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801B1 -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 Google Patents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801B1
KR101353801B1 KR1020110118859A KR20110118859A KR101353801B1 KR 101353801 B1 KR101353801 B1 KR 101353801B1 KR 1020110118859 A KR1020110118859 A KR 1020110118859A KR 20110118859 A KR20110118859 A KR 20110118859A KR 101353801 B1 KR101353801 B1 KR 10135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member
buffer
shock absorber
plate
sl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212A (ko
Inventor
유홍식
윤명호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부재에 연결되어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마련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복수의 상기 슬릿 중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제1평판과,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제2평판, 및 상기 제1평판과 상기 제2평판을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단면이 'H'형상 또는 'I'형상으로 마련되며, 웨브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평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평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에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단부의 한 쌍의 슬릿 각각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일측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의 개구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좌굴 내력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구조부재 완충장치에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부재 완충장치에만 변형이 발생되므로, 주요 구조부재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DAMPING DEVICE FOR STRUCTURAL MEMBER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경우, 태풍, 지진과 같은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해 영향을 받게 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한 횡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둥과 기둥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연결하는 구조부재, 즉, 하나의 기둥 상부와 다른 기둥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는 경사재인 가새(Brace)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건축물에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가새는 압축력 혹은 인장력을 받게 되지만, 압축력 혹은 인장력에 대해서도 내력이 저감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가새의 축방향 강성이 매우 크므로, 골조전체의 횡강성이 증가하여 안정된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가새는 탄성범위를 벗어난 영역, 즉, 좌굴 내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가새의 좌굴에 의해 가새가 받을 수 있는 내력은 급격하게 떨어지며, 기둥과 보와 같은 주요 구조부재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굴 내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여 기둥, 보 및 가새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 구조물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보수 보강 공사를 시행해야 하는데, 보수 보강 공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수 보강 공사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좌굴 내력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주요 구조부재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좌굴 내력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완충장치만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구조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대대적인 보수 보강 공사없이 완충장치만의 교체에 의해 구조물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보수공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완충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부재에 연결되어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마련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복수의 상기 슬릿 중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제1평판과,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제2평판, 및 상기 제1평판과 상기 제2평판을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단면이 'H'형상 또는 'I'형상으로 마련되며, 웨브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평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평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에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단부의 한 쌍의 슬릿 각각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일측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의 개구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에서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구조부재는 일측 기둥의 상부와 타측 기둥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는 경사재인 가새(Brace)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일측의 개구부가 상방향을 향하고, 타측의 개구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기둥과 보 및 구조부재를 구비한 철골구조로서, 상기 완충장치가 상기 구조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조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조부재가 상기 구조부재 완충장치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좌굴 내력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구조부재 완충장치에 하중이 집중되어 구조부재 완충장치에만 변형이 발생되므로, 주요 구조부재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변형이 발생된 구조부재 완충장치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구조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대대적인 보수 보강 공사없이 변형이 발생된 구조부재 완충장치만을 교체하는 것을 통해 보구공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은 완충부와 구조부재가 볼트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부재 완충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중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는 구조부재(2000)에 연결되어 구조부재(20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마련되는 완충부(100)와, 상기 완충부(100)의 일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200) 및 복수의 상기 슬릿(200) 중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에 마련되는 개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는 각종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부재에 있어서 다양한 하중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특히,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조 내부에 위치하여 골조의 횡강성 및 내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비좌굴 가새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완충부(100)는 구조부재(2000)에 연결되어 구조부재(20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완충부(100)는 구조부재(2000)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부(100)의 양측에 구조부재(200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조부재(20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완충부(100)에 집중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부재(20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부(100)는 휨이나 좌굴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지만, 상기 완충부(100)로의 하중 전달에 의해 상기 구조부재(2000)에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상기 완충부(100)만의 교체를 통해 구조물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00)에 연결되는 구조부재(2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기둥(3000)의 상부와 타측 기둥(3000)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는 경사재인 가새(Brace)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100)는 단면이 'H'형상 또는 'I'형상의 강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슬릿(200)은 웨브(110)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00)는 슬릿(200)으로부터 플랜지(1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슬릿(200)은 완충부(100)의 일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200)의 측면에는 스트럿(Strut)(210)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100)를 설계하는 경우, 지지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스트럿(210)의 높이와 폭, 웨브(110)의 두께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스트럿(210)의 높이와 폭에 대응하여 상기 슬릿(200)의 높이와 폭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200)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100)의 끝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슬릿(200a, 200b)에는 개구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개구부(300)는 복수의 슬릿(200) 중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a, 200b)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a, 200b)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100)의 단면이 'H'형상 또는 'I'형상의 강재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완충부(100)상의 웨브(110)에는 복수의 상기 슬릿(2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완충부(100)의 대향되는 양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200a, 200b), 즉, 완충부(100)의 양 쪽 끝부분에 형성된 각각의 슬릿(200a, 200b)에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슬릿(200a, 200b)으로부터 상기 완충부(100)상의 플랜지(120)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슬릿(200a, 200b)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완충부(100)에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구부(300)는 일측의 개구부(300)가 상방향을 향하고, 타측의 개구부(300)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를 통해 횡방향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300)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힘의 전달이 단절되므로, 상기 개구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부분을 통해서 힘이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200) 중 좌측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a)의 상부에 개구부(300)가 형성된 경우라면, 하중은 상기 완충부(100) 중 개구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하부를 통해서 전달된다(F2).
여기서, 상기 완충부(100)의 좌측에서는 상기 하중과 중심점과의 거리(L2)에 의해 하부에서만 모멘트(F2×L2)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릿(200) 중 우측 단부에 형성된 슬릿(200b)의 하부에 개구부(300)가 형성된 경우라면, 하중은 상기 완충부(100) 중 개구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를 통해서 전달된다(F1).
여기서, 상기 완충부(100)의 우측에서는 상기 하중과 중심점과의 거리(L1)에 의해 하부에서만 모멘트(F1×L1)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00)의 좌측 하부와 상기 완충부(100)의 우측 상부에서 발생되는 모멘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완충부(100)의 스트럿(210)에서 휨변형이 발생된다.
즉,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하중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에 집중되어 휨변형이 발생하도록 설계되며, 이에 의해, 구조물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부재(2000)인 기둥(3000) 및 보(4000) 등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또는 도2 를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완충부(100)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구조부재(20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가 상기 구조부재(20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와 상기 구조부재(2000)는 용접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용접으로 연결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에 휨변형이 발생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교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와 상기 구조부재(2000)를 볼트(430)와 너트(440)를 통해 연결하여, 교체가 용이해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구조부재(2000)에 연결되는 제1평판(410)과 상기 완충부(100)에 연결되는 제2평판(420)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평판(410)과 상기 제2평판(420)이 볼트(430)와 너트(440)로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평판(410)은 상기 구조부재(2000)의 측면에 용접으로 연결하게 되고, 상기 제2평판(420) 역시 상기 완충부(100)의 측면에 용접으로 연결하게 되며, 이 후, 상기 제1평판(410)과 상기 제2평판(420)을 볼트(430)와 너트(440)로 각각 연결하게 된다.
이하,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를 이용하는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3000), 보(4000) 및 구조부재(2000)를 구비한 철골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부재(2000)는 일측 기둥(3000)의 상부와 타측 기둥(3000)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는 경사재인 가새(Brace)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가 상기 구조부재(200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조부재(20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와 상기 구조부재(2000)는 제1평판(410)과 제2평판(420)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00)에 의해 볼트(430) 및 너트(440)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는 상기 구조부재(20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조부재(2000)는 상기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부재(2000)가 'H'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 역시 'H'형성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조부재 완충장치(1000)의 양 측면에 상기 구조부재(2000)가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완충부 110 : 웨브
120 : 플랜지 200 : 슬릿
210 : 스트럿 300 : 개구부
400 : 연결부 410 : 제1평판
420 : 제2평판 430 : 볼트
440 : 너트
1000 : 구조부재 완충장치 2000 : 구조부재
3000 : 기둥 4000: 보

Claims (9)

  1. 구조부재에 연결되어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도록 마련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일측에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
    복수의 상기 슬릿 중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슬릿에 마련되는 개구부; 및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제1평판과,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제2평판, 및 상기 제1평판과 상기 제2평판을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단면이 'H'형상 또는 'I'형상으로 마련되며, 웨브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완충부의 양 끝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상기 제2 평판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평판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에 모멘트가 작용할 수 있도록 대향되는 단부의 한 쌍의 슬릿 각각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일측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의 개구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구조부재는 일측 기둥의 상부와 타측 기둥의 하부를 대각선으로 잇는 경사재인 가새(Brace)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일측의 개구부가 상방향을 향하고, 타측의 개구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
  6. 삭제
  7. 삭제
  8. 기둥과 보 및 구조부재를 구비한 철골구조로서,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부재 완충장치가 상기 구조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조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구조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구조부재가 상기 구조부재 완충장치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부재 완충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
KR1020110118859A 2011-11-15 2011-11-15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KR10135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59A KR101353801B1 (ko) 2011-11-15 2011-11-15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859A KR101353801B1 (ko) 2011-11-15 2011-11-15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12A KR20130053212A (ko) 2013-05-23
KR101353801B1 true KR101353801B1 (ko) 2014-01-22

Family

ID=4866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859A KR101353801B1 (ko) 2011-11-15 2011-11-15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86B1 (ko) * 2014-01-23 2015-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개부를 갖는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88A (ja) * 1999-01-07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鋼製制震ダンパ―および鋼製制震ダンパ―による制震装置
KR101144596B1 (ko) * 2009-06-18 2012-05-14 디피알파트너 주식회사 슬릿강판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788A (ja) * 1999-01-07 2000-07-25 Sumitomo Metal Ind Ltd 鋼製制震ダンパ―および鋼製制震ダンパ―による制震装置
KR101144596B1 (ko) * 2009-06-18 2012-05-14 디피알파트너 주식회사 슬릿강판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786B1 (ko) * 2014-01-23 2015-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절개부를 갖는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내진 보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12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078B1 (ko) 접합 철물 및 이것을 구비한 건축물
KR101164413B1 (ko) 마찰재를 이용한 중약진 지진용 강성증대형 비좌굴가새
KR101305882B1 (ko) 건물의 병렬 전단벽
KR101122319B1 (ko) 2차 브레이스를 구비한 제진용 댐퍼 및 그를 적용한 가새골조
KR100995937B1 (ko)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JP2017150179A (ja) 減振構造を有する柱梁構造
CN205046755U (zh) 一种损伤可控震损可修的钢柱
KR101344813B1 (ko) 기둥-보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CN105178509A (zh) 一种损伤可控震损可修的钢柱
KR101406485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물 및 접합방법
KR100931317B1 (ko) 스트럿 및 타이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967438B2 (ja) 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
KR100765719B1 (ko) 철골구조물용 가새의 보강구조
KR101503711B1 (ko) 파일과 조립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
KR101353801B1 (ko) 구조부재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구조물
JP6680005B2 (ja) 鉄骨梁および柱梁接合構造
JP5404679B2 (ja) せん断ダンパー
KR101165442B1 (ko)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지붕시스템
CN108978924B (zh) 一种带有可更换功能的拉压加载型软钢阻尼器
KR102083066B1 (ko) 고감쇠 고무 및 변형 유도 강재봉이 구성된 복합댐퍼를 포함한 프레임형 제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20200065414A (ko) 접합 댐퍼구조물 및,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물
JP6717636B2 (ja) 制振装置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JP6976653B2 (ja) 耐軸力部材
JP6265422B2 (ja) 補強構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