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730B1 -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730B1
KR102418730B1 KR1020200035932A KR20200035932A KR102418730B1 KR 102418730 B1 KR102418730 B1 KR 102418730B1 KR 1020200035932 A KR1020200035932 A KR 1020200035932A KR 20200035932 A KR20200035932 A KR 20200035932A KR 102418730 B1 KR102418730 B1 KR 10241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weight
nitrogen
composition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244A (ko
Inventor
이준석
민경준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한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한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한농
Priority to KR102020003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7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9/00Granulation or pelletisation of phosphatic fertilisers, other than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3/00Fertilisers containing other salts of ammonia or ammonia itself, e.g. gas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5/00Fertilisers containing other ni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4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for affecting fertiliser dosage or release rate; for affecting solu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7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a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작물 재배 시 밑거름(기비) 처리 후 수확 전까지 작물의 생육을 위해 양분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는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은 원예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생육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1회 시비만으로도 상품성 있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고 반복적인 비료 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 노동력 및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Complex fertilizer composition for horticulture}
본 발명은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작물 재배 시 밑거름(기비) 처리 후 수확 전까지 작물의 생육을 위해 양분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는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원예 작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비료 및 합성농약의 사용을 근간으로 하는 집약농업은 식량의 증산에는 공헌하였으나, 화학비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하천수 오염 등의 환경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에 최근 안전한 먹거리 소비, 지속 가능한 발전 등에 대한 국내외 관심의 증가와 함께 환경친화적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농업에 대한 수요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화학비료 사용량 절감 정책을 추진 중으로 2009년 01월 29일 국가경쟁력강화 위원회에서 "농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으로 2012년까지 2007년에 대비 35% 감축 (340kg/ha/2007년에서 221kg/ha/2012년) 목표를 발표하였다. 아울러 최근 농촌노동력이 급격히 고령화되면서 노동력의 양적, 질적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생력화 재배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원예 작물인 양파, 마늘의 경우, 재배 시 작물의 균형 양분 특성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표준시비량에 따라 전용 복합 비료를 밑거름으로 처리한 후 웃거름을 2~3회 차례 나누어 처리한다. 특히 월동 후 생육재생기에 접어든 작물의 생육이 정지되거나, 반대로 생육이 과하여 웃자라지 않도록 생육 시기에 맞춰 웃거름을 수 회로 조절하여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월동 작물은 저온기에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주로 멀칭(mulching) 재배를 이용하는데, 멀칭으로 인하여 추비 시기에 작물에 직접적으로 시비하는 것이 어려워 고랑에 시비하거나 직접 구멍을 뚫어 시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적인 추비나 멀칭으로 인한 추비의 시비 방법은 상대적으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며, 필요 이상으로 처리되는 비료로 인해 재배지 토양 및 주변 하천수가 오염될 뿐만 아니라 비료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어 매년 재배 농가의 부담이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양파, 마늘 등 주요 원예 작물에 대해 표준시비량, 농가의 관행시비량을 조사하고 각 작물의 주산지 온도 등 환경 조건을 측정하여 비료 사용량 절감과 함께 환경오염 및 노동력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작물의 수확 전까지 1회의 시비로 작물을 생육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속효성 비료 30 내지 50 중량%, 완효성 비료 20 내지 40 중량% 및 일반 비료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원예 작물에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작물의 수확 전까지 추가 비료를 공급하지 않는 원예 작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속효성 비료 30 내지 50 중량%, 완효성 비료 20 내지 40 중량% 및 일반 비료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속효성 비료'는 물에 잘 녹아 작물이 쉽게 흡수, 이용할 수 있는 양분의 형태로 가용화되기 쉬운 성질을 가진 비료를 의미하며, 그 일례로 질산칼슘, 질산칼륨, 질산마그네슘,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과인산석회, 황산칼륨, 질산태 질소를 함유한 비료 등이 있다.
상기 속효성 비료는 원예 작물의 초기 생육을 촉진하는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질소를 단비(單肥, single fertilizer)인 질산암모늄, 질산칼륨의 형태로 작물에 공급할 경우에는 수용성으로 흡습성이 매우 강하고, 질산태 함량이 너무 높아 비료의 양분 공급 측면에서 유실 또는 유탈 가능성이 높으므로, 원예 작물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속효성 비료는 질산태 질소 및 암모니아태 질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산태 질소(nitrate nitrogen)는 질산칼슘(Ca(NO3)2), 질산칼륨(KNO3), 질산마그네슘(Mg(NO3)2) 및 질산암모늄(NH4N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암모니아태 질소(ammonia nitrogen)는 황산암모늄((NH4)2SO4), 인산일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및 염화암모늄(NH4C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속효성 비료는 질산태 질소와 암모니아태 질소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질산(HNO3)과 암모니아(NH3)의 반응을 통해 조립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질산태 질소 및 암모니아태 질소의 질소(N) 비율은 2 ~ 3 : 7 ~ 8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7일 수 있다. 상기 질소 비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작물의 생육이 저해되어 수확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속효성 비료는 시비 후 1 내지 10일 동안 비료 성분이 용출되며, 특히 시비 후 1 내지 5일 동안 비료의 전체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가 용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완효성 비료'는 비료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속효성 비료와 대비되는 것으로, 비료의 성분이 천천히 용출되어 그 효과 또한 천천히 나타나는 비료를 의미하며, 수용성 성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비수용성 물질로 코팅되어 용출 속도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효성 비료는 비료의 용출 제어를 위해 폴리머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코팅은 비료의 외부가 폴리올레핀계류, 폴리우레탄류 등의 수지로 코팅된 것으로, 용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완효성 비료는 작물의 지속적인 생육에 필요한 질소와 칼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질소 및 칼륨의 비율은 3 ~ 5 : 5 ~ 7 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히려 작물의 생육이 저해되어 수확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완효성 비료는 작물별 생육 기간과 비료 주는 시기를 감안하고, 겨울철 온도에 따른 용출 지연 등을 고려하여, 수중 정치 용출이 시비 후 40 내지 120일 동안 지속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완효성 비료는 용출 기간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완효성 비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출 40일의 완효성 비료 30% 및 용출 70일의 완효성 비료 70%를 포함하거나, 또는 용출 40일의 완효성 비료 40% 및 용출 100일의 완효성 비료 6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반 비료'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통상적으로 단일성분만을 갖는 단비 형태의 비료를 의미하며, 1종의 단비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단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비료는 질소 성분을 포함하는 요소, 황산암모늄 등; 인산 성분을 포함하는 인산일암모늄((NH4)H2PO4), 인산이암모늄((NH4)2HPO4), 용성인비 등; 칼륨 성분을 포함하는 입상 황산칼륨, 입상 염화칼륨 등; 붕소 성분을 포함하는 붕사, 붕산 등; 마그네슘(고토) 성분을 포함하는 황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고토붕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비료는 작물의 초기 생장에 필수적인 인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물에 따라 붕소 성분, 고토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비료는 시비 후 50일째, 비료의 전체 중량 중 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가 용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예용 복합 비료'는 과일, 채소, 꽃과 같은 원예 작물을 재배 시 작물의 발아, 성장, 결실 등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기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양분으로 질소, 인산 및 칼륨을 복합적으로 함유하는 비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복합 비료는 양파, 마늘, 고추, 피망, 대파, 쪽파, 실파, 부추, 배추, 상추, 양배추, 열무 등의 채소 재배에 적합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비료 조성물은 질소, 인산 및 칼륨의 총 함량으로 전체 중량 중 2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비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질소 : 인산 : 칼륨 = 15 ~ 25 : 7 ~ 13 : 8 ~ 2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소 : 인산 : 칼륨 = 18 ~ 23 : 9 ~ 11 : 10 ~ 18 일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비료의 조성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양분을 공급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비료 조성물은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다른 양분의 흡수, 당분의 이행 및 추위 및 해충에 대한 작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토 또는 붕소를 포함하거나 고토 및 붕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토는 전체 중량 중 0.5 내지 3 중량%로, 붕소는 전체 중량 중 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토 또는 붕소의 중량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며, 상기 고토 또는 붕소의 중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작물의 과도한 생육을 유도하여 오히려 병충해나 환경 스트레스에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원예 작물에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작물의 수확 전까지 추가 비료를 공급하지 않는 원예 작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예 작물의 재배 시, 1회 밑거름 처리만으로 작물을 충분히 생육시킴으로써 수확 전까지 추가로 비료를 처리할 필요가 없어 작물 재배에 소모되는 전체적인 비료의 사용량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은 원예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생육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1회의 시비만으로도 상품성 있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고 반복적인 비료 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 노동력 및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속효성 비료의 조성에 따른 배추 모종의 생육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속효성 비료의 조성에 따른 고추 모종의 생육 시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속효성 비료의 조성에 따른 상추 모종의 생육 시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합 비료의 처리에 따른 (a) 무안, (b) 함양의 양파 재배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합 비료의 처리에 따른 (a) 무안, (b) 함양 재배지에서 생산된 양파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속효성 비료의 조성에 따른 모종 생육 시험
암모니아태 질소(AN)로 암모니아를 사용하고, 질산태 질소(NN)로 질산을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비율로 암모니아와 질산의 반응을 통해 조립하여 속효성 비료를 제조하였다.
2L 원형 포트에 토양을 담은 후 배추 모종, 고추 모종, 상추 모종을 각각 이식하였다. 처리구는 토양 상부에 제조된 속효성 비료를 300 g씩 처리하였고, 대조구는 암모니아태 질소로만 이루어진 비료 300 g을 처리하였다. 모든 모종 화분을 온실 (기온 25~30℃, 습도 60~70%)에서 재배하면서 생육을 관찰하였다.
모종의 엽색은 엽색측정장비인 엽색계(SPAD-502pl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성
(AN:NN)
배추 이식 후 21일째 32일째
엽폭 (cm) 엽장 (cm) 엽색 생체중 (g)
6:4 26.3 b 18.4 a 38.1 a 452.8 b
7:3 26.1 b 18.3 a 37.5 a 463.5 a
8:2 26.3 b 18.8 a 37.2 a 461.3 a
대조구(10:0) 24.6 b 17.1 a 37.2 a 451.8 b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계처리 결과 배추 모종은 신뢰수준 95%에서 대조구 대비 AN:NN의 조성이 7:3, 8:2일 때, a와 b로 유의차를 나타내어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성
(AN:NN)
고추 이식 후 30일째 40일째
초장 (cm) 엽경 (cm) 생체중 (g)
6:4 46.4 a 5.3 a 58.8 b
7:3 47.6 a 5.4 a 62.1 a
8:2 47.8 a 5.5 a 60.7 ab
대조구(10:0) 44.7 a 5.1 a 58.8 b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상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계처리 결과 고추 모종은 신뢰수준 95%에서 대조구 대비 AN:NN의 조성이 7:3일 때. a와 b로 유의차를 나타내어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성
(AN:NN)
상추 이식 후 30일째
엽장 (cm) 엽수 (cm) 생체중 (g)
6:4 26.5 b 26.0 b 67.6 ab
7:3 27.7 a 29.0 a 70.6 a
8:2 27.2 ab 27.0 b 64.9 b
대조구(10:0) 23.8 c 24.3 c 52.7 c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상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계처리 결과 상추 모종은 신뢰수준 95%에서 대조구 대비 AN:NN의 조성이 7:3일 때, a와 c로 유의차를 나타내어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에 따라 AN:NN = 7:3의 조성으로 제조된 속효성 비료를 사용하여 이후 복합 비료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2. 복합 비료의 처리에 따른 양파 생육 시험
2-1. 비료 처리
전남 무안군 현경면에 소재한 양파 재배지의 밭에서 라이언킹 (중앙종묘)을 시험구(250평, 733 m2)와 대조구(750평, 2500 m2)로 나누어 재배하였고, 경남 함양군 함양읍에 소재한 양파 재배지의 논에서 페가수스 (코레곤)를 시험구(450평, 1500 m2)와 대조구(250평, 733 m2)로 나누어 재배하였다.
10월 말, 각 토양에 양파를 파종한 후 토양 상부에 하기 표 4와 같은 복합 비료 (시험구 1~4) 또는 표 5와 같은 비료 (대조구 1~3)를 밑거름(기비)으로 각각 처리하였다. 대조구에 대해 파종 후 120일째 1차 추비하고, 150일째 2차 추비를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기비 후 수확 전까지 양파 생육 기간 동안 비료를 처리하지 않았다.
시험구 복합 비료 (%) N-P-K
조성
시비량
(kg/10a)
속효성 비료 완효성 비료 일반 비료
1 41 44 15 16-10-15 80
2 41 44 15 17-10-14 75
3 40 34 28 21-10-11 100
4 38 37 25 20-10-12 100
대조구 시비량 (kg/10a)
기비 1차 추비 2차 추비 합계
1 * 슈퍼마늘양파
(11-8-8) 73kg
요소
(46-0-0) 17.4kg
NK806
(18-0-16) 44.4kg
134.8kg
2 **
(무안)
뿌리조은
(12-7-9) 60kg
요소
(46-0-0)
30kg
NK24
(24-0-12) 30kg
180kg
오래가
(18-8-8) 60kg
3 **
(함양)
파종상
(30-6-6) 25kg
- NK806
(18-0-16) 20kg
95.3kg
엔텍베이스
(21-7-10) 33.3kg
케이마그칼슘플러스 15kg
입상붕사 2kg
*: 표준시비량
**: 각 농가의 관행시비량
2-2. 생육 조사 결과
생육 조사는 월동 전, 해빙 후 1달 1회씩 각 구획별로 10주씩 양파의 초장, 엽수, 엽초장, 엽초경, 엽색을 수확 전까지 조사하였다.
무안 시험구 대조구
1 2 3 4 1 2
11/29
(30
DAT)
엽초장
(cm)
1.3 b 1.5 ab 1.8 a 1.4 ab 1.5 ab 1.5 ab
초장
(cm)
24.1 c 25.4 bc 28.0 a 25.9 abc 26.2 abc 27.4 ab
엽수
(개)
3.4 b 3.7 ab 3.9 a 3.8 a 3.7 ab 3.8 ab
엽초경
(mm)
4.2 c 4.5 bc 5.0 ab 4.5 bc 4.5 bc 5.3 a
엽색 51.3 bc 54.0 ab 56.9 a 52.7 bc 50.6 c 55.8 a
2/26
(119
DAT)
엽초장
(cm)
2.6 ab 2.8 ab 2.9 a 2.5 b 2.8 ab 2.0 c
초장
(cm)
31.9 b 35.3 a 36.9 a 32.1 b 36.7 a 27.7 c
엽수
(개)
4.4 ab 4.4 ab 4.6 a 4.5 ab 4.6 a 4.2 b
엽초경
(mm)
9.4 bc 9.9 bc 11.0 a 9.7 bc 10.3 ab 9.1 c
3/27
(148 DAT)
엽초장
(cm)
3.9 a 3.6 a 3.9 a 3.6 a 3.7 a 2.6 b
초장
(cm)
54.8 b 58.0 a 59.0 a 54.3 b 58.5 a 51.9 b
엽수
(개)
6.7 a 7.1 a 7.4 a 7.0 a 7.3 a 7.0 a
엽초경
(mm)
17.6 a 18.3 a 18.6 a 17.7 a 18.7 a 17.3 a
4/19
(171 DAT)
엽초장
(cm)
4.7 c 5.3 ab 5.6 a 5.0 bc 5.3 ab 4.0 d
초장
(cm)
78.4 ab 81.1 a 80.3 a 76.3 b 80.4 a 73.0 c
엽수
(개)
8.7 a 8.8 a 8.6 a 8.8 a 8.4 a 9.0 a
엽초경
(mm)
21.8 a 22.3 a 23.5 a 22.9 a 21.7 a 22.6 a
DAT(days after transplanting): 파종 후 일수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함양 시험구 대조구
1 2 3 4 1 3
11/30
(32
DAT)
엽초장
(cm)
1.7 b 1.5 b 2.0 a 1.6 b 1.6 b 1.5 b
초장
(cm)
19.2 a 19.4 a 19.8 a 20.4 a 18.9 a 19.7 a
엽수
(개)
3.4 a 3.5 a 3.5 a 3.4 a 3.4 a 3.3 a
엽초경
(mm)
4.5 a 4.4 a 4.5 a 4.5 a 4.2 a 4.6 a
엽색 59.3 a 60.6 a 62.0 a 60.2 a 58.3 a 58.8 a
2/28
(122
DAT)
엽초장
(cm)
1.3 a 1.3 a 1.4 a 1.2 a 1.3 a 1.4 a
초장
(cm)
15.3 b 15.3 b 16.5 ab 15.6 b 15.1 b 17.4 a
엽수
(개)
3.2 a 3.2 a 3.5 a 3.4 a 3.2 a 3.4 a
엽초경
(mm)
6.0 b 6.8 ab 7.2 a 6.6 ab 6.2 b 6.5 ab
3/29
(151
DAT)
엽초장
(cm)
2.0 a 1.7 a 1.9 a 1.7 a 1.9 a 1.7 a
초장
(cm)
37.6 bc 36.3 c 39.6 ab 39.2 ab 35.9 c 40.7 a
엽수
(개)
7.0 a 7.2 a 7.5 a 7.1 a 7.1 a 7.4 a
엽초경
(mm)
12.4 a 12.4 a 13.4 a 13.1 a 12.8 a 13.5 a
4/25
(178
DAT)
엽초장
(cm)
4.1 a 4.0 a 4.3 a 4.2 a 4.4 a 4.4 a
초장
(cm)
79.1 b 80.2 b 82.0 b 82.5 b 80.5 b 86.2 a
엽수
(개)
9.2 a 9.4 a 9.8 a 9.4 a 9.3 a 9.4 a
엽초경
(mm)
19.9 a 19.4 a 20.4 a 19.6 a 19.4 a 18.9 a
DAT(days after transplanting): 파종 후 일수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상기 표 6, 7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복합 비료를 처리한 경우 (시험구 1~4)에는 표준시비량에 따라 종래 비료를 처리한 경우 (대조구 1)에 비해 양파의 생육이 우수하며, 각 농가의 관행대로 시비한 경우 (대조구 2 또는 3)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양파의 생육이 관찰되었다. 특히, 시험구 3은 양파의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수확 조사 결과
수확 조사는 각 구획별로 10주씩 수확 후 앙파의 수량, 구고, 구폭, 구중을 조사하였다.
무안 시험구 대조구
1 2 3 4 1 2
구중 (g) 293 a 288 a 306 a 289 a 294 a 296 a
구경 (mm) 84.03 a 83.33 a 84.42 a 84.13 a 83.65 a 83.26 a
구고 (mm) 82.37 a 83.21 a 83.20 a 82.69 a 83.19 a 78.19 b
구형 지수 1.0 a 1.0 a 1.0 a 1.0 a 1.0 a 0.9 b
상품과율 (%) 67 66 71 67 73 79
상품과 수량
(kg/10a)
6,131
[88%]
5,960
[86%]
6,820
[98%]
6,163
[89%]
6,604
[95%]
6,961
[100%]
총 수량
(kg/10a)
8,150
[99%]
8,010
[98%]
8,491
[103%]
8,036
[98%]
8,175
[100%]
8,208
[100%]
상품과: 구중 250g 이상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함양 시험구 대조구
1 2 3 4 1 3
구중 (g) 298 bc 313 ab 326 a 297 bc 275 c 323 a
구경 (mm) 86.56 b 87.84 ab 86.06 b 86.55 b 84.83 b 90.17 a
구고 (mm) 79.12 b 83.65 a 79.58 b 81.14 b 80.05 b 85.43 a
구형지수 0.9 b 1.0 a 0.9 ab 0.9 ab 1.0 a 1.0 a
상품과율 (%) 70 83 87 67 63 82
상품과 수량
(kg/10a)
6,849 [82%] 8,060 [97%] 8,631 [103%] 6,558 [79%] 5,832 [70%] 8,342 [100%]
총 수량
(kg/10a)
8,737 [92%] 9,165 [97%] 9,565 [101%] 8,710
[92%]
8,057 [85%] 9,475 [100%]
상품과: 구중 250g 이상
a, b: Means followed by same letter do not significantly differ (P=.05, Student-Newman-Keuls). Mean comparisons performed only when AOV Treatment P(F) is significant at mean comparison OSL.
상기 표 8, 9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복합 비료를 처리한 경우 (시험구 1~4)에는 표준시비량에 따라 종래 비료를 처리한 경우 (대조구 1) 또는 각 농가의 관행대로 시비한 경우 (대조구 2 또는 3)와 유사한 수준으로 양파의 수확 결과를 얻었다. 특히, 시험구 3은 양파의 상품과 수량 및 총 수량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속효성 비료 30 내지 50 중량%, 완효성 비료 20 내지 40 중량% 및 일반 비료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채소 재배용 복합 비료 조성물로서,
    상기 속효성 비료는 질산태 질소 : 암모니아태 질소 = 2 ~ 3 : 7 ~ 8의 비율로 질소를 포함하고, 시비 후 1 내지 5일 동안 속효성 비료의 전체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가 용출되는 것이고,
    상기 완효성 비료는 질소 : 칼륨 = 3 ~ 5 : 5 ~ 7의 비율을 포함하며, 시비 후 40 내지 120일 동안 용출되는 것이고,
    상기 복합 비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 중 고토 0.5 ~ 3 중량% 및 붕소 0.05 ~ 0.5 중량%를 포함하며, 질소 : 인산 : 칼륨 = 18 ~ 23 : 9 ~ 11 : 10 ~ 18의 조성비를 가지는 것인 채소 재배용 복합 비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효성 비료는 질소 및 칼륨을 포함하는 폴리머 코팅 비료인 것인, 채소 재배용 복합 비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비료는 요소, 황산암모늄, 인산일암모늄, 인산이암모늄, 용성인비, 입상 황산칼륨, 입상 염화칼륨, 붕사, 붕산, 황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및 고토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선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채소 재배용 복합 비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소는 양파, 마늘, 고추, 피망, 대파, 쪽파, 실파, 부추, 배추, 상추, 양배추 및 열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채소 재배용 복합 비료 조성물.
KR1020200035932A 2020-03-24 2020-03-24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KR10241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32A KR102418730B1 (ko) 2020-03-24 2020-03-24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32A KR102418730B1 (ko) 2020-03-24 2020-03-24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244A KR20210119244A (ko) 2021-10-05
KR102418730B1 true KR102418730B1 (ko) 2022-07-08

Family

ID=7807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32A KR102418730B1 (ko) 2020-03-24 2020-03-24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886A (ja) * 2001-05-07 2002-11-12 Yoshihara Oil Mill Ltd 固形肥料
JP3532177B2 (ja) * 2001-10-19 2004-05-31 くみあい肥料株式会社 水稲の施肥方法
JP2007063109A (ja) * 2005-08-31 2007-03-15 Maruwa Biochemical Co Ltd 安定な緩効性液状複合肥料
JP2015047099A (ja) * 2013-08-30 2015-03-16 大分県 茶の施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7722A (ja) * 1987-10-30 1989-05-10 Iseki & Co Ltd 育苗培土
JP3379547B2 (ja) * 1993-05-21 2003-02-24 チッソ株式会社 被覆粒状配合肥料
JPH11228273A (ja) * 1998-02-12 1999-08-24 Asahi Chem Ind Co Ltd 被覆粒状肥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886A (ja) * 2001-05-07 2002-11-12 Yoshihara Oil Mill Ltd 固形肥料
JP3532177B2 (ja) * 2001-10-19 2004-05-31 くみあい肥料株式会社 水稲の施肥方法
JP2007063109A (ja) * 2005-08-31 2007-03-15 Maruwa Biochemical Co Ltd 安定な緩効性液状複合肥料
JP2015047099A (ja) * 2013-08-30 2015-03-16 大分県 茶の施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244A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7940B (zh) 一种石漠化地区牧草建植方法及其使用方法
Shiyam et al. Effect of poultry manure and urea-n on flowering occurrence and leaf productivity of Amaranthus cruentus
Polara et al. Effect of nitrogen and phosphorus on nutrient content and uptake in different varieties of African marigold (Tagetes erecta L.)
Singh et al. Response of crop establishment methods and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on productivity of rice under irrigated ecosystem.
CN108112430B (zh) 一种高纬度寒区燕麦草的种植方法
Kumari et al. Drip fertigation in sweet pepper: A review
CN107135801A (zh) 一种防止春花生连作障碍的种植方法
Gajender et al. Performance of edible cactus (Opuntia ficus-indica) in saline environments
JP2012020899A (ja) 配合肥料及び施肥方法
Chandra et al. Role of polymer coated fertilizers (PCFS) an advance technology for improving nutrient use efficiency and crop productivity: A review
CN109804871B (zh) 一种预防和延缓秋季露地甜瓜植株早衰的栽培方法
CN106982634A (zh) 一种紫花苜蓿与玉米的混合种植方法
CN111201967A (zh) 一种冬小麦夏玉米轮作节水省肥方法
US4038064A (en) Foliar applications of urea-polyphosphate-potassium solutions to crops
CN102515878B (zh) 一种棉花缓释肥及其施用方法
KR102418730B1 (ko) 원예용 복합 비료 조성물
Heijerman et al. Higher profits with planting hole treatment in red currant
Doddagoudar et al. Effect of mother plant nutrition and chemical spray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ur of China aster cv. Kamini
CN100482621C (zh) 玫瑰专用控释肥及其制备方法
WO2018116264A1 (en) Granular composition for agricultural use capabl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oxygen in the growth medium
CN113951076B (zh) 一种提高盐碱地种植花生产量的方法
JPH104782A (ja) 園芸作物の栽培方法
CN106416496A (zh) 一种高原光伏板下作物用肥方法
Ionova et al. Influence of Mineral Nutrition Elements on Photosynthetic Processes Occurring in Plants and Productivity of Tomatoes in the Volga Delta Conditions
Hollar et al. Cultural and fertilizer studies with sweet potatoes, muskmelons and watermelons on Buckner coarse s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