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886B1 -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86B1
KR102420886B1 KR1020210125299A KR20210125299A KR102420886B1 KR 102420886 B1 KR102420886 B1 KR 102420886B1 KR 1020210125299 A KR1020210125299 A KR 1020210125299A KR 20210125299 A KR20210125299 A KR 20210125299A KR 102420886 B1 KR102420886 B1 KR 10242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layer
absorbing plat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진
최경진
안성군
강태유
Original Assignee
실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드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고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체가 놓여지는 중량체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면서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끝에 형성되며,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의 흡읍판 장착공간과 이어진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고, 흡음기능을 가지고 직조로 형성되는 가요성 흡음판;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은 모두 같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Movable Soundproof Module and Movable Soundproof wa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고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차도 또는 공사장과 같은 소음 다발지역에 설치되어, 소음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음 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판이다.
이러한 방음판은 통상적으로, 소음에 직접 대응하는 차단판과 흡음재 및 상기 차단판과 흡음재의 테두리에 조립되어 그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지주(H빔)에 수직으로 적층되고 좌우로 연속 배열되면서 방음벽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방음벽은 차단판을 통해 소음을 반사시키는 차음형 방음벽과, 차단판의 타공 또는 차단막대 및 흡음재를 통해 소음을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형 방음벽과, 차음형이면서 차단판이 투명판으로 이루어진 투명방음벽 및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흙과 양분을 포함하여 식생 가능하도록 된 식생 방음벽으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건축공사, 토목공사 현장에서 터파기 작업이나 파일 박기 작업 등 비산먼지와 소음을 발생하는 대형 중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사 현장 주변의 주택가에서 소음과 분진 피해를 호소하는 민원이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고 보상을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가설 방음벽을 공사현장 둘레에 둘러 설치하고 있다. 통상적인 가설 방음벽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지주를 박아 풍압이나 건설기계의 충격에도 전도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한다. 또한, 방음벽 상단에 방진망을 추가 설치하여 분진의 외부 유출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 가설 방음벽은 설치와 해체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고, 공사현장 내 소음원의 발생위치가 상기 방음벽에 가깝운 A지점에 위치된 경우 직선음각의 각도(a)가 높아 소음을 차단할 수 있지만, 소음원의 발생위치가 방음벽에서 먼 B위치로 변경된 경우 직선음각(b)가 낮아져 주변의 고층건물 등으로 소음이 보다 쉽게 전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방음벽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건설 장비에 가깝게 배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에어 방음벽은 공기 주입을 위한 전기가 공급되어야하며 자립하기가 힘들고 바람에 취약하고, 흡음 성능이 없거나 부족하므로 의미 있는 소음 레벨 감소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에어 방음벽은 초기 제조된 형태로부터 변경이 불가하여 새로운 크기의 소음원에 맞춰 매번 다른 크기 및 형태의 에어 방음벽을 설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에어 방음벽을 준비해야 하여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방음벽을 복수개 설치한다고 하여도 방음벽을 선형으로 설치하지 아니하고 둥글게 배치하게 되면 방음벽과 방음벽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이 세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자유로운 이동설치가 가능하며 현장상황에 맞게 자유로운 변형설치가 가능하고, 복수개를 둥글게 배치하여도 방음벽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지 아니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체가 놓여지는 중량체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면서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끝에 형성되며,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의 흡읍판 장착공간과 이어진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고, 흡음기능을 가지고 직조로 형성되는 가요성 흡음판;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은 모두 같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가요성 흡음판은 테두리에 복수개소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로부터 펼쳐지거나 또는 접철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는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수평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흡음판은,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일면에서 수음을 위해 소음원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수직물층; 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내지 (4)를 모두 만족하는 가요성 흡음벽일 수 있다. (1) 상기 방수직물층은 위사방향의 인장강도 및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모두 3500N 이상이고, (2) 상기 방수직물층은 60 내지 90%의 평균기공율 가지며, (3) 상기 방수직물층은 KS K ISO 4920에 따라 평가한 발수도가 4등급 이상이고, (4) 상기 가요성 흡음벽은 KS F 2805:2014에 따라 측정한 흡음율이2000 내지 4000 Hz 주파수 영역에서 0.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수직물층은 불소계 화합물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 및 상기 흡음층 사이에 개재되고, 흡음층을 통과한 소음을 다시 흡음층으로 반사하는 차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이동식 방음모듈; 상기 이동식 방음벽의 측부에 상기 제1이동식 방음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이동식 방음모듈; 일측은 상기 제1이동식 방음모듈에 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이동식 방음모듈에 거치되도록 배치되는 중간 가요성 흡음판;을 포함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에 따르면 건설 공정에 따라 소음원의 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방음벽을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어 민원발생 소지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판으로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의 흡음판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의 형태 및 프레임의 배치 형태에 구애받지 아니하며, 복수개의 이동식 방음벽을 둥글게 배치하여도 방음벽과 방음벽 사이에 가요성의 흡음판을 설치하여 소음이 누설될 수 있는 공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방음벽이 설치된 공사현장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에 중량물이 거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에 가요성 흡음판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장착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이 소음원을 둘러싸고 배치되어 이동설치식 방음벽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이 소음원을 둘러싸고 배치되어 이동설치식 방음벽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가요성 흡음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가요성 흡음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가요성 흡음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가요성 흡음판의 실시예 1의 흡음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비교예 1의 흡음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모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방음모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과 가요성 흡음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바닥부(210), 수직부재(220), 수평부재(230), 경사부(250) 및 장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기 프레임(200)에 장착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고, 흡음기능을 가지며 직조된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200)은 지면에 이동 가능하며 자립 가능하게 놓여지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이 장착되는 골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210)는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체(214)가 놓여지는 중량체 공간(2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10)는 복수개의 직선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닥부(210)는 상기 프레임(200)에 지면에 매설되지 않고도 자립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210)가 직사각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중량체 공간(2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이 전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중량의 중량체(2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214)는 물을 채운 물통 또는 돌이나 시멘트 덩어리 일 수 있다.
상기 중량체 공간(212)은 상기 중량체(2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부피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을 이루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수직부재(220)는 상기 바닥부(210)로부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220) 및 상기 수직부재(22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재(220)와 교차되면서 흡음판 장착공간(240)을 형성하는 수평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직부재(220)와, 상기 수직부재(220)와 교차되는 수평부재(230)로 인해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이 장착되는 흡읍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240)의 테두리는 상기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30)는 후술하는 가요성 흡음판(100)의 테두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3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240)의 형태 및 크기는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의 형태 및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에 걸쳐 형성되는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240)은 모두 같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가요성 흡음판(100)은 한가지 크기의 규격으로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된 모든 흡음판 장착공간(24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의 테두리에는 거치공(60)이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70)는 상기 거치공(60)에 삽입되는 후크(2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부(270)는,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24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기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30)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220)의 상단 끝에는 음파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50)는 30~45도 정도로 지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50)에도 흡음판 장착공간(240)이 형성되는데, 이 때, 상기 경사부(250)의 흡음판 장착공간(240)은 상기 경사부(250)의 하측의 흡음판 장착공간(240)과 이어진 흡음판 장착공간(240)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250)의 흡음판 장착공간(240)과 상기 경사부(250) 하측의 흡음판 장착공간(240)이 이어져 하나의 흡음판 장착공간(2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부(250)의 흡음판 장착공간(240)과 상기 경사부(250) 하측의 흡음판 장착공간(240)이 이어져 형성된 흡음판 장착공간(240)은 상기 프레임(200)내 형성된 다른 흡음판 장착공간(240)과 동일한 규격일 수 있다.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240)에 장착되는 가요성 흡음판(100)은 휘어짐이 자유로우므로 상기 경사부(250)의 흡음판 장착공간(240)과 상기 경사부(250) 하측의 흡음판 장착공간(240)에 별도 재단 없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수직부재(220)와 수평부재(230) 외에도 자체중량이나 바람등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부재(260)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2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절곡되고 상측이 개구된 후크(27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271)가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의 거치공(60)에 삽입되어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이 상기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271)는 U자형으로 절곡되는 형태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20) 또는 수평부재(230)로부터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접철식(27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272)가 접철식으로 구비되면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의 거치공(60)에 삽입되지 않는 후크(272)는 수납하여 가요성 흡음판(100)의 거치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272)는 제1돌출부(273) 및 제2돌출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73)는, 상기 수직부재(220) 또는 수평부재(23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220) 또는 수평부재(230)로부터 펼쳐지거나 또는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74)는, 상기 제1돌출부(273)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273)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돌출부(273)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274)는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74)의 회전각도의 조절을 위해 상기 제2돌출부(274)의 상기 제1돌출부(273)와 맞닿은 면에는 상기 제2돌출부(27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돌기(276) 또는 홈(27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돌출부(273)의 상기 제2돌출부(274)와 맞닿는 면에는 상기 제2돌출부(274)에 형성된 돌기(276) 또는 홈(275)에 대응되는 홈(275) 또는 돌기(27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74)의 회전축에 상기 제1돌출부(273)와 제2돌출부(274)를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277)이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부(273)와 상기 제2돌출부(274)의 홈(275)과 돌기(276)가 상호 맞물려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에 작용되는 힘은 하중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의해 다양한 방향에서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상기 제2돌출부(274)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므로,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에 작용되는 주된 힘의 방향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상기 제2돌출부(27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원(N)의 주변에 원형으로 상기 프레임(200)을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200)에 가요성 흡음판(100)을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격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은 좌측은 좌측에 배치된 이동식 방음모듈의 프레임(200)의 장착부(270)에 거치되고, 우측은 우측에 배치된 이동식 방음모듈의 프레임(200)의 장착부(270)에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은 전술한 가요성 흠음판(100)과 동일 재질, 동일구조일 수 있고, 동일 규격일 수도 있으며, 다른 규격일 수도 있다.
상기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이 휘어짐이 자유로운 가요성 재질이므로, 상기 프레임(200)와 프레임(200) 사이에 장착하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이 거치된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꺽이는 것이 자유로워 별도의 장착부(270)를 장착할 필요없이 기존의 장착부(270)에 그대로 장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의 이동설치식 방음모듈과 유사하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의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프레임(200)은 상기 바닥부(210)가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200)을 곡선으로 배치할 경우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사이가 이격되어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이 필요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프레임(300)은 상기 바닥부(310)가 일측(상기 경사부(250)가 경사진 방향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수평단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310)가 사다리꼴 수평단면을 이루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0)을 소음원(N) 둘레에 둥글게 배치하여도 상기 프레임(300)과 프레임(3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별도의 중간 가요성 흡음판(110)을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프레임(300)에 가요성 흡음판(100)을 장착시키는 것으로 효과적인 이동식 방음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요성 흡음판(100)은 흡음층(10)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층(10)은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리를 흡수(Sound absorption)하여 방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리가 가지는 진동에너지는 상기 흡음층(10)에 흡수되고 다시 흡음층(10) 내부에서 마찰을 통해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방음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흡음층(10)은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내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음감소율(Noise Reduction Coefficient, NRC) 값이 0.75 이상인 공지의 통상적인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음감소율이 0.80 이상인 열압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열압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융착하여 직물 또는 부직포 다층 구조로 제조하여 상기 흡음층(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음층(10)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되는 경우 밀도는 20 내지 60 kg/m2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kg/m2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흡음층(10)의 밀도가 20 kg/m2 미만일 경우 밀도가 너무 낮아서 흡음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상기 흡음층(10)의 밀도가 60 kg/m2을 초과할 경우 밀도가 너무 높아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층(10)은 외부에서의 충격이나 이동 중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각각 500 N/cm2 이상인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650 N/cm2 이상이며,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500 N/cm2 이상인 열압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음층(10)이 열압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현되는 경우 열 변형율은 길이방향으로 0.1 % 내지 0.2% 이고 폭방향으로 0.05% 내지 0.09%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음층(10)의 크기와 두께는 소음원의 종류 및 장소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후술할 방수직물층(20) 및 보호층(30)로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방수직물층(20) 및 보호층(3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25mm 내지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상기 흡음층(10)의 일면에서 수음을 위해 소음원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음을 위한 방수직물층(2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소음차단벽은 음파를 흡수하기보다는 반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체 소음 레벨 감소 효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상기 벽에 의해 형성된 울타리 내의 소음 레벨은 벽의 존재로 인해 증가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반사를 저감시키고 흡음을 통한 차음을 구현하는 흡음재를 포함한 흡음벽이 소개되었지만, 흡음을 통한 차음이 가능함은 별론으로, 기계적 물성이 매우 낮고 수분에 취약하여 종래 소음차단벽과 달리 다양한 용도 또는 장소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흡음을 통한 차음을 구현함과 동시에 이의 기계적 물성과 방수성을 보완하기 위해 4중 구조(1커버-방수성 통음 섬유막-흡음재-2커버 형태)를 가지는 흡음벽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 또한 4중구조를 이룸으로 인한 무게 및 부피가 크게 증가하고, 대부분 비가요성(Non-Flexible)이거나 또는 굽힘성이 없는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주변 구조물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 및 용도에 맞추어 설치할 수 없어서 소음 차단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및 생활 공간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가요성 흡음판은 가요성을 유지하기 위한 재료의 선택에 한계가 존재하므로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부피와 무게를 줄이기 위한 층의 개수를 최소로 하고 동시에 기계적 물성과 방수성, 그리고 고주파수 영역대에서 흡음율을 모두 만족시키기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방수직물층(20)을 방수 또는 발수 처리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섬유로 구현하여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반사시키지 않으면서 대부분을 통과시킬 수 있고 수분 침투로부터 상기 흡음층(10)을 보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직물층(20)은 종래 소리의 반사로 인한 소음 레벨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수분침투에 취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이 반사되지 않고 수분 침투가 용이하지 않은 방수 또는 발수 성질을 나타내는 섬유를 사용하고, 이를 다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가요성 다공성 구조로 직조하여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소음원에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직물층(20)은 하기 관계식 (1) 내지 (3)을 모두 만족한다.
(1) 상기 방수직물층은 위사방향의 인장강도 및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모두 3500N 이상
(2) 상기 방수직물층은 60 내지 90%의 평균기공율 가짐
(3) 상기 방수직물층은 KS K ISO 4920에 따라 평가한 발수도가 4등급 이상
(4) 상기 가요성 흡음판은 KS F 2805:2014에 따라 측정한 흡음율이2000 내지 4000 Hz 주파수 영역에서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흡음판.
이하 상기 관계식 (1) 및 (2)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흡음벽은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수분 환경에 쉽게 노출되어 흡음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고 안정적으로 소음을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읍층을 고체물질층 간에 수납하거나 4중구조(1커버-방수성 통음 섬유막-흡음재-2커버 형태)의 형태로 제조한 흡음벽이 소개되었지만, 이와 같은 보호커버를 가지는 경우 그 무게와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서 이동 및 보관의 심각한 어려움이 있고, 다양한 소음원에 맞춰서 가깝게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직물층(20)은 상기 관계식 (1) 및 (2)을 모두 만족하는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공지의 통상적인 직물로 구현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의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종래의 굽힘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비가요성의 섬유가 아닌 직물로 구현하고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재생페트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와 같은 합성섬유로 직조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계식 (1)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직물층(20)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상기 흡음층(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직물층(20)은 위사방향의 인장강도 및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모두 3500N 이상인 섬유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5000N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위사방향의 인장강도 또는 경사방향의 인장강도 중 어느 하나라도 3500N 이하일 경우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방수직물층(20)의 기계적 파손이 일어나 방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본래의 구조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직물층(20)은 상기 관계식 (2)에 따라 60 내지 90%의 평균기공율 가지는 직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의 평균기공율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 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평균기공율이 60% 미만일 경우 수분이 침투할 공간이 늘어나 방수 성능이 저하되거나, 직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평균기공율이 90%를 초과할 경우 방수직물층(20)의 소음 투과율이 현저히 저하 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방수직물층(20)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되는 경우, 평량이 1000 g/m2 이하이고, 방수직물층을 구성하는 원사의 섬도는 1500 내지 2500 데니어인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평량이 100 내지 900 g/m2 이고 원사의 섬도가 1800 내지 2200 데니어인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평량이 100 g/m2 미만일 경우 방수직물층(2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만일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평량이 1000 g/m2를 초과하는 경우 흠읍층(20)으로 소리를 원활히 통음시키지 못하거나 반사율이 증가하여 소음 레벨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 상기 관계식 (3)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흡음판(100)의 방수 및 발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직물층(20)에 불소계 화합물을 코팅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흡음벽에 발수 또는 방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커버 또는 방수막이 필요하였으나, 이는 흡음벽의 두께, 부피 및 무게를 불필요하게 증가시켜 오히려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을 제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불소계 화합물을 상기 방수직물층(20)에 코팅함에 따라 KS K ISO 4920으로 평가한 발수도가 4등급 이상을 나타내어 수분에 노출될 수 있는 외부 환경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소음원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만일 KS K ISO 4920에 따라 평가한 발수도가 4등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충분한 방수 또는 발수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며 수분침투에 취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방수직물층(20)에 코팅되어 물이 방수직물층(20) 표면에서 물방울지게 하여 보호할 수 있는 공지의 통상적인 불소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소계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하이드록실레이트 퍼르플루오르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Hydroxylated perfluoroalkylethyl acrylate copolym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직물층(20)에 불소계 화합물을 코팅하기 위해서는 공지의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불소계 화합물이 포함된 발수액에 침지시켜 방수직물층(20) 표면에 불소계 화합물이 코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의 코팅 두께 수분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면 충분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 ~ *의 코팅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이동의 용이성을 가지는 것에 발명의 일 목적이 있는바, 상기 방수직물층(20)은 별도의 커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방수직물층(20)의 표면에 코팅이 되는 것이며 별도의 층이나 발수커버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방수직물층(20)의 크기와 두께는 소음원의 종류 및 장소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흡음층(10)보다 크고 후술할 보호층(30)과 같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800㎛ 내지 2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음 상기 관계식 (4)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흡음층(10) 및 방수직물층(20)을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계적 강도 및 방수성을 가지고, 이와 동시에 가요성을 나타내도록 유연한 소재로 제조되어 이동의 용이성과 유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관계식 (4) 와 같이 고주파수 영역에서도 우수한 흡음율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KS F 2805:2014에 따라 측정한 흡음율이 2000 내지 4000 Hz 주파수 영역에서 0.6 이상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종래 가요성 흡음판(도 5) 대비 2000 내지 4000 Hz의 고주파 영역 대에서도 0.6 이상의 αs(sound absorption coefficient) 값을 나타내는바, 이를 통해 100 내지 2000 Hz 주파수 영역은 물론이고, 종래 흡음벽(도 5)으로는 커버할 수 없었던 2000 내지 4000 Hz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소음원에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크게 제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0 내지 5000 Hz 주파수 영역에서 흡음율의 최대값은 850 내지 1200 Hz에서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이 흡음율의 최대값이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가요성 흡음판보다 고주파수대 영역에 있으므로, 종래 가요성 흡음판 대비 고주파수 영역에서 흡음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기 흡음층(10)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30)은 상기 흡음층(10)의 다른 일면 즉 방수직물층(20)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상기 흡음층(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말해, 소음원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수분은 상기 방수직물층(20)을 통해 보호하며, 소음원의 반대방향에서 오는 충격이나 수분 침투는 상기 보호층(30)을 통해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호층(30)은 외부 충격이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공지의 통상적인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 내수압 10,000 mm H2O 이상의 방수성능을 가지는 PVC 타포린 섬유, PU 방수 원단, TPU 방수 원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데니어 이상의 굵기를 가지는 이중 라미네이팅 PVC 타포린 섬유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PVC 타포린 섬유를 직조하여 직물 형태로 상기 보호층(3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른 상기 보호층(30)이 이중 라미네이팅 PVC 타포린 섬유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의 전면부(소음원에 반대면) 보호를 위해 평량이 500 내지 1000 g/m2 인 타포린 섬유가 사용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800 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의 인장강도 및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모두 2000 N/5cm 이상일 수 있으며 인열강도는 모두 400 N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의 크기와 두께는 소음원의 종류 및 장소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상기 흡음층(10)보다 크고 상기 방수직물층(20)과 같은 크기 및 1000㎛ 내지 2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보호층(30) 및 상기 흡음층(10) 사이에 개재되고, 흡음층(10)을 통과한 소음을 다시 흡읍층(10)으로 반사하는 차음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는 상기 방수직물층(20)을 통과하고, 이후 상기 흡음층(10)에 흡수되는데, 이때 흡수된 소리의 일부는 흡음층(10)에 흡수되지 않고 흡음층(1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통과한 소리로 인하여 소음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차음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기 차음층(40)을 더 포함함으로써, 흡음층(10)을 통과한 소리를 차음층(40)에서 다시 흡음층(10)으로 반사시켜 차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음층(40)은 흡음층(10)을 통과한 소리가 다시 반사되어 흡음층(10)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우수한 차음효과를 나타내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향투과등급을 나타내는 STC(Sound Transmission-loss Class)값이 20 이상인 PVC차음재, 고무 차음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STC값이 25이상인 EPDM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직물 또는 부직포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이 유연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차음층(40)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더불어 유연성을 가져야 하는바, 길이방향으로의 인장강도는 600 N/cm2 이상일 수 있고 폭방향의 인장강도는 500 N/cm2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열변형율은 길이방향으로 0.2% 미만 및 폭방향 0.1%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음층(40)의 크기와 두께는 소음원의 종류 및 장소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상기 흡음층(10)과 같은 크기 및 1mm내지 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50)에 2개의 구멍이 1개의 쌍으로 구성되는 거치를 위한 복수 개의 아일렛(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일렛(6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이 펜스나 비계 또는 기타 지지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홀의 역할을 수행하며, 아일렛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가요성 흡음판(100)은 대부분 실외에서 사용하는 산업자재임을 고려하여 높은 내부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스틸 혹은 알루미늄의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일렛(60)의 2개의 구멍 크기는 케이블타이, S자형 후크, U볼트 등이 모두 호환될 수 있도록 지름 20mm 이상일 수 있고 두 구멍 간의 간격은 시스템비계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이 거치되는 구조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50)는 방수를 위한 원단으로 해리 마감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흡음판(100)은 상기 방수직물층(20)과 보호층(30)을 이루는 원단끼리 봉제하여 마감하는 것이 아닌, 제3의 원단을 덧대어 봉제 마감하는 방식으로써 방수직물층(20)과 보호층(30)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어 보다 더 높은 방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N 소음원 60 거치공
100 가요성 흡음판 110 중간 가요성 흡음판
200 프레임 210 바닥부
212 중량체 공간 214 중량체
220 수직부재 230 수평부재
240 흡음판 장착공간 250 경사부
260 보강부재 270 장착부
271 후크 273 제1돌출부
274 제2돌출부 275 홈
276 돌기 277 스프링
1000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Claims (10)

  1.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체가 놓여지는 중량체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수평단면으로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교차되면서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 끝에 형성되며,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측의 흡읍판 장착공간과 이어진 흡음판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경사부;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갖고, 흡음기능을 가지고 직조로 형성되는 가요성 흡음판;
    상기 수직부재, 수평부재, 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이 장착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판 장착공간은 모두 같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은 테두리에 복수개소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거치공에 삽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흡음판은,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일면에서 수음을 위해 소음원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수직물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직물층은 평량이 1000 g/m2 이하이고,
    상기 방수 직물층을 구성하는 원사의 섬도는 1500 내지 2500 데니어이며,
    상기 방수직물층은 불소계 화합물이 코팅된 하기 관계식 (1) 내지 (4)를 모두 만족하는 가요성 흡음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1) 상기 방수직물층은 위사방향의 인장강도 및 경사방향의 인장강도가 모두 3500N 이상
    (2) 상기 방수직물층은 60 내지 90%의 평균기공율 가짐
    (3) 상기 방수직물층은 KS K ISO 4920에 따라 평가한 발수도가 4등급 이상
    (4) 상기 가요성 흡음벽은 KS F 2805:2014에 따라 측정한 흡음율이2000 내지 4000 Hz 주파수 영역에서 0.6 이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재 또는 수평부재로부터 펼쳐지거나 또는 접철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돌출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흡음층 사이에 개재되고,
    흡음층을 통과한 소음을 다시 흡음층으로 반사하는 차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10.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1이동설치식 방음모듈;
    상기 제1이동설치식 방음모듈의 측부에 상기 제1이동설치식 방음모듈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이동설치식 방음모듈;
    일측은 상기 제1이동설치식 방음모듈에 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이동설치식 방음모듈에 거치되도록 배치되는 중간 가요성 흡음판;
    을 포함하는 이동설치식 방음벽.
KR1020210125299A 2021-08-27 2021-09-17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KR102420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06 2021-08-27
KR20210114206 2021-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86B1 true KR102420886B1 (ko) 2022-07-14

Family

ID=8240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299A KR102420886B1 (ko) 2021-08-27 2021-09-17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46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차량실내용 옷걸이
KR200475196Y1 (ko) * 2013-09-09 2014-11-12 정건호 이동식 방음벽
JP2014226828A (ja) * 2013-05-21 2014-12-08 栗田煙草苗育布製造株式会社 難燃性吸音材の製造方法
KR101729954B1 (ko) * 2016-10-18 2017-04-25 도현민 산업용 pet사 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1853994B1 (ko) * 2010-09-01 2018-05-02 에코 배리어 리미티드 흡음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46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차량실내용 옷걸이
KR101853994B1 (ko) * 2010-09-01 2018-05-02 에코 배리어 리미티드 흡음벽
JP2014226828A (ja) * 2013-05-21 2014-12-08 栗田煙草苗育布製造株式会社 難燃性吸音材の製造方法
KR200475196Y1 (ko) * 2013-09-09 2014-11-12 정건호 이동식 방음벽
KR101729954B1 (ko) * 2016-10-18 2017-04-25 도현민 산업용 pet사 직물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136B1 (ko) 건축물의 제진장치
US9771699B2 (en) Retention device
JP6271213B2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US5268540A (en) Sound barrier absorption panel
CN106087785A (zh) 一种易维护柔性被动防护系统
KR100788934B1 (ko) 녹화 보강토 옹벽
KR102420886B1 (ko) 이동설치식 방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방음벽
KR100709692B1 (ko) 지오 그리드
KR20100042703A (ko) 흡음봉을 구비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163573B1 (ko) 회절간섭형 방음벽
JP5288336B2 (ja) 非常用防護装置
JP2789803B2 (ja) 液状化抑止杭および液状化抑止杭の栓
KR100530674B1 (ko) 하천제방 및/또는 바닥 보호차수막 형성공법
JP5885221B2 (ja) エッジ効果抑制型防音壁用パネル
KR102124117B1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2420868B1 (ko) 가요성 흡음벽
KR101131556B1 (ko) 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JP4188811B2 (ja) 補強土防護擁壁
JP6283765B1 (ja) ケーソン堤体構造物の防砂構造
CN109403494A (zh) 多维调谐质量复合阻尼器
KR102147115B1 (ko) 콤플렉스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JP5053917B2 (ja) 高潮を阻止する構造物
KR200227450Y1 (ko) 건설현장의 가설 울타리용 방진 방음 패널
CN221143139U (zh) 一种埋入式地震超材料屏障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