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951B1 -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951B1
KR102418951B1 KR1020200158020A KR20200158020A KR102418951B1 KR 102418951 B1 KR102418951 B1 KR 102418951B1 KR 1020200158020 A KR1020200158020 A KR 1020200158020A KR 20200158020 A KR20200158020 A KR 20200158020A KR 102418951 B1 KR102418951 B1 KR 10241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area
artificial
cro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939A (ko
Inventor
배남이
윤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나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나미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나미애
Priority to KR102020015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951B1/ko
Priority to PCT/KR2020/019047 priority patent/WO2022107990A1/ko
Publication of KR2022007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은 접착층이 일면에 적층되고, 타면에 금속층이 적층된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일면에 적층된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자연 손톱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멤버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DETACHABLE ARTIFICIAL NAIL FOR NAIL ART}
본 출원은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사람을 아름답게 하는 미용을 위한 도구, 용품 등은 지난 몇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 사람의 얼굴 뿐만 아니라 신체의 일부에 해당하는 손톱 또는 인조네일(손톱에 부착되는 인조손톱)을 아름답게 하는 네일아트용 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사람의 손톱 또는 인조네일은 눈에 쉽게 띄면서도 조그만 변화에도 이미지를 달라지게 할 수 있는 부분이라서,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네일아트용 제품에는 손톱에 부착되는 인조손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손톱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특정 모양의 연출만이 가능할 뿐, 다양한 형상의 연출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손톱에 부착될 다양한 이미지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가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톱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은 접착층이 일면에 적층되고, 타면에 금속층이 적층된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일면에 적층된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자연 손톱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멤버보다 큰 면적을 가진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은 접착층이 일면에 적층되고, 타면에 금속층이 적층된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일면에 적층된 제2 멤버 및 상기 제2 멤버에 스티커 형태로 일면이 탈부착되도록 형성되고,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이 타면에 위치하는 제3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자연 손톱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멤버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3 멤버의 면적은 상기 제2 멤버의 타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인조 손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가능한 인조 손톱들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인조 손톱들을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의 길이로 조절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층과 자성층에 대한 미끌림 방지 패턴의 실시 예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 간의 적층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가 서로 적층 결합된 측단면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6(a)는 도 5(a)의 제2 멤버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3 멤버가 부착되는 제1 및 제2 멤버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출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10)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100, 200)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이며, 도 3은 도 1의 금속층(120)과 자성층(210)에 대한 미끌림 방지 패턴의 실시 예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10)은 제1 및 제2 멤버(1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멤버(100)는 일면에 접착층(110)이 부착되어 손톱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면에 금속층(120)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로서 내충격성과 유연성을 갖는 수지로 만든다. 또한, 제1 멤버(100)는 ABS 수지 외에도 폴리스티렌(PS) 수지, SBS 블록 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10)은 항균액, 향수액 및 접착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금속층(120)은 스틸 및 구리 등과 같은 자력친화성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 금속 박판, 투명 금속 액체 및 투명 금속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멤버(200)는 제1 멤버(100)를 덮을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멤버(10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멤버(200)의 일면은 제1 멤버(100)의 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므로, 자성층(210)과 금속층(120) 사이의 결합력을 전체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멤버(100)는 자연 손톱을 덮을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연 손톱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100)의 일면은 자연 손톱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므로, 독립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110)은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호 필름(111)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층(120)은 무작위로 배치되는 제1 복수의 걸림턱들(121_1~121_N)이 제1 멤버(10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도포기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복수의 걸림턱들(121_1~121_N)은 제2 멤버(200)와의 접촉면에서 일정 마찰 계수 이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금속층과 동일한 재질의 돌기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멤버(200)는 제1 멤버(100)와 자성 결합되도록 일면에 자성층(210)이 적층될 수 있다. 즉, 제1 멤버(100)와 제2 멤버(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멤버(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 Styrene)로서 내충격성과 유연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멤버(200)는 ABS 수지 외에도 폴리스티렌(PS) 수지, SBS 블록 수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자성층(210)은 네오디움 자석(Nd-Fe-B Magnet)과 사마륨 자석(Sm-Co Magnet)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성층(210)은 무작위로 배치되는 제2 복수의 걸림턱들(211_1~211_N)이 제2 멤버(200)의 일면에 형성되도록 도포기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제2 복수의 걸림턱들(211_1~211_N)은 제1 멤버(100)와의 접촉면에서 일정 마찰 계수 이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성층과 동일한 재질의 돌기들일 수 있다.
또한, 제2 멤버(200)는 제1 멤버(100)를 덮을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멤버(10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멤버(200)의 일면은 제1 멤버(100)의 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므로, 자성층(210)과 금속층(120) 사이의 결합력을 전체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성층(210)과 금속층(120)은 서로 접촉될 때, 일정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복수의 걸림턱들(121_1~121_N, 211_1~211_N)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고, 평행하게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은 자성층(210)과 금속층(120)이 도포될 때 형성된 제1 및 제2 복수의 걸림턱들(121_1~121_N, 211_1~211_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멤버(100, 200)가 서로 결합될 때,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은 특정 홈이나 고정 도구 없이, 각 제1 및 제2 멤버(100, 200)에 대한 수평 방향의 밀림 형상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은 나선형 패턴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복수의 걸림턱들(121_1~121_N, 211_1~211_N)이 서로 평해하게 교대로 배치되는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멤버(100)는 손톱에 탈부착되는 네일용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네일용 테이프 타입은 미세한 철가루 또는 액상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일용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된 제1 멤버(100)는 손톱에 부착됨에 따라 손톱깍기 등의 도구를 통해 잘라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자성에 의해 제2 멤버(200)의 일면에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멤버(100)는 손톱에 탈부착되는 풀팁 스티커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풀팁 스티커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멤버(100)는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라미네이팅을 통해 글루층, PU, PE, PC 원단의 기재층, 글루층, 자성물질, 글루층, 코팅층, 컬러잉크층 및 UV 투명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자성물질은 쿠킹호일 형상의 초박형 원단과 메쉬 형상의 초박형 선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풀팁 스티커 타입으로 형성된 제1 멤버(100)는 손톱에 부착됨에 따라 손톱깍기 등의 도구를 통해 잘라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자성에 의해 제2 멤버(200)의 일면에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멤버(100)는 손톱에 탈부착되는 매니큐어 컬러 폴리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매니큐어 컬러 폴리시 타입은 미세 철가루 또는 액상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멤버(100)는 매니큐어 컬러 폴리시를 손톱에 바르고 일정 시간 동안 자연 건조 또는 인위적 건조됨에 따라, 매니큐어 컬러 폴리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100)는 자성에 의해 제2 멤버(200)의 일면에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접착층(110)은 손톱에 탈부착되는 젤 컬러 폴리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젤 컬러 폴리시 타입은 미세 철가루 또는 액상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멤버(100)는 젤 컬러 폴리시를 손톱에 바르고 LED 건조기를 통해 경화됨에 따라, 젤 컬러 폴리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100)는 자성에 의해 제2 멤버(200)의 일면에 자성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10)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1 및 제2 멤버(100, 20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의 길이로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100, 200) 간의 적층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멤버(200)는 만곡된 형상의 일측에서, 제1 멤버(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영역(230)은 제1 멤버(1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휨 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영역(230)의 휨 정도는 제1 멤버(100)의 휨 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멤버(100)의 양단의 곡률은 제2 멤버(200)의 양단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100)의 유연성은 제2 멤버(200)의 유연성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멤버(100)는 제1 및 제2 멤버(100, 200)가 서로 적층 결합될 때, 바늘, 너트, 볼트, 스크루, 클립, 나사, 못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 도구 없이도, 제2 멤버(200)의 수용 영역(230)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제1 및 제2 멤버(100, 200)가 서로 적층 결합된 측단면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멤버(100)는 일정 크기의 단면적 두께를 가지고, 제2 멤버(200)는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멤버(200)는 일측에서 일정 크기의 단면적 두께(D1)로 형성되고, 타측에서 일측보다 작은 단면적 두께(D2)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의 단면적 두께(D1)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증가되는 두께를 가지며, 일측에서의 최대 단면적 두께(D1)는 타측의 단면적 두께(D2)와 제1 멤버(100)의 단면적 두께(D0) 간의 합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은 손톱에서 외부로 연장된 영역이고, 타측은 제1 및 제2 멤버(100, 200)가 밀착되어 결합된 영역일 수 있다.
도 6(a)는 도 5(a)의 제2 멤버(20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끼움홈(240)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멤버(1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제2 멤버(200)는 일측에서 끼움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홈(240)은 제1 멤버(100)의 일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하기 위하여, 제1 멤버(200)의 타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홈(24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멤버(200)의 타단 형상 보다 작은 면적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멤버(200)의 타단이 끼움홈(240)에 끼움 결합될 때, 제1 및 제2 멤버(100, 200)는 바늘, 너트, 볼트, 스크루, 클립, 나사, 못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 도구 없이도,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11)에 대한 실시 예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3 멤버(300)가 부착되는 제1 및 제2 멤버(100, 200)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11)은 제1 내지 제3 멤버(100, 200,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동일한 기재번호의 제1 및 제2 멤버(100, 2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3 멤버(300)는 일면이 제2 멤버(200)의 타면에 스티커 형태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고,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이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형물 형상은 합성수지, 금속 또는 글래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멤버(300)의 면적은 제2 멤버(200)의 면적보다 작고, 제1 멤버(10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짐으로써, 제1 및 제2 멤버(100, 200)에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멤버(100)는 제3 멤버(300)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금속층(120) 외부에 코팅액이 도포된 제1 코팅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멤버(200)는 제3 멤버(300)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타면에 코팅액이 도포된 제2 코팅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100: 제1 멤버
200: 제2 멤버
300: 제3 멤버

Claims (14)

  1. 접착층이 일면에 적층되고, 타면에 금속층이 적층된 제1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일면에 적층된 제2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자연 손톱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멤버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멤버는 네일용 테이프 타입, 풀팁 스티커 타입, 컬러 폴리시 타입 및 젤 컬러 폴리시 타입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멤버는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일측에서의 최대 단면적 두께는 상기 제1 멤버의 단면적 두께와 상기 타측에서의 단면적 두께 간의 합에 대응되고,
    상기 일측은 상기 자연 손톱에서 외부로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타측은 상기 제1 멤버 및 상기 제2 멤버가 밀착되어 결합된 영역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항균액, 향수액 및 접착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자력친화성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 박판, 금속 액체 및 금속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자성층은 접촉면에서 일정 크기의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일측에서 상기 제1 멤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영역의 휨 정도는 상기 제1 멤버의 휨 정도보다 크고, 상기 수용 영역의 유연성은 상기 제1 멤버의 유연성보다 작은,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은 상기 제1 멤버의 일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멤버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가 끼워지는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8. 접착층이 일면에 적층되고, 타면에 금속층이 적층된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일면에 적층된 제2 멤버; 및
    상기 제2 멤버에 스티커 형태로 일면이 탈부착되도록 형성되고, 보석 또는 악세사리와 같은 조형물 형상이 타면에 위치하는 제3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멤버는 자연 손톱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1 멤버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3 멤버의 면적은 상기 제2 멤버의 타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멤버는 네일용 테이프 타입, 풀팁 스티커 타입, 컬러 폴리시 타입 및 젤 컬러 폴리시 타입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멤버는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단면적 두께를 가지고, 상기 일측에서의 최대 단면적 두께는 상기 제1 멤버의 단면적 두께와 상기 타측에서의 단면적 두께 간의 합에 대응되고,
    상기 일측은 상기 자연 손톱에서 외부로 연장된 영역이고, 상기 타측은 상기 제1 멤버 및 상기 제2 멤버가 밀착되어 결합된 영역인,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멤버는 상기 제1 멤버에 대응되는 면적 크기로 형성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멤버는 상기 금속층 외부에 코팅액이 도포된 제1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멤버는 타면에 코팅액이 도포된 제2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멤버는 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멤버에 탈부착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자성층은 접촉면에서 일정 크기의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미끌림 방지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멤버는 일측에서 상기 제1 멤버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영역의 휨 정도는 상기 제1 멤버의 휨 정도보다 크고, 상기 수용 영역의 유연성은 상기 제1 멤버의 유연성보다 작은,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은 상기 제1 멤버의 일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제2 멤버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가 끼워지는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KR1020200158020A 2020-11-23 2020-11-23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KR10241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20A KR102418951B1 (ko) 2020-11-23 2020-11-23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PCT/KR2020/019047 WO2022107990A1 (ko) 2020-11-23 2020-12-23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20A KR102418951B1 (ko) 2020-11-23 2020-11-23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39A KR20220070939A (ko) 2022-05-31
KR102418951B1 true KR102418951B1 (ko) 2022-07-11

Family

ID=8170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20A KR102418951B1 (ko) 2020-11-23 2020-11-23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8951B1 (ko)
WO (1) WO20221079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32Y1 (ko) * 2003-05-26 2003-09-22 이창기업 주식회사 착탈이 용이한 인조 손톱
KR200335618Y1 (ko) * 2003-07-02 2003-12-11 이창기업 주식회사 인조 손톱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66Y1 (ko) * 2004-02-25 2004-06-14 이창기업 주식회사 인조 손톱
IT1400388B1 (it) * 2010-05-27 2013-05-31 Nikolaeva Accessorio ornamentale per l'estensione di un'unghia
KR20150019753A (ko) * 2013-08-14 2015-02-25 한봉성 접착식 네일형 교통카드
KR101712860B1 (ko) * 2015-04-30 2017-03-07 강문태 네일아트용 조형물
KR20170034138A (ko) * 2015-09-18 2017-03-28 배남이 조각 디자인 네일 스티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532Y1 (ko) * 2003-05-26 2003-09-22 이창기업 주식회사 착탈이 용이한 인조 손톱
KR200335618Y1 (ko) * 2003-07-02 2003-12-11 이창기업 주식회사 인조 손톱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39A (ko) 2022-05-31
WO2022107990A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621B1 (ko) 손톱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1457873B1 (ko) 전사가능한 미용부재
KR101207316B1 (ko) 블링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919951B1 (ko) 플랙서블 인조손톱
KR101391621B1 (ko) 배면 인쇄를 이용한 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US201303194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ail Decals
JP2015036117A (ja) ネイル用ステッカー
KR101337224B1 (ko) 건식 네일 스티커
US20120006347A1 (en) Nail Template
US4858631A (en) Simulated eyebrow applicator
US20130139840A1 (en) Multiple Style Nail Applique
KR102418951B1 (ko)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KR101361040B1 (ko) 미용 스티커 세트
KR101344266B1 (ko) 점착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JP2010007217A (ja) 眼瞼用装粧品及び眼瞼用装粧品の製造方法
KR20200040743A (ko) 인조 속눈썹을 포함하는 미용 물품
KR101359621B1 (ko) 휘도가 개선된 네일 스티커
KR101367783B1 (ko) 손톱 스티커와 그 제조방법
KR101831790B1 (ko) 부착이 용이한 간편 인조손톱
US2017035006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itation leather banded structure with noctilucence
KR200393736Y1 (ko) 타투가 구비된 네일 버퍼
KR20220133027A (ko) 리필타입 네일파일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네일파일 리필용 연마시트 적층체
KR100452280B1 (ko) 인조 팁네일 및 인조 팁네일 부착방법
US20010042552A1 (en) Personal holograph nails
KR102342677B1 (ko) 인조네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