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806B1 - 장루기기 - Google Patents

장루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06B1
KR102418806B1 KR1020200058238A KR20200058238A KR102418806B1 KR 102418806 B1 KR102418806 B1 KR 102418806B1 KR 1020200058238 A KR1020200058238 A KR 1020200058238A KR 20200058238 A KR20200058238 A KR 20200058238A KR 102418806 B1 KR102418806 B1 KR 102418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sealing
insulating part
sealing insulating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089A (ko
Inventor
홍광대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06B1/ko
Priority to US17/923,902 priority patent/US20230210683A1/en
Priority to PCT/KR2021/002615 priority patent/WO2021230476A1/ko
Priority to JP2022567876A priority patent/JP2023524849A/ja
Priority to EP21804255.4A priority patent/EP4151184A1/en
Publication of KR2021014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8Means for attaching bag to seal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인입되는 비닐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덮개 조립부; 및 상기 덮개 조립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된 비닐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루기기{STOMA BAG}
본 발명은 장루기기에 관한 것이다.
장루 시술은 직장암, 회음부 질환, 대장방광루, 장협착, 복막염 등으로 인해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복벽에 장의 일부를 노출시켜 배변이 나오도록 유도하는 시술이다.
즉, 사고 또는 선천적 후천적 질병으로 인해 소화기관 또는 배뇨기관의 기능이 상실되어 대변 및 소변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없을 때, 인위적인 장루 시술을 통해 인체 내의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인공항문을 통상적으로 장루라고 불리고 있으며, 장루 시술을 받은 환자는 소변 및 배변 배출의 편의를 위하여 장루기기를 사용한다.
상기한 장루기기는 크게 원피스 타입과 투피스 타입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투피스 타입은 스킨 배리어와 상기 스킨 배리어에 탈부착하여 변을 담는 스토마 배그(Stoma bag)로 구성되고, 원피스 타입은 스킨 배리어와 스토마 배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부착하기 간편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루기기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장루기기는 2가지 타입 모두 소변 및 배변을 담는 스토마 배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토마 배그의 말단부를 개방하여 담긴 소변 및 배변을 배출한 후 다시 말단부를 폐쇄하여 재사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말단부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틈이 생길 수 있으며, 소변 및 배변의 누설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토마 배그를 재사용하는 점에서 기존 소변 및 배변에 의한 악취가 심해지므로, 일정기간 사용 후 정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1회용 비닐 주머니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비닐 주머니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장루기기의 비위생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루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인입되는 비닐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덮개 조립부; 및 상기 덮개 조립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된 비닐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 조립부는, 중앙에 중공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덮개 조립부는, 비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비닐이 권취되는 링형 관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경 테두리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토출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당김을 통해 비닐이 토출된다.
또한, 상기 비닐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평평하게 접혀 상기 링형 관체에 권취되고, 기 설정된 간격마다 절취선이 마련되어 다수의 단위 비닐로 구분되고, 상기 단위 비닐은 같은 규격으로 연속하여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경 테두리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실링 지지부; 및 상기 실링 지지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실링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 절연부는, 일측면에 상기 단위 비닐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히팅부가 장착되는 제 1 실링 절연부; 및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히팅부와 맞물려지도록 위치된 압박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로 구분되어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 중앙부에 기 설정된 이격영역을 두고 분할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와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의 사이의 간극에는 비닐이 끼워지되, 끼워진 비닐의 절취선은 상기 제 1 히터와 상기 제 2 히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비닐의 일부분은 동시에 열 봉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루기기는 1회용 비닐 주머니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비닐 주머니의 하단부를 차폐하여 장루기기의 비위생적인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덮개 조립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조립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이용하여 덮개 조립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닐을 열 봉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덮개 조립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조립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이용하여 덮개 조립부로부터 토출되는 비닐을 열 봉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는 부착부(100), 덮개 조립부(200) 및 실링부(300)를 포함한다.
부착부(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더하여, 부착부(100)는 신체에 무해한 접착제와 같은 부착수단이 구비되어 피부에 접착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피부의 굴곡이나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에도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는 부착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로써, 부착부(100)는 사용자의 배설물의 무게로 인하여 배설물이 인입되는 비닐(400)이 사용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부(100)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장루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되, 하면에 신체에 무해한 부착필름이 코팅된다. 더하여, 부착부(100)는 사용자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의 무해한 유연소재를 사용하여 피부와의 일체감을 높여 착용감과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부착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캡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110)는 방수와 소정의 인장 강도가 보장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고분자 소재를 사용한다.
또한, 캡부(110)는 상기 부착부(100)에 형성된 통공 둘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캡부(100)의 하면에는 부착필름이 코팅되어 상기 부착부(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덮개 조립부(200)는 상기 부착부(100)의 상면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인입되는 비닐(400)이 연속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더하여, 덮개 조립부(200)는 중앙에 중공을 가지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100)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 조립부(200)의 내경 테두리부는 상기 캡부(110)의 외주면과 끼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조립부(200)는 본체부(210), 링형 관체부(220) 및 커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210)는 덮개 조립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더하여, 본체부(210)는 사용자의 장루 형태와 필요에 따라서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링형 관체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비닐(400)이 권취될 수 있다.
더하여, 링형 관체부(220)는 비닐(400)이 원통형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연함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본체부(210)의 내경 테두리부를 차폐하여, 상기 링형 관체부(220)에 권취된 비닐(400)이 상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커버부(230)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따라 토출홈(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당김을 통해 권취된 비닐(400)을 상기 토출홈(240)으로 토출한다.
즉, 본체부(210)는 상기 링형 관체부(220)를 수용하고, 상기 링형 관체부(220)에 권취된 비닐(400)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개구된 구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230)가 상기 개구된 구역 중 일부구역을 제외하고 막아 상기 개구된 구역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형 관체부(220)에 권취된 비닐(400)은 덮개 조립부(200)로부터 토출될 시, 대략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가 개구된 다수의 단위 비닐(400a)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닐(40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평평하게 접혀 링형 관체(220)에 권취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간격마다 절취선이 마련되어 다수의 단위 비닐(400a)로 구분된다.
더하여, 상기 단위 비닐(400a)은 같은 규격으로 연속하여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하나의 비닐(40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단위 비닐(400a)에 배설물이 인입되어 가득차는 경우, 절취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위 비닐(400a)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장루 주머니처럼 배설물을 세척하거나 새로운 장루 주머니로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비닐(400a)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되, 변형된 상태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비닐봉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위 비닐(400a)의 상단부는 둘레방향으로 열 봉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비닐(400a)의 상단부가 접합되면, 하단부는 개방되어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는 배설물저장공간이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설물저장공간이 가득차는 경우 상기 단위 비닐의 하단부를 열 봉합에 의해 접합시킨 후 절취선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300)는 상기 덮개 조립부(200)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된 비닐(400)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300)는 상기 덮개 조립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본체부(210)의 외경 테두리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2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실링 지지부(310)와 상기 실링 지지부(3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실링 절연부(320)를 포함한다.
실링 지지부(310)는 가볍고 높은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링 지지부(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조립부(200)에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유롭게 토출된 비닐(400)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실링 절연부(320)는 상기 실링 지지부(3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열을 단위 비닐(400a)에 전달하여 상기 단위 비닐(400a)이 열 봉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실링 절연부(320)는 일측면에 상기 단위 비닐(400a)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히팅부(321)가 장착되는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히팅부(321)와 맞물려지도록 위치된 압박부(322)가 장착되는 제 2 실링 절연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제 2 실링 절연부(320b)는 각각 상기 실링 지지부(310)에 마련된 장착홈(31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홈(311)은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가 삽입되는 제 1 장착홈(311a)과 제 2 실링 절연부(320b)가 삽입되는 제 2 장착홈(311b)을 포함한다.
더하여, 제 1 장착홈(311a)은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의 규격에 맞추어 마련된다.
더하여, 제 2 장착홈(311b)은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가 끼움 결합되나,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의 규격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제 2 실링 절연부(320b)에는 각각 히팅부(321)와 압박부(322)가 삽입 배치되는 배치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히팅부(321)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에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압박부(322)는 상기 히팅부(321)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에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게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321)는 제 1 히터(321a)와 제 2 히터(321b)로 구분되어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의 일측면 중앙부에 기 설정된 이격영역을 두고 분할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히터(321a)와 제 2 히터(321b)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되,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비닐(400)은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열 봉합면적을 가지면서 접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압박부(322)는 제 1 압박바(322a) 와 제 2 압박바(322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이격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의 사이의 간극에는 비닐이 끼워지되, 끼워진 비닐(400)의 절취선은 상기 제 1 히터(321a)와 상기 제 2 히터(321b)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비닐(400a)의 일부분을 동시에 열 봉합된다.
예를 들어, 덮개 조립부(200)로부터 토출된 비닐(400)은 배설물저장공간으로 사용되다가, 상기 배설물저장공간이 가득차게 되면 사용자는 비닐(400)을 다음 절취선이 보이도록 충분한 길이만큼 당긴 후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인접한 단위 비닐(400a)의 일부 영역을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의 사이의 간극에는 비닐이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절취선이 제 1 실링 절연부(320a)의 기 설정된 이격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비닐(400)을 재배치하고, 제 2 실링 절연부(320b)를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의 제 1 압박바(322a)와 제 2 압박바(322b)는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의 제 1 히터(321a)와 제 2 히터(321b)를 각각 비닐(400)이 끼워진 상태로 압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루기기의 실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실링 절연부(320a)는 칼날(323)을 더 포함하고, 제 2 실링 절연부(320b)는 스토퍼(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320b)는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비닐(400)의 절취선에 상기 칼날(323)이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비닐(400)을 열 봉합하는 동시에 비닐(400)을 절단하여 단위 비닐(400a)을 만들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320a)에 칼날(323)이 위치하게 되면, 비닐(400)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한 단위 비닐(400a)이 열 봉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닐(400)의 절취선을 따라 비닐(400)을 절단하려는 경우에 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 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부착부
200: 덮개 조립부
210: 본체부
220: 링형 관체부
240: 커버부
300: 실링부
310: 실링 지지부
320: 실링 절연부

Claims (10)

  1.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며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통공을 구비하는 부착부;
    중앙에 상기 통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을 구비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배설물이 인입되는 비닐이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덮개 조립부; 및
    상기 덮개 조립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된 비닐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장루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조립부는,
    상기 부착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장루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조립부는,
    비닐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비닐이 권취되는 링형 관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경 테두리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장루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토출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당김을 통해 비닐이 토출되는 장루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평평하게 접혀 상기 링형 관체에 권취되고,
    기 설정된 간격마다 절취선이 마련되어 다수의 단위 비닐로 구분되고,
    상기 단위 비닐은 같은 규격으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장루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경 테두리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실링 지지부; 및
    상기 실링 지지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실링 절연부를 포함하는 장루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절연부는,
    일측면에 상기 단위 비닐의 일부분을 열 봉합시키는 히팅부가 장착되는 제 1 실링 절연부; 및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히팅부와 맞물려지도록 위치된 압박부가 장착되는 제 2 실링 절연부를 포함하는 장루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게 장착되는 장루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제 1 히터와 제 2 히터로 구분되어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의 일측면 중앙부에 기 설정된 이격영역을 두고 분할 장착되는 장루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링 절연부와 상기 제 2 실링 절연부의 사이의 간극에는 비닐이 끼워지되, 끼워진 비닐의 절취선은 상기 제 1 히터와 상기 제 2 히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비닐의 일부분은 동시에 열 봉합되는 장루기기.
KR1020200058238A 2020-05-15 2020-05-15 장루기기 KR102418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38A KR102418806B1 (ko) 2020-05-15 2020-05-15 장루기기
US17/923,902 US20230210683A1 (en) 2020-05-15 2021-03-03 Ostomy appliance
PCT/KR2021/002615 WO2021230476A1 (ko) 2020-05-15 2021-03-03 장루기기
JP2022567876A JP2023524849A (ja) 2020-05-15 2021-03-03 ストーマ装具
EP21804255.4A EP4151184A1 (en) 2020-05-15 2021-03-03 Ostomy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238A KR102418806B1 (ko) 2020-05-15 2020-05-15 장루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89A KR20210141089A (ko) 2021-11-23
KR102418806B1 true KR102418806B1 (ko) 2022-07-07

Family

ID=7852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238A KR102418806B1 (ko) 2020-05-15 2020-05-15 장루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10683A1 (ko)
EP (1) EP4151184A1 (ko)
JP (1) JP2023524849A (ko)
KR (1) KR102418806B1 (ko)
WO (1) WO202123047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030A (ja) 2000-06-29 2002-01-15 Fukuo Iwabori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JP2007505664A (ja) 2003-09-18 2007-03-15 ベー・ブラウン・メディカル・エスアーエス オストミー装置の連結
JP2015091293A (ja) 2013-09-30 2015-05-14 文蔵 田中 排泄介護装置
JP2018011685A (ja) * 2016-07-20 2018-01-25 田中 文藏 携帯型排泄介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3678D0 (en) * 1996-11-14 1997-01-08 Smiths Industries Plc Stoma bags and rings
KR20150027750A (ko) * 2012-05-10 2015-03-12 스티마틱스 지아이 리미티드 장루 장치
KR20170011318A (ko) * 2015-07-22 2017-0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루 부착장치 및 그의 부착방법
KR101844957B1 (ko) * 2016-12-08 2018-04-03 류용승 인체용 대변 수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030A (ja) 2000-06-29 2002-01-15 Fukuo Iwabori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JP2007505664A (ja) 2003-09-18 2007-03-15 ベー・ブラウン・メディカル・エスアーエス オストミー装置の連結
JP2015091293A (ja) 2013-09-30 2015-05-14 文蔵 田中 排泄介護装置
JP2018011685A (ja) * 2016-07-20 2018-01-25 田中 文藏 携帯型排泄介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76A1 (ko) 2021-11-18
US20230210683A1 (en) 2023-07-06
JP2023524849A (ja) 2023-06-13
EP4151184A1 (en) 2023-03-22
KR20210141089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765A (en) Ileostomy valve
US3835857A (en) Male urinal device
US4778446A (en) Wound irrigation and/or drainage device
US4950223A (en) Stoma closure devices
CN109009637B (zh) 造口排泄物收集装置
FI75731B (fi) Urinledningsanordning.
CA1335777C (en) Incontinence bag
CN112087991A (zh) 用于男性尿失禁设备的设备
US4986822A (en) Rectal-colon dilator and collector assembly
US4969902A (en) Implantable device
KR101482496B1 (ko)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인공 항문 괄약근
CN102596115A (zh) 医疗闭合器械
CN105451693A (zh) 液体捕获装置和方法
EP2869798B1 (en) Ostomy devices
EP3102164B1 (en) Inflationless retention cuff for fluid collection devices
US5976068A (en) Fe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KR102418806B1 (ko) 장루기기
US20040093665A1 (en) Disposable toilet bowl for care
US5728080A (en) Degassing device for an artificial anal bag
HRP960172A2 (en) Prothesis for bowel evacuation control-colostomy tube
EP1328308B1 (en) Improved colostomy device
US5188623A (en) Stomal stop with bag
EP0319071B1 (en) Stomal stop
EP0471663A1 (en) Incontinence device
CN112932770B (zh) 一种造口用装置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