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401B1 -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401B1
KR102419401B1 KR1020220003985A KR20220003985A KR102419401B1 KR 102419401 B1 KR102419401 B1 KR 102419401B1 KR 1020220003985 A KR1020220003985 A KR 1020220003985A KR 20220003985 A KR20220003985 A KR 20220003985A KR 102419401 B1 KR102419401 B1 KR 10241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ing unit
case
lower bod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비 filed Critical (주) 비앤비
Priority to KR102022000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6/00Heat treatments such as Calcining; Fusing ; Pyrolysis
    • B01J6/008Pyrolysis re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1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ombus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에 많은 수의 시료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본체부; 상기 하부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양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본체부; 상기 상부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튜브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하부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히터가 상기 튜브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Multi-tube type Furnace Device}
본 발명은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폐기물, 토양, 식품, 플라스틱, 수산물, 금속, 오일, 생체시료 및 원자력 폐기물 등의 고체 또는 액체 시료를 소정 온도로 가열할 때, 열분해되어 휘발되는 물질(이하 '휘발성 기체'라 한다)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료용 연소로(가열로, 열분해기)는 건축폐기물, 토양, 식품, 플라스틱, 수산물, 금속, 오일 및 원자력 폐기물 등의 시료가 담긴 유리 재질의 튜브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3H와 14C 등 휘발성 기체(휘발성 방사성 핵종)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료용 연소로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007344호의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시료반응기(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시료반응기는, 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후방 벽면에 거치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방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거치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도어; 시료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투입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거치공을 관통하는 거치샤프트를 구비하는 시료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료관의 몸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투입부의 개방된 끝단을 덮되, 상기 투입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마스크; 상기 체결홀에 장착되어, 상기 시료관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시료반응기는 하나의 시료반응 튜브(이하 '튜브'라 한다)가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성되는데, 하나의 튜브에 투입 가능한 시료의 양의 제한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시료로부터 휘발성 기체를 모두 추출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튜브를 이용하여 반복 작업을 해야 하고, 하나의 튜브로부터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는 데에 일반적으로 4~6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감안하면, 하루에 추출 가능한 시료의 양에 큰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 때문에 시료로부터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는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시료반응기를 설치하여 동시에 운용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공간의 제약 문제와 설치비용의 증가라는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한 번에 복수의 튜브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한 대의 연로소로장치만으로도 복수의 튜브에 각각 투입된 시료를 동시에 가열하여 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연소로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07344 B1 (2019. 07. 30.) KR 10-1485027 B1 (2015. 01. 15.) KR 10-1956757 B1 (2019. 03. 05.) KR 10-2180627 B1 (2020. 11. 12.) KR 10-1515287 B1 (2015. 04.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료용 연소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 번에 많은 수의 시료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본체부; 상기 하부본체부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양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본체부; 상기 상부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튜브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하부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히터가 상기 튜브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열부의 내부 공간이 시료영역, 완충영역 및 촉매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시료영역과 상기 촉매영역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영역과 상기 촉매영역 내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부를 관통하는 상기 튜브의 상,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하부본체부에 상기 가열부를 관통하는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산소 및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밸브 및 산소공급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부본체부에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이 8 ~ 12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의 히터가 튜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이와 동시에 튜브의 상, 하측에 각각 위치되게 되면서 튜브를 복수 열로 복수 개 삽입 설치하여 복수 개의 시료를 동시에 가열하여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결과 많은 양의 시료로부터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추출 효율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부의 히터가 튜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히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필요시 관통공과 튜브삽입관의 수를 쉽게 증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튜브 설치 대수에 따른 가열부의 설계적 변경 사항이 많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히터가 튜브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히터가 튜브를 가열하는 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튜브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온도로 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의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부의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 번에 많은 수의 시료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부(10), 상부본체부(20), 가열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제어부(40)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앞쪽'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양측을 각각 '좌측', '우측' 또는 '측면'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며, 상기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 또는 '뒷면'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하부본체부(10)는 후술되는 상부본체부(20)를 지지하면서 제어부(40)를 통해 가열부(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부본체부(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상판(12)과,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우측)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가열부(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모듈(13)과,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전방)에 구비되어 가열부(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튜브(유리관, 도시하지 않음) 쪽으로 공급되는 공기 또는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가스공급제어밸브(14)와,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 내측으로 산소와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모듈(15) 및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후방)에 구비되어 케이스(11)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팬(16)을 포함한다.
이때 상판(12)에는 6~12㎜의 단열재가 시공되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부본체부(1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모듈(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로장치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메인전원스위치(13A)와, 상기 메인전원스위치(13A)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가열부(30) 중, 시료영역(A)의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제1 히터스위치(13B)와, 상기 제1 히터스위치(13B)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가열부(30) 중, 촉매영역(C)의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제2 히터스위치(13C) 및 상기 메인전원스위치(13A)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연소로장치의 동작을 긴급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버튼(13D)을 포함한다.
이때 메인전원스위치(13A)와 제1, 2 히터스위치(13B, 13C)는 온오프 동작이 구분되는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로 구성될 수 있고, 비상정지버튼(13D)은 푸시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제어밸브(14)는 후술되는 가열부(30)에 설치되는 튜브삽입관(34)의 개수에 맞추어 복수 개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각 튜브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또는 산소의 유량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밸브모듈(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기공급밸브(15A)와 산소 공급량을 조절하는 산소공급밸브(15B)가 각각 구비되고, 이러한 밸브모듈(15)의 일측에는 공기공급용 호스연결구(J1)와 산소공급용 호스연결구(J2) 및 복수 개의 가스호스연결용 반응튜브 호스연결구(J3)가 구비되며, 이러한 호스연결구에 플렉시블 호스(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이 연결된 다음, 호스의 타단이 가열부(30)를 관통하여 상부본체부(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튜브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기 및 산소를 튜브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11)의 전방 쪽에는 소정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어부(40)를 통해 연소로장치의 동작과 온도가 제어되게 된다.
한편, 케이스(11)는 전방 패널과 바닥면이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하부본체부(10)와 상부본체부(20)를 분리한 다음, 하부본체부(10)의 상면을 개방하는 대신, 하부본체부(10)의 저면 쪽에 구비되는 전방 패널 고정구조물(도면부호 없음)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전방 패널을 슬라이딩 인출하는 것으로, 전방 패널과 함께 내부 구성을 외부로 인출하여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부본체부(20)는 내부에 후술되는 가열부(30)가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가열부(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본체부(20)는 하부본체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외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 구멍(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가열부(30) 쪽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가열부(30) 쪽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본체부(20)의 양측면(좌, 우측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관통공(21)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21)의 위치에 맞추어 후술되는 가열부(30)의 튜브삽입관(34)이 위치되게 되면서 가열부(30)를 관통하도록 튜브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관통공(21)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2열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열에는 4 ~ 6개의 관통공(2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총 8 ~ 1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상부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부본체부(20)의 관통공(21)을 통해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튜브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열부(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단열하우징(31)과, 상기 단열하우징(31)의 개방된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소정 두께의 제1 단열부(32)와, 상기 단열하우징(31)의 내부 공간을 시료영역(A), 완충영역(B) 및 촉매영역(C)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제2 단열부(33) 및 상기 단열하우징(31)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관(34)과, 상기 제1 단열부(32)를 통해 양단이 지지되어 튜브삽입관(34)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히터(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이때 튜브삽입관(34)은 상부본체부(20)의 관통공(21) 위치와 개수에 맞추어 2열로 8 ~ 12개가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히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영역(A)과 촉매영역(C) 상에만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튜브삽입관(34)을 기준으로 상, 하측에 각각 히터가 위치되도록 제1, 2, 3 촉매가열히터(35A, 35B, 35C) 및 제1, 2, 3 시료가열히터(36A, 36B, 36C)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2, 3 촉매가열히터(35A, 35B, 35C) 및 제1, 2, 3 시료가열히터(36A, 36B, 36C)의 위치는 튜브가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변경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튜브삽입관(34)을 따라 삽입되는 튜브와 히터가 직교하도록 설치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시료영역(A)과 촉매영역(C) 내의 히터를 통해 가열되는 온도가 단열하우징(31), 제1 단열부(32) 및 제2 단열부(33)에 의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게 되며, 그 결과 시료영역(A), 완충영역(B) 및 촉매영역(C) 내의 온도가 튜브삽입관(34)에 균일하게 전달되게 되면서 튜브삽입관(34) 내에 삽입된 복수 개의 튜브를 동시에 가열하여 시료 내의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해 시료영역(A) 및 촉매영역(C)의 온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으로 튜브의 시료부와 촉매부를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는 하부본체부(10)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가열부(30)의 동작을 제어하고, 가스공급제어밸브(14)와 밸브모듈(15)의 동작을 제어하여 공기 및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40)는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가열부(30)의 시료영역(A)과 촉매영역(B)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시료영역(A), 완충영역(B) 및 촉매영역(C)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되고, 과열 및 이상 동작시 자동으로 연소로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15)을 통한 공기 및 산소의 공급을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비례 동작, 적분 동작 및 미분 동작을 선택 조합하여 제어하는 PID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부의 히터가 튜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이와 동시에 튜브의 상, 하측에 각각 위치되게 되면서 튜브를 복수 열로 복수 개 삽입 설치하여 복수 개의 시료를 동시에 가열하여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결과 많은 양의 시료로부터 휘발성 기체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추출 효율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가열부의 히터가 튜브의 길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히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도 필요시 관통공과 튜브삽입관의 수를 쉽게 증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튜브 설치 대수에 따른 가열부의 설계적 변경 사항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더해 히터가 튜브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히터가 튜브를 가열하는 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튜브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온도로 쉽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하부본체부 11: 케이스
12: 상판 13: 전원공급모듈
13A: 메인전원스위치 13B: 제1 히터스위치
13C: 제2 히터스위치 13D: 비상정지버튼
14: 가스공급제어밸브 15: 밸브모듈
15A: 공기공급밸브 15B: 산소공급밸브
16: 냉각팬 20: 상부본체부
21: 관통공 30: 가열부
31: 단열하우징 32: 제1 단열부
33: 제2 단열부 34: 튜브삽입관
35A: 제1 촉매가열히터 35B: 제2 촉매가열히터
35C: 제3 촉매가열히터 36A: 제1 시료가열히터
36B: 제2 시료가열히터 36C: 제3 시료가열히터
40: 제어부 A: 시료영역
B: 완충영역 C: 촉매영역
J1: 공기공급용 호스연결구 J2: 산소공급용 호스연결구
J3: 반응튜브 호스연결구

Claims (5)

  1.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본체부(10);
    상기 하부본체부(10)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양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는 상부본체부(20);
    상기 상부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삽입되고, 내부에 소정 길이의 튜브가 관통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튜브삽입관(34)을 가열하는 가열부(30); 및
    상기 하부본체부(10)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가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3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히터가 상기 튜브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하부본체부(1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상판(12);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가열부(3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모듈(13);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가열부(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튜브 쪽으로 공급되는 공기 또는 산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가스공급제어밸브(14);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일단 내측으로 산소와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모듈(15); 및
    상기 케이스(11)의 또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11)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팬(16);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는,
    전방 쪽에 소정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상기 제어부(40)가 구비되면서, 전방패널과 바닥패널이 슬라이딩 인입출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본체부(10)의 상기 전방패널을 슬라이딩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패널과 내부 구성이 함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열부(30)는,
    내부 공간이 시료영역(A), 완충영역(B) 및 촉매영역(C)으로 구분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시료영역(A)과 상기 촉매영역(C)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영역(A)과 상기 촉매영역(C) 내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튜브삽입관(34)의 상,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부(10)에는,
    상기 가열부(30)를 관통하는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산소 및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밸브(15A) 및 산소공급밸브(15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부(20)에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상기 관통공(21)이 8 ~ 1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KR1020220003985A 2022-01-11 2022-01-11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KR10241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985A KR102419401B1 (ko) 2022-01-11 2022-01-11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985A KR102419401B1 (ko) 2022-01-11 2022-01-11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401B1 true KR102419401B1 (ko) 2022-07-11

Family

ID=8239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985A KR102419401B1 (ko) 2022-01-11 2022-01-11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4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353A (ja) * 1998-06-04 2000-02-22 Nippon Soken Inc 触媒燃焼加熱装置
KR101485027B1 (ko) 2013-07-01 2015-01-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멀티 가스 채널 구조를 갖는 시료연소장치
KR101515287B1 (ko) 2013-05-20 2015-04-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열분해기
KR101587559B1 (ko) * 2013-12-27 2016-01-27 (주) 휴마스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
KR101956757B1 (ko) 2016-12-21 2019-05-2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KR102007344B1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한테크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시료반응기
KR20200038287A (ko) * 2017-08-07 2020-04-10 오.아이. 코포레이션 고온 연소를 이용하는 전 유기 탄소 분석기(toca)를 위한 펄스 주입 기술을 가진 정지 유동
KR102180627B1 (ko) 2017-12-04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시료 열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353A (ja) * 1998-06-04 2000-02-22 Nippon Soken Inc 触媒燃焼加熱装置
KR101515287B1 (ko) 2013-05-20 2015-04-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열분해기
KR101485027B1 (ko) 2013-07-01 2015-01-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멀티 가스 채널 구조를 갖는 시료연소장치
KR101587559B1 (ko) * 2013-12-27 2016-01-27 (주) 휴마스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
KR101956757B1 (ko) 2016-12-21 2019-05-2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KR20200038287A (ko) * 2017-08-07 2020-04-10 오.아이. 코포레이션 고온 연소를 이용하는 전 유기 탄소 분석기(toca)를 위한 펄스 주입 기술을 가진 정지 유동
KR102180627B1 (ko) 2017-12-04 202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시료 열분해 장치
KR102007344B1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한테크 가열기능을 구비하는 시료반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200721C2 (de) Ofen für feste Brennstoffe, insbesondere für Pellets
EP2573162B1 (en) Culture apparatus provided with heat pipe
US9683747B2 (en) Combination oven with catalytic converter
JPH1082516A (ja) 格子単位構造体およびこの格子単位構造体から成る格子
US6756566B2 (en) Convection heating system for vacuum furnaces
KR102419401B1 (ko) 멀티튜브형 연소로장치
CA2606955C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JP2012010711A (ja) パン屋、ペストリーショップ、ケーキ屋の製品、または類似する製品の加熱調理オーブン
CN107406812B (zh) 培养装置
GB2105459A (en) Dual function cooking oven
DE102016122558A1 (de) Heizungsanordnung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US10571131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KR20100068253A (ko) 금속 재료 가열 장치 및 방법
CA2215966C (en) Arrangement for indirectly transferring heat to a process medium
JP2006296237A (ja) 電熱式ピザ用オーブン
US4530289A (en) Solid fuel furnace
AT395472B (de) Ueberwachungseinrichtung
US6435866B1 (en) Radiation furnac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heating elements
CN101204286B (zh) 加热烹饪器具
NO834386L (no) Lukket ildsted tilpasset for skorsteiner for aapen flamme
CN114040993B (zh) 原子层沉积设备
RU211029U1 (ru) Электрокаменка
JP3115004U (ja) コークス炭化炉の加熱炉蓋
SU720270A1 (ru) Рециркул ционна печ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