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422B1 -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422B1
KR101354422B1 KR1020080081427A KR20080081427A KR101354422B1 KR 101354422 B1 KR101354422 B1 KR 101354422B1 KR 1020080081427 A KR1020080081427 A KR 1020080081427A KR 20080081427 A KR20080081427 A KR 20080081427A KR 101354422 B1 KR101354422 B1 KR 101354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signal
illuminanc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755A (ko
Inventor
양희태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4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25/00Means indicating the functioning state of the alarm system, e.g. indicating arming, using l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 도어를 잠그거나(Tx Lock) 또는 패시브 Lock(스마트 키 기능)으로 차량을 떠난 후 일정 시간동안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다가올 때 스마트 키와 차량의 거리에 따라 차량등이 점진적으로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도록 차량등의 밝기(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LF 신호를 방사하는 LF 안테나, 스마트 키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차량 밖에 위치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 가까워질수록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등의 조도가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차량등의 조도가 낮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키 제어부 및 상기 조도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등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차량의 조도를 조절하는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LAMP BASED ON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 SMART KEY}
본 발명은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 도어를 잠그거나(Tx Lock) 또는 패시브 Lock(스마트 키 기능)으로 차량을 떠난 후 일정 시간동안 또는 상기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다가올 때 스마트 키와 차량의 거리에 따라 차량등이 점진적으로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도록 차량등의 밝기(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고급화되고, 스마트 키(FOB 키를 포함함)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운전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고급 차종에 적용되는 웰컴 라이트(Welcome Light) 기능도 그 중 하나이다.
웰컴 라이트 기능은 운전자가 Tx Lock 또는 패시브 Lock(스마트 키 기능)으로 차량을 떠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다가오면 해당 차량의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 등을 자동으로 점등시켜 운전 자의 안전한 차량 진입을 도모하고, 상기 운전자가 해당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해당 차량의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를 소등시켜 운전자의 안전한 차량 이탈을 도모하는 부가 기능이다.
웰컴 라이트 기능의 실현을 위해서 스마트 키와 연동하여 이모빌라이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스마트 키 제어부(SMK Controller)가 특정 조건에서 해당 차량의 도어 핸들에 장착되어 있는 LF(Low Frequency) 안테나를 제어하여 상기 LF 안테나를 통해 주기적으로 LF 신호를 방사하고,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면 그 응답 신호를 근거로 차량등을 온(on) 시킨다. 부가적으로, 상기 특정 조건은 "운전자가 Tx Lock 또는 패시브 Lock(스마트 키 기능)으로 차량을 떠난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당하고, 차량등은 실내등 또는 퍼들램프를 예로서 들 수 있다.
LF 안테나로부터 송출되는 LF 신호와 상기 LF 신호의 응답으로서 스마트 키로부터 전송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의 타이밍 관계는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ms 동안 LF 데이터를 실은 LF 신호가 전송되면, 스마트 키는 상기 LF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215ms 내에 RF 신호를 송신하고, RF 신호를 송신한 스마트 키 제어부는 70ms 경과 후 다시 LF 신호를 전송한다.
LF 신호에 실리는 LF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도 2와 같이, 웨이크업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웨이크업 데이터 저장 영역, LF 신호 종류에 대한 구분이 기록되는 LF 기능 마킹 영역, 스마트 키가 응답해야 하는 LF 신호 수신 세기를 지정 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entifier) 임계치 저장 영역, 학습시 정해지는 코드값으로 유효 스마트 키 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프리 코드가 저장되는 핸드 프리 코드 저장 영역을 구비한다.
또, RF 신호에 실리는 RF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응답 종류에 대한 구분이 기록되는 RF 기능 마킹 영역, 현재 스마트 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키 상태 정보 저장 영역, 학습시 정해지는 코드값으로 유효 스마트 키 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프리 코드가 저장되는 핸드 프리 코드 저장 영역 및 스마트 키 제어부측에서 수신된 RF 데이터의 에러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체크섬(Checksum)이 저장되는 체크섬 저장 영역을 구비한다.
상술한 LF 신호와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제공되는 웰컴 라이트 기능은 차량 측에서 L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는 RF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스마트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유효한 스마트 키로 확인되면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를 온 시키고, 상기 차량을 주·정차 시킨 후 스마트 키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를 오프 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 운전자가 차량으로 접근할 경우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가 순간적으로 온 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로 인해 놀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스마트 키와의 거리를 감안하여 차량등이 점차적으로 밝아지도록 하거나 점차적으로 어두워지도록 하여 운전자의 감성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는 LF 신호를 방사하는 LF 안테나, 스마트 키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차량 밖에 위치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 가까워질수록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등의 조도가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차량등의 조도가 낮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키 제어부 및 상기 조도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등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차량의 조도를 조절하는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LF 신호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entifier) 임계치 저장 영역이 구비된 LF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SSI 임계치 저장 영역에는 상기 LF 신호를 수신한 모든 스마트 키로부터 응답을 요청하는 최하위 RSSI 임계치가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RF 신호는 RSSI 응답정보 저장 영역이 구비된 RF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LF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CW(Continuous Wave)로부터 측정된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가 상기 RSSI 응답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키 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서 이탈한 후부터 일정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L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RF 신호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등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 키 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서 이탈한 후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차량등을 소등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일정 횟수 이상 상기 LF 신호에 대한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LF 신호를 방사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방사되는 RF 신호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등은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카드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차량등이 점차적으로 밝아져 운전자의 감성적인 부분을 만족시키면서 안전한 차량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는 스마트 키(2), LF 안테나(4), RF 수신부(6), 스마트 키 제어부(10), 바디 제어 모듈(BCM: Body Control Modual)(12), 드라이브 도어 모듈(DDM: Drive Door Modual)(16)을 구비한다.
LF 안테나(4)는 스마트 키 제어부(10)의 의해 구동되어 도 5와 같은 LF 신호를 LF 신호를 방사하는데, LF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LF 신호에 이어서 수신측에서 수신된 LF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CW(Continuous Wave)를 송신한다. CW는 수신거리에 따라 크기가 감쇄되기 때문에, CW가 포함된 L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키(2)는 CW의 크기를 측정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다.
RF 수신부(6)는 스마트 키(2)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키(2)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에 포함된 RF 데이터 프레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응답 종류에 대한 구분이 기록되는 RF 기능 마킹 영역, 현재 스마트 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키 상태 정보 저장 영역, 수신된 LF 신호 세기 정보가 저장되는 RSSI 응답정보 저장 영역, 학습시 정해지는 코드값으로 유효 스마트 키 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프리 코드가 저장되는 핸드 프리 코드 저장 영역 및 스마트 키 제어부측에서 수신된 RF 데이터의 에러 여부 를 검증할 수 있도록 체크섬(Checksum)이 저장되는 체크섬 저장 영역을 구비한다.
RF 수신부(6)는 RF 신호로부터 RF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마트 키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사용자가 Tx 락 혹은 패시브 락으로 차량을 이탈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경계상태로 진입한다.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경계상태로 진입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LF 안테나(4)를 구동하여 스마트 키(2)의 위치를 탐색(search)하고, 탐색되어진 스마트 키(30)로부터 전송된 RF 신호에 포함된 RF 데이터로부터 해당 스마트 키(30)의 거리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거리를 근거로 바디제어모듈(12)과 드라이브 도어 모듈(16)로 램프 조도 제어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스마트 키(20)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한 램프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램프 조도 제어 신호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밝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 제어 모듈(BCM; 12)은 실내등(14)을 구동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바디 제어 모듈(12)는 스마트 키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조도 제어 신호를 근거로 실내등(14)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실내등(14)의 조도를 제어한다.
드라이브 도어 모듈(DDM; 16)은 퍼들 램프(14)를 구동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드라이브 도어 모듈(16)은 스마트 키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되는 조도 제어 신호를 근거로 퍼들 램프(18)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퍼들 램 프(18)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어 개폐 센서(도시 생략)를 통해 스마트 키(2)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린 운전자 이탈 상태가 감지되면(S2에서 Yes),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LF 안테나(4)를 구동시켜 LF 신호를 방사한다(S4).
LF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키(2)는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RF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상기 RF 데이터에는 RSSI 응답 정보가 포함되는데 LF 신호에 포함된 CW를 측정하여 RSSI 응답정보를 생성한다. RSSI는 주파수의 세기에 해당한다. 스마트 키(2)는 상기 RSSI 응답 정보에 포함된 RF 데이터를 RF 신호에 실어 송신한다.
RF 수신부(6)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RF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마트 키 제어부(10)로 전송하면,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S6 단계의 판단결과(Yes)에 따라 S8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RF 데이터로부터 RSSI 응답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상기 추출된 RSSI 응답정보를 근거로 스마트 키(2)의 거리를 산출한다(S10). RSSI 응답이 클수록 스마트 키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고, RSSI 응답이 작을수록 스마트 키의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2 단계에서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산출된 스마트 키(2)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조도 제어 신호를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로 전송한다(S14).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바디 제어 모듈(12)과 드라이브 도어 모듈(16)로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고,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내등과 퍼들 램프 외에 다른 차량등을 점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조도 제어 신호를 전송받은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은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근거로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를 조도를 조정한다(S16).
이어,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도어 개폐 센서(도시 생략)를 통해 운전자 탑승을 판단하고(S18), S18 단계의 판단결과 운전자 탑승이 판단되지 않으면(S18에서 No) S20 단계로 진행하여 LF 신호가 방사된 후 경과된 시간이 LF 신호 방사 주기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S2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LF 신호 방사 주기의 도달이 판단되면(S20에서 Yes) 웰컴 라이트 기능에서 운전자의 차량 하차시 차량등의 오프를 위해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2).
S22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일정 시간의 경과가 확인되지 않으면(S22에서 No)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S4 단계 과정 즉 LF 안테나(4)를 구동하여 LF 안테나(4)를 통해 LF 신호를 방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S4 단계 내지 S22의 동작에 의해, 스마트 키(2)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서 멀어질수록 해당 차량의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의 조도가 낮아져 어두워진다.
그러나, S22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일정 시간의 경과가 확인되면(S22에서 Yes)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램프오프신호를 바디제어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로 전송하여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를 소등시킨 후(S23), 경계 모드로 진입한다(S24).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경제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LF 신호가 방사된 후 RF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횟수가 일정횟수 예컨대, "3회"를 초과할 경우 경계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 모드는 운전자가 해당 차량에서 내린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를 의미하며, 경계 모드에서의 스마트 키 제어부(10)의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LF 안테나(4)를 구동시켜 LF 신호를 방사한다(S26). 이때,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LF 안테나(4)를 통해 전송되는 LF 데이터의 RSSI 임계치 저장 영역에 상기 RSSI 임계치의 최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0"으로 저장하여 LF 신호를 수신하는 모든 스마트 키(2)가 RF 신호의 주파수 세기에 상관없이 모두 RF 신호를 응답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 키(2)가 상기 LF 신호의 수신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한다면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RF 데이터를 생성하여 방사할 것이고, 이와 달리 스마트 키(2)가 상기 LF 신호의 수신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LF 신호에 대해 응답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키(2)로부터 방사되 는 RF 신호에는 수신된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를 나타내는 RSSI 응답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마트 키(2)는 LF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CW를 측정함으로써 수신된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RF 수신부(6)를 통해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28에서 No) 미리 설정된 LF 신호 방사 주기에 따라 S26 단계로 진행하여 LF 신호를 재방사한 후, S28 단계를 수행한다.
S26 단계 내지 S30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동안 스마트 키(2)가 상기 LF 신호의 수신 가능 거리 내로 진입하게 되면, 스마트 키(2)는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RF 신호를 방사할 것이다.
스마트 키(2)로부터 방사된 RF 신호가 RF 수신부(6)를 통해 수신되어 상기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RF 데이터가 스마트 키 제어부(10)로 전송되면(S28에서 Yes)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상기 RF 데이터로부터 RSSI 응답정보를 추출하여(S32) 상기 추출된 RSSI 응답정보를 근거로 스마트 키(2)의 거리를 산출한다(S34).
이어,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산출된 스마트 키(2)에 대응하는 조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36), 상기 생성된 조도 제어 신호를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로 전송한다(S38).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바디 제어 모듈(12)과 드라이브 도어 모듈(16)에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고,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내등과 퍼들 램프 외에 다른 차량등을 점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조도 제어 신호를 전송받은 바디 제어 모듈(12) 또는 드라이브 도어 모듈(16)은 상기 조도 제어 신호를 근거로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를 조도를 조정한다(S40). 본 발명에서 상기 조도 제어 신호는 상기 RF 신호에 포함된 RSSI 응답 정보를 통해 스마트 키(2)에서 감지된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가 클수록 즉 스마트 키(2)가 해당 차량과 가까울수록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의 조도가 높아지도록 하고,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가 낮을 수록 즉 스마트 키(2)가 해당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의 조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스마트 키 제어부(10)는 도어 개폐 센서(도시 생략)를 통해 운전자 탑승을 판단하고(S42), S42 단계의 판단결과 운전자 탑승이 판단되지 않으면(S42에서 No) S30 단계로 진행하여 LF 신호가 방사된 후 경과된 시간이 LF 신호 방사 주기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
S3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LF 신호 방사 주기의 도달이 판단되면(S30에서 Yes) S26 단계 내지 S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술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스마트 키(2)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 가까워질수록 해당 차량의 실내등(14) 또는 퍼들 램프(18)의 조도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되어진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에 의하면, 웰컴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면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가 점등(on)되었다가 운 전자가 차량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의 조도가 점점 낮아져 상기 운전자가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상기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가 소등(off)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웰컴 라이트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스마트 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이 위치한 일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가 그 거리에 따라 낮은 조도로 점등되었다가 상기 운전자와 차량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의 조도가 점점 높아져 상기 운전자에게 감성적인 웰컴 라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LF 신호 및 RF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
도 2는 종래 LF 신호에 포함되는 LF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 3은 종래 RF 신호에 포함되는 RF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일반적인 LF 신호의 송신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RF 데이터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Claims (6)

  1. LF 신호를 방사하는 LF 안테나;
    스마트 키로부터 방사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차량 밖에 위치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 키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 가까워질수록 웰컴 라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등의 조도가 높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 키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차량등의 조도가 낮아지도록 하기 위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키 제어부 및
    상기 조도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등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차량의 조도를 조절하는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F 신호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entifier) 임계치 저장 영역이 구비된 LF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RSSI 임계치 저장 영역에는 상기 LF 신호를 수신한 모든 스마트 키로부터 응답을 요청하는 최하위 RSSI 임계치가 저장되는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RSSI 응답정보 저장 영역이 구비된 RF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LF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CW(Continuous Wave)로부터 측정된 상기 LF 신호의 주파수 세기가 상기 RSSI 응답정보로 저장되는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서 이탈한 후부터 일정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LF 신호를 방사하고, 상기 LF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RF 신호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차량에서 이탈한 후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차량등을 소등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일정 횟수 이상 상기 LF 신호에 대한 RF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 시점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LF 신호를 방사하여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키로부터 상기 LF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방사되는 RF 신호로부터 상기 스마트 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등은 실내등 또는 퍼들 램프인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KR1020080081427A 2008-08-20 2008-08-20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KR10135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427A KR101354422B1 (ko) 2008-08-20 2008-08-20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427A KR101354422B1 (ko) 2008-08-20 2008-08-20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755A KR20100022755A (ko) 2010-03-03
KR101354422B1 true KR101354422B1 (ko) 2014-01-23

Family

ID=4217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427A KR101354422B1 (ko) 2008-08-20 2008-08-20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38B1 (ko) * 2011-05-19 2017-02-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등 구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3922B1 (ko) * 2011-10-13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모콘의 전자파 세기를 이용한 주차위치 안내방법
KR101362325B1 (ko) 2012-07-19 2014-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렁크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64294B1 (ko) * 2014-06-18 2016-10-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적응적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1800920B (zh) * 2020-07-10 2024-03-15 华人运通(上海)云计算科技有限公司 控制车灯的方法和装置
KR102421226B1 (ko) * 2020-09-03 2022-07-15 주식회사 경신 램프 부하 차단을 통한 배터리 방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895346A (zh) * 2021-10-13 2022-01-07 东南(福建)汽车工业有限公司 基于自动感应电子钥匙的智能迎宾及送行系统
KR20230000664U (ko) 2023-03-16 2023-04-04 김민경 그레이팅용 토사 유입 방지 커버 및 그 토사 유입 방지 커버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그레이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050A (ja) 2003-10-24 2005-05-19 Denso Corp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07138613A (ja) 2005-11-21 2007-06-07 Nissan Motor Co Ltd 乗員接近検知装置、乗員接近検知システムおよび乗員接近検知方法
KR20070060303A (ko) * 2005-12-08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도아핸들을 통한 도아잠금재확인시 도아열림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050A (ja) 2003-10-24 2005-05-19 Denso Corp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07138613A (ja) 2005-11-21 2007-06-07 Nissan Motor Co Ltd 乗員接近検知装置、乗員接近検知システムおよび乗員接近検知方法
KR20070060303A (ko) * 2005-12-08 2007-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도아핸들을 통한 도아잠금재확인시 도아열림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755A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422B1 (ko) 차량과 스마트 키의 거리에 따른 차량등 구동제어장치
US7469129B2 (en) Transceiver with closed loop control of antenna tuning and power level
US9536364B2 (en) Vehicle integration of BLE nodes to enable passive entry and passive start features
EP279558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80895B1 (en) Vehicle access system
US9764699B2 (en) Position-based performance of a vehicle function in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9150143B2 (en) Headlamp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US20060102101A1 (en) Electronic fence capable of guiding animals to return
US11120653B2 (en) Access device for a vehicle (as amended)
MX2014015058A (es) Deteccion de proximidad del usuario para activar funciones de comodidad del vehiculo.
EP1190405B1 (en) Transceiver with closed loop control of antenna tuning and power level
CN104002763A (zh) 允许无钥匙进入无钥匙启动特征的ble节点的交通工具集成
JP6347762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664294B1 (ko) 적응적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9613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79920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램프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467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071386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30033120A (ko) 차량의 에스코트 램프 제어방법
KR102300650B1 (ko) 스마트 키 장치 및 스마트 키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
KR102486155B1 (ko)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0661A (ko)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295B1 (ko) 스마트 키 장치 및 스마트 키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
KR101000809B1 (ko) 차량 도어락 시스템 기반의 주차 위치 정보 제공 장치
KR20180057048A (ko)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