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957B1 - 인체용 대변 수집기 - Google Patents

인체용 대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957B1
KR101844957B1 KR1020160166330A KR20160166330A KR101844957B1 KR 101844957 B1 KR101844957 B1 KR 101844957B1 KR 1020160166330 A KR1020160166330 A KR 1020160166330A KR 20160166330 A KR20160166330 A KR 20160166330A KR 101844957 B1 KR101844957 B1 KR 10184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liquid
anus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승
Original Assignee
류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용승 filed Critical 류용승
Priority to KR102016016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9Body securing means, e.g. bel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용 대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판체 및 제2 판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체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판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관통공을 형성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체의 항문 주변의 피부에 상기 고정판을 접착하는 접착부재; 상기 고정판에 말단 영역이 부착되고, 상기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대변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집봉지;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는 상기 대변 수집봉지의 말단 영역 사이에서 협지되고,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항문을 향해 액체를 분사 가능한 노즐을 포함하여 액체의 분사를 통해 잔변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용 대변 수집기 {Faecal collector for human}
본 발명은 인체용 대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비데형 인체용 대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소변 및 대변 처리장치는 실금 환자 및 특히, 누워만 있는 환자가 주로 착용하도록 설계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변 처리장치들은 착용자의 인체 항문 또는 생식기 영역에 부착되어, 대소변 및 다른 신체 배설물을 포집하여 즉시 수용하게 된다. 오늘날 주로 알려져 있는 이러한 장치들은 비교적 길고 좁은 튜브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 구멍부와 접착제일 수 있는 피부 부착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하반신의 움직임에 따라 착용자의 대퇴부 주위로 쉽게 비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착용자로부터 이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일으킬 수 있어 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미 저장공간에 담긴 변이 항문과 항문 주변의 피부로 역행해 돌아와 접촉하게 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실정을 고려하여 개발된 인체용 대변 수집기가 한국 등록특허 제10-1445575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항문 둘레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관통되고 양 판체(101)로 구성된 고정판(102)과 상기 고정판(10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대변이 투입되는 대변수집봉지(104) 및 상기 고정판(102)의 타측면에 접착수단이 형성 구성된 접착수단(103)으로 구성되어 이를 접음으로써 엉덩이 사이의 오목한 항문 주위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대변 수집기는 환자가 배출한 대변을 대변수집봉지(104)에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항문에 남아있는 잔변을 제거하는 기능 까지는 수행하지 못하여, 대변 배출 후 오랜 시간이 지나 환자의 항문 주위에 남아있는 잔변이 굳은 경우 위생적으로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45575호(2012.01.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로 항문 주위의 잔변을 세정 가능한 대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판체 및 제2 판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체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판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관통공을 형성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체의 항문 주변의 피부에 상기 고정판을 접착하는 접착부재; 상기 고정판에 말단 영역이 부착되고, 상기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대변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집봉지;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는 상기 대변 수집봉지의 말단 영역 사이에서 협지되고,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항문을 향해 액체를 분사 가능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액체 주입기로부터 액체가 분사될 때, 상기 분사된 액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대변 수집봉지의 말단 영역 사이의 영역은 고흡습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로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판체 및 상기 제2 판체가 서로 접히도록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주입기는, 상기 노즐에 삽입되는 주입부; 및 상기 액체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부피가 신축되어 상기 주입부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통기가 가능한 통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형지 중 제거된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항문 주변의 피부에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대변 수집봉지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노즐을 통해 액체를 분사하여 항문 주위의 잔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기존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 및 액체 주입기가 결합된 전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에 사용되는 액체 주입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노즐의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노즐이 개방된 경우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삽입하여 이형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삽입하여 이형지를 제거해 제1 판체를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를 삽입하여 이형지를 제거해 고정판을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의 장착 및 액체 주입기의 삽입을 완료하고, 대변이 유입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 및 액체 주입기(20)가 결합된 전체 모습(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는 노즐(17)을 통해서 액체 주입기(20)와 결합됨을 알 수 있다. 액체 주입기(20)의 주입부(21)가 노즐(17)에 삽입되고, 액체 주입기(20)가 수용하고 있는 액체를 주입부(21)와 노즐(17)을 통해 발사함으로써 비데와 같이 항문 주변에 남아있는 잔변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와 액체 주입기(20)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는 고정판(18), 이형지 및 대변 수집봉지(15)를 포함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판(18)은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구성요소 중 대변 수집봉지(15)를 피부 주변에 고정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판(18)은 판과 같이 넓은 면으로 형성된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를 포함하며,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는 별개의 분리된 판체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고정판(18) 내의 일부분 및 타부분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판체(11a)의 일단부와 제2 판체(11b)의 일단부, 제1 판체(11a)의 타단부와 제2 판체(11b)의 타단부는 각각 접히도록 연결되고, 따라서 서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접힘부(16)를 형성한다. 따라서 만약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가 별개의 분리된 판체가 아닌 하나의 고정판(18) 내의 일부분 및 타부분일 경우, 일체의 고정판(18)에 접힐 수 있는 접힘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16)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을 제1 판체(11a), 타측을 제2 판체(11b)로 지칭하는 것이다.
고정판(18)을 구성하는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는 접힐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각 판체의 양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판체가 테두리가 되는 관통공(14)을 중앙에 형성한다. 따라서 중심부의 관통공(14)을 고정판(18), 즉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가 둘러 싸고 있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고정판(18)은 따라서 중앙부가 관통된 원판체, 타원판체, 다각형 판체, 하트형과 같은 폐곡선도형 판체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탄력, 비탄력성 재질의 부직포 또는 의료용 밀착포 또는 섬유질의 근육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고정판(18)의 재질과 고정판(18)이 형성하는 도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가 접히도록 접힘부(16)에서 만나 일체의 고정판(18)을 형성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는 접힘부(16) 없이 이어져 일체의 고정판(18)을 형성 할 수도 있으며, 고정판(18)의 구성 및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판(18)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14)의 일면은 대변 수집봉지(15)를 향하고 있으며, 타면은 외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타면은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사용 과정에서는 항문을 바라보게 된다.
고정판(18)은 항문 주변의 피부에 직접 닿게 되는 부위가 되므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피부와 유사한 실리콘을 고정판(18)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형지(12a~d)는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판(18) 위에 접착되어있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재에 대해 원치 않는 접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부재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부착된다. 따라서 이형지((12a~d))는 이형원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하여 접착부재와 접촉한 이면이 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부재의 접착면을 보호하고 쉽게 박리될 수 있다면 이형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형지(12a~d)는 고정판(18)의 전면을 다 덮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형지(12a~d)는 한 번에 전체를 제거할 필요 없이 단계별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시 고정판(18)의 전면을 이형지(12a~d)의 개수로 분할한 면적씩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형지(12a~d)의 면적은 고정판(18) 면적을 등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서로 동일하지 않은 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형지(12a~d)가 고정판(18) 위에 총 4개 등분된 면적을 차지하며 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이형지(12a~d)는 박리 및 고정판(18)의 피부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적은 개수의 이형지(12a~d)는 이형지(12a~d) 박리 후 손으로 피부에 고정판(18)을 접착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개수의 이형지(12a~d) 수를 선택할 수 있다.
접착부재는 고정판(18)을 이형지(12a~d) 또는 항문 주변의 피부에 접착시키기 위해 고정판(18)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성요소로, 접착성을 가진 수단이 사용된다. 항문 주변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수단이 바람직하다. 접착부재로는 테이프 또는 실리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접착부재에는 이형지(12a~d)가 덮혀 다른 원치 않는 곳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체용 대변 수집기(10)가 사용되어야 할 경우, 이형지(12a~d)를 제거한 뒤 접착부재가 고정판(18)을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재를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 이외에도 환자가 착용한 항문 주위가 개방된 거들에 접착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노즐(17)은 대변 수집기(10) 내부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고정판(18)과 대변 수집봉지(15)의 말단 영역(19)에 의해서 협지됨으로써 대변 수집기(10)와 결합된다. 노즐(17)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고정판(18)과 말단 영역(19) 사이에서 협지되고, 노즐(17)의 입구와 토출구는 각각 고정판(18)의 바깥방향와 안쪽을 향하여 개방된다.
노즐(17)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바, 액체 주입기(20)가 삽입되고 유체가 유입될 노즐(17)의 입구는 일정 직경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액체가 분사될 토출구는 상기 입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즐(17)의 입구로는 액체 주입기(20)의 주입부(21)가 삽입되고, 삽입된 액체 주입기(20)의 주입부(21)로부터 액체가 토출됨에 따라 토출구가 개방되어 대변 수집기(10)의 안쪽으로 액체가 분사되게 된다.
노즐(17)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판(18)과 대변 수집봉지(15)의 사이에 위치하여 협지되고, 고정판(18) 및 대변 수집봉지(15)가 전혀 비틀림이나 변형 및 탄성이 없는 강체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외력을 가함에 따라 노즐(17)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삽입된 액체 주입기(20)의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노즐(17)도 방향이 변화하여 토출구가 항문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액체를 분사해서 항문 주변의 잔변을 제거 할 수 있다.
노즐(17)이 고정판(18)과 대변 수집봉지(15) 사이에 협지됨에 따라 노즐(17), 고정판(18) 및 대변 수집봉지(15) 사이의 영역에 간극이 생겨 대변 수집기(10)가 장착되었을 때 완전하게 밀봉되지 않을 수 있고, 간극으로 배설물이 새어나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상기 사이 영역에 고흡습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를 충진할 수 있다. 고흡습성 고분자는 가루와 같은 제형의 고체로 형성되어,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단단하게 굳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이 영역으로 습기를 머금은 배설물이 유입되더라도 고흡습성고분자가 단단하게 굳어 해당 영역을 막아줌으로써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는다.
노즐(17)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변 수집봉지(15)는 고정판(18)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대변 수집봉지(15)가 확장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대변 수집봉지(15)는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로 유입되는 대변을 수집하기 위한 저장공간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접어져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인 상태로 있다가 대변의 배출과 함께 유입된 대변의 압력에 의해 고정판(18)의 타측면이 바라보고있는 방향을 향해 확장된다. 따라서 대변의 압력에 의해 쉽게 그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나 파손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물질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접었다 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자바라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분해되는 자연분해 비닐 또는 생 분해 비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대변을 확인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불투명한 재질로 대변 수집봉지(15)를 구성하는 경우, 투명한 확인창(미도시)을 일부분에 형성하여 배변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변 수집봉지(15)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8)의 후면(혹은 타측면)에 그 말단 영역(19)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변 수집봉지(15)는 그 말단을 접착수단이 형성되는 고정판(18)의 전면 내부에 부착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말단 영역(19)을 고정판(18)의 후면에 직접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에서는 대변 수집봉지(15)가 항문 또는 항문 주변의 피부에 닿지 않으므로 썩는 비닐을 대변 수집봉지(15)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고정판(18)의 후면 전체를 대변 수집봉지(15)의 말단 영역(19)이 덮으며 부착되도록 도시하였으나 대변 수집봉지(15)의 말단 영역(19)이 고정판(18)에 부착되는 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분한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판(18)의 면적의 50퍼센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력이란 고정판(18)과 대변 수집봉지(15)의 말단 영역(19)이 서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세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변 수집봉지(15)가 고정판(18)의 후면(혹은 타측면)에 그 말단 영역(19)이 부착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대변 수집봉지(15)가 고정판(18)의 전면(혹은 일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에 사용되는 액체 주입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액체 주입기(20)는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체 주입기(20) 이외에도 대변 수집기(10)의 노즐(17)을 통해 액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에 사용되는 액체 주입기(20)는 주입부(21), 몸체(22) 및 통기구(24)로 구성된다.
주입부(21)는 액체 주입기(20)가 저장하고 있는 액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노즐(17)과 유사하게 구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뿔과 같은 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일 개구를 통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주입부(21)가 가능하다.
몸체(22)는 주입하기 위한 액체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빈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저장된 액체를 주입부(21)를 통해서 내보내야 하므로, 별도의 내부 압력 조절부가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연결된 주입부(21)를 통해 증가된 압력으로 액체를 밀어내고,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내부 압력 조절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몸체(22) 자체에 압력을 가해 변형시켜 내부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주입부(21)를 통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2)는 가압에 따라 그 형상 및 부피가 변할 수 있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인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소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체 주입기(20)의 몸체(22)에 저장되는 액체는 일반 물일 수 있으며, 그밖에 소독액을 섞어 항문 부위를 소독할 수도 있는 소독액 희석액일 수도 있으며 그 조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기구(24)는 액체 주입기(20)의 몸체(22) 일 개소에 위치하는, 미소 반경을 가지는 구멍이다. 따라서 몸체(22)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22)에 압력을 가해 액체를 밀어내는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고 밀폐되어 있는 경우라면 액체가 밀려나지 않는다. 몸체(22)를 압박함에 따라 몸체(22) 내부의 기압이 증가할 뿐, 액체는 빠져나오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통기구(24)를 일측에 가지고 있는 경우, 몸체(22)를 압박함에 따라 몸체(22)의 부피가 줄어들고, 액체가 빠져나오게 된다.
통기구(24)는 몸체(22)의 일 영역에 형성된 개폐가 가능한 뚜껑(23)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23)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열린 경우 몸체(22) 내부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통기구(24)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노즐(17)의 형상 변화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노즐(17)의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노즐(17)이 개방된 경우를 표현한 도면이다.
대변 수집기(10)의 노즐(17)은 그 입구와 토출구로 구성된다. 노즐(17)의 입구는 일정 반경의 개방된 개구로 형성되고, 입구로부터 토출구로 향할수록 점차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토출구의 반경은 입구에 비해 매우 작아진다.
토출구는 단순히 뚫려있는 개구로 형성되지 않고, 여러 갈래의 슬릿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거나 강하게 고정되지 않은 커버로 덮혀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닫혀있다가 일정 압력을 가진 액체가 삽입된 액체 주입기(20)를 통해서 노즐(17)의 토출구로 배출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토출구를 통해 액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변 수집기(10)에 노즐(17)이 달려있어도 대변 수집기(10) 내부의 밀폐가 유지되도록 하고, 액체 주입기(20)를 삽입해 액체를 제공한 경우에만 액체가 분사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접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대변 수집봉지(15)의 말단 영역(19)은 대변 수집봉지(15)의 나머지 부분으로 연결되는데, 나머지 부분은 대변이 유입되기 전이므로 수축되어 접혀있다. 따라서 대변 수집봉지(15)의 몸통 영역은 수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변 수집기(10)가 사용되기 전에는 대변 수집봉지(15)가 수축되어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판(18)은 접힐 수 있도록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양 단부가 접힘부(16)에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접힘부(16)는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를 서로에 대해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접힘부(16)를 통해서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후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고정판(18)을 접은 경우,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사이에는 대변 수집봉지(15)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대변 수집봉지(15)는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사이에서 압착되게 되며, 마치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사이에 대변 수집봉지(15)가 담겨 있는 것처럼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도록 변형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장착하고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삽입하여 이형지(12a~d)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삽입하여 이형지(12a~d)를 제거해 제1 판체(11a)를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삽입하여 이형지(12a~d)를 제거해 고정판(18)을 피부에 부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는 접힌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환자의 하반신의 엉덩이 골로 삽입된다. 접힘부(16)를 통해 고정판(18)을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의 후면이 만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단순히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엉덩이 골로 삽입되어 접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항문은 엉덩이 골의 사이에 위치하고,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는 항문 주변의 피부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환자가 일반적으로 취할 수 있는 자세 범위 안에서는 고정판(18)을 접어서 삽입해야 항문 주변의 피부에 빈 틈이 없이 접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항문근처 엉덩이 골에 위치시키고, 제1 이형지(12a)와 제3 이형지(12c)를 일정 정도 떼어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항문 주변의 피부에 접착하기 위하여, 모든 이형지를 한번에 다 제거하고 접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한 경우 제1 판체(11a)를 접착하는 중에 제2 판체(11b)의 접착부재에 의해 원치 않는 피부 위치에 고정판(18)이 접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원하는 접착 위치를 찾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판체(11a) 또는 제2 판체(11b) 중 하나에 위치한 이형지(12a~d)를 먼저 제거해서 원하는 위치에 상기 판체를 접착하고, 나머지 판체에 위치한 이형지(12a~d)를 제거하여 원하는 피부 위치에 상기 나머지 판체를 접착하면 보다 손쉽게 원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체(11a)의 제1 이형지(12a)와 제3 이형지(12c)를 제1 판체(11a)의 전면에 형성된 접착부재로부터 제거하고, 제1 판체(11a)의 전면을 항문 주변 피부 중 원하는 위치에 먼저 접착시킨다.
도 11은 도 10의 상황과 같이 제1 판체(11a)의 제1 이형지(12a) 및 제3 이형지(12c)를 박리하고 제1 판체(11a)의 전면에 도포된 접착부재를 이용해 제1 판체(11a)를 항문 주변의 피부에 접착시킨 상황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고정판(18)은 접힘부(16)를 이용하여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접을 수 있으므로, 제1 판체(11a)를 항문 주변 피부의 일측에 접착하여 고정시킨 후 제2 판체(11b)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항문 주변 피부의 타측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제2 판체(11b)에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되어있는 제2 이형지(12b) 및 제4 이형지(12d)를 제거해서 제2 판체(11b)상에 형성된 접착부재를 외부로 노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2 판체(11b)에 부착된 이형지(12b, 12d)들을 박리한 후, 제2 판체(11b)를 부착하기 원하는 항문 주변 피부의 타측에 제2 판체(11b)의 전면에 형성된 접착부재를 접근시켜 접착시킨다. 따라서 제2 판체(11b)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항문 주변 피부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고정판(18) 전체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든 이형지를 박리하고, 제1 판체(11a) 및 제2 판체(11b)를 항문 주위의 피부에 부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변 수집기(10)를 착용한 환자가 배변을 하면, 대변 수집기(10)의 대변 수집봉지(15)가 대변을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장착 및 액체 주입기(20)의 삽입을 완료하고, 대변이 유입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에 대변이 유입되는 경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과정에서는 아직 대변이 항문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았으므로 대변 수집봉지(15)가 접힌 채로 수축되어 있다. 그러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의 설치가 완료되고 항문으로부터 대변이 배출되는 경우, 항문을 바라보고 있으며 고정판(18)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4)을 통해 대변이 대변 수집봉지(15)로 유입된다. 배출되는 대변의 압력에 의해 수축되어 있는 대변 수집봉지(15)가 대변의 배출 방향, 즉 고정판(18)의 후면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대변 수집봉지(15)의 최대 확장될 수 있는 부피, 즉 용량은 일반적인 성인의 평균적인 배변량을 초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변 수집봉지(15)에 대변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과정에서 대변 수집봉지(15)가 항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배변활동이 완료된 후 대변 수집봉지(15) 내의 대변은 항문으로부터 먼 위치에 저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항문 및 항문 주변 피부에 대변이 묻거나 접촉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불쾌감을 덜 수 있다.
환자의 배변활동으로 인해 대변 수집봉지(15)에 대변이 유입된 후, 배변활동이 종료되면 노즐(17)에 액체 주입기(20)를 삽입한다. 액체 주입기(20)가 삽입된 후 노즐(17)이 항문을 향하도록 한 채로 액체 주입기(20)의 몸체(22)를 가압하면, 액체 주입기(2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노즐(17)을 통해 항문을 향해 분사된다. 분사된 액체는 항문 및 항문 주위의 잔변을 씻어내고, 분사된 액체는 대변 수집봉지(15)에 담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변 수집기(10)의 제거 없이도 손쉽게 잔변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잔변의 제거를 위해 분사된 액체를 원활히 수거할 수 있다.
대변을 저장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제거하는 경우, 항문 주변의 피부로부터 제1 판체(11a)와 제2 판체(11b)를 떼어낸 후 대칭되도록 형성된 두 판체(11a, 11b)의 전면이 서로 만나도록 접을 수 있다. 양 판체(11a, 11b)의 전면에는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 판체(11a, 11b)의 전면이 만나면서 서로에 대해 접착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대변 수집기(10)를 간단하게 밀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생적으로 본 발명의 인체용 대변 수집기(10)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액체 주입기가 결합된 인체용 대변 수집기
10 : 인체용 대변 수집기 11a : 제1 판체
11b : 제2 판체 12a~d : 이형지
14 : 관통공 15 : 대변 수집봉지
16 : 접힘부 17 : 노즐
18 : 고정판 19 : 말단 영역
20 : 액체 주입기 21 : 주입부
22 : 몸체 23 : 뚜껑
24 : 통기구 100 : 등록특허의 대변 수집기
101 : 등록특허의 판체 102 : 등록특허의 고정판
103 : 등록특허의 접착부재 104 : 등록특허의 대변 수집봉지
171 : 입구 172 : 토출구
C : 엉덩이 골 L : 하반신

Claims (9)

  1.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판체 및 제2 판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체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판체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관통공을 형성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체의 항문 주변의 피부에 상기 고정판을 접착하는 접착부재;
    상기 고정판에 말단 영역이 부착되고, 상기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대변에 의해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을 향해 확장되어 상기 배출된 대변을 수용하는 대변 수집봉지;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는 상기 대변 수집봉지의 말단 영역 사이에서 협지되고,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항문을 향해 액체를 분사 가능한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판체 및 상기 제2 판체가 서로 접히도록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관통공을 향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액체 주입기가 삽입되어 상기 액체 주입기로부터 액체가 분사될 때, 상기 분사된 액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대변 수집봉지의 말단 영역 사이의 영역은 고흡습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로 충진된 인체용 대변 수집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기는,
    상기 노즐에 삽입되는 주입부; 및
    상기 액체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부피가 신축되어 상기 주입부로 상기 액체를 배출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통기가 가능한 통기구를 구비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실리콘 접착제인 인체용 대변 수집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에 부착되는 복수의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형지 중 제거된 이형지와 대응되는 상기 접착부재의 영역이 상기 항문 주변의 피부에 먼저 접착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수집봉지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1020160166330A 2016-12-08 2016-12-08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10184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30A KR101844957B1 (ko) 2016-12-08 2016-12-08 인체용 대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30A KR101844957B1 (ko) 2016-12-08 2016-12-08 인체용 대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957B1 true KR101844957B1 (ko) 2018-04-03

Family

ID=6197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30A KR101844957B1 (ko) 2016-12-08 2016-12-08 인체용 대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76A1 (ko) * 2020-05-15 2021-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루기기
KR102653553B1 (ko) * 2022-12-21 2024-04-02 유호영 인체용 대변 수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054A (ja) 2000-06-27 2002-01-15 Hitoshi Sawara 洗浄装置付ポータブルトイレ
US20060253090A1 (en) 2005-05-04 2006-11-09 Bradley Arthur J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vacuation and cleansing of a colonostomy bag
US20080077098A1 (en) * 2006-09-27 2008-03-27 Bradley Arthur J One-Way Valv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054A (ja) 2000-06-27 2002-01-15 Hitoshi Sawara 洗浄装置付ポータブルトイレ
US20060253090A1 (en) 2005-05-04 2006-11-09 Bradley Arthur J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vacuation and cleansing of a colonostomy bag
US20080077098A1 (en) * 2006-09-27 2008-03-27 Bradley Arthur J One-Way Valve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76A1 (ko) * 2020-05-15 2021-11-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루기기
JP2023524849A (ja) * 2020-05-15 2023-06-13 高麗大学校産学協力団 ストーマ装具
JP7562166B2 (ja) 2020-05-15 2024-10-07 高麗大学校産学協力団 ストーマ装具
KR102653553B1 (ko) * 2022-12-21 2024-04-02 유호영 인체용 대변 수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891B1 (ko) 인체용 소변 수집기
US10478328B2 (en) Ostomy pouch replacement device
JP3764060B2 (ja)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着用物品
KR100457613B1 (ko) 대변 처리 디바이스
RU26034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яемого выпуска из стомы
JP3231717U (ja) 対象者からの排泄を制御する医療装置、その使用及び方法
US20200046542A1 (en) Ostomy Pouch Replacement Device
CN111818885B (zh) 用于与以手术方式形成的腔道一起使用的装置
JP2009148621A (ja) 人工小孔装置
CN101778610A (zh) 排泄物管理装置
JP2001087299A (ja) 排泄物収容装具用面板
US11963902B2 (en) Stoma cover for covering a stoma during an exchange of an ostomy appliance
US20120277700A1 (en) Ostomy device
KR100983870B1 (ko) 피부보호수단을 구비한 장루용 보조기구
KR101844957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CN102740811B (zh) 兰花形大便失禁收集器
KR101786495B1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JP2869182B2 (ja) 人工肛門閉鎖具
US20030225387A1 (en) Absorbent ostomy pad system
CN111529176B (zh) 一种嵌入型造口装置
KR101712551B1 (ko) 다양한 크기의 장루에 적용될 수 있는 캡이 구비된 장루 보조기구
US20040122384A1 (en) Expanding applicator for a human waste collection bag
JP4206439B2 (ja) 嵌合装置及び同嵌合装置を備える排泄物収容装具
JP2002540893A (ja) 信頼性の高い快適なフランジを備えた便捕集器
EP0850612A1 (en) Excrement collect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