko) 2012-12-18 2014-06-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KR101572938B1 (ko) * 2014-12-22 2015-12-01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 구조물의 중력식 계류장치
KR20160001106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
KR101762286B1 (ko) * 2017-03-27 2017-07-28 주식회사 혁신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975A (ja) * 1998-04-06 1999-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浮揚構造物の係留システム
KR20140034893A (ko) 2011-07-07 2014-03-20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을 이용한 다층 인쇄 배선판, 및 상기 다층 인쇄 배선판의 제조 방법
KR20130043990A (ko)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3561A (ko) 2012-08-31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78910A (ko) 2012-12-18 2014-06-2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KR20160001106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중력식 계류장치
KR101572938B1 (ko) * 2014-12-22 2015-12-01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 구조물의 중력식 계류장치
KR101762286B1 (ko) * 2017-03-27 2017-07-28 주식회사 혁신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329B2 (ja) 緊張係留浮体のための支援用浮体、及び、これを用いた緊張係留浮体の曳航方法と設置方法
KR101555362B1 (ko) 부유 구조물
KR101762286B1 (ko) 수상부유구조물의 롤링을 절감하는 계류장치
KR20110118669A (ko) 콘크리트-스틸 하이브리드 방식의 해상 풍력발전소용 잠수식 플랫폼
KR20090129003A (ko) 중량체를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 계류장치
JP2010030379A (ja) 緊張係留索の張力調整方法及び緊張係留浮体
JP2010133095A (ja) 起伏ゲート式防波堤の扉体係留装置
US3903705A (en) Apparatus for anchoring marine structures
JP6735050B1 (ja)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KR102422359B1 (ko) 롤링저감 함선시스템
US20220063774A1 (en) Offshore semi-submers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wind turbine and offshore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facility
CN114855707A (zh) 一种局部冲刷坑的促淤修复装置及方法
WO2015038003A1 (en) A floating hull with a stabilizing portion
KR101877774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101793231B1 (ko) 파력저항이 저감된 이동형 수상 구조물
KR101642489B1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US20130074758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NZ274771A (en) Mooring system for floating vessel with buoys on ends of cable passing around sheave on sea bed
JP3861208B2 (ja) 陸地に固定されて深い海に設置されるブレークウォータ
RU2001109786A (ru) Мор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US7618214B2 (en) Containment boom guide system and method
CN216551526U (zh) 用于浮桥固定的伸缩桩
KR101964217B1 (ko) 정박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물 설치용 선박
KR102649078B1 (ko) 계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