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92B1 -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92B1
KR102419692B1 KR1020200137878A KR20200137878A KR102419692B1 KR 102419692 B1 KR102419692 B1 KR 102419692B1 KR 1020200137878 A KR1020200137878 A KR 1020200137878A KR 20200137878 A KR20200137878 A KR 20200137878A KR 102419692 B1 KR102419692 B1 KR 10241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unit
manufacturing
flow analysis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27A (ko
Inventor
윤달환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월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월드아이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71/1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using computer simulation, e.g. finite element method [FEM]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30/28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using fluid dynamics, e.g. using Navier-Stokes equations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gebra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는,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Dimension) 유동 해석하는 유동 해석부, 및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한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제작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BOAT AEROSTAT PRODU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STRENGTHEN BASED ON MANUFACTUR CONVERGENCE}
본 발명은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으로 보트를 제작하여 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성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스포츠 및 레포츠 산업 시장이 확대되면서 보트제작 기술의 확보가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보트제조 업체는 대부분 규모가 작고 기술력이 부족한 현실이다. 생산작업 또한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새로운 설계 및 제작 기술 개발에 한계가 있어 외국 업체에 대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보트의 제작은 다품종 소량 생산형태가 주류를 이루며, 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효율과 제품의 품질이 결정된다. 특히, 작업자의 제작 경험에 의존하여 수지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계적인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며, 따라서 불량 발생 시에 능동적인 대처가 어렵고, 작업장마다 배치되는 작업자로 인해 생산 효율성이나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683호 (공개일자: 2016. 06. 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으로 보트를 제작하여, 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성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는,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Dimension) 유동 해석하는 유동 해석부; 및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한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제작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보트 제작장치는,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상기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접합부위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보트 제작장치는, 상기 접합부위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혼합비율 조절부; 및 상기 접합부위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수지와 상기 경화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보트 제작장치는,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상기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액세서리(accessory)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작업위치 설정부; 및 설정된 상기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sealing) 처리하는 실링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은,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 유동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3D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보트 제작방법은, 상기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상기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보트 제작방법은, 상기 접합위치에 대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와 상기 경화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보트 제작방법은, 상기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상기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액세서리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으로 보트를 제작하여 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성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 3D 유동해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보트의 제작공정을 세부적인 단위 공정으로 구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각각의 단위 공정을 분석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트제작 공정에 이용되는 실링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이하, '보트 제작장치'라고 한다)(100)는 유동 해석부(110), 제작공정 제어부(120), 접합부위 분석부(130), 혼합비율 조절부(140) 및 토출량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해석부(110)는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Dimension) 유동 해석한다. 내장 확장형 몰드 설계 및 성형 기술 개발은 몰드 후면 격자 보강을 통한 내구성 확보가 관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제작은 커플링(coupling) 장치를 이용한 자동 접합과 비닐에스터 겔코팅을 통한 고광택 유지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3D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한 보트 설계 최적화는 다수의 작업 공정을 줄여 시스템의 표준화 및 안정적인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동해석을 위한 힘의 모멘트 평형식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12348296-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20112348296-pat00002
수학식 1에서 Mp는 배의 전체 무게중심이고, Mr, Mi, Mt 및 Mm은 도 2에 나타낸 하부 선체로부터 상체로 변환되는 무게중심 변수를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2에서 Xp는 하체에서 상체로 변화되는 무게중심의 거리를 나타낸다.
유동 해석부(110)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해석을 기반으로 3D 유동 해석을 위한 힘과 모멘트 평형식 및 무게중심을 해석할 수 있다.
제작공정 제어부(120)는 유동 해석부(110)에 의한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한다. 이때, 제작공정 제어부(120)는 보트의 제작공정을 세부적인 단위 공정으로 구분하며,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정에 대하여 공정 자동화를 위한 공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공정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보트의 제작공정을 재단작업, 악세서리 제작작업, 폭이음, 합폭, 화장테이프, 바닥접착, 악세서리 접착, 포장 등의 단위 공정으로 구분하며, 재단작업, 합폭, 바닥접착, 포장 등과 같이 기계설비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은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설비와 연동하여 각각의 기계설비를 제어함으로써 공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작공정 제어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 공정들에 대한 공정 내용을 분석하며, 각각의 공정들에 대하여 서로 융합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인들에 대한 공정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공정 제어부(120)는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화장테이프, 악세서리 접착 등과 같은 단위 공정들에 대하여 접착 작업이 공통으로 이루어지는 융합 요인인 것으로 결정하고, 해당 접착 작업을 자동화하여 공정 제어함으로써, 보트의 제작공정에 대한 공정융합을 실행할 수 있다.
접합부위 분석부(130)는 유동 해석부(110)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상기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다. 즉, 접합부위 분석부(130)는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작업, 화장테이프 작업, 악세서리 접착작업 등의 작업 중 접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접합부위의 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부위의 표면에 대한 곡률, 서로 접합되는 각각의 기구물 소재의 접합표면에 대하여 접합 후에 각각의 기구물 소재를 인장 또는 압착하였을 때의 요구되는 강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혼합비율 조절부(140)는 접합부위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혼합비율 조절부(140)는 두 개의 기구물 소재가 서로 접합된 후, 각각의 기구물 소재를 인장하였을 때에 접합부위에 미치는 힘보다 높은 접착력을 갖도록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50)는 접합부위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한다. 이때, 토출량 조절부(150)는 혼합비율 조절부(140)에 의해 조절된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부(150)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0112348296-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20112348296-pat00004
수학식 3은 0.5 ~ 4%의 혼합율에 다른 변동식으로서, Q는 수지유동비, k는 직물투과성, A는 흐름 종단면, η는 점도, L은 길이, P1 P2는 압력차를 나타내며, 수학식 4는 함침속도를 나타낸다.
작업위치 설정부(152)는 유동 해석부(110)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악세서리(accessory)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한다. 즉, 작업위치 설정부(152)는 각각의 접착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작업위치를 설정하며, 설정된 위치를 저장한다. 여기서는,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악세서리 접착 등의 기존의 수작업 공정에서의 접착작업을 예로 들었지만, 작업위치 설정부(152)는 합폭, 포장 등의 기계설비로 이루어지는 작업에서의 접착작업에 대한 작업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실링 처리부(154)는 작업위치 설정부(152)에 의해 설정된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sealing) 처리한다. 이때, 실링 처리부(15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계설비를 이용하여 접착제의 온도, 분사압력, 분사 시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접착제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처리부(154)는 토출량 조절부(150)와 독립적인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링 처리부(154)는 토출량 조절부(154)와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기존의 보트 제작공정은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작업, 화장테이핑 작업, 악세서리 접착작업 등에서의 접착작업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보트 제작공정에서의 악세서리, 폭이음, 화장테이프 등은 접착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접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제작공정은 기존의 단위 작업공정을 자동화하여 공정 제어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접착 작업과 같은 공정을 융합하고 자동화함으로써, 보트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성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은 전술한 보트 제작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트 제작장치(100)는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Dimension) 유동 해석한다(S110). 내장 확장형 몰드 설계 및 성형 기술 개발은 몰드 후면 격자 보강을 통한 내구성 확보가 관건이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커플링(coupling) 장치를 이용한 자동 접합과 비닐에스터 겔코팅을 통한 고광택 유지 및 3D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한 보트 설계 최적화는 다수의 작업 공정을 줄여 시스템의 표준화 및 안정적인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동해석을 위한 힘의 모멘트 평형식은 전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1에서 Mp는 배의 전체 무게중심이고, Mr, Mi, Mt 및 Mm은 도 2에 나타낸 하부 선체로부터 상체로 변환되는 무게중심 변수를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2에서 Xp는 하체에서 상체로 변화되는 무게중심의 거리를 나타낸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의 해석을 기반으로 3D 유동 해석을 위한 힘과 모멘트 평형식 및 무게중심을 해석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3D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한다. 이때, 보트 제작장치(100)는 보트의 제작공정을 세부적인 단위 공정으로 구분하며, 구분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정에 대하여 공정 자동화를 위한 공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 제작장치(100)는 일반적인 보트의 제작공정을 재단작업, 악세서리 제작작업, 폭이음, 합폭, 화장테이프, 바닥접착, 악세서리 접착, 포장 등의 단위 공정으로 구분하며, 재단작업, 합폭, 바닥접착, 포장 등과 같이 기계설비에 의해 수행되는 공정은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설비와 연동하여 각각의 기계설비를 제어함으로써 공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트 제작장치(100)는 주요 공정들에 대한 공정 내용을 분석하며, 각각의 공정들에 대하여 서로 융합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인들에 대한 공정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트 제작장치(100)는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화장테이프, 악세서리 접착 등과 같은 단위 공정들에 대하여 접착 작업이 공통으로 이루어지는 융합 요인인 것으로 결정하고, 해당 접착 작업을 자동화하여 공정 제어함으로써, 보트의 제작공정에 대한 공정융합을 실행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악세서리(accessory)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한다(S120). 즉, 보트 제작장치(100)는 각각의 접착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작업위치를 설정하며, 설정된 위치를 저장한다. 여기서는,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악세서리 접착 등의 기존의 수작업 공정에서의 접착작업을 예로 들었지만, 보트 제작장치(100)는 합폭, 포장 등의 기계설비로 이루어지는 작업에서의 접착작업에 대한 작업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유동 해석부(110)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상기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다(S130).
즉, 보트 제작장치(100)는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작업, 화장테이프 작업, 악세서리 접착작업 등의 작업 중 접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접합부위의 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부위의 표면에 대한 곡률, 서로 접합되는 각각의 기구물 소재의 접합표면에 대하여 접합 후에 각각의 기구물 소재를 인장 또는 압착하였을 때의 요구되는 강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한다(S140). 예를 들어, 보트 제작장치(100)는 두 개의 기구물 소재가 서로 접합된 후, 각각의 기구물 소재를 인장하였을 때에 접합부위에 미치는 힘보다 높은 접착력을 갖도록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한다(S150). 이때, 보트 제작장치(100)는 조절된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에 따라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트 제작장치(100)는 전술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기반하여,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설정된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sealing) 처리한다(S160). 이때, 보트 제작장치(100)는 기계설비를 이용하여 접착제의 온도, 분사압력, 분사 시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접착제를 분사할 수 있다.
보트 제작장치(100)는 각각의 단위 작업공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단작업, 악세서리 제작작업, 폭이음 작업 등을 수행하며, 각각의 기구물 소재를 접합하여 보트를 제작한다(S170).
기존의 보트 제작공정은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작업, 화장테이핑 작업, 악세서리 접착작업 등에서의 접착작업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보트 제작공정에서의 악세서리, 폭이음, 화장테이프 등은 접착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접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제작공정은 기존의 단위 작업공정을 자동화하여 공정 제어를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접착 작업과 같은 공정을 융합하고 자동화함으로써, 보트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다수 작업장에서 소수의 작업인원으로 효율적인 생성공정 관리가 가능하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Dimension) 유동 해석하는 유동 해석부; 및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한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제작공정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작공정 제어부는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재단작업,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합폭, 화장테이프, 바닥접착, 악세서리 접착, 포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공정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상기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설비를 제어하되,
    각각의 상기 단위공정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루어지는 융합요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융합요인을 자동화하여 공정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제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접합부위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위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혼합비율 조절부; 및
    상기 접합부위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수지와 상기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해석부에 의해 해석되는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상기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액세서리(accessory)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작업위치 설정부; 및
    설정된 상기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sealing) 처리하는 실링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5.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에 있어서,
    보트의 평형 및 무게중심을 3D 유동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3D 유동 해석을 기반으로,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보트의 제작공정을 재단작업, 악세서리 작업, 폭이음, 합폭, 화장테이프, 바닥접착, 악세서리 접착, 포장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공정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상기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기계설비를 제어하되,
    각각의 상기 단위공정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루어지는 융합요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융합요인을 자동화하여 공정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서로 접합되는 상기 기구물 소재의 접합위치에 대한 접합면적의 크기, 접합표면의 곡률, 접합표면의 강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위치에 대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와 상기 경화제의 단위시간당 토출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D 유동 해석에 기반하여, 상기 보트의 폭 이음, 화장 테이핑, 액세서리 접착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작업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작업위치에 설정된 온도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실링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방법.
KR1020200137878A 2020-10-22 2020-10-22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41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78A KR102419692B1 (ko) 2020-10-22 2020-10-22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78A KR102419692B1 (ko) 2020-10-22 2020-10-22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27A KR20220053427A (ko) 2022-04-29
KR102419692B1 true KR102419692B1 (ko) 2022-07-12

Family

ID=8142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78A KR102419692B1 (ko) 2020-10-22 2020-10-22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6223C2 (de) * 1996-09-06 1999-07-08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zum dauerhaften Verbinden von wenigstens zwei Bauteilkomponenten zu einem Formkörper
KR20160069683A (ko) 2014-12-09 2016-06-17 백찬욱 콤비보트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27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4888C (en) Method of forming structural panel assemblies
US8356989B2 (en) Double bag vacuum infusion process and system for low cost, advanced composite fabrication
KR102419692B1 (ko) 안전성 강화를 위한 공정융합 기반의 보트 제작장치 및 그 제작방법
US20100152356A1 (en) Mixture of sinterable powders for rapid prototyping
CN107225071B (zh) 冰箱箱体内胆打胶装置及方法
CN102574339A (zh) 具有粘结层控制的粘结补片
CN105288988B (zh) 一种运动滑板的制作方法
EP320549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iffened panel made from composite material
CN100480007C (zh) 模切刀模的制作方法
CN105818401A (zh) 一种控制预浸布拼接间隙的方法
EP1683617B1 (en) Manufacture of structural panels
WO2020182259A1 (en) A system for manufacturing mould-based equipment for direct injection production of footwea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KR101685883B1 (ko) 도어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Bader et al. Processing for laminated structures
US6276858B1 (en) Resin applicator
CA2874353C (en) Bonding plastic floor pieces together
KR101880587B1 (ko) 항공기 스트링거 지능형 성형 시스템
Cooley An introduction to common hand-layup methods with composite materials
KR20160133736A (ko) 주입 장치
Epstein et al. A new process for fabricating nonwoven fibrous‐reinforced elastomer composites
JP2001018230A (ja) 成形型、装置並びに成形方法
Borgmeier et al. A fracture mechanics analysis of the effects of tapering adherends on the strength of adhesive lap joints
US11872780B2 (en) Methods and tool for cutting an uncured composite material
Lafhaj et al. 3D printing in Construction: application framework for a robotic arm based on the extrusion technique
JP5800350B2 (ja) 建物外装用の仕上剤、及び、建物外装の仕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