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802B1 -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02B1
KR102420802B1 KR1020197012260A KR20197012260A KR102420802B1 KR 102420802 B1 KR102420802 B1 KR 102420802B1 KR 1020197012260 A KR1020197012260 A KR 1020197012260A KR 20197012260 A KR20197012260 A KR 20197012260A KR 102420802 B1 KR102420802 B1 KR 10242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ending
main body
skate
ska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162A (ko
Inventor
날도 토마스 디
크리스토퍼 니드함
마이클 곰
크리스 라우리드센
Original Assignee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5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 A63C1/28Pivotally-mounted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63C1/32Special constructions of the simple bla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8Skates of the tubula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40Skates manufactured of one pie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35)는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측면상에 하향력(8)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 및 지면에 평행하게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그것의 측면상에 유지하는 고정 구조(10, 15)를 갖는 일체형 바디(1)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정 구조는 블레이드 상에 첨가되는 첨가된 곡률 반경을 변화시키는 이동가능한 앤빌(15)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표시정보(29)는 프로세스가 상이한 블레이드상에서 반복 가능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앤빌(15)을 위치 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향력(8)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과 함께 사용되는 핸들(14)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하향력(8) 및 앤빌(15)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은 더 많은 다용성을 위해 유사한 구조의 다른 형상과 상호 교환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9 월 29일 출원된 U.S. 가특허 출원 번호 62/401,59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고로 동일하게 인용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에서 설명된 발명은 아이스 스케이팅 액세서리의 전반적인 분야에 관한 것으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커브진 스피드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Edmund W. Ling을 발명자로 한 1994년 1 월 1 일 발행된 미국 특허 # 5,320,368에서 처음 논의되었다. 이 특허는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에 대한 반경 및 벤딩의 조합을 개시하고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측면 벤딩에 대한 몇 가지 장점에 대해 논하고 있다.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스틸 블레이드가 튜브의 한쪽면에 장착되고 알루미늄 장착 "컵(cup)” 또는 "암(arm)"이 부츠의 장착 및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튜브의 반대쪽면에 부착되어 알루미늄 또는 스틸 길이 방향 관형 구조(tubular structure)로 제조된다.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의 두개의 일반적인 유형이 있고, 하나는 111m 스케이팅 트랙에 쇼트 트랙 스케이팅을 위해 지정되고, 다른 것은 400m 스케이트 트랙에서 롱 트랙 스케이팅을 위한 것이다. 쇼트 트랙 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디자인된다. 쇼트 트랙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마운트는 스케이터의 선호에 따라 부츠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다른 높이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다. 가장 인기있는 롱 트랙 블레이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의 뒤꿈치에 고정되지 않은 힌지된 암(34)상의 블레이드 앞꿈치의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디자인되고, 스케이팅하는 동안 힌지가 닫힐 때 발생하는 클랩핑 사운드(clapping sound) 이후에 통상 "클랩 스케이트(clap skate)"으로 지칭된다. 도 2b는 클램 암의 움직임을 예시한다. 이 디자인은 얼음과의 더 긴 접촉 및 더 많은 속도가 스케이터에 의해 생성되도록 한다. 롱 트랙 스케이트의 힌지된 클램 암 디자인은 스포츠 규제 단체인, 국제 스케이트 연맹(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규정에 따라 쇼트 트랙 스케이트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스피드 스케이트 경주는 일반적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수행된다. 안정성과 스케이팅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케이트 부츠와 블레이드는 전형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는 부츠에 왼쪽에 오프셋을 두고 장착되며, 일부 블레이드는 지지 구조에서 왼쪽에 위치된다. 블레이드 러너 표면(runner surface)은 일반적으로 스케이트 링크의 치수와 스케이터의 경험 수준을 보완하는 반경 또는 "로커(rocker)"로 조정된다. 초보 스케이터에 적용되는 반경은 정상적으로 단일 반경이지만, 반면에 전문가 레벨 스케이터는 또한, 복합 반경으로 지칭되는 블레이드 표면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는 다수의 반경으로 구성된 복잡한 커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선택된 로커는 블레이드의 뒤꿈치와 앞단(toe) 부분에서 더 커브져 있으며 블레이드의 중심쪽으로 더 평평하다. 블레이드의 중심 부분은 레이싱 코스의 회전 반경보다 더 많이 커브지는 경향이 있다.
블레이드의 러너 표면에 반경을 적용하는 것 외에도, 전문 스케이터의 블레이드는 반 시계 방향으로만 스케이팅을 활용하기 위해 왼쪽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복합 반경을 사용하는 스케이터의 경우, 블레이드에 적용된 벤딩이 반경에 따라 변경되어 블레이드의 얼음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그립(grip)이 증가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스케이터가 블레이드 의 해당 섹션에 체중을 인가하기 때문에 더 급격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블레이드의 발가락과 뒤꿈치 부분에 더 작은 반경이 적용되고 중심에 더 평평한 반경을 가진 스케이터의 경우, 발가락과 뒤꿈치 부분에서 블레이드가 더 많이 벤딩될 때, 스케이터가 블레이드의 발가락이나 뒤꿈치 섹션에 더 많은 체중을 인가할 때, 블레이드는 더 빨리 회전하여 스케이터가 궤도를 보다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벤딩은 블레이드가 "제대로된 것처럼 보일(looked right)" 때까지 또는 "제대로된 것처럼 느껴질(felt right)" 때까지 말렛(mallet), 바이스(vise) 또는 유사한 공구로 역사적으로 이루어졌다. 벤딩 프로세스는 블레이드 러너가 더 섬세하고 튜브가 적용된 커브를 잘 유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러너보다는 블레이드의 튜브에 적용된다. 스케이터의 체중이 앞으로 움직일 때 블레이드가 더 예리하게 회전하도록 블레이드의 앞단이 벤딩될 수 있다. 스케이터의 체중이 뒤로 움직일 때 블레이드가 더 급격하게 회전하도록 블레이드의 뒤꿈치가 벤딩될 수 있다. 전체 블레이드는 얼음 접촉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매끈한 원호(arc)로 벤딩될 수 있거나 스케이터가 압력을 가하는 블레이드의 부분에 따라 선회 효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가변적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말렛과 바이스로 수행할 때 이 프로세스에서 예측 가능성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스케이터는 종종 이런 방식으로 벤딩된 블레이드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것을 주저했다.
1990 년대 중반에, 호주, 데니스 페닝 턴 블레이드 벤딩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공구를 만들었다. 페닝턴 블레이드 벤더(Pennington Blade Bender)는 블레이드에 벤딩을 적용하는 보다 예측 가능한 방법을 개발했다. 사용자는 레버 암에 압력을 가하고 두 개의 앤빌 유사(anvil-like) 표면 사이에서 블레이드의 일부를 구부릴 수 있었다. 앤빌은 슬라이딩 트랙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었으며 벤딩되는 영역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폭이 조정될 수 있다. 앤빌 위에 장착된 레버-암에 부착된 것은 블레이드 튜브 홀더의 둥근면과 같은 에지에 반경이 있는 원형 디스크였다.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프레서 디스크가 블레이드의 튜브에 눌려졌고, 블레이드의 해당 섹션에 벤딩이 생겼다. 레버 암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수록 더 많은 벤딩이 블레이드에 가해졌다. 페닝턴 벤더의 장점은 벤딩 작업의 반복성, 보다 일관된 벤딩 결과를 포함하고, 디바이스는 휴대 가능하고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것이다.
오늘날 여전히 사용중인 페닝턴 디자인은 그것들이 사용 동안에 고정물(fixture)에 인가되는 압력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비틀림 강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어지거나 마모되는 부품들과 함께 볼트로 결합된 메인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는 디바이스가 조기에 성능이 저하되고 신뢰할 수 없게 되어 사용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으로 귀결된다. 메인 구조의 형상은 또한 블레이드 러너 표면이 블레이드 에지를 잠재적으로 손상시키는 프레임에 쉽게 접촉하게 한다. 앤빌의 형상은 블레이드 튜브가 들어 있는 중심에서 매우 작은 반경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 각도가 있다. 앤빌의 반경을 초과하여 블레이드를 구부리면, 블레이드의 튜브가 앤빌의 에지와 접촉하여 튜브가 비틀어지고 이는 튜브의 세기를 약화시키고 심미적으로 눈에 거슬린다. 앤빌의 장착 시스템은 앤빌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현재의 스케이트 블레이드 또는 향후의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상이한 튜브 형상을 수용하기 위해 대체 형상의 앤빌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페닝턴 벤더의 가장 최근의 실시예는 벤더가 메인 구조의 길이 방향 평면 상에서 뾰족하게 되어, 벤더의 의도된 사용을 어렵게 하는 점에서, 사용될 때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더 긴 레버 암을 갖는다.
2000년 초에, 네덜란드의 Zandstra Sport B.V.는 블레이드의 튜브가 아닌 러너 표면상에 사용되도록 디자인된 벤더를 출시했다. 그것은 움직일 수 있는 앤빌과 둥근 프레서 표면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페닝턴 블레이드 벤더와 비슷한 디자인이었다. 잔드스트라(Zandstra) 블레이드 벤더의 앤빌은 페닝턴 벤더와 같은 트랙 대신 바(bar)에 장착되었으며, 프레서 표면은 롤러 베어링 어셈블리의 외부 베어링 레이스(race)였다. 잔드스트라 블레이드 벤더는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 블레이드에서만 사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이 디자인은 도 2b에 도시된 힌지 장착 구조의 강성 때문에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롱 트랙 스케이트에서 블레이드의 앞꿈치 섹션의 아래 영역을 구부리기가 어렵다는 것을 특별히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잔드스트라 블레이드 벤더는 쇼트 트랙 유형 블레이드에 사용하도록 디자인되지 않았다. 앤빌 장착 디자인은 앤빌을 쉽게 조정할 수 있지만, 앤빌은 대체 형상으로 교체할 수 없으며 앤빌의 모양은 튜브가 아닌 블레이드 러너에서 작동하도록 특별히 디자인 되었기 때문에 평평하였다. 평평한 디자인은 레버 암에 너무 많은 힘이 인가되면 블레이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2003 년에, Michel Beaudoin은 PCT 출원 번호 PCT/CA02/00974에서 새로운 스케이트 벤딩 장치에 대해 논의했다. Mr. Beaudoin의 발명은 더 복잡하다는 점에서 페닝턴 블레이드 벤더와 잔드스트라 블레이드 벤더와는 상당히 복잡한 출발점이었다. Mr. Beaudoin의 디자인은 롤러 휠, 노브, 레버, 핸드 크랭크 및 다이얼 표시기를 사용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매끈한 벤딩을 적용할 수 있게 했다. 잔드스트라 디자인으로 블레이드의 특정 영역에서 벤딩을 조정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더욱 복잡해 졌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이용 가능한 벤더보다 더 무겁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 해당 디자인은 또한 롱 트랙 블레이드 벤딩을 허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장거리 마운팅 암을 고정하는 롱 트랙 블레이드 힌지 장착 메커니즘을 위한 롤러 휠에 간극이 없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이 디자인은 압력이 가해질 때 블레이드가 어떻게 구부러졌는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능력을 제거했다. 블레이드는 제조업체마다 다르며, 심지어 동일 제조업체의 배치(batch)마다 변하기 때문에, 디바이스가 블레이드에 수행하는 작업을 식별하기 위한 다이얼 표시기 번호만 단지 갖는 것은 반직관적인 방식으로 이 시나리오의 성과에 일관성을 제공하기에는 불충분했다. 이것을 예시하기 위해, 페닝턴 벤더는 압력을 계측하기 위해 다이얼 표시기를 설치하는 설비를 구비했지만 매우 작은 사용자가 언급된 이유 때문에 사용하였다. 더욱이, Mr. Beaudoin의 디자인은 블레이드가 그의 기계를 통과하기 위해 부츠와 분리되는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스케이터 스케이트를 셋업의 많은 부분이 부츠상에 블레이드의 양호한 오프셋 배치를 찾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부츠에서 블레이드를 제거할 때, 재 조립하는 동안 블레이드를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로 돌려 놓기가 종종 어렵다. 또한, 제거 및 재 조립은 시간 소모적이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해당 디자인이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따라서, 개선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벤딩하기 위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실시예가 본 출원에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세장형(elongated) 구성을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얼음과 같은 활주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 섹션 및 스케이트 부츠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부착 섹션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러너로 정의된다.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또한 블레이드 길이 방향 축, 블레이드 제 1 측부 표면 및 블레이드 제 2 측부 표면을 정의한다. 벤딩 장치는 하나로 된(one-piece) 프레임; 미리 결정된 압력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에 전체적으로 수직인 압력 방향으로 스케이트 블레이드 상에 벤딩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프레임에 부착된 압력 인가 수단; 압력 위치에 대하여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벤딩하기 위해 압력 인가 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벤딩 압력을 허용하도록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국부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에 부착된 블레이드 고정 수단 및 사용자가 압력 인가 수단에 힘을 더 정밀하게 인가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 디자인 내의 일체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고정 수단은 수직 배향에서 압력 위치에 대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길이 방향 조절 가능한 구속 위치들이다. 고정 수단은 압력이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평면에 가해지는 영역을 지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압력이 압력 위치에 가해질 때,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부착 섹션에서, 고정 수단은 일반적으로 압력 방향에 평행한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이동을 국부적으로 억제하여, 스케이트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구속 위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한다. 고정 동작 및 블레이드 편향의 결과는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벤딩을 허용한다. 고정 수단은 블레이드 부착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벤딩 압력의 정확한 적용을 허용하는 압력의 인가 동안 블레이드 부착 표면을 따라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양태의 몇몇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의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쉽고, 편리하고 반복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고,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벤딩 동작 및 사용자 구성 선호를 위해 용이하게 조정되고, 쉽게 운반되며, 매력적인 외관을 갖는 블레이드 벤딩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양태의 다른 장점은 도면 및 후속하는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 중요한 특징들은 이하의 더 상세한 설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 대한 본 기여가 더 잘 이해될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다음의 청구 범위의 주제를 형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많은 양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로부터 나타나며, 동일한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에서 설명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컴포넌트의 구성 및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많은 방법으로 실시되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당업자는 본 개시가 기초로 한 개념이 본 발명의 몇몇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을 디자인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러한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부츠의 앞꿈치 영역에 부착된 힌지된 "클랩 암" 메커니즘을 예시하는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힌지된 "클랩 암" 메커니즘의 움직임을 예시하는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분해 조립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승된 레버 암을 구비한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대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길이 레버 암의 잠재적인 조정 방법을 상술한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대안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배면의 대안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대안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도시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컴포넌트 중 일부에 의해 벤딩된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예시하고, 제거된 섹션들이 있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섹션이 제거된 부분 정면도이고, 도면들 전체에 도시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일부인, 프레서와 앤빌 엘리먼트 사이에서 압착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앤빌 컴포넌트의 대체 구성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앤빌 컴포넌트의 대체 구성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앤빌 컴포넌트의 추가 대안 구성의 전방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설명된 실시예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일부 가능한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면 - 참조 번호 목록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서 이하의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1 메인 바디
2 메인 바디 베어링(후면)
3 메인 어셈블리 핀
4 메인 바디 베어링(전면)
5 레버 암 마운트 와샤
6 레버 암 마운트
7 도웰 핀
8 프레서 휠
9 프레서 휠 베어링
10 프레서 휠 어셈블리
11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
12 레버 암
13 레버 암 핸들
14 레버 암 어셈블리
15 앤빌
15a 대체 앤빌
15b 제 2 대체 앤빌
16 메인 바디 풋
17 도웰 핀 홀
18 메인 어셈블리 핀 홀
19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 홀
20 레버 암 홀
21 메인 어셈블리 핀 정렬 슬롯
22 앤빌 보유 핀
23 앤빌 트랙
24 앤빌 보유 슬롯
25 앤빌 설치 릴리프 지점
26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 공구 홀
27 리세스된 영역
28 핸드 그립 레일
29 눈금(Graduation Marks)
30 공구 피팅 영역
31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32 롱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33 블레이드 레일 지지체 (튜브)
34 클랩 스케이트 힌지 암
35 블레이드 벤딩 장치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벤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a", "an” 및 "the" 라는 용어는 내용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벤딩 장치는 도면들 1 및 2a에 도시된 예들과 같은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31) 또는 롱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32)를 벤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이트 블레이드(31 및 32)은 일반적으로 세장형 레일 유형 지지체(33)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 블레이드 부츠로 지칭되는 부츠를 부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러너 컴포넌트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속품(appendage) 및 장착 지점들을 갖는 전형적으로 원통형 튜브 형상이다. 블레이드 튜브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또는 러너의 상단 부분을 블레이드 튜브의 일 측면 상에 유지하고 보유하도록 된 슬롯(slot), 및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부츠에 부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튜브의 반대편 측면에 부착된 "컵(cup)” 또는 "암(arm)"으로 지칭되는 장착 플랫폼(들)을 갖는다. 도면들 1 및 도 2a에 도시된 쇼트 트랙 블레이드(31) 및 롱 트랙 블레이드(32)는 블레이드 벤딩 장치로 벤딩할 수 있는 각 유형의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양한 구성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스케이트 블레이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치된 관련 러너 또는 부착 컴포넌트를 갖고 그리고 갖지 않은 블레이드 부착 섹션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는 도 4의 분해도로 도시된다. 메인 바디 베어링(후면)(2)과 메인 바디 베어링(전면)(4)이 메인 바디(1)에 삽입된다. 메인 어셈블리 핀(3)이 메인 바디(1)에 삽입된다. 레버 암 마운트 와샤(washer)(5)가 메인 어셈블리 핀(3)에 놓여진다. 도웰 핀(dowel pin)(7)이 레버 암 마운트(6)에 도웰 핀 홀(17)에 삽입된다. 레버 암(12)은 레버 암 핸들(13)에 설치되어 조정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를 형성한다. 레버 암 마운트(6)가 메인 어셈블리 핀(3)에 설치되어 레버 암 홀(20)이 메인 어셈블리 핀 정렬 슬롯(21)과 정렬된다. 조정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는 메인 어셈블리 핀 정렬 슬롯(21)에 대해 조여질 때까지 레버 암 홀(20)에서 레버 암 마운트(6)에 설치된다. 프레서 휠 베어링(9)은 프레서 휠(8)에 설치되어 프레서 휠 어셈블리(10)를 형성한다. 프레서 휠 베어링(9)을 통해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 홀(19)에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11)을 삽입함으로써 프레서 휠 어셈블리(10)를 레버 암 마운트(6)에 부착한다. 메인 바디(1)의 각각의 코너의 바닥에 하나의 메인 바디 풋(16)을 설치한다. 앤빌 설치 릴리프 지점(25)에서 앤빌 트랙(23)의 앤빌 보유 슬롯(24)에 각각의 앤빌(15)의 앤빌 보유 핀(22)을 삽입함으로써 두개의 앤빌(15)을 메인 바디(1)상에 설치한다. 눈금의 라인(29)은 앤빌(15)의 배치 및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앤빌 트랙(2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메인 바디의 겉면(face)상의 리세스된 영역(27)은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 표면과 메인 바디(1)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 실시예의 메인 바디(1)는 알루미늄 및 재료의 고체 블록으로 기계 가공된 컴퓨터 수치 제어로 제조될 수 있지만, 제한되지는 것은 아니지만 합금, 플라스틱, 합성물 예컨대 탄소 섬유 등을 포함하는 다른 재료 및 방법도 또한 적절하다는 것을 현재 고려한다.
베어링(2, 4 및9)은 디자인에서 고체로 청동으로 만들어 지지만, 볼, 바늘 등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베어링과 같은 다른 재료도 적합하다는 것을 현재 고려한다.
레버 암(12), 레버 암 마운트(6), 도웰 핀(7), 프레서 휠 어셈블리 핀(11) 및 메인 어셈블리 핀(3)은 스틸로 제조되지만, 그러나 다른 재료들도 적합하다는 것을 현재 고려한다.
레버 암 핸들(13)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지지만, 다른 재료도 적합하다는 것을 현재 고려한다.
현재 나사식 컴포넌트 부품들(12 및 13)을 사용하여 레버 암의 유효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레버 암 어셈블리(14)가 조정될 수 있지만 다른 메커니즘들 예컨대, 고정 나사, 스프링 로드된 멈춤쇠 어셈블리, 서보 모터 등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프레서 휠 어셈블리(10)은 레버 암 어셈블리(14)와 수동으로 동작되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압, 유압 및 스크류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프레서 휠 어셈블리(10)를 통해 힘을 전달하는 다른 기계적 제어 수단이 또한 적절하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앤빌(들)(15, 15a, 15b)이 열처리된 스틸으로 만들어 지지만, 다른 재료도 적합하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메인 바디 피트(feet) (16)가 고무로 만들어지고 나사식 파스너들과 부착되지만, 다른 재료 및 파스닝 메커니즘이 적합하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리세스된 영역(27)이 블레이드 러너 표면에 대한 손상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얇은 보호 고무 코팅을 포함하지만, PTFE,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다른 재료 또한 적합하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또한, 이 코팅재의 추가는 선택 사항이지만 유리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눈금(29)은 메인 바디(1)의 알루미늄 표면에 에칭되지만 이들 마크들은 CNC 기계 가공, 스크린 인쇄, 표면 라벨링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또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현재 고려된다. 또한, 눈금은 순전히 절차를 반복 가능한 프로세스로 만들기 위한 것이며, 문자, 숫자 또는 기타 기호로 적절하게 지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 벤딩 장치는 이하의 방법으로 그 결과를 달성한다(도면들 3, 14-16) :
사용자는 먼저 앤빌 레일 트랙(23)을 따라서 두 개의 위치 가능한 앤빌(15)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앤빌(15)은 프레서 휠(8)의 중심선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치된다. 눈금(29)은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앤빌(15)의 배치를 위해 반복 가능한 위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앤빌(15)의 위치 결정 후에,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러너가 리세스된 영역(27)을 마주하도록 배향되게 앤빌(15)과 프레서 휠(8)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블레이드 튜브(33)는 앤빌(15)의 상부에 위치되어 블레이드의 면적은 프레서 휠(8) 아래에서 중심에 있도록 벤딩된다.
블레이드 벤딩 장치의 사용자는 조절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에 사용자의 압력 인가에 의해 수평 평면에서 스케이트 블레이드 튜브에 벤딩력을 인가하고, 이는 결국 사용자 지정 영역에 스케이트 블레이드 튜브(33)에 대하여 프레서 휠 어셈블리(10)를 가압한다. 두개의 위치 가능한 앤빌(15)은 사용자 결정 위치에 프레서 휠(8)의 중심선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다. 두개의 위치 가능한 앤빌(15)은 압력의 인가 동안에 스케이트 블레이드 튜브 (33)의 하부를 지지하고 뿐만 아니라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두 개의 위치 가능한 앤빌(15)은 추가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록, 스케이트 블레이드 튜브의 더 넓은 영역이 벤딩된다. 두 개의 위치 가능한 앤빌(15)이 서로 가깝게 위치할수록 스케이트 블레이드 튜브의 좁은 영역이 벤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조절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레버 암에 의해 생성된 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 길이는 레버 암(12)의 공구 피팅(fitting) 영역(30)에 적절한 공구를 배치하고, 그런 다음 레버 핸들(13)를 돌림으로써 조정된다. 레버 핸들(13)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어셈블리의 길이가 줄어든다. 레버 핸들(13)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어셈블리의 길이가 늘어날 것이다(도 7).
조정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에 압력을 인가하는 동안, 사용자는 도 8,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의 상부 백 사이드에 핸들 그립 레일(28)을 사용할 수 있다. 핸드 그립 레일은 추가로 레버 암에 인가되는 힘의 양에 대하여 유저에게 피드백을 허용한다. 핸드 그립 레일(28)은 또한 블레이드 벤더 장치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레버 암 개념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 아래는 조정 가능한 레버 암을 달성하기 위한 몇 가지 대체 방법를 열거한 것이다 :
ㆍ 레버 암(12)은 암형 슬롯과 레버 암 핸들(13), 매칭 숫형 리지(ridge)와 고정 나사를 구비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핸들(13)이 레버 암(12)을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슬라이딩되고 그런 다음 고정 나사와 제 위치에 잠금되는 것을 허용한다.
ㆍ 레버 암(12)은 암형 멈춤쇠 디보트, 레버 암 암 핸들(13), 매칭 숫형 멈춤쇠 스프링 및 볼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핸들(13)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레버 암(12) 길이를 허용하고 스프링 및 볼 메커니즘에 의해 제 위치에 잠금된다.
ㆍ 레버 암(12)과 레버 암 핸들(13)은 랙과 피니언 어셈블리와 배터리 작동식 마이크로 서보 모터를 구비하여 레버 암(12) 의 길이를 따라 원하는 사용자 위치로 핸들을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앤빌(15)과 오목한 프로파일을 프레서 휠(8)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끈하고 평평한(15a) 프로파일로 교환되어 원하면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용이한 벤딩을 허용하도록 평평한 블레이드 러너 부착 표면에 벤딩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적절히 앤빌(15) 및 프레서 휠(8)의 반경에 맞지 않는 블레이드를 가진 경우, 이들 부품들은 도 16-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반경, 절반 반경, 평평한 형상 등을 구비한 대안 컴포넌트로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도 17(15a) 및 도 18(15b)에 도시된 예들은 가능한 형상의 서브셋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앤빌(15) 및 프레서 휠8)은 스케이트 블레이드 마무리 표면 훼손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의, 상이한 재료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앤빌(15) 및 프레서 휠(8)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재료, 크기 및 상호 연결이 모든 컴포넌트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독자는 다양한 실시예의 블레이드 벤딩 장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블레이드 길이로, 더 길게 또는 더 작은 것에 대해,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벤딩 동작 및 사용자 구성 선호를 위해 쉽게 조정되고, 쉽게 운반되며, 장치의 대체를 요구하지 않고 새로운 블레이드 디자인들에 쉽게 개조될 수 있고, 매력적인 외관을 갖는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의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벤딩하기 위해 쉽고, 정확하며, 편리하고 반복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블레이드 벤더 장치의 몇몇 실시예의 많은 장점이 명백해진다 :
(a) 메인 바디(1)의 하나로 된 구성(one-piece construction)은 중량 감소 및 실질적으로 증가된 세기를 허용한다. 메인 바디(1)가 사용에 실패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b) 독립적으로 위치가능한 앤빌(15)이 벤딩 동작이 수행되는 방식에 더 큰 호릅 조절을 허용한다.
(c) 다른 형태의 가능성을 갖는 착탈 가능하고 교체 가능한 앤빌(15) 및 프레서 휠(8)은 벤더가 장치의 교체 필요없이 현재 및 향후 스케이트 블레이드 디자인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 눈금은 쉽게 반복 가능한 벤딩 작업을 허용한다.
(e) 리세스된 영역(27)과 결합된 메인 바디(1)의 개방 디자인은 사용자가 블레이드 러너 표면의 손상의 위험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립된 스케이트에 작동할 수 있다.
(f) 조정 가능한 레버 암 어셈블리(14)은 레버 암에 의해 생성된 압력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하여 디바이스를 필요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g) 메인 바디(1)에 내장된 핸들 그립 레일(grip rail) (28)은 보다 정밀한 압력 인가를 위해 레버 암 어셈블리(14)를 사용 동안 추가적인 운영자 피드백을 허용한다.
(h) 메인 바디(1)에 내장된 핸들 그립 레일(28)은 이동이 필요할 때 벤더를 한 손으로 안전하고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설명은 많은 구체적인 예를 포함하지만, 이들은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단지 몇몇 실시예 중 일부의 예증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는 원형, 사다리꼴,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레버 암 마운트 및 앤빌은 마찬가지로 다른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범위는 주어진 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 및 법적 등가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산업용 응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아이스 스케이팅 산업에 사용되는 주된 목적으로 산업에서 제조되고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벤딩하기 위한 벤딩 장치로서,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연장된 레일 유형 지지체 및 블레이드 러너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 장치는,
    하나로 된(one-piece) 메인 바디 구조로서, 상부, 바닥, 전방(front), 상기 메인 바디 구조의 후방(back)에 상단 리지(upper ridge)를 갖는 상기 후방을 구비한, 상기 메인 바디 구조;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상기 메인 바디 구조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 구조의 상기 전방을 따라서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고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메인 바디 구조에 대해 반복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기 고정 구조; 및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힘 방향으로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 상에 벤딩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메인 바디 구조에 부착되어 하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지는 상기 장치의 편리한 운반을 위해 한 손 작동 동안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 및 또한 핸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벤딩 압력에 대한 촉각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벤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력을 인가하는 수단은 프레서 어셈블리(presser assembly)를 구비한 레버(lever)이고, 상기 프레서 어셈블리는 또한 상기 고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로서 기능하는, 벤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어셈블리는 기계적 이점의 최적화를 위해 조절 가능한, 벤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구조는 상기 하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수평으로 인접한 전체적으로 오목한 영역과,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대한 접촉 및 손상을 방지하는 상기 고정 구조를 더 포함하는, 벤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하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 아래에 사용자가 정의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폭 만큼 떨어져 위치될 수 있는 한 쌍의 구속 앤빌(restraining anvil)을 포함하는, 벤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앤빌 및 상기 하향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은 상이한 형상의 블레이드에 대한 적응성을 제공하기 위해 최적으로 합치하게 형상화된 컴포넌트 부품과 용이하게 상호 교환될 수 있는, 벤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반복 가능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위치 선정 스케일(positioning scale)을 더 포함하는, 벤딩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메인 바디 구조에 삽입 및 제거 수단을 작동하기에 용이하게 상기 메인 바디 구조에 부착되는, 벤딩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7012260A 2016-09-29 2017-09-29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KR10242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01597P 2016-09-29 2016-09-29
US62/401,597 2016-09-29
PCT/US2017/054577 WO2018064616A1 (en) 2016-09-29 2017-09-29 Ice skate blade ben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62A KR20190054162A (ko) 2019-05-21
KR102420802B1 true KR102420802B1 (ko) 2022-07-13

Family

ID=6176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260A KR102420802B1 (ko) 2016-09-29 2017-09-29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33945B2 (ko)
EP (1) EP3624909A4 (ko)
KR (1) KR102420802B1 (ko)
CN (1) CN109996588B (ko)
CA (1) CA3038980C (ko)
WO (1) WO2018064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2779S1 (en) * 2017-09-29 2020-01-14 Mayflower Inductries, LLC Ice skate blade bending apparatus
NL2021395B1 (en) * 2018-07-25 2020-01-31 Schaatsenfabriek Viking B V Clap sk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110A (ja) 2004-02-09 2005-08-18 Yutaka Giken Co Ltd パイプの曲げ加工方法及び曲げ加工装置
US20080184758A1 (en) 2007-02-06 2008-08-07 Bulle Marshall R Acute angle metal stock bend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0080A (en) * 1966-06-23 1969-01-07 Applied Science Lab Inc Coiling device
US3822578A (en) * 1973-01-24 1974-07-09 Breton L Le Pipe bending devices
US5320368A (en) * 1993-02-26 1994-06-14 Lang Edmund W Curved speed skate blade
NL1000493C2 (nl) * 1995-06-02 1996-12-03 Geert Wemmenhove Versterkt langwerpig metalen lichaam.
US6298704B1 (en) * 2000-05-31 2001-10-09 Juno Manufacturing, Inc. Portable bending apparatus having transaxial workpiece loading
GB0115547D0 (en) * 2001-06-26 2001-08-15 Beaudoin Michel Skate blade curving device
US20050130571A1 (en) * 2003-12-16 2005-06-16 August Sunnen Self-centering skate holder
US9003859B2 (en) * 2011-04-01 2015-04-14 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 Bending instrument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16054029A1 (en) * 2014-09-29 2016-04-07 Innovasis Development Partners, Llc Articulating rod bender and cut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110A (ja) 2004-02-09 2005-08-18 Yutaka Giken Co Ltd パイプの曲げ加工方法及び曲げ加工装置
US20080184758A1 (en) 2007-02-06 2008-08-07 Bulle Marshall R Acute angle metal stock bend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O Blade Bender, Blade Bender "Solid Block" ( 2016.03.15.) 1부.*
Stay Bent, StayBent Long Track Speedskating Blade Bender (2016.04.0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62A (ko) 2019-05-21
CN109996588B (zh) 2021-05-11
CN109996588A (zh) 2019-07-09
EP3624909A1 (en) 2020-03-25
CA3038980C (en) 2020-10-27
WO2018064616A1 (en) 2018-04-05
US11033945B2 (en) 2021-06-15
EP3624909A4 (en) 2021-03-03
US20190314880A1 (en) 2019-10-17
CA3038980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8218B1 (en) Ice skate blade measuring apparatus
KR102420802B1 (ko)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 벤딩 장치
CA2701316C (en) Contour guide for ice skate sharpener
US20220040812A1 (en) Skate blade and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from a skate blade
US10583347B2 (en) Blade sharpe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640101B2 (ja) 無関節の義足足部
US4241544A (en) Skate blade sharpener
US9795860B2 (en) Roller skate blade and sharpening thereof
US10532479B2 (en) Cutting apparatus
US6805622B1 (en) Ski sharpening arrangement
KR20060004334A (ko) 신발 성형용 금형장치
US10486018B2 (en) Passive-type treadmill
KR20150119627A (ko) 스케이트날 연마장치
CN215147421U (zh) 手持式冰刀磨刀机
CA3135705A1 (en) Skate blade and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from a skate blade
JP3061183U (ja) スケ―ト等に於ける刃研磨具
KR200225183Y1 (ko) 튜브 성형기
CA2471111A1 (en) Skate sharpening fixture and method of use
US20170113327A1 (en) Sanding device
JPH03504087A (ja) 安全スキービンディング
CA2621297A1 (en) Ice skate sharpening apparatus for speed skates with curved bl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