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314A -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 Google Patents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314A
KR20080100314A KR1020080104336A KR20080104336A KR20080100314A KR 20080100314 A KR20080100314 A KR 20080100314A KR 1020080104336 A KR1020080104336 A KR 1020080104336A KR 20080104336 A KR20080104336 A KR 20080104336A KR 20080100314 A KR20080100314 A KR 2008010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pin hole
connecting pin
coupled
strain ampl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863B1 (ko
Inventor
조백순
김영갑
Original Assignee
씨엠알기술연구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알기술연구원(주) filed Critical 씨엠알기술연구원(주)
Priority to KR102008010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86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강재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홈부(111)가 구비된 내부실린더(110);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타측 내주면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타측 단부가 돌출되는 슬릿강판(120); 및,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여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슬릿강판(120)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외부실린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에 관한 것이다.
내부실린더, 외부실린더, 슬릿강판, 좌굴방지가이드판, 내부실린더연결철물, 외부실린더연결철물, 제1변형율증폭토글, 제2변형율증폭토글, 수평철골프레임, 수직철골프레임

Description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Reciprocating type Slit Steel material Damper}
본 발명은 철골구조 또는 철골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홈부(111)가 구비된 내부실린더(110);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타측 내주면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타측 단부가 돌출되는 슬릿강판(120); 및,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여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슬릿강판(120)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외부실린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외에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철골 구조물 또는 콘크리틀 구조물 내진 보강공법으로서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존 기술 중 유압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대지진이 전국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외관적 환경이 거칠지 않도록 디자인이 비교적 개선되었고, 내진 보강성능 등이 뛰어나지만 국내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경우 첫째, 시공비가 과다하게 필요하고, 둘째, 국내의 지진 빈도 또는 진도로 보아 불필요할 정도로 과다 보강이 될 우려가 있다.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공법은 국내외에서 개발되어 근래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비교적 시공비가 저렴하다고 할 수 있으나 주로 철골 구조물 보강용으로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고, 또한 기존 강재댐퍼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서 이를 사용한 내진 보강 구조물의 경우 창과 출입구 등의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제한되고, 제품의 외관이 거칠어 구조물의 미감을 저해함은 물론 정서적 불안감을 유발하고, 철골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형량이 적은 RC구조물의 내진보강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유압댐퍼를 이용한 보강공법의 문제점인 과다보강과 과다한 시공비의 문제점과 기존 강재댐퍼의 문제점인 거친 외관으로 인한 미감 저해 및 정서적 불안감 유발, 창 및 출입구 등의 사용성 제한, 적용 범위의 제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합리적인 비용으로 최적의 내진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새로운 내진보강 장치 및 공법의 필요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슬릿강재 댐퍼의 소성 변형을 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지진에 의한 건물 골조 또는 건물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움직임(변형율)을 증폭하여 슬릿강재 댐퍼에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외관이 미련한 슬릿강재 댐퍼를 제공하여 미감을 유발하고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기존 구조물의 내외부(창틀 등)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슬릿강재 댐퍼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강재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홈부(111)가 구비된 내부실린더(110);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타측 내주면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 홈부(111)의 외측으로 타측 단부가 돌출되는 슬릿강판(120); 및,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여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슬릿강판(120)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외부실린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릿강재 댐퍼의 소성 변형을 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지진에 의한 건물 골조 또는 건물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움직임(변형율)을 증폭하여 슬릿강재 댐퍼에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셋째, 외관이 미련한 슬릿강재 댐퍼를 제공하여 미감을 유발하고 정서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기존 구조물의 내외부(창틀 등)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슬릿강재 댐퍼를 제공하여 기존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을 보다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 명한다.(연결핀홀(11)과 플랜지(22)의 경우 기재의 간편성을 위하여 모두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1은 (a)슬릿강판(120), 좌굴방지가이드판(125), 내부실린더(110), 및 외부실린더(130)의 결합구조를 알 수 있는 분해사시도이고, (b)조립된 상태 및 단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내부실린더(110)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홈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외부실린더(130)도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어 도1(b)와 같이 결합된다.
슬릿강판(120)의 일측 단부는 도1(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실린더(110)의 타측 내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내부실린더(110)의 중앙부를 통과하며, 슬릿강판(120)의 타측 단부는 내부실린더(110)의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는 외부실린더(130)의 일측 내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실린더(110)와 외부실린더(130)는 슬릿강판(120)을 통하여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슬릿강판(120)은 횡방향으로 절개된 다수 개의 슬릿(121)이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슬릿강판(120)의 소성변형을 통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좌굴방지가이드판(125)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안내홈부(126)가 구비되고, 좌굴방지가이드판(125)의 양측 단부는 내부실린더(110)의 내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데, 도1(a) 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강판(120)이 안내홈부(126)를 가로질러 통과하도록 조립한다.
좌굴방지가이드판(125)은 슬릿강판(120)의 소성변형 과정에서 슬릿강판(120)의 좌굴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한다.
외부실린더캡(13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실린더(1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내부실린더캡(112)은 외부실린더캡(132)이 결합되지 않은 외부실린더(1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로 노출된 내부실린더(110)의 일측 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실린더캡(112)의 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내부실린더캡(112)과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22)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실린더캡(132)의 외측면에 볼트 결합되는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일측 단부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외부실린더캡(132)과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플랜지(22)가 마련되어 있다.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은 각각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하나씩 구비된 형상일 수도 있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경우 일측 단부에는 2개의 연 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1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거나,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핀홀(11) 가운데 어느 하나가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나머지 하나의 연결핀홀(11)은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 각각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에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철골구조물의 철골프레임 부분에 도6 내지 도11과 같은 방법으로 핀결합되어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6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의 양측 단부가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00)00) 2개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부착되지 않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과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만 구비된 형태가 사용된다.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도면상 좌측)는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은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과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나머지 하나(도면상 우측)는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은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우측에 위치한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따라서 2개의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2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각각 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하는 형태가 된다.
도7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1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의 경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제2변형율증 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도8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2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의 경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도면상 좌측)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도면상 우측)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 홀(11)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데, 여기서 2개의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서 만나 동축상에 결합된다.
도9는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의 양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1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의 경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수직철골프레임(190)이 결합되는 핀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연결핀홀(11)이나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함께 결합되는 구조이다.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핀결합 부위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도10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의 양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2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의 경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형태가 사용된다.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도면상 좌측)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도면상 우측)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데, 2개의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서 동축상에 결합된다.
도11은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각각의 양 측 단부가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1개의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의 경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형태가 사용되는데, 다른 제품과는 달리 도5(b)에 도시된 형태의 것이 사용된다.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된 제품은 내진 보강이 필요한 철골구조물이나 콘크리트구조물의 출입구나 창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되며, 내진 보강이 필요할 경우 사각 형태의 틀을 간단하게 출입구나 창의 틀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a)슬릿강판(120), 좌굴방지가이드판(125), 내부실린더(110), 및 외부실린더(130)의 결합구조를 알 수 있는 분해사시도이고, (b)조립된 상태 및 단면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외부실린더캡(132)과 내부실린더캡(112)이 각각 외부실린더(130)의 일측 단부, 내부실린더(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과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a)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을 도시하고, (b)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 (a), (b)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과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과 결합된 구체적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6는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과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7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1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8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9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이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여기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1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10는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이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여기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사용된 경우이다.
도11은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는 철골프레임이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여기에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이 결합되어 모듈화된 제품의 실시예인데, 사각 형태의 틀 내부에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1개가 사용된 경우로서 도8과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도12는 지진이 발생한 경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와 건물골조 프레임의 변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건물골조 프레임은 횡방향으로 흔들리지만 C점을 기준으로 보면 A점에 비하여 B점의 이동거리가 2-3배 증폭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증폭된 움직임은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의 소성변형을 유발하고, 이러한 소성변형을 통하여 지진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110:내부실린더
111:절개홈부
112:내부실린더캡
120:슬릿강판
121:슬릿
125:좌굴방지가이드판
126:안내홈부
130:외부실린더
132:외부실린더캡
140:내부실린더연결철물
150:외부실린더연결철물
160:제1변형율증폭토글
170:제2변형율증폭토글
180:수평철골프레임
190:수직철골프레임
11:연결핀홀
22:플랜지

Claims (13)

  1. 지진과 같은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강재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고 일측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절개홈부(111)가 구비된 내부실린더(110);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타측 내주면에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타측 단부가 돌출되는 슬릿강판(120); 및,
    전체적으로 원통관 형상을 하여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외측에 삽입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절개홈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슬릿강판(120)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는 외부실린더(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2. 제1항에서,
    상기 외부실린더(1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외부실린더캡(132); 및,
    상기 외부실린더캡(132)이 결합되지 않은 상기 외부실린더(1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로 노출된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내부실린더캡(11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3. 제2항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안내홈부(126)가 중앙에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상기 내부실린더(1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좌굴방지가이드판(125);
    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릿강판(120)이 상기 안내홈부(126)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슬릿강판(120)은 횡방향으로 절개된 다수 개의 슬릿(121)이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5. 제4항에서,
    상기 내부실린더캡(112)의 외측면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된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이 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캡(132)의 외측면에는 연결핀홀(11)이 구비된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6. 제5항에서,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2변형율증폭토글(17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상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7. 제5항에서,
    일측 단부에는 2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1개의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핀홀(11)이 구비되는 제2변형율증폭토글(170);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2개의 연결핀홀(11) 가운데 어느 하나가 상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나머지 하나의 연결핀홀(11)은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8. 제5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과 핀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좌측에 위치한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내부실린더연결철물(14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과 핀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우측에 위치한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2개의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이 하나의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2개의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가 각각 삼각형의 빗변을 형성하는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9. 제6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10. 제6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 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며,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는,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2개의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서 동축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11. 제6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의 양측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핀결합 부위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12. 제6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2개가 함께 사용되고,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 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좌측 상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며,
    상기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100) 가운데 다른 하나는,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은 각각 사각 형태의 틀 우측 상하 모서리 핀결합 부위 각각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어,
    2개의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의 중앙부에서 동축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13. 제7항에서,
    2개의 수평철골프레임(180); 및,
    2개의 수직철골프레임(190);
    이 더 포함되되, 각각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결합되어 사각 형태의 틀을 구성하고,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과 상기 제 2변형율증폭토글(17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핀홀(11)이 각각 상기 수평철골프레임(180)과 상기 수직철골프레임(190)이 만나는 4개의 모서리 가운데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연결철물(150)의 연결핀홀(11)은 상기 제1변형율증폭토글(160) 및 상기 제2변형율증폭토글(170)의 연결핀홀(11)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서리 내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KR1020080104336A 2008-10-23 2008-10-23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KR10090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36A KR100908863B1 (ko) 2008-10-23 2008-10-23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36A KR100908863B1 (ko) 2008-10-23 2008-10-23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14A true KR20080100314A (ko) 2008-11-17
KR100908863B1 KR100908863B1 (ko) 2009-07-21

Family

ID=4028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36A KR100908863B1 (ko) 2008-10-23 2008-10-23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8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250A (zh) * 2012-07-06 2012-11-07 河海大学 装配式外约束防屈曲支撑构件
CN102767248A (zh) * 2012-07-06 2012-11-07 河海大学 装配式内约束钢管防屈曲支撑构件
WO2016064249A1 (ko) * 2014-10-23 2016-04-28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 전단 패널 댐퍼
KR20180070999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KR20180070998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좌굴방지 전단형 강재댐퍼
KR20180071648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장치 및, 건축물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302B2 (ja) 2001-01-26 2007-1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制振ダンパー
KR100517893B1 (ko) 2003-06-11 2005-09-30 주식회사 포스코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한 건축구조용 댐퍼
JP2007224575A (ja) 2006-02-23 2007-09-06 Yahagi Construction Co Ltd 三重管制震ブレース
JP4925740B2 (ja) 2006-06-22 2012-05-09 辰治 石丸 回転慣性質量付きトグル型制震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250A (zh) * 2012-07-06 2012-11-07 河海大学 装配式外约束防屈曲支撑构件
CN102767248A (zh) * 2012-07-06 2012-11-07 河海大学 装配式内约束钢管防屈曲支撑构件
WO2016064249A1 (ko) * 2014-10-23 2016-04-28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형 전단 패널 댐퍼
KR20180070999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KR20180070998A (ko) 2016-12-19 2018-06-27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좌굴방지 전단형 강재댐퍼
KR20180071648A (ko)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장치 및, 건축물 구조체
KR101879072B1 (ko) * 2016-12-20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댐퍼장치 및, 건축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863B1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864B1 (ko) 하중전달판과 슬릿강판을 이용한 강재댐퍼
KR20080100314A (ko) 왕복식 슬릿강재 댐퍼
KR101144596B1 (ko) 슬릿강판댐퍼
CN206477433U (zh)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钢斜撑连接节点
KR20080111425A (ko) 다점식 마찰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KR101142802B1 (ko) 내진강재댐퍼
JP2015017469A (ja) 建築物用制振ダンパー及び建築物の制振構造
KR20090027705A (ko) 굴절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JP6177824B2 (ja) 杭頭接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杭頭接合構造
JP4971701B2 (ja) 制震構造及び制震パネル
KR101052916B1 (ko) 왕복식 코일형강재 댐퍼
KR101052489B1 (ko) 왕복식 고감쇠 탄성고무 댐퍼
KR101015925B1 (ko) 길이 가변이 가능한 내진보강 프레임
JP6013028B2 (ja) 外殻構造
KR101925498B1 (ko) 타워 크레인용 앵커 프레임
KR101022286B1 (ko) 왕복식 마찰 댐퍼
KR20110028476A (ko) 회전 및 직선왕복 마찰댐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KR100922628B1 (ko) 건설 현장용 조립식 방음벽
KR101997850B1 (ko) 지주 강도가 보강된 가설 펜스
KR20100033453A (ko) 기능성 토류판
KR101980662B1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KR101170545B1 (ko) 박스형 거푸집 조립체
JP6286740B2 (ja) 建物構造
KR20200059826A (ko) 접이식 리브라스 거푸집 시스템
KR101631993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