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26B1 -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226B1 KR102421226B1 KR1020200112620A KR20200112620A KR102421226B1 KR 102421226 B1 KR102421226 B1 KR 102421226B1 KR 1020200112620 A KR1020200112620 A KR 1020200112620A KR 20200112620 A KR20200112620 A KR 20200112620A KR 102421226 B1 KR102421226 B1 KR 102421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icu
- state
- vehicle
- smart k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은,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도어를 락시키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Intergrated control unit)로 전송하는 SMK ECU(Smart Key Electron Control Unit),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ICU, 상기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ICU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ICU는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과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 램프의 출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 실수에 의한 램프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Smartkey System)이란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필요한 행동을 취하면 차량에 내장된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가 물리적인 열쇠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최근에 차량이 점차 고급화되면서 스마트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는 운전자가 야간에 시동을 끄고 차량에서 하차하면 차량 주변을 비추어 어두운 장소에서 운전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의 시동 오프(FF) 후,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차량 제어기는 저전력 모드에 진입하게 되며, 저전력 모드 진입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차량 제어기는 전류 소모 방지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램프 부하를 강제로 차단한다. 즉, 차량 제어기에는 장시간 램프가 켜져 있을 때 램프에 의한 전류 소모 방지를 위한 암전류 차단 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암전류 차단 장치는 일부의 램프 부하만 연결하므로, 다른 램프에 의해 소모되는 전류는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가 저전류 모드에 진입하지 못하게 되면, 암전류 차단 장치는 램프를 강제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차량이 장기 주차 등으로 방치될 경우 암전류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되고, 이로 인해 차량 기능이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1751호(2015.06.05)의 '배터리 방전 방지를 위한 전류 자동차단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과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 램프의 출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 실수에 의한 램프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은,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도어를 락시키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Intergrated control unit)로 전송하는 SMK ECU(Smart Key Electron Control Unit),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ICU, 상기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ICU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ICU는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MK ECU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ICU는, 상기 SMK ECU 및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램프와 각각 연결되어, 각 램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램프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램프 제어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램프 제어부를 통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류에 기초하여 각 램프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램프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AVN 장치이고, 상기 AVN 장치, SMK ECU 및 ICU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VN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은,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SMK ECU가 차량의 도어를 락시키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CU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ICU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CU가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SMK ECU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AVN 장치이고, 상기 AVN 장치, SMK ECU 및 ICU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VN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과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 램프의 출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 실수에 의한 램프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시동 오프 후 발생하는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시동 불가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증가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CU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CU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CU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은, 스마트키(20), SMK ECU(Smart Key Electron Control Unit, 100) 통신장치(400), ICU(integrated control unit, 200) 및 사용자 단말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SMK ECU(100), 통신장치(400) 및 ICU(200)는 차량(10)에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은 C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키(20)는 차량(10) 내의 통신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의 열림/닫힘, 차량 시동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이다. 스마트키(20)에 구비된 버튼들이 눌러지면, 스마트키(20)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키(20)에 구비된 버튼들이 락(Lock) 버튼 및 언락(Unlock) 버튼인 경우, 구동신호는 스마트키(20)의 락 버튼 또는 언락 버튼이 눌러질 때 생성되는 락 신호 또는 언락 신호이다.
스마트키(20)는 포브키가 아니더라도 도어 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을 제어하는 입력 기기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가 스마트키(20)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키(20)가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에는 스마트키(2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바, 모바일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차량(10)에 대한 스마트키(2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SMK ECU(100)는 차량(10)에 구비되며, 스마트키(20)의 조작 또는 차량(10)에 설치된 스위치 조작으로 인가되는 각종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차량(10)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SMK ECU(100)는 스마트키(20)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0)의 도어를 락시킬 수 있다.
차량(10)의 도어가 잠기면, SMK ECU(100)는 스마트키(20)의 위치를 탐색하고, 스마트키(2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200)로 전송한다.
스마트키(20)의 위치를 탐색할 때, SMK ECU(100)는 차량(10)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키(2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스마트키(20)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즉, SMK ECU(100)는 수신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이용하여 스마트키(20)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스마트키(2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면, SMK ECU(100)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다는 신호를 ICU(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예컨대, LF 신호의 최대 감지 영역일 수 있고,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다는 신호는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ICU(200)는 차량(10)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각 램프(300)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로 전송한다.
이러한 ICU(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램프 제어부(220), 제어부(230) 및 암전류 차단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SMK ECU(100) 및 통신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컨대, CAN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램프 제어부(220)는 차량(10)에 설치된 각 램프(300)와 각각 연결되어, 각 램프(30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램프 제어 소자(220a, 220b, .., 220n)를 포함한다. 예컨대, 램프 제어부(220)는 제1 램프(300a)에 연결되는 제1 램프 제어소자(220a), 제2 램프(300b)에 연결되는 제2 램프 제어 소자(220b), 및 제3 램프(300c)에 연결되는 제3 램프 제어 소자(22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에 설치되는 램프(300)는 예컨대, 룸 램프, 비상등, 외부 미등, 실내 미등, 실내 조명등, 테일 램프를 포함하는 전자 장비, 그 외 조명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램프 제어 소자(220a, 220b, .., 220n)는 각 램프(300a, 300b, .., 300n)의 온 또는 오프(점등 또는 소등)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램프 제어 소자(220a, 220b, .., 220n)는 각 램프(300a, 300b, .., 300n)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램프 제어 소자(220a)는 제1 램프(300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램프 제어 소자(220b)는 제2 램프(300b)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 시, 램프 제어부(220)를 통해 각 램프(30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를 포함하는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통신장치(400)로 전송하며, 통신부(210)를 통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제어부(230)는 전류가 감지된 램프(300)를 온(점등)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전류가 감지되지 않은 램프(300)를 오프(소등)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램프(300)의 점등 여부에 대한 정보, 즉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램프 출력 차단 신호가 수신되면, 암전류 차단부(240)를 통해 램프(300)의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암전류 차단부(240)에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전송하여 암전류 차단부(24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암전류 차단부(240)가 스위치 형식인 경우,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램프 출력 차단 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에서 램프(300)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여 암전류가 차단되도록 암전류 차단부(24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암전류 차단부(240)는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300)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암전류 차단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입력 받으면, 차량(10) 내 하나 이상의 램프(300)에 공급되는 암전류를 차단할 수 잇다.
이러한 암전류 차단부(240)는 예컨대, 래칭릴레이소자 및 지능형 파워 스위치(Intelligent Power Switch, IP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래칭릴레이소자는, 배터리와 부하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부하장치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래칭릴레이소자는 일단 한번 온 상태로 스위칭되면 새로운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반대로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 후에는 새로운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래칭릴레이소자는 배터리의 전원을 부하장치로 공급 및 차단한 후에는 제어부230)로부터 새로운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상기의 공급 및 차단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CU(200)는 암전류 차단부(240)를 이용하여 모든 램프(300)의 암전류를 강제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의 시동을 오프하고, 도어를 잠근 후, 사용자가 차량(10)과 멀리 떨어졌을 경우 사용자에게 램프(300)의 상태를 알려주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램프 출력을 차단하여, 차량(10)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장치(400)는 램프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3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장치(30)로부터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400)는 예컨대, AVN 장치(400)일 수 있고, AVN 장치(400)와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VN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와 블루링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통신장치(400)를 통해 ICU(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1 램프 온, 제2 램프 오프, 제3 램프 온, 및 제4 램프 오프를 포함하는 램프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램프 출력 차단 버튼을 이용하여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장치(30)는 제1 램프(300a) 및 제3 램프(300c)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통신장치(400)를 통해 ICU(200)로 전송할 수 있다.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한 ICU(200)는 암전류 차단부(240)를 통해 제1 램프(300a) 및 제3 램프(300c)를 강제로 오프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는 원격에서 차량(10)의 램프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램프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사용자 단말장치(3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장치(30)는 차량(10)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키(20)와 사용자 단말장치(3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키(20)가 모바일 기기로 구현된 경우 스마트키(20)와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동일한 장치 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의 시동 오프 후, 스마트키(20)가 도어 락 신호를 SMK ECU(100)로 전송하면(S302), SMK ECU(100)는 차량(10)의 도어를 락 시키고(S304), 스마트키(20) 위치를 탐색한다(S306). 이때, SMK ECU(100)는 스마트키(20)의 수신신호세기에 기초하여 스마트키(20)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SMK ECU(100)는 스마트키(2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는지를 판단하고(S308), 스마트키(2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면, SMK ECU(100)는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200)로 전송한다(S310). 여기서,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S310 단계가 수행되면, ICU(200)는 램프 제어 소자(220)를 통해 각 램프(300)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고(S312), 각 램프(300)의 전류에 기초하여 각 램프(300)의 온(소등)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 상태를 확인한다(S314).
ICU(200)는 각 램프(300)의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램프 상태 정보를 AVN 장치(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로 전송한다(S316, S318).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S320), 사용자는 램프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강제로 램프 출력을 차단할지를 결정하여, 램프 출력 차단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램프 출력 차단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장치(30)는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AVN 장치(400)를 통해 ICU(200)로 전송한다(S322, S324).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한 ICU(200)는 암전류 차단부(240)를 통해 램프(300)의 전류를 강제로 차단한다(S32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10)의 시동을 오프하고,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10)과 일정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 램프(300)의 출력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 실수에 의한 램프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10)의 시동 오프 후 발생하는 암전류로 인해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시동 불가 현상을 막을 수 있으며, 차량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차량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량
20 : 스마트키
30 : 사용자 단말장치
100 : SMK ECU
200 : ICU
210 : 통신부
220 : 램프 제어부
230 : 제어부
240 : 암전류 차단부
300 : 램프
400 : 통신장치
20 : 스마트키
30 : 사용자 단말장치
100 : SMK ECU
200 : ICU
210 : 통신부
220 : 램프 제어부
230 : 제어부
240 : 암전류 차단부
300 : 램프
400 : 통신장치
Claims (7)
-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도어를 락시키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Integrated control unit)로 전송하는 SMK ECU(Smart Key Electron Control Unit);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ICU; 및
상기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ICU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ICU는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램프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램프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는 원격에서 상기 차량의 램프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램프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램프 상태 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램프 출력 차단 버튼을 통해 온 상태의 램프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상기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MK ECU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CU는,
상기 SMK ECU 및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램프와 각각 연결되어, 각 램프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램프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램프 제어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램프 제어부를 통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전류에 기초하여 각 램프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램프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암전류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AVN 장치이고,
상기 AVN 장치, SMK ECU 및 ICU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VN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lock) 신호가 수신되면, SMK ECU가 차량의 도어를 락시키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며,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기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인 경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CU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이고,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각 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감지하여 램프 상태를 확인하고, 램프 상태 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램프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으면, 램프 출력 차단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ICU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CU가 상기 램프 출력 차단 신호에 따라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각 램프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는 원격에서 상기 차량의 램프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램프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램프 상태 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램프 출력 차단 버튼을 통해 온 상태의 램프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상기 램프 출력 차단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상태 확인 요청 신호를 ICU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SMK ECU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키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AVN 장치이고,
상기 AVN 장치, SMK ECU 및 ICU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AVN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620A KR102421226B1 (ko) | 2020-09-03 | 2020-09-03 |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620A KR102421226B1 (ko) | 2020-09-03 | 2020-09-03 |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0812A KR20220030812A (ko) | 2022-03-11 |
KR102421226B1 true KR102421226B1 (ko) | 2022-07-15 |
Family
ID=8081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2620A KR102421226B1 (ko) | 2020-09-03 | 2020-09-03 |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22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45125A1 (fr) * | 2023-01-25 | 2024-07-26 | Psa Automobiles Sa | Procédé de gestion de la désactivation des feux de détresse d’un véhicule automobi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9214A (ja) * | 2006-08-30 | 2008-03-13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消し忘れ監視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422B1 (ko) * | 2008-08-20 | 2014-01-23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
KR20200087101A (ko) * | 2020-07-02 | 2020-07-2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블랙박스의 암전류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암전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20
- 2020-09-03 KR KR1020200112620A patent/KR102421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59214A (ja) * | 2006-08-30 | 2008-03-13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消し忘れ監視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0812A (ko) | 2022-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4578B1 (ko) |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823755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keys to vehicle to establish primary and secondary drivers | |
US7274979B2 (en) | Vehicle anti-theft device | |
US9346436B2 (en) | Electronic key system | |
US7999655B2 (en) | Communication system | |
CN102975686B (zh) | 一种被动进入启动系统及其运作方法 | |
US20090160639A1 (en) | Keyless alert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s | |
CN110539724B (zh) | 无线钥匙应急锁车系统和无线钥匙应急锁车方法 | |
WO2014167403A1 (en) | Portable device for smart entry | |
US2010027727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driver status to a spare key and for programming the spare key to a vehicle | |
JP2012087528A (ja) |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 |
KR102421226B1 (ko) |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
US7057493B2 (en) | Lighting system | |
US9867008B2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JP4335465B2 (ja) | 遠隔制御用携帯機 | |
WO2020044774A1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 |
JP2009227066A (ja) | 車両の制御装置 | |
CN101483007B (zh) | 使用发送器开关阵列来遥控启动的系统和方法 | |
JPH09303020A (ja) | 車両用遠隔操作装置 | |
JP3565923B2 (ja) | エンジン始動装置 | |
US20140316610A1 (en) | Vehicle portable key | |
US20140324250A1 (en) | Vehicle portable key | |
JP6867427B2 (ja) | 車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
KR100534305B1 (ko) | 차량의 무선도어 잠금장치 | |
WO2005102799A1 (en) | Battery security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