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453A - 기능성 토류판 - Google Patents

기능성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453A
KR20100033453A KR1020080092449A KR20080092449A KR20100033453A KR 20100033453 A KR20100033453 A KR 20100033453A KR 1020080092449 A KR1020080092449 A KR 1020080092449A KR 20080092449 A KR20080092449 A KR 20080092449A KR 20100033453 A KR20100033453 A KR 2010003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arth plate
body tube
retaining plate
with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기
이애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로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로드텍
Priority to KR102008009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453A/ko
Priority to PCT/KR2008/005618 priority patent/WO2010032892A1/en
Publication of KR2010003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토류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 공사에서 토사의 붕괴 또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사에 의한 외력에 대한 응력을 저감시켜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 조립 및 탈부착이 편리한 조립형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토류판, 토목건설, 토사, 붕괴

Description

기능성 토류판{The soil retaining plate}
본 발명은 기능성 토류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 건축 공사에서 토사의 붕괴 또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사에 의한 외력에 대한 응력을 저감시켜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 조립 및 탈부착이 편리한 조립형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급경사면에 토사의 붕괴 또는 유출방지, 토목공사시 토사붕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붕괴사고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건축공사시 지하터파기로 인한 인근의 연약지반붕괴되는 것을 미면에 방지하기 위한 방토 및 방석막의 역활을 가도록 하는 가시설재이다.
이러한 가시설재는 웬만한 토사붕괴압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은 목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토사량의 강한 유입으로 인한 목재가 터지는 문제점이 발생이 되고, 특히 보관방법에 있어서 수분으로 인한 목재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판부재를 사용시에는 부식으로 인한 장기 보전이 어려워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개발한 것으로 붕괴로부터 인명 및 주변 시설물을 방호하기 위한 토류판을 제공하고, PVC, PE, PP등의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하되 그 내부는 내충격성이 보강되고, 자중의 경량화시킨 구조로 조립과 탈착이 편리하고 공사장의 비탈경사면에 설치시 측면 배압에 적용이 우수한 기능성 토류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하여 하니컴구조를 갖는 토류판에 있어서, 본체관 내부면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강화구가 작아지도록 배열하여 외측면에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관의 중앙은 중공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본체관에 형성한 강화구의 구조는 본체관의 내측면에 동일한 축심을 다열배열하고, 상기 축심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심을 배열하되 서로 일직선상에 놓여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벽돌을 쌓는 구조로 배열되어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본체부의 측면에 측면홈과 이동결합연결대를 구성하여 이동결합연결대로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균격화된 토류판을 형성하여 제품의 규격화를 이룰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토류관의 내부면에 외측은 조밀한 강화구를 형성하여 외측에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내측면에는 중공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키므로 시공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웨이브진 구조를 형성하여 서로 적층시에 두께를 넓게 형성하여 토사압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면 측면배압에 잘견딜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설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류판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은 토류판을 구조를 도로의 지반공사시 절개면의 토사붕괴 방지용 흙막이나 도로변의 방음벽 또는 공장이나 주택의 담장 등 벽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적용할 수 있는 자중의 경량화 및 내충격성이 보강되고 취급 및 설치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토류판의 구조를 하니컴구조를 갖는 토류판에 있어서, 본체관(200) 내부면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강화구(30)가 작아지도록 배열하여 외측면에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관의 중앙은 중공된 공간부(100)를 형성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킨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재질은 레진재, FRP, 합성플라스틱재 등을 사용하여 압출사출 또는 성형하여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본체관(200)의 구조는 외측테두리에 작용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외측면에는 강화구(30)가 촘촘이 형성되고 안쪽으로 갈수로 강화구(30)가 커지도록 구성하도록 도 1과 같이 강화구의 지름(D)의 크기를 달리 구성하였다. 또 중앙부는 중공된 공간부(100)를 형성하도록 테두리(100-1)를 구성하여 경량화 및 강도를 강화시킨 구조로 형성하였다.
상기 중공된 공간부(100)는 테두리(100-1)를 형성하고 있으며 테두리의 형상은 강도가 강한 달걀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본체관(200)에 형성된 강화구는 원형, 각형 구조로 형성이 가능하며, 본체의 내측면에 강화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축심(10)을 구성하였다.
상기 축심(10)은 본체관과 내측면과 동일한 축심을 다열배열하고, 상기 축심이 배열된 공간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직심(20)을 배열하였다.
상기 수직심(20)과 축심(10)은 강화구(30)를 만들기 위한 테두리면으로 강화구의 모양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강화구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달걀구조로 형성하여 작용하는 힘을 분산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강화구(30)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심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하여 일직선상에 놓여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마치 벽돌을 쌓는 구조로 서로 맞물려 배열하여 외부에 의한 압측응력을 분산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모서리면에 측심(50)을 형성하여 강도를 한층 높이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관(200)은 외부에 의한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측면에서 안쪽으로 갈수록강화구의 지름(D)이 커지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강화구의 지름은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즉 중공된 공간부로 갈 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배열하였다.
또 본체관의 중심에는 중공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무게를 경감시키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중공된 공간부의 지름를 크게 할 수 경감되며, 사용용도에 맞게 지름의 크기를 설정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관을 적층시 상부면에는 끼움돌기(60)를 구성하고 하부면에는 끼움홈(70)을 구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이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본체관은 4면의 단부가 삼각형구조에 상부꼭지점이 함몰된 화산모양의 구조(도1)로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의 4면과 중공된 본체관의 테두리면이 결합시 화산모양으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관(200)이 4면으로 형성시에 각면을 분활할 경우 삼각형구조를 형성하고 상부의 꼭지점은 분화구형상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즉 4면에 작용하는 힘은 중앙에 형성한 중공구의 테두리(100-1)면에 작용하여 외부힘이 내부의 중공된 공간부의 테두리(100-1)에 작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내부의 중공테두리에 집중하여 작용하므로 내부에 중공구를 형성하여도 외부에 의한 힘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본체관(200)은 중앙부분이 웨이브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적층시에 하부면에 오목하는 오목구조(170)는 상부에 적층 되는 부분이 돌출구조(180)되고, 하부가 돌출된 부분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웨이브진 두께만큼 본체관이 넓어지도록 구성하여 토사압을 견디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관을 웨이브형상을 갖도록 하여 적층시에 본체관의 두께의 길이(L)가 실제의 본체관의 두께의 길이(l)보다 크게 형성하여 외부의 작용힘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미관을 높이도록 하여 별도의 그림이나 도색 없이도 주변의 경관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류판은 도로 및 건축공사중의 경산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유출을 방지시에 토사의 배압에 견딜수 있도록 중앙의 측면에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홈(150)과 이동결합연결대(160)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관(200)은 서로 적층시에 이동결합연결대를 아래방향으로 당기면 서로 연결되어 결합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체관(200)은 상부에 상부돌기(100)를 구성하고, 돌기의 내부에 보강칸막이(110)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양쪽에 보강칸막이(170)가 형성된 다리돌기(120)를 구성하고 상기 다리돌기의 사이에 결합홈(130)에 구성되어 상부돌기가 조립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관의 중앙에도 보강칸막이(140)를 다열 배열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관의 적층시에 비탈면에 설치되어 토사에 의하여 측면에서 발생이 되는 배면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측면홈(150)과 이동결합연결대(160)를 구성하였다. 상기 이동결합연결대에는 탈착홈(190)을 구성하여 이동결합연결대를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체부에 구성한 측면홈에 상하부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 이드턱(180)이 구성되어 이동결합연결대가 쉽게 빠지지않도록 구성하여 본체관과 본체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관의 장착과 탈착이 편리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류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토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류판을 "I"형빔에 설치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토류판의 적층시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을 구성하여 결합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토류판의 외부면을 강화시킨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토류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축심 20 : 수직심
30 : 강화구 50 : 측심
60 : 끼움돌기 70 : 끼움홈
100 : 중공된 공간부 100-1 : 테두리
150 : "I"형 빔 200 : 본체관

Claims (3)

  1. 하니컴구조를 갖는 토류판에 있어서,
    본체관 내부면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강화구가 작아지도록 배열하여 외측면에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본체관의 중앙은 중공된 공간부를 형성하여 무게를 경량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토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컴구조를 갖는 토류판에 있어서,
    상부에 상부돌기를 구성하고 돌기의 내부에 보강칸막이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양쪽에 보강칸막이가 형성된 다리돌기를 구성하여 상부돌기가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본체관의 중앙에도 강도를 높이도록 보강칸막이를 다열 배열하고, 상기 본체관을 적층하여 시공시 도로 또는 공사장의 경사면측면에서 발생되는 배면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측면홈과, 상기 측면홈내에서 상하부로 이동결합연결대가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턱이 구성되어 이동결합연결대가 쉽게 빠지지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토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보강칸막이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토류판.
KR1020080092449A 2008-09-20 2008-09-20 기능성 토류판 KR20100033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49A KR20100033453A (ko) 2008-09-20 2008-09-20 기능성 토류판
PCT/KR2008/005618 WO2010032892A1 (en) 2008-09-20 2008-09-22 A soil retain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449A KR20100033453A (ko) 2008-09-20 2008-09-20 기능성 토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453A true KR20100033453A (ko) 2010-03-30

Family

ID=4203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449A KR20100033453A (ko) 2008-09-20 2008-09-20 기능성 토류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33453A (ko)
WO (1) WO20100328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40B1 (ko) * 2018-05-08 2019-02-25 주식회사 카리스 토류판 구조
KR20190031085A (ko) * 2017-09-15 2019-03-25 김미진 자중 경량화용 토류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067A (zh) * 2018-09-20 2019-01-01 上海宝冶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便捷式预制板砖胎膜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114U (ko) * 1980-09-06 1982-03-19
JPH07108582A (ja) * 1993-10-14 1995-04-2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一体型高強度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6970A (ko) * 1998-10-24 2000-05-15 배은미 토목건축용 목재 대용 플라스틱 지지부재
KR20030088592A (ko) * 2002-05-13 2003-11-20 유철리 강화 토류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085A (ko) * 2017-09-15 2019-03-25 김미진 자중 경량화용 토류판
KR101951640B1 (ko) * 2018-05-08 2019-02-25 주식회사 카리스 토류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2892A1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770B1 (ko)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KR101327388B1 (ko) 휨 모멘트 및 정 모멘트 저항력 확대구조를 갖는 상하 2분할 조립식 피씨 구조물용 피씨 월
US7857552B2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KR101502055B1 (ko)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20100033453A (ko) 기능성 토류판
KR101213589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조립 방법
KR100290257B1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CN202323981U (zh) 活动房基础结构
JP2012011992A (ja)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KR101542602B1 (ko) 건축용 가설 흙막이시설
CN107761759B (zh) 一种l型混凝土挡墙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90015197A (ko) 토류판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CN107988994B (zh) 万向预应力生态景观组合护岸
CN203160530U (zh) 一种带肋钢筋混凝土预制构件
EP2072688A1 (en) Tenon joint type space lattice structure
ES2408238A1 (es) Sistema constructivo
CN111206616A (zh) 一种用于生态挡土墙的装配式墙砖及挡土墙
CN204185872U (zh) 一种新型建筑基础结构
JP5826699B2 (ja) 建築用ブロック、並びにそれを用いた壁構造および壁構造の形成方法
CN216690035U (zh) 一种装配式围墙用砌块及装配式围墙
KR101990548B1 (ko) 벽면보강 조립식 기둥
WO2017016184A1 (zh) 适用于地下室建造的围护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