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853B1 - 흡진장치 - Google Patents

흡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853B1
KR102421853B1 KR1020200069221A KR20200069221A KR102421853B1 KR 102421853 B1 KR102421853 B1 KR 102421853B1 KR 1020200069221 A KR1020200069221 A KR 1020200069221A KR 20200069221 A KR20200069221 A KR 20200069221A KR 102421853 B1 KR102421853 B1 KR 10242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pipe
vibration
groov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302A (ko
Inventor
성상진
김승엽
신용호
박준홍
권세민
장진관
전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흡진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는 배관의 외측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흡진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흡진장치{VIBRATION ABSORBER}
본 발명은 흡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체란 모터 등과 같이 물리적인 운동이 일어나거나 유체의 이동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대상을 의미하며, 자체적으로 진동이 일어나는 대상뿐만 아니라 상기 모터 등과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대상과의 연결 관계를 통해 진동을 발생되는 대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냉매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상기 냉매가 유동되는 배관은 압축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뿐만 아니라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에 의한 진동이 존재할 수 있는 진동체에 해당된다.
상기 진동체의 반복적인 진동은 상기 진동체는 물론 상기 진동체와 연결된 구성에 대해 물리적인 손상 또는 파손을 유도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진동체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진동체에 포함되거나 상기 진동체에 결합되어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진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공고 제10-2011-0122491에는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거나 모터와 같은 능동형 진동체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배관에 흡진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흡진장치는 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배관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특정 배관에 적합하게 설계된 흡진장치는 크기 등이 상이한 이종의 배관에 적용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흡진장치가 서로 다른 크기의 배관에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진장치가 다양한 크기의 진동체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배관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진동 및 소음 저감 능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며, 진동 및 소음 저감 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진동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및 소음 저감 특성이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및 소음 저감 능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체에 해당되는, 즉 진동이 존재하는 배관에 대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배관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배관의 소음은 고주파, 예컨대 1kHz이상의 소음일 수 있다. 진동 및 소음 저감을 위해 질량체를 특정 위치에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진동 및 소음 저감에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체에 해당되는 배관, 예컨대 공기조화장치에서 실외기와 연결되는 배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저감에 유리한 흡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흡진기 원리와 충돌방식의 댐핑 원리가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징에 따라 소음 저감의 목표주파수에서 소음 저감 및 댐핑의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주파 영역의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는 공기조화장치의 배관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1kHz ~ 4kHz 영역의 진동 및 소음 저감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관 등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는 바디부 및 흡진체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배관의 외측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도록 마련되고, 흡진체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진체가 내부에 마련되는 바디부가 복수의 분할체로 마련됨에 따라, 배관의 직경이 변화하더라도 분할체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배관과의 결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 외벽을 함께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를 상기 배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외벽에 결합부재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홈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흡진체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 포함되는 흡진체들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중 상기 배관측에 위치되는 내측하면이 상기 복수의 흡진체와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내측하면과 충돌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측하면에 상기 흡진체가 안착되는 흡진체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진체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상기 복수의 열 형태를 이루며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흡진체홈은 상기 흡진체홈에 안착된 흡진체의 일부분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흡진체홈에 안착된 흡진체는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은 각각 상기 흡진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열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은 각각 상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는 흡진체들은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 중 어느 하나에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흡진체홈은 상기 개방영역이 상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흡진체홈에 함께 안착되는 흡진체들이 함께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단벽이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제1단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흡진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인입홀이 형성된 제1단벽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입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홀은 상기 배관의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을 모두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원주방향 양단에 각각 제2단벽이 마련되고, 상기 제2단벽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한 쌍의 바디부는 각각의 흡진체들 중 일부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서로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진동체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및 소음 저감 특성이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및 소음 저감 능력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흡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바디부를 이루는 복수의 분할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흡진체가 노출되는 개방영역을 가지는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바디부로부터 흡진체 및 캡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바디부의 내부에서 바라본 내측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흡진체와 배관이 상호 충돌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하나의 개방영역을 통해 복수의 흡진체가 노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바디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인입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에서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입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흡진장치(100)에서 복수의 분할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100)는 바디부(200) 및 흡진체(300)를 포함한다. 바디부(200)는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진동을 전달받도록 마련되고, 흡진체(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20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배관(5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200)는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배관(50)을 향하는 내벽(212)이 배관(50)의 외측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마련되거나, 매개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진동체에 결합되어 진동체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동체는 자체적으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거나 타 구성, 예컨대 모터, 압축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상기 진동체에 해당되는 배관(50)의 외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관(50)은 내부에 유체가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유체의 유동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압축기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50)은 공기조화장체에서 압축기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존재하며 내부의 유체 유동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상기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배관(5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배관(5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진체(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상기 배관(50)의 둘러싸는 중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흡진체(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흡진체(300)는 다양한 종류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흡진체(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충전되어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상쇄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흡진체(300)는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운동 및 충돌과정을 가지며 상기 진동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슬 형태로 마련되어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하거나 충돌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소비하는 복수의 흡진체(3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배관(5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바디부(200)는 함께 배관(50)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바디부(200)는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바디부(200)가 함께 배관(5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0)의 연장된 길이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원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2개의 바디부(2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에는 도 2에 도시된 2개의 바디부(200)가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되어 배관(50)의 외측면을 함께 둘러싸도록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배관(5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바디부(200)의 단면이 배관(50)의 외측면을 전체로서 둘러싸는 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바디부(200)는 배관(50)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흡진장치(100)가 중공부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배관(50)의 직경이 과도하게 작은 경우 흡진장치(100)의 내벽(212)과 배관(50)과의 이격이 발생되어 흡음 및 흡진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배관(50)의 직경이 과도하게 큰 경우 흡진장체의 중공영역보다 배관(50)의 직경이 크게 되어 흡진장치(100)의 결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진장치(100)의 복수의 분할체에 해당되는 복수의 바디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가 함께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배치됨으로써, 배관(50)의 직경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바디부(200) 내벽(212)이 가지는 설계적인 직경 이상의 배관(50)에 바디부(200)가 결합되는 경우라도, 바디부(200)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배관(50)의 외측면상에 복수의 바디부(200)를 위치시킬 수 있어 배관(50)의 직경이 변화하더라도 복수의 바디부(200)를 효과적으로 배관(50)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진장치(100)는 결합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 외벽(214)을 함께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를 상기 배관(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바디부(200)의 외벽(214)을 상기 배관(50)측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배관(50)을 향하는 내벽(212)의 반대측, 즉 배관(50)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벽(214)상에 결합부재(400)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400)에 의해 복수의 바디부(200)가 상기 배관(50)상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바디부(200) 외벽(214)을 함께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바디부(200)는 상기 결합부재(400)에 의해 배관(50)의 외측면상에 고정되어 상기 배관(50)의 외측면을 함께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금속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띠로 마련될 수도 있고,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의 링 형태로 마련되어 수축력을 통해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를 상기 배관(50)상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배관(50)의 길이방향(L)에 따른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단벽(240) 및 배관(50)의 원주방향(C)에 따른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2단벽(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디부(200)는 각각의 제2단벽(26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단벽(260)을 통해 상호 결합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배관(50)의 직경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있어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바디부(200)의 외벽(214)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40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가 함께 배관(50)의 외측면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외벽(214)에 결합부재홈(205)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홈(205)은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재(400)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200)는 상기 결합부재(400)가 안착되는 결합부재홈(205)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홈(205)은 바디부(200)에서 상기 배관(50)측을 향해 함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바디부(200)는 일측의 제2단벽(260)으로부터 타측의 제2단벽(260)까지 연장되는 결합부재홈(20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400)는 상기 결합부재홈(205)에 안착되어 복수의 바디부(200)를 함께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디부(200)의 외벽(214)에 형성되는 결합부재홈(205)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단벽(260)까지 연장된 결합부재홈(205)의 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내부공간에 복수의 흡진체(30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진체(300)는 복수로 마련되어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바디부(200)는 내부공간에 복수의 흡진체(300)가 수용될 수 있다. 바디부(200)에는 배관(50)으로부터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고, 복수의 흡진체(300)는 바디부(200)의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복수의 흡진체(300)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슬의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흡진체(300)가 도시되어 있다.
흡진체(300)는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자체적으로 진동되거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흡진체(300)간의 충돌이 발생되면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너지가 충돌에너지로 소모되고, 이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진체(300)가 진동하기나 변위를 형성함으로써 동흡진기의 효과가 구현될 수 있고, 흡진체(300)의 충돌에 의한 에너지 소모를 통해 댐핑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흡진체(300)가 내장된 바디부(2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바디부(200)에서 흡진체(300)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흡진체(300)는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너지에 의해 상호 충돌 과정을 거쳐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관(5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하고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열(310)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열(310) 중 어느 하나의 열(310)에 포함되는 흡진체(300)들은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될 수 있다.
도 4에는 복수의 열(310)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흡진체(300)가 바디부(200)로부터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열(3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진체(300)가 서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열(3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열(310) 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거나 상호 이격되되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관(50)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면 하나의 열(310)을 구성하는 흡진체(300)들은 상호간의 마찰 및 충돌에 의해 에너지를 소비하고, 위와 같은 에너지 소비에 의해 배관(50)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흡진체(300)로 이루어지는 열(3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흡진체(300)가 하나의 열(310)을 이루고, 상기 열(310)은 복수로 마련되는 흡진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웃하는 열(310)에 각각 위치되는 흡진체(300)는 상호간의 충돌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열(310) 방향, 즉 배관(5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각 열(310) 사이에 위치되는 흡진체(300)가이드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진체(300)가이드부가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흡진체(300)가이드부에 의해 열(3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호간의 충돌이나 접촉은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열(310)과 각각의 흡진체(300)가이드부 사이에서 마찰 및 충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통해 배관(50)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중 상기 배관(50)측에 위치되는 내측하면(220)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와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배관(5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내측하면(220)과 충돌될 수 있다.
상기 내측하면(220)은 바디부(200)에서 배관(50)을 향하는 내벽(212) 중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일면에 해당된다. 내측하면(220)은 바디부(200)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중 일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내측하면(220)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중 상기 배관(50)측을 향하는 일면에 해당될 수 있다.
내측하면(220)은 배관(50)과 대응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기 내측하면(22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은 상기 흡진체(300)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내부공간에 삽입된 흡진체(300)는 내측하면(220)에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접촉 관계는 설계적인 오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미세한 이격 관계는 설계 의도에 따라 흡진체(300)와 내측하면(220)이 접촉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호간의 충돌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부(200)의 내측하면(220)과의 마찰 및 충돌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흡진체(300)는 내부공간을 이루는 바디부(200)의 내측면과 전체로서 접촉되어 마찰 및 충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정된 흡진체(300)의 개수에서 상기 흡진체(300)에 의한 충돌 등의 에너비 소비 효과를 극대화하고, 배관(50)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흡진체(300)홈(230)이 형성된 바디부(200)의 내측하면(2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내측하면(220)에 상기 흡진체(300)가 안착되는 흡진체(300)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흡진체(300)홈(230)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310)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가 상기 복수의 열(310) 형태를 이루며 안착될 수 있다.
흡진체(300)홈(230)은 바디부(200)의 내측하면(220)에 형성되며, 상기 흡진체(30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흡진체(300)가 구 형태를 가지는 경우, 흡진체(300)홈(230)은 구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진체(300)홈(23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하나의 흡진체(300)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거나, 복수의 흡진체(300)가 이루는 어느 하나의 열(3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진체(300)홈(230)은 필요에 따라 배관(50)의 길이방향(L) 또는 흡진체(300)가 형성하는 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도 7에는 흡진체(300)홈(230) 및 후술할 개방영역(235)이 열(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흡진체(300)홈(230)에는 복수의 흡진체(300)가 배치될 수 있다.
흡진체(300)는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흡진체(300)홈(23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흡진체(300)는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흡진체(300)홈(230)에 의해 위치가 유도될 수 있다.
흡진체(300)홈(230)은 흡진체(3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부공간에 삽입된 흡진체(300)는 흡진체(300)홈(230)에 안착되도록 위치가 유도될 수 있고, 흡진체(300)홈(230)은 복수의 흡진체(300)가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흡진체(300)홈(230)이 하나의 흡진체(300)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 흡진체(300)홈(230)은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배열(310)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가 내부공간에서 설계적으로 의도된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흡진체(300)홈(230)이 열(3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흡진체(300)가 하나의 흡진체(300)홈(230)에 배치되는 경우, 흡진체(300)홈(230)은 원주방향(C)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310)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가 설계적으로 의도된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유도될 수 있다.
흡진체(300)홈(230)에 의해 복수의 흡진체(300)가 설계적으로 의도된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우, 바디부(200)는 내부공간에 상기 복수의 열(310) 사이마다 흡진체(300)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개방영역(235)이 존재하지 않는 바디부(2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5에는 도 2의 바디부(200)에 개방영역(235)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진체(300)홈(230)은 상기 흡진체(300)홈(230)에 안착된 흡진체(300)의 일부분이 상기 배관(50)측으로 노출되는 개방영역(235)이 형성되고, 상기 흡진체(300)홈(230)에 안착된 흡진체(300)는 상기 개방영역(235)을 통해 상기 배관(50)에 접촉될 수 있다.
개방영역(235)은 흡진체(300)홈(23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방영역(235)은 상기 흡진체(300)홈(230)에서 바디부(200)의 내벽(212)을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흡진체(300)홈(230)에 안착되는 흡진체(300)는 상기 개방영역(235)을 통해 배관(50)과 직접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진체(300)와 배관(50)의 접촉 여부는 흡진체(300)의 직경, 흡진체(300)홈(230)의 크기 및 개방영역(235)은 크기 등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은 개방영역(23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은 개방영역(235)을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흡진체(300)는 개방영역(235)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흡진체(300)는 개방영역(235)을 통해 일부가 상기 내벽(212)으로부터 배관(50)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배관(50)과 접촉될 수 있다.
개방영역(235)은 흡진체(300)홈(2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어느 하나의 흡진체(300)와 대응되는 형상의 흡진체(300)홈(230)은 상기 어느 하나의 흡진체(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영역(23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배관(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복수의 흡진체(300)가 배치되는 흡진체(300)홈(230)은 배관(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개방영역(235)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개방영역(235)을 통해 복수의 흡진체(300)가 함께 노출될 수 있다.
도 6에는 개방영역(23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흡진체(300)와 배관(50)이 접촉 및 충돌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방영역(235)을 통해 일부가 내벽(212)으로부터 돌출되는 흡진체(300)는 배관(50)과 직접 접촉되어 배관(50)으로부터 진동이 직접 전달될 수 있고, 배관(50)과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흡진체(300) 상호간의 접촉, 흡진체(300)와 바디부(200)의 내측면 상호간의 접촉 및 흡진체(300)와 배관(50)과의 접촉을 통해 마찰 및 충돌이 발생되어 배관(50)의 진동에너지를 소모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홈(230)은 각각 상기 흡진체(3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열(310)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홈(230)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상기 개방영역(235)을 통해 상기 배관(50)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관(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흡진체(300)홈(230)은 복수의 흡진체(300)가 안착되어 하나의 열(310)을 형성하며, 상기 하나의 열(3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흡진체(300)는 상호간의 마찰 및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흡진체(300)홈(230)이 상기 열(310) 방향으로 연장된 경우는 흡진체(300)홈(230)이 어느 하나의 흡진체(3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경우보다 상기 열(310) 방향으로의 흡진체(300) 이동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열(310)을 형성하는 흡진체(300)들간의 마찰 및 충돌 발생에 유리하며 에너지 소비에 유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흡진체(300)홈(230)은 상기 길이방향(L)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 중 어느 하나의 열(310)을 이루는 흡진체(300)들은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홈(230) 중 어느 하나에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열(310)의 개수 및 각 열(310)의 흡진체(300) 개수는 설계적으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50)으로부터 저감시키고자 하는 타겟주파수 또는 타겟주파수영역이 결정되면, 이론적인 결과 및 실험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열(310)의 개수 및 흡진체(300)의 개수 등을 설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흡진체(300)홈(230)은 상기 개방영역(235)이 상기 길이방향(L)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경우, 상기 흡진체(300)홈(230)에 함께 안착되는 흡진체(300)들이 함께 상기 개방영역(235)을 통해 상기 배관(50)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개방영역(235)은 흡진체(300)가 배관(5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폭 등의 설계적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디부(200)에 형성되는 인입홀(245)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길이방향(L) 양단에 각각 제1단벽(240)이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제1단벽(24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흡진체(300)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인입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한 쌍의 제1단벽(2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단벽(240)은 각각 바디부(200)에서 배관(50)이 길이방향(L)에 따른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단벽(240) 및 제2단벽(260)은 바디부(200)의 외벽(214) 및 내벽(212)과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제1단벽(240), 제2단벽(260), 외벽(214) 및 내벽(212)이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바디부(200)에 마련되는 2개의 제1단벽(2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입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흡진체(300)는 인입홀(245)을 통해 바디부(200)의 외부에서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인입홀(245)은 적어도 흡진체(300)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입홀(245)을 통해 흡진체(300)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진체(300)의 개수 또는 흡진체(300)에 의해 형성되는 열(31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50)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타겟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200)는 캡부(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247)는 상기 인입홀(245)이 형성된 제1단벽(240)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입홀(245)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부(24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입홀(245)에 삽입되거나 인입홀(245)의 외측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부(247)에 의해 바디부(20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흡진체(300)가 인입홀(24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캡부(247)는 제1단벽(240)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부(247)는 인입홀(24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입홀(245)은 상기 배관(50)의 상기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310)을 모두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진체(300)는 바디부(200)의 내부에서 배관(50)의 길이방향(L)과 나란한 복수의 열(310)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200)의 내부에는 흡진체(300)가 상기 복수의 열(310)을 이루며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진체(300)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홀(245)은 흡진체(300)가 복수의 열(310)을 이루면서 바디부(20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열(310)이 모두 노출될 수 있도록 배관(50)의 원주방향(C)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인입홀(245)이 하나의 열(310) 또는 하나 이상의 열(310)을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경우, 흡진체(300)는 상기 인입홀(245)을 통해 바디부(20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바디부(200)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열(310)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200)의 내측하면(220)에는 전술한 흡진체(300)홈(230)이 미리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200) 내부공간으로 인입된 흡진체(300)들이 설계적으로 미리 결정된 복수의 열(310)을 형성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인입홀(245)이 복수의 열(310)을 노출시키도록 연장된 경우, 각각의 흡진체(300)들은 각각의 열(310)을 따라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바디부(200)의 흡진체(300)홈(230)은 상기 흡진체(300)들이 미리 설계된 복수의 열(310)을 이루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흡진체(300)가이드부는 상기 흡진체(300)홈(230)과 함께 흡진체(300)들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흡진체(300)가이드부는 복수의 열(310)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흡진체(300)가이드부는 복수의 열(310)의 길이방향 또는 배관(5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흡진체(300)가이드부는 상기 인입홀(245)에서 바라볼 때, 즉 배관(50)의 길이방향(L)에서 바라볼 때 단면 형상이 흡진체(300)의 단면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흡진체(300)가 구 형상을 가지는 경우 흡진체(300)가이드부는 원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흡진체(300)가 인입되기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진체(300)가이드부는 바디부(2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바디부(200) 내부공간에 설치되거나, 바디부(20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원주방향(C) 양단에 각각 제2단벽(260)이 마련되고, 상기 제2단벽(260)에는 상기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300) 중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부(265)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한 쌍의 바디부(200)는 각각의 흡진체(300)들 중 일부가 상기 개방부(265)를 통해 서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흡진장치(100).
도 2 및 3에는 위와 같이 개방부(265)가 형성된 바디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제2단벽(260)에 형성되는 개방부(265)는 흡진체(300)가 형성하는 복수의 열(310) 중 원주방향(C)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위치되는 열(310)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최외곽의 열(310)을 이루는 복수의 흡진체(300)들은 상기 개방부(26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바디부(200)가 함께 배관(5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바디부(200)는 서로 마주하는 제2단벽(260)의 개방부(265)를 통해 상호간의 흡진체(300)가 서로 충돌 및 마찰을 일으키며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다.
개방부(265)는 배관(50)의 길이방향(L) 또는 흡진체(300)가 이루는 열(310)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상기 개방부(265)와 흡진체(300)홈(230)의 개방영역(235)을 통해 흡진체(3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마찰 및 충돌을 일으키며 에너지를 소비하고 배관(50)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50 : 배관 100 : 흡진장치
200 : 바디부 205 : 결합부재홈
220 : 내측하면 230 : 흡진체홈
235 : 개방영역 240 : 제1단벽
245 : 인입홀 247 : 캡부
260 : 제2단벽 265 : 개방부
300 : 흡진체 400 : 결합부재

Claims (15)

  1.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복수의 흡진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중 상기 배관을 향하는 내측하면이 상기 흡진체와 접촉되고, 상기 내측하면에 상기 흡진체가 안착되는 복수의 흡진체홈이 형성되는 흡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 외벽을 함께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바디부를 상기 배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흡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외벽에 결합부재홈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홈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흡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에 안착되어 정렬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되는 흡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에 포함되는 흡진체들은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호 충돌되는 흡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내측하면과 충돌되는 흡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은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상기 복수의 열 형태를 이루며 안착되는 흡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체홈은 상기 흡진체홈에 안착된 흡진체의 일부분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흡진체홈에 안착된 흡진체는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에 접촉되는 흡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은 각각 상기 흡진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열과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되는 흡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은 각각 상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이루는 흡진체들은 상기 복수의 흡진체홈 중 어느 하나에 함께 안착되는 흡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체홈은 상기 개방영역이 상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흡진체홈에 함께 안착되는 흡진체들이 함께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배관측으로 노출되는 흡진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단벽이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제1단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흡진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되는 흡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인입홀이 형성된 제1단벽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인입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는 흡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홀은 상기 배관의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가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열을 모두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흡진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원주방향 양단에 각각 제2단벽이 마련되고, 상기 제2단벽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흡진체 중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한 쌍의 바디부는 각각의 흡진체들 중 일부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서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흡진장치.
KR1020200069221A 2020-06-08 2020-06-08 흡진장치 KR102421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21A KR102421853B1 (ko) 2020-06-08 2020-06-08 흡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21A KR102421853B1 (ko) 2020-06-08 2020-06-08 흡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02A KR20210152302A (ko) 2021-12-15
KR102421853B1 true KR102421853B1 (ko) 2022-07-18

Family

ID=7886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21A KR102421853B1 (ko) 2020-06-08 2020-06-08 흡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8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087A (ja) * 1999-09-02 2001-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KR200303233Y1 (ko) * 2002-11-13 2003-02-07 탁제학 에어컨용 동파이프와 방진고무의 체결구조
JP2012082880A (ja) 2010-10-08 2012-04-26 Kobe Steel Ltd 制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93A (ja) * 1990-04-20 1992-01-08 Hitachi Ltd 配管の制振要素,制振要素を備えた配管及び制振要素を備えた圧力伝達機器
JPH09329182A (ja) * 1996-06-11 1997-12-22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SE9704000D0 (sv) * 1997-10-31 1997-10-31 Electrolux Ab Kulbalanseringsanord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087A (ja) * 1999-09-02 2001-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制振装置
KR200303233Y1 (ko) * 2002-11-13 2003-02-07 탁제학 에어컨용 동파이프와 방진고무의 체결구조
JP2012082880A (ja) 2010-10-08 2012-04-26 Kobe Steel Ltd 制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02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6682B2 (ja) 防振装置
JP5638061B2 (ja) 緩衝パッドを有しているスナップ動作のバルブ
JP2006008129A (ja) 車両のラジエーター用インシュレータ
KR20110139262A (ko) 진공 청소기
CN114718696B (zh) 一种重型车辆排气消音系统
US6698731B2 (en) High compliance multiple chamber piston for fluid damped elastomer devices
KR102421853B1 (ko) 흡진장치
US10589615B2 (en) Decoupler for a hydraulic engine mount
CN103983054A (zh) 压缩机组件及其储液器
ITTO20001213A1 (it) Compressore ermetico, in particolare provvisto di un elemento per assorbire le vibrazioni.
CN112082033A (zh) 管路减振装置及空调器
CN218269341U (zh) 配管降噪装置
JP2002031056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CN214618470U (zh) 一种新型减振器和管路系统
JP2008291827A (ja) 消音器
JP2006510857A (ja) 気体軸受装置
JP3928175B2 (ja) 空気動工具
KR102289833B1 (ko) 중공형 드라이브 샤프트용 가변 댐퍼
KR20210066544A (ko) 소음저감장치
WO2019117193A1 (ja) 防振装置
KR102372565B1 (ko) 동흡진기
JP3531730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制振装置
KR20040017015A (ko)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CN112855541B (zh) 支撑机构及具有其的压缩机
KR200400557Y1 (ko) 냉매관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