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81B1 -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 Google Patents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81B1
KR102421481B1 KR1020200069677A KR20200069677A KR102421481B1 KR 102421481 B1 KR102421481 B1 KR 102421481B1 KR 1020200069677 A KR1020200069677 A KR 1020200069677A KR 20200069677 A KR20200069677 A KR 20200069677A KR 102421481 B1 KR102421481 B1 KR 10242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asing
aeration
livestock wastewater
casing member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778A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반건설
Priority to KR102020006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8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가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와,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와,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서 공급되어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부를 따라 토출된 에어에 의해,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부를 따라가도록 유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 전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형태로 유동되면서 폭기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가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를 24시간 내내 작동시킬 필요없이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면 되면서도,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Aeration tank structure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본 발명은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는 돈사 등에서 발생되는 오물로서, 이러한 축산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축산폐수 처리 시설이다.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에서는, 상기 축산폐수가 집수되어 고액 분리된 상태로 침전조를 거친 다음 폭기조로 유입되어 폭기된다.
상기 폭기조는 활성 오니법에 의한 정화의 중심이 되는 탱크로, 상기 축산폐수는 상기 폭기조에서 활성 오니와 혼입되어 산소의 공급을 받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에서, 산기관이 상기 폭기조의 바닥 전체에서 에어를 뿜어주게 되는 산기관 방식에 의하는 경우, 상기 폭기조의 바닥 전체에 균일하게 에어를 공급할 수는 있지만, 상기 산기관을 통한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산기관을 통해 상기 축산폐수가 역류되고 상기 산기관이 막혀버리게 되어 재가동이 힘든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해 상기 산기관을 24시간 내내 멈춤없이 작동시켜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산기관 방식의 폭기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인젝터 방식이다.
상기 인젝터 방식은 인젝터 펌프를 상기 폭기조의 바닥에 설치하여 상기 축산폐수를 상기 인젝터 펌프가 끌어들여 에어를 혼합시킨 상태로 다시 상기 폭기조의 내부로 압력을 가하여 밀어주는 방식인데, 상기 인젝터 방식에 의하면, 상기 축산폐수의 역류 문제 및 상기 산기관이 막히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으나, 상기 인젝터 펌프가 고장나는 경우 상기 폭기조의 바닥에 설치된 상기 인젝터 펌프로의 접근이 매우 어려워 상기 인젝터 펌프의 유지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젝터 펌프가 단순히 상기 폭기조의 바닥에서 상기 축산폐수를 밀어주는 방식이라,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폭기조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393712호, 등록일자: 2014.05.02., 발명의 명칭: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24시간 내내 작동시킬 필요없이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면 되면서도, 그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는 축산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축산폐수 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상기 축산폐수를 폭기시키는 것으로서,
그 내부가 원형 실린더 형태로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되는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 쪽으로 폭기를 위한 에어를 공급해주는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까지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로 공급해주는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 및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곡면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 중 외곽부를 따라 토출됨으로써,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이동되면서 폭기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 중 외곽부에서 서로 이격된 지점에서 각각 상기 에어를 토출하되,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에어를 분사해주고,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중앙 상부에는 소정 곡률로 함몰된 형태의 곡면체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는 상기 곡면체 함몰면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중앙 상부로 모이는 것을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밀어올려주는 폐수 업힐 부재;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폐수 업힐 본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업힐 구동 수단; 및 상기 업힐 구동 수단의 회전축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업힐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업힐 구동 수단의 회전축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틈새 회전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가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와,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와,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서 공급되어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부를 따라 토출된 에어에 의해,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부를 따라가도록 유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 전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형태로 유동되면서 폭기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가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를 24시간 내내 작동시킬 필요없이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면 되면서도,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의하면,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가 바닥부 곡면체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의 일부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중심부로 모이면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중심부로 모인 것이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를 따라 흘러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부 쪽으로 다시 퍼지게 됨으로써,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대한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서의 축산폐수의 흐름을 보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서의 축산폐수의 흐름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100)는 축산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축산폐수 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상기 축산폐수를 폭기시키는 것으로서,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와,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와,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는 그 내부(115)가 원형 실린더 형태로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상단은 개방되어, 그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 상기 축산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는 콘크리트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 쪽으로 폭기를 위한 에어를 공급해주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까지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로 공급해주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 중 외곽부(111)를 따라 토출됨으로써,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에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형태로 이동되면서 폭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 중 외곽부(111)에서 서로 이격된 지점에서 각각 상기 에어를 토출하되,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에어를 분사해주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가 하나의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 함께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3에서 도면 번호 141 및 145로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에 각각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가 개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 중 하나(13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러한 설명은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 중 다른 하나(135)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 중 하나(131)는 에어 공급관 본체(132)와, 에어 토출 노즐(13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서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가 상기와 같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가 상승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축산폐수가 역류되지 않게 된다.
상기 에어 토출 노즐(134)은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를 따라 유동된 상기 에어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도면 번호 133은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와 상기 에어 토출 노즐(134)을 연결시켜주는 에어 공급관 연결체이다.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벽체를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에어 토출 노즐(134)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 연결체(133)는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로부터 상기 에어 토출 노즐(134)이 방향 전환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 에어 토출 노즐(134)이 모두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각 에어 토출 노즐(134)을 통해 토출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도록 유동되면서, 그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 전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회전되는 형태로 유동되면서 폭기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벽체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으로 비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132)에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100)는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중앙부에서 최고점을 이루고,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 최저점을 이루는 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면, 상기 축산폐수 중의 일부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부로 모이면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부로 모인 것이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를 따라 흘러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 쪽으로 다시 퍼지게 됨으로써,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가 작동되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서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를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는 방향으로 토출되고, 그러한 상기 에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는 형태로 유동되면서 폭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100)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와,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와,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서 공급되어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를 통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 토출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를 따라가도록 유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 전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회전되는 형태로 유동되면서 폭기될 수 있게 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130)를 통해 상기 축산폐수가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를 24시간 내내 작동시킬 필요없이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면 되면서도,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140)에 대한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100)가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의 일부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부로 모이면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내부(115)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중심부로 모인 것이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120)를 따라 흘러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110)의 바닥부의 외곽부(111) 쪽으로 다시 퍼지게 됨으로써,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는 폐수 업힐 부재(250)와, 업힐 구동 수단(260)과, 틈새 회전 날개(270)를 포함하고,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중앙 상부에는 소정 곡률로 함몰된 형태의 곡면체 함몰면(221)이 형성된다.
상기 폐수 업힐 부재(250)는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 상에서 회전되면서,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중앙 상부로 모이는 것을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밀어올려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폐수 업힐 부재(250)는 폐수 업힐 본체(251)와, 폐수 점프체(252)와, 폐수 확산체(253)를 포함한다.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는 그 저면은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과 대면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곽부는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의 외곽부와 대응되고, 그 상면은 그 외곽부로부터 그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중앙 상부로 모이는 것이 그 상면을 따라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폐수 점프체(252)는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와 연결되면서 상기 폐수 업힐 부재(250)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꺽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승된 상기 축산폐수를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각도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폐수 확산체(253)는 상기 폐수 점프체(252)의 상부에서 상기 폐수 점프체(252)의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의 구 형태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폐수 점프체(252)에 의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방향 전환된 상기 축산 폐수가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중앙부 상공으로 모이지 않고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 상공 쪽으로 퍼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은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틈새 회전 날개(270)는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의 회전축 중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 사이의 틈(222)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 사이의 틈(222)을 통해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의 회전축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 사이의 틈(222)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틈새 회전 날개(27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본체(251)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221) 사이의 틈(222)에 상기 축산폐수가 적체되지 아니하여, 상기 폐수 업힐 부재(25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가 상기 폐수 업힐 부재(250)와, 상기 업힐 구동 수단(260)과, 상기 틈새 회전 날개(27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220)의 중앙 상부로 모이는 것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210)의 내부에서의 상기 축산폐수의 폭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에 의하면, 24시간 내내 작동시킬 필요없이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만 작동시키면 되면서도, 그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축산폐수에 대한 폭기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110 :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
120 : 바닥부 곡면체 부재
130 :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
140 :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

Claims (5)

  1. 축산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축산폐수 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상기 축산폐수를 폭기시키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로서,
    그 내부가 원형 실린더 형태로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되는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 쪽으로 폭기를 위한 에어를 공급해주는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까지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로 공급해주는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 및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부 곡면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 중 외곽부를 따라 토출됨으로써,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이동되면서 폭기되고,
    상기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 중 외곽부에서 서로 이격된 지점에서 각각 상기 에어를 토출하되,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축산폐수가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에어를 분사해주고,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중앙 상부에는 소정 곡률로 함몰된 형태의 곡면체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는
    상기 곡면체 함몰면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가 회전되도록 유동되는 도중에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중앙 상부로 모이는 것을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내부 상공 쪽으로 밀어올려주는 폐수 업힐 부재;
    상기 바닥부 곡면체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폐수 업힐 본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업힐 구동 수단; 및
    상기 업힐 구동 수단의 회전축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업힐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업힐 구동 수단의 회전축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축산폐수 중 상기 폐수 업힐 부재의 저면과 상기 곡면체 함몰면 사이의 틈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틈새 회전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닥부 에어 공급관 부재는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로부터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외부 설치형 에어 펌프 부재에서 공급되는 상기 에어가 유동되는 에어 공급관 본체와,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를 따라 유동된 상기 에어를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바닥부로 토출시키는 에어 토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공급관 본체는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의 벽체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원형 폭기형 케이싱 부재에서 상기 축산폐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으로 비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9677A 2020-06-09 2020-06-09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KR10242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77A KR102421481B1 (ko) 2020-06-09 2020-06-09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77A KR102421481B1 (ko) 2020-06-09 2020-06-09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778A KR20210152778A (ko) 2021-12-16
KR102421481B1 true KR102421481B1 (ko) 2022-07-15

Family

ID=7903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677A KR102421481B1 (ko) 2020-06-09 2020-06-09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82B1 (ko) * 2003-08-11 2005-07-05 김승회 축산폐수 전처리 장치
KR100971998B1 (ko) * 2010-02-12 2010-07-22 한솔이엠이(주) 혐기성 소화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12B1 (ko) 2014-01-23 2014-05-13 이길환 축산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872902B1 (ko) * 2015-12-04 2018-06-29 백용기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82B1 (ko) * 2003-08-11 2005-07-05 김승회 축산폐수 전처리 장치
KR100971998B1 (ko) * 2010-02-12 2010-07-22 한솔이엠이(주) 혐기성 소화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778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078B1 (ko) 여과재 세정 장치
CN101678288A (zh) 微小气泡发生装置以及方法
KR100316317B1 (ko) 액체혼합장치
JP3443728B2 (ja) 汚水の浄化処理装置
US6698916B2 (en) Underwater agitation pump
KR101660422B1 (ko) 블록형 날개를 구비한 에어레이터
CN102133509A (zh) 气液混合循环流产生装置
KR102421481B1 (ko) 축산폐수 처리 시설용 폭기조 구조
JP2003001224A (ja) 糞尿発酵処理装置の気泡処理方法及びその機構
KR100440716B1 (ko) 수처리용 고체약품 투입기
CN109761337A (zh) 一种湿式氧化处理废水的反应器
KR100756659B1 (ko)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CN210340364U (zh) 废水混合均质调节池及污水处理系统
KR20180113477A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JP2501238Y2 (ja) 曝気装置
KR101125133B1 (ko) 수중포기장치
KR101969781B1 (ko) 수중 미세 폭기장치
JP3951287B2 (ja) 水中曝気攪拌装置
JP7495158B2 (ja) 攪拌槽
KR200175453Y1 (ko) 양어장 및 폐수 처리장 산소 용해 장치
KR200208473Y1 (ko) 자흡식 세정 탈취기
JP2002166291A (ja) 水中曝気装置
JP2004105856A (ja) 水中エアレータ
KR900010599Y1 (ko) 수처리용 표면 혼합 폭기장치
WO2000071237A1 (en) Device for the mixing of liquid with gas and/or other liquids and/or granular, favourably powder-like material, and for the transportation of such mi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