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940B1 - 스마트 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940B1
KR102421940B1 KR1020200126964A KR20200126964A KR102421940B1 KR 102421940 B1 KR102421940 B1 KR 102421940B1 KR 1020200126964 A KR1020200126964 A KR 1020200126964A KR 20200126964 A KR20200126964 A KR 20200126964A KR 102421940 B1 KR102421940 B1 KR 10242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ireless reader
unit
smart car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499A (ko
Inventor
류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세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세일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세일즈
Priority to KR102020012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28Adaptations for calculators, memory aids or read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andcar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카트는 별도 전원을 사용하는 무선 리더기로부터 구매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획득한 상품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품 식별정보와 저장된 상품 정보를 매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트{SMART CART}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소모량을 줄인 스마트 카트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 쇼핑공간을 찾아 가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한 상품 구매는 편리함 등 많은 장점이 있지만 배송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와, 배송사고 문제와, 온라인의 특성상 구매하는 상품의 신뢰성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쇼핑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비자들이 대형 마트나 대형 할인점과 같은 오프라인 쇼핑공간에서 여전히 쇼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에서의 쇼핑은 소비자가 매장에 준비된 카트를 사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담은 후 계산대로 가져가 계산대에 비치된 리더기를 통해 상품 각각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구매물품이 많을수록 계산하는데 지연되는 시간이 길어져 고객들의 불편함이 큰 문제가 있다. 또한, 계산대에서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시키기 전까지는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의 총액을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장 내에서 쇼핑 시 사용하는 카트에 디스플레이와, 바코드 리더기와, 결제모듈을 구비한 고가의 장치가 탑재된 스마트 카트가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카트는 소비자가 직접 쇼핑하는 동안 카트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기로 상품을 인식시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구매 리스트와 구매 금액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계산대로 이동하고 계산을 위하여 대기할 필요가 없도록 결제 모듈을 통하여 직접 결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는 상품에 대한 정보, 상품 광고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스마트 카트는 탑재된 장치가 고가의 장치라는 점과 전력 소모량이 커 빈번히 충전을 해야 하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대형 마트 등에서 사용해야 하는 스마트 카트의 수는 매우 많기 때문에 이들 스마트 카트를 자주 충전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일부 대형 마트 등에서 디스플레이가 없는 바코드 리더기 또는 소형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PDA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쇼핑을 돕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가 없는 바코드 리더기는 소비자가 자신이 구매한 상품 리스트의 확인이 어려우며, PDA를 통한 쇼핑은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로 인한 쇼핑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8634호
본 발명은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카트에 담은 상품 리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면서도 소비 전력을 낮춰 충전 빈도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트와 별도로 충전되는 리더기의 충전된 배터리 전원을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보조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는 통신부와,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구매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판독한 무선 리더기로부터 상품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품 식별정보와 저장된 상품 정보를 매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반사형(Reflective)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과형(Transflective)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거치부는 무선 리더기를 거치하며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스마트 카트는 거치된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는 NFC 페어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NFC 페어링부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통신부와 무선 리더기 사이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소비전력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품정보 및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 리스트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카트의 충전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카트와 별도로 충전되는 리더기의 충전된 배터리 전원을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보조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의 스마트 카트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블록도의 각 블록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 물리적인 부품을 표현할 수 있으나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물리적인 부품의 기능의 일부 혹은 복수의 물리적인 부품에 걸친 기능의 논리적인 표현일 수 있다. 때로는 블록 혹은 그 일부의 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set)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들은 전부 혹은 일부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마트 또는 무인점포 등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카트는 디스플레이와, 바코드 리더기와, 근거리 통신장치와, 결제 모듈을 포함하여 전력 소모가 많은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하여 대용량의 충전배터리가 사용되며 충전을 빈번히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마트 카트 각각을 직원이 별도로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하여야 하므로 충전 빈도가 높으면 그만큼의 인력도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스마트 카트와 바코드 리더기를 분리하는 등 충전이 불편한 스마트 카트의 충전 빈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발명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10)는 통신부(100)와, 제어부(110)와,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00)는 무선 리더기(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통신 방식은 BLE, WiFi, 저전력 광역 통신(LPW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비자가 스마트 카트(10)와 별도로 매장 내에 비치된 무선 리더기(20)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판독하면, 통신부(100)는 무선 리더기(20)로부터 상품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리더기(20)가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는 UPC, EAN, CODE39, Bookland EAN 등의 1차원(1D) 바코드와 PDF417, MicroPDF417, Data Matrix, Maxicode, QR code, micro QR, Aztec 등의 2차원(2D)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더기(20)는 디스플레이가 없는 바코드 리더기가 사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있는 바코드 리더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리더기(20)는 매장에서 제공되는 PDA 단말일 수 있고, 소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리더기(20)가 PDA 단말 또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인 경우 해당 단말에 해당 매장의 쇼핑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기능들은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00)가 수신한 상품 식별정보들로부터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제어부(110)의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하여, 통신부(100)로부터 수신한 상품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매장 내에 비치된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소비자의 요청 즉,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예약한 상품의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상품에 대하여 통신부(100)가 수신한 상품 식별정보와 저장된 상품 정보를 매핑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소비자의 명령 입력을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소비자의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스마트 카트(10)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무선 리더기(20)를 스마트 카트(1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충전하므로 스마트 카트(10)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아 바코드 판독에 따른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는 반사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를 발광하기 위해 백라이트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와 달리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발광에 외부 광원을 사용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후면에 있는 리플렉터를 통해 광원을 반사시켜 디스플레이를 발광시키므로 디스플레이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는 반투과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반투과형 디스플레이는 외부 광원을 이용하는 반사하는 반반사 스트립과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카트(10)가 디스플레이로 반사형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과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로 인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스마트 카트(10)의 충전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의 스마트 카트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10)는 거치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30)는 무선 리더기(20)를 거치하며 무선 리더기(20)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스마트 카트(10)는 거치된 무선 리더기(20)의 배터리로부터 인출된 전력을 디스플레이부(120)의 백라이트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양상에서의 디스플레이부(120)는 반투과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며, 거치부(130)에 무선 리더기(20)가 거치되지 않으면 백라이트를 가동하지 않아 반사형 디스플레이로 동작하다, 무선 리더기(20)가 거치되면 무선 리더기(20)의 배터리를 백라이트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하여 백라이트를 가동시켜 반투과형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수 있다.
발명의 양상에 따라서는 무선 리더기(20)가 거치부(130)에 거치되지 않더라도, 소비자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화면 밝기를 조정하여 백라이트를 가동시킬 수 있고, 제어부(110)는 스마트 카트(10)의 남은 배터리 양에 따라 백라이트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10)는 NFC 페어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FC 페어링부(140)는 무선 리더기(20)와 스마트 카트(10)의 무선 통신을 연결을 위한 페어링 용도로 사용된다. 스마트 카트(10)와 무선 리더기(2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소비자가 쇼핑할 때마다 스마트 카트(10)에 무선 리더기(20)를 페어링시켜야 한다. NFC 페어링부(140)는 이 페어링 과정을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카트(10)에 구비된 NFC 페어링부(140)에 무선 리더기(20)를 태깅하면 페어링이 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때 무선 리더기(20)도 NFC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스마트 카트(10)에는 NFC 페어링부(140)에 추가하여 페어링을 위한 QR 코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리더기(20)로 소비자의 단말이 사용될 때 소비자의 단말에 NFC 기능이 없을 경우 설치된 쇼핑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QR 코드를 판독하면 스마트 카트(10)와 소비자의 단말의 페어링 절차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10)의 통신부(100)는 관리서버로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수신한 상품정보로 기 저장된 상품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카트(10)는 전력 소비량을 줄이기 위하여 쇼핑 시에는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정보를 가져오지 않지만, 스마트 카트(10)를 충전할 때 제어부(110)는 통신부(100)를 제어하여 관리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고, 관리서버 내에 새로운 상품정보나 갱신된 상품정보가 있을 경우 충전하는 동안 통신부(100)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정보를 내려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상품정보가 이미 저장된 상품정보를 갱신하는 것이면 이미 저장된 상품정보를 갱신하고, 새로운 상품정보이면 추가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 카트(10)의 통신부(100)는 관리서버로부터 재생할 상품 광고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수신한 상품 광고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매장 내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광고 식별정보를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하며 광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광고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스마트 카트(10)는 소비자가 매장 내에서 쇼핑할 때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상품에 대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고, 이때 표시하는 광고는 스마트 카트(10)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스마트 카트(10)는 전력 소비량을 줄이기 위하여 쇼핑 시에는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품 광고를 가져오지 않지만, 스마트 카트(10)를 충전할 때 제어부(110)는 통신부(100)를 제어하여 관리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고, 관리서버 내에 새로운 상품 광고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충전하는 동안 통신부(100)를 통해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광고를 내려받아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카트(10)는 해당 광고를 소비자가 쇼핑하는 동안 광고를 표시할 수 있으나, 특히 매장 내에 특정 위치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광고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광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광고를 찾아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 : 스마트 카트
100 : 통신부
11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거치부
140 : NFC 페어링부
20 : 무선 리더기

Claims (7)

  1. 구매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판독한 무선 리더기로부터 상품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품 식별정보와 저장된 상품 정보를 매핑하는 제어부;
    상품 정보 및 상품 구매 예약 리스트를 포함하는 쇼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 리더기를 거치하되,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출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부는 반투과형(Transflective) 디스플레이로 거치부에 무선 리더기가 거치되지 않으면 백라이트를 가동하지 않고,
    무선 리더기가 거치부에 거치되면 무선 리더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의 보조 전원으로 사용하는 스마트 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NFC 태그를 이용하여 통신부와 무선 리더기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는 NFC 페어링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는 관리서버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수신한 상품정보로 기 저장된 상품정보를 갱신하거나 추가 저장하는 스마트 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는 관리서버로부터 재생할 상품 광고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수신한 상품 광고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매장 내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광고 식별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며 광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품 광고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하는 스마트 카트.
KR1020200126964A 2020-09-29 2020-09-29 스마트 카트 KR10242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964A KR102421940B1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964A KR102421940B1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99A KR20220043499A (ko) 2022-04-05
KR102421940B1 true KR102421940B1 (ko) 2022-07-19

Family

ID=8118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964A KR102421940B1 (ko) 2020-09-29 2020-09-29 스마트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9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637A (ja) * 2002-12-05 2006-04-13 シンボ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式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2008545204A (ja) * 2005-06-28 2008-12-11 メディア カート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媒体使用可能な広告用ショッピングカー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49A (ko) * 2015-06-13 2016-12-21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스마트 카트
KR20170008634A (ko) 2015-07-14 2017-01-2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카트, 스마트 쇼핑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27491B1 (ko) * 2015-10-13 2023-05-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90140655A (ko) * 2018-06-12 2019-12-20 조정필 비콘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637A (ja) * 2002-12-05 2006-04-13 シンボ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式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2008545204A (ja) * 2005-06-28 2008-12-11 メディア カート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媒体使用可能な広告用ショッピングカー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99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0681B2 (en)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customer checkout/order fulfillment and real time in 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US8856033B2 (en)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customer checkout/order fulfillment and real time in 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US10453047B2 (en) Mobil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POS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in 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US9747632B2 (en) Store mobile cloud applicatio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method for retail establishment
US8849706B2 (en) Method for updating prices while shopping
US10970674B2 (en) Mobile tablet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POS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in-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JP2016219034A (ja) 携帯装置による自己精算の方法
CN104040540A (zh) 利用标签和移动设备的产品信息系统及方法
US202000508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cation of displayed shelf tags using hand-held device
CN109615037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20180137491A1 (en) Host devices with e-paper displays
JP2009053742A (ja) 電子棚札、電子棚札システム、および電子棚札表示用プログラム
US10832307B1 (en) Systems for analyzing and updating data structures
EP1576486A2 (en) Electronic shopping information system
KR102421940B1 (ko) 스마트 카트
US11126985B1 (en) Integrating functionality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TW202014949A (zh) 聚合式行動支付方法及其系統
JP2015102988A (ja) 商品販売システム
US20020165832A1 (en)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20060026669A (ko) 물품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54135Y1 (ko) 모바일 포스 터미널
KR20130089702A (ko) 상품 주문/결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00011609A (ko) 구매 내역에 기반한 고객맞춤형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5175A (ko) Qr 코드를 이용한 pos기
JP2022086871A (ja) 決済システム、決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