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226A - 슬릿강판댐퍼 - Google Patents

슬릿강판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226A
KR20100136226A KR1020090054471A KR20090054471A KR20100136226A KR 20100136226 A KR20100136226 A KR 20100136226A KR 1020090054471 A KR1020090054471 A KR 1020090054471A KR 20090054471 A KR20090054471 A KR 20090054471A KR 20100136226 A KR20100136226 A KR 2010013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ggle
load transfer
pin hole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596B1 (ko
Inventor
장득훈
Original Assignee
장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득훈 filed Critical 장득훈
Priority to KR102009005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는 제1하중전달판(110);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는 제1좌굴방지판(111);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제2하중전달판(120);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제2좌굴방지판(121);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하부관통홀(126)이 구비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 및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과 일체를 이루는 하부판(125);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상부관통홀(116)이 구비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과 일체를 이루는 상부판(115); 및,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 개의 슬릿(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각각에 양측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슬릿강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릿강판댐퍼 에 관한 것이다.
슬릿강판, 제1하중전달판, 제2하중전달판, 상부판, 하부판, 제1연결철물, 제2연결철물, 제1토글, 제2토글, 수평철골프레임, 수직철골프레임

Description

슬릿강판댐퍼{Slit Plate Damper}
본 발명은 슬릿강판의 변형을 이용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는 슬릿강판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는 제1하중전달판(110);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는 제1좌굴방지판(111);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제2하중전달판(120);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제2좌굴방지판(121);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하부관통홀(126)이 구비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하부판(125);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상부관통홀(116)이 구비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는 상부판(115); 및,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 개의 슬릿(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각각에 양측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슬릿강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외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틀 구조물 내진 보강공법으로서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존 기술 중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대지진이 전국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외관적 환경이 거칠지 않도록 디자인이 비교적 개선되었고, 내진 보강성능 등이 뛰어나지만 국내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경우 첫째, 시공비가 과다하게 필요하고, 둘째, 국내의 지진 빈도 또는 진도로 보아 불필요할 정도로 과다 보강이 될 우려가 있다.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근래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비교적 시공비가 저렴하다고 할 수 있으나 주로 철골 구조물 보강용으로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고, 또한 기존 강재댐퍼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서 이를 사용한 내진 보강 구조물의 경우 창과 출입구 등의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제한되고, 제품의 외관이 거칠어 구조물의 미감을 저해함은 물론 정서적 불안감을 유발하고, 철골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적은 RC구조물의 내진보강에는 적용하기 어 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유압댐퍼를 이용한 보강공법의 문제점인 과다보강과 과다한 시공비의 문제점과 기존 강재댐퍼의 문제점인 거친 외관으로 인한 미감 저해 및 정서적 불안감 유발, 창 및 출입구 등의 사용성 제한, 적용 범위의 제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합리적인 비용으로 최적의 내진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새로운 내진보강 장치 및 공법의 필요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진 하중 전달 시 슬릿강판의 굴절을 방지하고 안정된 내진보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기존 건축 구조물을 내진 보강시 창 및 출입구 등의 사용성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셋째, 철골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적은 RC구조물에도 내진보강 효과가 우수한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비교적 외관이 미려한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불안감 조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기존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창틀 전면 등)에 간단히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 단축은 물론 시공비가 저렴한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슬릿강판댐퍼(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는 제1하중전달판(110);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는 제1좌굴방지판(111); 전체 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제2하중전달판(120);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제2좌굴방지판(121);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하부관통홀(126)이 구비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 및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과 일체를 이루는 하부판(125);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상부관통홀(116)이 구비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과 일체를 이루는 상부판(115); 및,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 개의 슬릿(131)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각각에 양측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슬릿강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릿강판의 소성 변형을 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지진에 의한 건물 골조 또는 건물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움직임(변형율)을 슬릿강판댐퍼에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셋째, 외관이 미련한 슬릿강판댐퍼를 제공하여 미감을 유발하고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기존 구조물의 내외부(창틀 등)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슬릿강판댐퍼를 제공하여 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을 보다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슬릿강판댐퍼(100)의 조립 과정 및 조립이 완료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고, 도2는 슬릿강판(130)이 2개 나란하게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3은 외력에 의하여 슬릿강판(13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1하중전달판(110)은 일측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강판이다.
제1좌굴방지판(111)은 제1하중전달판(11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제1하중전달판(110)과 제1좌굴방지판(111)은 "⊥" 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1좌굴방지판(111)은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1하중전달판(11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력에 저항하는 힘을 증대시켜 좌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2하중전달판(120)도 제1하중전달판(110)과 마찬가지로 일측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강판인데, 제1하중전달판(110)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 보도록 위치한다.
제2좌굴방지판(121)은 제2하중전달판(12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제2하중전달판(120)과 제2좌굴방지판(121)은 "⊥"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2좌굴방지판(121)은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2하중전달판(12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력에 저항하는 힘을 증대시켜 좌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하부판(125)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강판인데, 하부판(125)의 일측 표면에는 제1하중전달판(110) 및 제1좌굴방지판(111)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하부관통홀(126)이 구비되고, 하부판(125)의 타측 상부면에는 제2하중전달판(120) 및 제2좌굴방지판(121)의 하단부가 용접 등이 방법으로 결합되어 제2하중전달판(120) 및 제2좌굴방지판(121)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부판(115)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강판인데, 상 부판(115)의 일측 표면에는 제2하중전달판(120) 및 제2좌굴방지판(121)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상부관통홀(116)이 구비되고, 상부판(115)의 타측 하부면에는 제1하중전달판(110) 및 제1좌굴방지판(111)의 상단부가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제1하중전달판(110) 및 제1좌굴방지판(111)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슬릿강판(13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 개의 슬릿(131)이 구비된다.
슬릿강판(130)은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과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각각에 양측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슬릿강판(130)은 제1하중전달판(110) 및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슬릿강판(130)은 필요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도 있고, 3개 또는 그 이상의 수량이 나란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보강판(22)은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 상단부와 상부판(115)의 하부면이 만나는 부분 및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하단부와 하부판(125)의 상부면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고, 제1하중전달판(110)과 상부판(115)의 결합력 및 제2하중전달판(120)과 하부판(125)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중전달판(110)과 제2하중전달판(120)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슬릿강판(130)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4는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
제1연결철물(14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5)의 상부면(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데, 제1연결철물(14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부판(115)과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33)가 마련되어 있다.
제2연결철물(14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25)의 하부면(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데, 제2연결철물(14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하부판(125)과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33)가 마련되어 있다.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구조물의 철골프레임 부분에 핀결합되어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a)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을 도시하고, (b)는 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은 각각 전체적으로 긴 로드(rod)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하나씩 구비된 형상일 수도 있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글(160)의 경우 일측 단부에는 2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1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도5(a)의 경우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제2토 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제1연결철물(140) 또는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어느 하나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도5(b)의 경우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핀홀(11) 가운데 어느 하나가 제1연결철물(140) 또는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어느 하나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나머지 하나의 연결핀홀(11)은 제2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 각각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에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도7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구조물의 철골프레임 부분에 핀결합되어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6는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철골프레임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이 각각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게 된다.
2개의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제2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하부의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좌측에 위치한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2개의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나머지 하나는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제2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하부의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우측에 위치한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연결철물(140) 각각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2개의 제1연결철물(140) 각각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제2연결철물(150) 각각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좌우측에 위치하는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또한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의 위치가 서로 교체되어도 동일한 구성이 되는 바 별도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도7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1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철골프레임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이 각각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게 된다.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제2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꼭지점 가운데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제1토글(160) 및 상기 제2토글(170)에 연결되지 않은 제2연결철물(150)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꼭지점 가운데 어느 하나의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이 경우 제2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에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꼭지점 가운데 어느 하나의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데, 이럴 경우에도 기술적 구성이 동일한 바 별도의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철골프레임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이 각각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게 된다.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는데, 2개의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제2연결철물(150)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제2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2개의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는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제2연결철물(150)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제2토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토글(160) 각각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제1토글(160)이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의 위치가 서로 교체될 수도 있으나, 기술적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한 바 별도의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된 제품은 내진 보강이 필요한 철골구조물이나 콘크리트구조물의 출입구나 창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되며, 내진 보강이 필요할 경우 사각 형 태의 틀을 간단하게 출입구나 창의 틀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슬릿강판댐퍼(100)의 조립 과정 및 조립이 완료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2는 슬릿강판(130)이 2개 나란하게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은 외력에 의하여 슬릿강판(13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4는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a)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을 도시하고, (b)는 제1토글(160)과 제2토글(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6는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과 제2연결철물(15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7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1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8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제1연결철물(140), 제1토글(160) 및 제2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9는 철골프레임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슬릿강판댐퍼
110:제1하중전달판
111:제1좌굴방지판
115:상부판
116:상부관통홀
120:제2하중전달판
121:제2좌굴방지판
125:하부판
126:하부관통홀
130:슬릿강판
131:슬릿
140:제1연결철물
150:제2연결철물
160:제1토글
170:제2토글
180:수평철골프레임
190:수직철골프레임
11:연결핀홀
22:보강판
33:플랜지

Claims (9)

  1.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는 제1하중전달판(110);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일체를 이루는 제1좌굴방지판(111);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과 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제2하중전달판(120);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외측면 중앙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제2좌굴방지판(121);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하부관통홀(126)이 구비되고, 타측 상부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 및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 및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과 일체를 이루는 하부판(125);
    일측 표면에는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 및 상기 제2좌굴방지판(121)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형태로 절개된 상부관통홀(116)이 구비되고,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1좌굴방지판(111)과 일체를 이루는 상부판(115); 및,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평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에 다수 개의 슬릿(131) 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각각에 양측 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 및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과 일체를 이루는 슬릿강판(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2. 제1항에서,
    상기 제1하중전달판(110)의 내측면 상단부와 상기 상부판(115)의 하부면이 만나는 부분 및 상기 제2하중전달판(120)의 내측면 하단부와 상기 하부판(125)의 상부면이 만나는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보강판(22);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3. 제2항에서,
    상기 슬릿강판(130)은 다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4. 제2항에서,
    일측 단부는 상기 상부판(115)의 상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된 제1연결철물(14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하부판(125)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된 제2연결철물(15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5. 제4항에서,
    전체적으로 긴 로드(rod)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1토글(160); 및,
    전체적으로 긴 로드(rod)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2토글(17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상기 제1연결철물(140) 또는 상기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6. 제4항에서,
    전체적으로 긴 로드(rod)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일측 단부에는 2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1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1토글(160); 및,
    전체적으로 긴 로드(rod)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2토글(170);
    상기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핀홀(11) 가운데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연결철물(140) 또는 상기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1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나머지 하나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2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7. 제4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과 핀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좌측에 위치한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과 핀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우측에 위치한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2개의 상기 제1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이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8. 제5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상기 제2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꼭지점 가운데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철물(140) 또는 상기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상기 제1토글(160) 및 상기 제2토글(17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토글(160) 및 상기 제2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꼭지점 가운데 어느 하나의 꼭지점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9. 제5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철물(140) 또는 상기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상기 제1토글(160) 및 상기 제2토글(17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며,
    상기 슬릿강판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는,
    상기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철물(140) 또는 상기 제2연결철물(150) 가운데 상기 제1토글(160) 및 상기 제2토글(17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 연결핀 홀(11) 및 상기 제2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꼭지점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2개의 상기 제1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강판댐퍼.
KR1020090054471A 2009-06-18 2009-06-18 슬릿강판댐퍼 KR10114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71A KR101144596B1 (ko) 2009-06-18 2009-06-18 슬릿강판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471A KR101144596B1 (ko) 2009-06-18 2009-06-18 슬릿강판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26A true KR20100136226A (ko) 2010-12-28
KR101144596B1 KR101144596B1 (ko) 2012-05-14

Family

ID=435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471A KR101144596B1 (ko) 2009-06-18 2009-06-18 슬릿강판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5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36B1 (ko) * 2012-03-20 2013-06-27 김석환 건축물의 제진장치
CN103437456A (zh) * 2013-08-08 2013-12-11 欧进萍 防屈曲开斜槽钢板耗能剪力墙
CN105569223A (zh) * 2016-02-01 2016-05-11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高低强度多层钢板组合的自复位耗能墙
CN110258799A (zh) * 2019-07-19 2019-09-20 青岛理工大学 变刚度耗能型装配式横向连接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801B1 (ko) * 2011-11-15 2014-01-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DE102019201682A1 (de) * 2019-02-08 2020-08-13 Maurer Engineering Gmbh Bauwerksdämpfer mit wenigstens einem zumindest bereichsweise leiterartig ausgebildeten Schubdämpfungste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234A (ja) * 2002-07-26 2004-02-26 Shimizu Corp ブレースダンパー
KR101052489B1 (ko) * 2008-11-12 2011-07-28 디에이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왕복식 고감쇠 탄성고무 댐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36B1 (ko) * 2012-03-20 2013-06-27 김석환 건축물의 제진장치
CN103437456A (zh) * 2013-08-08 2013-12-11 欧进萍 防屈曲开斜槽钢板耗能剪力墙
CN105569223A (zh) * 2016-02-01 2016-05-11 中国地震局工程力学研究所 一种高低强度多层钢板组合的自复位耗能墙
CN110258799A (zh) * 2019-07-19 2019-09-20 青岛理工大学 变刚度耗能型装配式横向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596B1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96B1 (ko) 슬릿강판댐퍼
KR100908864B1 (ko) 하중전달판과 슬릿강판을 이용한 강재댐퍼
KR100919683B1 (ko) 다점식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CN206477433U (zh)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钢斜撑连接节点
KR101142802B1 (ko) 내진강재댐퍼
KR101171628B1 (ko) 형강을 이용한 다지점 회전식 마찰댐퍼
KR101024538B1 (ko) 직선 및 회전형 마찰댐퍼,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CN104895212A (zh) 一种连梁型金属阻尼器
CN105256911A (zh) 全钢双板自复位防屈曲支撑装置及生产方法
KR101019060B1 (ko) 상하 철골프레임이 구비된 지진에너지 감쇠장치
KR20080100314A (ko)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CN201165713Y (zh) 钢板剪切型消能连接器
CN103233528A (zh) 自复位屈曲约束支撑
KR101052916B1 (ko) 왕복식 코일형강재 댐퍼
CN103206028A (zh) 连肢剪力墙内嵌式耗能模块及其使用方法
CN219261404U (zh) 一种抵抗倒塌的防屈曲支撑结构
CN210712520U (zh) 一种用于改善桥梁抗震性能的装配式防屈曲支撑装置
CN103711220B (zh) 一种新型螺栓组装方形钢管一字形变截面钢芯防屈曲耗能限位支撑构件
KR101052489B1 (ko) 왕복식 고감쇠 탄성고무 댐퍼
KR20110018285A (ko) 이중구조 내진보강장치
CN201377126Y (zh) 具有稳定耗能能力的耗能器
KR20110028476A (ko) 회전 및 직선왕복 마찰댐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CN208415516U (zh) 一种双面滚动支座
CN209742120U (zh) 三向受力情况下耗能性能强的防屈曲剪切型阻尼器
KR101022286B1 (ko) 왕복식 마찰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