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136B1 - 건축물의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136B1
KR101278136B1 KR1020120028372A KR20120028372A KR101278136B1 KR 101278136 B1 KR101278136 B1 KR 101278136B1 KR 1020120028372 A KR1020120028372 A KR 1020120028372A KR 20120028372 A KR20120028372 A KR 20120028372A KR 101278136 B1 KR101278136 B1 KR 10127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dampers
building
p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은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안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안상은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12002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건축물 파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나 문틀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에 철골 프레임를 설치하고, 이 철골 구조물의 네 모서리에 점성댐퍼와 강재댐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댐퍼를 설치한 새로운 형태의 제진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지진의 본진 발생시 지진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함과 더불어, 여진 발생시 여진에너지 또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진 발생시 건축물의 변형 및 붕괴, 그리고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점성댐퍼와 강재댐퍼의 설치 위치를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철골 프레임의 네 모서리 영역으로 설정한 최적의 배치 설계를 구현함으로써, 공공 건물 등의 조망권 및 채광권 확보는 물론, 미관상 조형물의 설치느낌을 줄 수 있는 등 외관이 수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제진장치{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건축물 파괴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아시아권의 지각판 구조로 볼 때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인도, 필리핀 등 한반도 주변의 지진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한반도와 가까운 일본 열도는 지구상에서도 지진이 수시로 발생하는 지역이다.
특히, 한반도에도 진도 2∼4 이하의 지진이 종종 발생하고 있어 한반도 역시 지진의 안전지대라 볼 수 없으며, 지진 발생시 인명피해 및 공공건물, 개인소유 건물의 안전을 위해 2008년부터 내진설계의무가 시행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3∼4년전부터 기존 건물 및 신축 건물에 대한 내진보강의 심각성을 깨달아 지진에 대한 안전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이렇게 지진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지진에 잘 견디기 위하여 건물, 도로, 교량 등의 구조물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큰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 보강공법으로는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등이 있다.
여기서,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대지진이 전국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로서, 내진보강성능 등이 뛰어나지만 국내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때, 첫째 시공비가 과다하게 필요하고, 둘째 국내의 지진빈도 또는 진도로 보아 불필요할 정도로 과다 보강이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근래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비교적 시공비가 저렴하다고 할 수 있으나 주로 철골 구조물 보강용으로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고, 강재댐퍼를 사용한 보강 구조물의 경우 창과 출입구 등의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제한되고, 철골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적은 RC 구조물의 내진보강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국내 등록특허 10-0908864호에서는『하중전달판과 슬릿강판을 이용한 강재댐퍼』를 제시하고 있고, 국내 공개특허 10-2010-0121391호에서는『건물용 면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한 기술들은 조광과 채광을 해치는 문제, 본진은 물론 특히 여진 발생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 구조적인 특성상 진동에 의해 철골 구조물에 뒤틀림 등의 변형이 가해지는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인명피해 및 건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또 외관적 환경은 물론 조망 및 채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안전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창호나 문틀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면에 철골 프레임를 설치하고, 이 철골 구조물의 네 모서리에 점성댐퍼와 강재댐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댐퍼를 설치한 새로운 형태의 제진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지진의 본진 발생시 지진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함과 더불어, 여진 발생시 여진에너지 또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진 발생시 건축물의 변형 및 붕괴, 그리고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성댐퍼와 강재댐퍼의 설치 위치를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철골 프레임의 네 모서리 영역으로 설정한 최적의 배치 설계를 구현함으로써, 공공 건물 등의 조망권 및 채광권 확보는 물론, 미관상 조형물의 설치느낌을 줄 수 있는 등 외관이 수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건축물의 제진장치는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 한 쌍의 수평형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수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철골 구조물과, 상기 철골 구조물의 네 모서리에 대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구조물측에 양단이 힌지 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점성댐퍼 및 강재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강재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점성댐퍼는 철골 구조물의 상부 양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면서 각 점성댐퍼의 가동측 로드는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형 프레임측에, 고정측 로드는 철골 구조물의 수직형 프레임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강재댐퍼는 철골 구조물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면서, 각 점성댐퍼의 가동측 로드는 철골 구조물의 하부에 위치한 수평형 프레임측에, 고정측 로드는 철골 구조물의 수직형 프레임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의 제진장치는 지진 발생시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댐퍼 4기가 독립적으로 상하좌우의 에너지를 분산 흡수하여 건축물에 에너지 전달을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제진장치에서 한 쌍의 점성댐퍼 및 한 쌍의 강재댐퍼의 가동측 로드와 고정측 로드는 철골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핀 브라켓에 그 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는 지진 발생시 본진과 여진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제진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점성댐퍼와 강재댐퍼의 최적의 조합을 통해 지진의 본진 발생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지진에너지(진동 및 파장), 즉 건축물의 상ㆍ하ㆍ좌ㆍ우의 진동 및 파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이와 연동하여 여진 발생에너지도 효율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인명 피해 및 건축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건축물의 창호나 문틀 등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점성댐퍼와 강재댐퍼가 차지하는 영역을 최소화시킨 배치 설계를 적용함으로써, 공공 건물의 조망권과 채광권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외관이 수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철골 구조물의 네 모서리에 4개의 댐퍼가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진(지진,재진) 에너지 발생시에 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철골 구조물의 뒤틀림 등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를 나나태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제진장치는 댐퍼 4기, 즉 점성댐퍼 2기와 강재댐퍼 2기를 적절하게 배치조합하여 지진 발생시 건축물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특히 본진은 물론 여진까지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건축물의 창호나 문틀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진 철골 구조물(10)이 마련되고, 이때의 철골 구조물(10)은 위아래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형 프레임(10a)과 양옆으로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형 프레임(10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철골 구조물(10)은 사각의 틀 형태로 짜여진 2개의 수평형 프레임(10a)과 2개의 수직형 프레임(10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형 프레임(10a)과 수직형 프레임(10b)은 H-빔 등과 같은 강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골 구조물(10)은 다수의 보강용 플레이트 수단이 구비되어 견고한 구조적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면, 사각의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삼각형 모양의 보강 플레이트(17a)가 구비되는데, 이때의 보강 플레이트(17a)는 상하 수평형 프레임(10a)과 좌우 수직형 프레임(10b) 사이의 내측 모서리에 접하는 형태로 걸쳐져 배치되고, 각 프레임측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각각의 보강 플레이트(17a)가 설치되므로서, 철골 구조물(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즉, 지진 발생시 전달되는 에너지에 대해서도 휨이나 틀어짐 등의 변형없이 견고한 사각의 틀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빔 등으로 되어 있는 철골 구조물(10)의 자체 보강은 물론, 댐퍼가 설치되는 모서리 부분의 강성 보강을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보강 플레이트(17b)가 마련된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17b)는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집중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점성댐퍼(11a,11b) 및 강재댐퍼(12a,12b)와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는 수평형 프레임(10a)과 수직형 프레임(10b)의 길이구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17b)의 경우에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프레임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보강 플레이트(17b)에 의해 댐퍼가 배치되어 있는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 영역이 집중적으로 보강되므로서, 댐퍼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직접 받는 구조물 모서리 부분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점성댐퍼(11a,11b)와 강재댐퍼(12a,12b)의 적절한 배치구조를 통해 지진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건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지진의 본진 발생시 건축물에 전달되는 지진에너지(진동 및 파장)을 아래쪽의 강재댐퍼(12a,12b) 2기와 윗쪽의 점성댐퍼(11a,11b) 2기에서 흡수하여 건축물의 상하좌우 진동 및 파장을 흡수하며, 여진 발생시 본진으로 인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 아래쪽 강재댐퍼(12a,12b) 2기의 완충역할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윗쪽 점성댐퍼(11a,11b) 2기가 점성(유압) 특성(유동성)으로 연동작용을 하여 여진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건축물에 지진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와 강재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가 마련되고, 이러한 점성댐퍼(11a,11b)와 강재댐퍼(12a,12b)는 사각의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사각의 틀 구조물로 이루어진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점성댐퍼(11a,11b)와 강재댐퍼(12a,12b)가 각각 하나씩 모서리에 대해 대각선을 이루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점성댐퍼(11a,11b)와 강재댐퍼(12a,12b)는 사각의 철골 구조물(10)상에 다양한 배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는 철골 구조물(10)의 상부 양쪽 모서리 부위에 좌우 1개씩 설치될 수 있게 되고,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는 철골 구조물(10)의 하부 양쪽 모서리 부위에 좌우 1개씩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는 철골 구조물(10)의 좌측 또는 우측 측면부 위아래 모서리 부위에 1개씩 설치될 수 있게 되고,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는 철골 구조물(10)의 우측 또는 좌측 측면부 위아래 모서리 부위에 1개씩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진장치는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 중 윗쪽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1개씩의 점성댐퍼(11a,11b)가 설치되고, 아래쪽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1개씩의 강재댐퍼(12a,12b)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시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댐퍼 4기가 독립적으로 운동하면서 상하 및 좌우의 에너지를 적절하게 분산 흡수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건축물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성댐퍼(11a,11b)는 일종의 유압댐퍼로서 댐핑력의 발휘를 위한 오일이 채워져 있는 실린더(18a)와, 상기 실린더(18a)에 내장되어 있는 피스톤(미도시)과 함께 동작하는 가동측 로드(14a)와, 상기 실린더(18a)의 몸체에 연결되는 고정측 로드(15a)로 구성되어, 피스톤 및 가동측 로드(14a)의 신축작용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점성댐퍼(11a,11b)의 설치를 위하여 철골 구조물(10)의 모서리 부위 내측, 즉 수평형 프레임(10a)의 내측과 수직형 프레임(10b)의 내측에는 각각 핀 브라켓(13)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각 핀 브라켓(13)에 점성댐퍼(11a,11b)의 가동측 로드(14a)와 고정측 로드(15a)의 단부가 힌지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각각 체결되므로서, 점성댐퍼(11a,11b)은 가동측 로드(14a)와 고정측 로드(15a)를 통해 대각선 자세로 양단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점성댐퍼(11a,11b)의 가동측 로드(14a)는 철골 구조물(10)의 수평형 프레임(10a)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되고, 고정측 로드(15a)는 철골 구조물(10)의 수직형 프레임(10b)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점성댐퍼(11a,11b)는 그 작동원리가 점성(유압)의 특성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받을 시에는 점성(유압)의 압력을 높혀서 한계수치(최고압)를 만들고, 에너지를 받지 않을 시에는 압력(점성류 또는 유압류 주입시의 압력)을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작동에너지(힘)를 받을 시에는 왕복 연동(지속적인 움직임) 작용을 함으로써, 구조물을 안정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후속 내진(재진, 지진) 시에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반복적인 연동(움직임) 작용으로 인해 구조물에 소량의 에너지를 전달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댐퍼(12a,12b)는 강판의 소성변형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댐퍼로서 서로 수납/인출이 가능한 동시에 내부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의 내외부 실린더 조합으로 이루어진 실린더(18b)와, 상기 내부 실린더측에 연결되어 함께 동작하는 가동측 로드(14b)와, 상기 외부 실린더측에 연결되는 고정측 로드(15b)로 구성되어, 내부 실린더 및 가동측 로드(14b)의 신축작용을 통해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재댐퍼(12a,12b)는 실린더(18b)에 내장되어 있는 강판조합의 소성변형을 이용하여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실린더 내부에는 서로 실린더 길이방향으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로 조합되어 있는 슬릿강판(미도시)과 하중전달강판(미도시)이 설치되고, 이때의 슬릿강판은 내부 실린더측에, 하중전달강판은 외부 실린더측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슬릿강판의 절개 등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지진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강재댐퍼(12a,12b)는 국내 등록특허 10-090886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강재댐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강재댐퍼(12a,12b)의 설치를 위하여 철골 구조물(10)의 모서리 부위 내측, 즉 수평형 프레임(10a)의 내측과 수직형 프레임(10b)의 내측에는 각각 핀 브라켓(13)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각 핀 브라켓(13)에 점성댐퍼(12a,12b)의 가동측 로드(14b)와 고정측 로드(15b)의 단부가 힌지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각각 체결되므로서, 강재댐퍼(12a,12b)은 가동측 로드(14b)와 고정측 로드(15b)를 통해 대각선 자세로 양단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강재댐퍼(12a,12b)의 가동측 로드(14b)는 철골 구조물(10)의 수평형 프레임(10a)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되고, 고정측 로드(15b)는 철골 구조물(10)의 수직형 프레임(10b)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강재댐퍼(12a,12b)는 내진(재진, 지진) 에너지를 받을 시에는 강재의 특성(인장 및 강도)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여 구조물에 파괴(붕괴) 등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상기 강재댐퍼(12a,12b)의 경우, 에너지를 받아 구부러지거나 뒤틀려진 후에는 강재 자력으로 설계시의 원형으로 획복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고, 이로 인해 내진(재진, 지진) 시스템에 이용시 에너지를 받은 수 설계시의 초기 상태 형상으로 보존이 어려울 수 있게 되면서 후속 내진시에 에너지를 설계시와 동일하게 흡수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강재댐퍼(12a,12b)와 점성댐퍼(11a,11b)를 조합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강재댐퍼(12a,12b)와 점성댐퍼(11a,11b)가 상호 보완적으로 본진은 물론 여진까지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점성댐퍼(11a,11b)와 강재댐퍼(12a,12b)는 창호나 문틀 등에 설치되는 경우, 창호나 문틀의 외곽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므로, 창호나 문틀을 가로막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국 공공건물 등에서 창호 주변의 조망 및 채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다시 말해 조망권과 채광권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설치 준공시에는 미관상 조형물의 설치 느낌을 줄 수 있어 건물의 외관을 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진장치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제진장치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진장치의 철골 구조물(10)은 사각틀 형태로서 건축물의 창호, 문틀, 벽면 등에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 중에서 상부 양 모서리에는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가 설치되고, 하부 양 모서리에는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가 설치된다.
따라서,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4기의 댐퍼를 설치하여, 즉 상단에 좌우 점성댐퍼(11a,11b) 2기를 설치하고 하단에 좌우 강재댐퍼(12a,12b) 2기를 설치하여, 내진시에 상하 및 좌우의 에너지를 댐퍼 4기가 독립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결국 네 모서리에 설치된 댐퍼 4기가 상하 및 좌우의 에너지를 적절히 분산 흡수하여 건축물에 에너지 전달을 최대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2기의 점성댐퍼(11a,11b)와 2기의 강재댐퍼(12a,12b)를 H-빔 등의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대각선으로 설치함으로써, 내진 에너지 발생시에 이때의 에너지를 흡수함과 동시에 철골 구조물(10)의 뒤틀림 등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람직한 조합, 즉 상부측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와 하부측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의 조합은 본진과 여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보통 내진 발생 원인이 지구상의 지각판 변위로 인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내진 에너지의 근원이 지하에서부터 움직이기 시작하여 지상(인명, 구조물, 건축물, 시설물)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진장치는 하부의 강재댐퍼 2기에서 내진 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여 주고, 부족한 에너지를 상부의 점성댐퍼 2기에서 흡수하여 주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진이 발생한 후 여진이 수차례 발생되는 경우, 본진의 에너지로 인해 하부측 강재댐퍼 2기의 에너지 흡수력 부족부분을 상부측 점성댐퍼 2기의 연동작용 특성으로 에너지를 흡수하여 건축물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지진의 진동이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기 때문에 하부에서 강재댐퍼로 에너지를 최대한 흡수하고, 부족한 부분 및 여진에 대한 변형을 상부에서 점성댐퍼, 예를 들면 유압댐퍼로 흡수함으로써 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사각의 철골 구조물의 네 모서리에 점성댐퍼와 강재댐퍼를 대각선 형태로 각각 설치하고, 특히 상부 양 모서리에는 한 쌍의 점성댐퍼를 배치하는 동시에 하부 양 모서리에는 한 쌍의 강재댐퍼를 배치한 제진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진의 본진 발생시 건축물에 절단되는 지진에너지를 강재댐퍼의 변형 특성을 통해 최대한 흡수할 수 있고, 또 여진 발생시 점성댐퍼의 연동작용을 통해 여진에너지를 완전히 흡수할 수 있는 등 건축물에 전달되는 지진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0 : 철골 구조물 11a,11b : 점성댐퍼
12a,12b : 강재댐퍼 13 : 핀 브라켓
14a,14b : 가동측 로드 15a,15b : 고정측 로드
16 : 힌지핀 17a,17b : 보강 플레이트
18a,18b : 실린더

Claims (8)

  1.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하 한 쌍의 수평형 프레임(10a)과 좌우 한 쌍의 수직형 프레임(10b)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철골 구조물(10);
    상기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 대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구조물측에 양단이 힌지 구조로 연결 설치되어 점성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 및 강재의 특성을 이용한 신축작용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는 철골 구조물(10)의 상부 양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면서 각 점성댐퍼(11a,11b)의 가동측 로드(14a)는 철골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형 프레임(10a)측에, 고정측 로드(15a)는 철골 구조물(10)의 수직형 프레임(10b)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는 철골 구조물(10)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면서, 각 점성댐퍼(11a,11b)의 가동측 로드(14a)는 철골 구조물(10)의 하부에 위치한 수평형 프레임(10a)측에, 고정측 로드(15a)는 철골 구조물(10)의 수직형 프레임(10b)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점성댐퍼(11a,11b) 및 한 쌍의 강재댐퍼(12a,12b)의 가동측 로드(14a,14b)와 고정측 로드(15a,15b)는 철골 구조물(10)에 설치되어 있는 핀 브라켓(13)에 그 단부가 힌지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는 상하 수평형 프레임(10a)과 좌우 수직형 프레임(10b)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철골 구조물(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보강 플레이트(17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골 구조물(10)의 네 모서리에는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댐퍼와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수평형 프레임(10a)과 수직형 프레임(10b)의 길이구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 플레이트(17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제진장치.
KR1020120028372A 2012-03-20 2012-03-20 건축물의 제진장치 KR10127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72A KR101278136B1 (ko) 2012-03-20 2012-03-20 건축물의 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372A KR101278136B1 (ko) 2012-03-20 2012-03-20 건축물의 제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136B1 true KR101278136B1 (ko) 2013-06-27

Family

ID=4886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372A KR101278136B1 (ko) 2012-03-20 2012-03-20 건축물의 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13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98B1 (ko) 2015-05-29 2015-12-29 지엘기술 주식회사 좌굴구속형 강재댐퍼
KR20160030746A (ko) * 2014-09-11 2016-03-21 한국전력공사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20170023356A (ko) 2015-08-21 2017-03-03 (주)삼우아이티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KR20180095271A (ko) * 2017-02-17 2018-08-27 박상태 마찰감쇠장치가 구비된 내진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200025360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200025268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강재용 고전단 링앵커
KR20200025355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을 이용한 댐퍼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구조물
KR20200025350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제진 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20200025356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KR20200025362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US10895073B2 (en) 2017-06-15 2021-01-19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Vibration-shock energy absorption device using composite tube, and building vibration control device using same
CN115110793A (zh) * 2022-06-07 2022-09-27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古建筑辅助稳定装置及其惯性阻尼器确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023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건물 개구부용 면진(免震)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6226A (ko) * 2009-06-18 2010-12-28 장득훈 슬릿강판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023A (ko) * 2006-12-19 2008-06-24 주식회사 포스코 건물 개구부용 면진(免震)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6226A (ko) * 2009-06-18 2010-12-28 장득훈 슬릿강판댐퍼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746A (ko) * 2014-09-11 2016-03-21 한국전력공사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2174713B1 (ko) * 2014-09-11 2020-11-05 한국전력공사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KR101578198B1 (ko) 2015-05-29 2015-12-29 지엘기술 주식회사 좌굴구속형 강재댐퍼
KR20170023356A (ko) 2015-08-21 2017-03-03 (주)삼우아이티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KR20180095271A (ko) * 2017-02-17 2018-08-27 박상태 마찰감쇠장치가 구비된 내진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951454B1 (ko) * 2017-02-17 2019-02-22 박상태 마찰감쇠장치가 구비된 내진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US10895073B2 (en) 2017-06-15 2021-01-19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Vibration-shock energy absorption device using composite tube, and building vibration control device using same
KR20200025350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제진 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20200025355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을 이용한 댐퍼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구조물
KR20200025356A (ko)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KR20200025362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130842B1 (ko) * 2018-08-30 2020-07-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2130843B1 (ko) * 2018-08-30 2020-07-0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200025268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지원이엔지 강재용 고전단 링앵커
KR20200025360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CN115110793A (zh) * 2022-06-07 2022-09-27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古建筑辅助稳定装置及其惯性阻尼器确定方法
CN115110793B (zh) * 2022-06-07 2023-09-22 中国航空规划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古建筑辅助稳定装置及其惯性阻尼器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136B1 (ko) 건축물의 제진장치
US11326364B2 (en) Function-recovering energy-dissipating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78654B1 (ko) 다이아그리드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
KR101185974B1 (ko)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1112577B1 (ko) 이중 철골프레임 내진보강장치
EP3012379A1 (en) Dissipator panels and respective building system
US20180347221A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with reinforced foundation and wall structure
KR101372087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JP2017150179A (ja) 減振構造を有する柱梁構造
KR101019060B1 (ko) 상하 철골프레임이 구비된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KR102097234B1 (ko) 내진구조 창호
KR20120011001A (ko) 변위 증폭형 제진장치를 이용한 다층 변위 증폭 제진시스템
KR20090027705A (ko) 굴절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KR20200025360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200025362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JP2010047926A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
KR101070257B1 (ko) 건축 구조물의 가새형 내진 보강구조
KR102174713B1 (ko)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CN104929271B (zh) 一种多功能防屈曲耗能组合墙及安装方法
KR101133177B1 (ko) 다층 변위 증폭 제진시스템
CN101956434A (zh) 交叉斜撑式钢筋混凝土耗能装置
KR20110018285A (ko) 이중구조 내진보강장치
KR101278613B1 (ko) 핀접합파단 철골프레임에 의한 구조물 개구부의 내진보강구조
KR20110121312A (ko) 내진 보강용 이력 댐퍼
CN112459584A (zh) 一种墙板拼接且地基减震的装配式框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