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91B1 -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91B1
KR102418091B1 KR1020200158607A KR20200158607A KR102418091B1 KR 102418091 B1 KR102418091 B1 KR 102418091B1 KR 1020200158607 A KR1020200158607 A KR 1020200158607A KR 20200158607 A KR20200158607 A KR 20200158607A KR 102418091 B1 KR102418091 B1 KR 10241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flange
suspension
contact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464A (ko
Inventor
조성래
권순규
추동균
노종대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형태를 이루는 상부파트(710)와, 상기 상부파트(7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와 하부파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720)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파트부는 링형태를 이루는 하부파트(740)와, 링 형태를 이루며 하부파트(740)의 하부로 구비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760)를 포함하며; 베어링(720)은 상부파트(71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1 궤도륜(721)과, 하부파트(74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2 궤도륜(723)과, 제1 궤도륜(721)과 제2 궤도륜(723)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동체(725)로 이루어지며; 하부파트(740)는 환형의 플랜지부(741)와, 플랜지부(74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허브부(743)와,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에 연결된 연결부(745)로 이루어지며; 허브부(743)를 원주면을 따라 허브오목부(7317)가 형성되어 허브오목부(7317) 사이에는 허브오목부(7317)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된 허브돌출부(7317b)가 형성되며, 허브부(743)의 원주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763)의 옆면에는 허브오목부(7317)로 삽입된 돌출부와 허브돌출부(7317b)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A Strut Bearing For Suspension}
본 발명은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의 하부파트부와 스프링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대 회전 운동이 방지되며, 작동 중 하부파트와 스프링패드의 분리에 의한 소음 발생이 억제되는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서스펜션은 주행중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충시켜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구성품으로서, 차체에 결합되는 방식이나 완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며, 일반적인 차량에는 스트러트 형태가 많이 적용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따라 쇽업소버(Shock Absorber)가 회전 운동될 수 있도록 차체에 고정되어야 하는바, 쇽업소버에는 원활한 조향 조작을 위해 베어링이 구비된다.
스트러트 마운팅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트러트는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너클을 통해 차륜과 연결되며 조향 조작에 따라 너클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쇽업소버를 포함하며 차체와의 고정을 위해 스트러트 마운트가 장착된다. 스트럿 마운트는 쇽업소버 피스톤 로드의 상측이 인슐레이터를 통해 차체에 고정되고, 인슐레이터의 하측으로 베어링 모듈이 구비되며, 이는 스프링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차량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쇽업소버 및 스프링이 축방향으로 병진운동 및 회전운동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서스펜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 상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하단부가 쇽업소버(A)의 실린더(20)로부터 완충력을 전달받고,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플랜지(120)가 형성되어 설치플랜지(120)의 하측으로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전달받는 상부파트(100)와, 상기 상부파트(100)의 설치플랜지(120) 하단에 결합된 베어링(200)과, 상기 설치플랜지(1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설치플랜지(120)와 함께 베어링(200)을 감싸고 하단부에 서스펜션 스프링(S)의 상단이 접하여 지지되며,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상부파트(100)와 베어링(200)에 전달하는 하부파트(300)를 포함한다.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는 원활한 접촉을 위해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320)가 구비된다. 스프링패드(320)는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고, 쇽업소버(A)의 중심과 서스펜션 스프링(S)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 스프링(S)과 하부파트(300) 사이에 마찰력을 확보하여 조향에 따른 서스펜션 스프링(S)의 회전시 하부파트(300)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200)의 회전이 원활히 동작하도록 하며, 스프링패드(320)에 의하여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 상측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300) 사이에 베어링(200)이 구비된다.
베어링 어셈블리(M)의 상부파트(100)는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하단부가 쇽업소버(A)를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을 전달받으며,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플랜지(120)가 형성되어 설치플랜지(120)의 하측으로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한 완충력을 전달받는다. 상부파트(100)는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쇽업소버(A)와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모두 전달받는다.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는 상부파트(100)의 설치플랜지(120) 하측에 마련되어 설치플랜지(120)와 함께 베어링(200)을 감싸고, 하단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S)과 연결되어 차량의 조향 조작에 따라 원활히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부파트(300)는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다. 하부파트(300)의 하단부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 스프링패드(320)를 마련하여 서스펜션 스프링(S)이 하부파트(300)에 안착되도록 하며,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상부파트(100)와 하부파트(300)를 포함한 베어링 어셈블리(M)는 플라스틱계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스펜션 스프링(S)은 스틸 계열의 고강성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어링 어셈블리(M)와 서스펜션 스프링(S)이 직접 접촉하게 되면 조향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서스펜션 스프링(S)이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플라스틱 계열로 이루어진 베어링 어셈블리(M)의 경우 서스펜션 스프링(S)과의 접촉상태가 고정되지 않아 서스펜션 스프링(S)의 축 방향 중심과 쇽업소버(A)의 축 방향 중심이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어셈블리(M)의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 사이에 고무재질의 스프링패드(320)를 설치함으로써 하부파트(300)가 서스펜션 스프링(S)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고, 마찰력을 확보하여 하부파트(300)와 서스펜션 스프링(S)이 조향 회전에 의해 서스펜션 스프링(S)과 쇽업소버(A)의 축 중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의 접촉면에는 접착제가 게재되어 스프링패드(320)가 하부파트(300)에 접착되어 구비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베어링 어셈블리(M)는 쇽업소버(A) 및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 중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전달되는 완충력만 베어링(20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쇽업소버(A)와 서스펜션 스프링(S)을 통해 베어링(200)에 모두 전달되는 것을 해소하여 내구성 및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베어링(200)은 상부파트(100)에 구비되는 제1링과 하부파트(300)에 구비되는 제2링과, 상기 제1궤도륜과 제2궤도륜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전동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궤도륜과, 제2궤도륜은 강성을 가지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체는 볼로서 금속으로 제조된다.
상부파트(100)의 하방에 위치하여 쇽업소버(A)의 피스톤 로드(10)에 설치되고, 쇽업소버(A)에 의한 완충력을 상부파트(100)에 전달하는 범프스토퍼(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파트(100)는 하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범프스토퍼(400)가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베어링 어셈블리(M)는 반복 작동 하중에 의하여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가 분리되어 상대 운동이 발생하고,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의 분리되고 분리된 부분이 작동 중에 다시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며, 스프링패드(320)가 조기에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2궤도륜에 작용하는 하중과 충격이 하부파트(300)로 직접 전달되어 하부파트(300)의 손상 및 하부파트(300)와 스프링패드(320)의 분리가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120452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6-0059092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부파트와 스프링패드의 분리를 방지하고, 분리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파트와 스프링패드의 조기 손상이 방지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링 형태를 이루는 상부파트와, 상기 상부파트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와 하부파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는 링형태를 이루는 하부파트와,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부파트의 하부로 구비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은 상부파트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1 궤도륜과, 하부파트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2 궤도륜과, 상기 제1 궤도륜과 제2 궤도륜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동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는 환형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허브부와, 플랜지부와 허브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플랜지부(7와 허브부에 연결된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허브오목부가 형성되어 허브오목부 사이에는 허브오목부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허브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의 원주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에는 허브오목부로 삽입된 돌출부와 허브돌출부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허브오목부는 2개의 세로 방향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홈이며 허브부의 하단 위치하는 제 1 세로 홈 단부, 허브부에 위치하고 플랜지를 향하는 제 2 세로 홈 단부를 포함하고, 제 2 홈 단부는 횡단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허브오목부의 제 1 세로 홈 단부는 허브부의 축방향 내측 단부를 향하여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허브오목부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허브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허브오목부의 제 2 세로 홈 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플랜지오목부가 형성되어 플랜지오목부 사이에는 플랜지오목부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된 플랜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의 상면에는 플랜지오목부로 삽입된 돌출부와 플랜지돌출부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오목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돌출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오목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복열을 이루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랜지오목부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 내측 및 외측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하면 하부파트부와 스프링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대 회전 운동이 방지되며, 작동 중 하부파트와 스프링패드의 분리에 의한 소음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변형 예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다른 변형 예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반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부파트부의 다른 변형 예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도 2에서 가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700)는 상부파트(710)와, 상기 상부파트(7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710)와 하부파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7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720)은 상부파트(71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 형태의 제1 궤도륜(721)과, 하부파트(74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 형태의 제2 궤도륜(723)과, 상기 제1 궤도륜(721)과 제2 궤도륜(723)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동체(7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720)의 반경 방향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씰링부재(731, 7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씰링부재(731, 733)는 베어링(720)의 반경 방향 내측과 외측에서 상부파트(710)와 하부파트(74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731, 733)는 머리부가 상부파트(710)에 결합되고, 씰립이 하부파트(74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파트(710)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파트(710)는 강성이 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파트(710)의 재질로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나이론6, 나이론66, 나이론6 또는 나이론66에 글래스 파이버가 포함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부는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740)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740)는 강성이 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740)의 재질로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나이론6, 나이론66, 나이론6 또는 나이론66에 글래스 파이버가 포함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파트(740)는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와, 연결부(745)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부(74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부(7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부(743)는 상기 플랜지부(74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45)는 상기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745)는 만곡 형성된다.
상기 하부파트(740) 내에는 보강부재(7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750)는 링 형태이며, 판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750)는 상기 하부파트(740)의 성형시 인서트로 되며, 성형된 하부파트(740) 내에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750)는 보강부재플랜지부(751)와, 보강부재허브부(753)와, 보강부재연결부(75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플랜지부(75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플랜지부(751)는 상기 하부파트(740)의 플랜지부(741) 내에 위치한다. 상기 보강부재플랜지부(75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보강부재홀(7511)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홀(7511)은 상기 베어링(720)의 제2 궤도륜(723)이 구비된 위치의 하부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허브부(75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허브부(753)는 상기 보강부재플랜지부(75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허브부(753)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반경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허브결합공(7531)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허브부(753)는 상기 하부파트(740)의 허브부(743) 내에 위치한다.
상기 보강부재연결부(755)는 상기 보강부재플랜지부(751)와 보강부재허브부(753)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이 보강부재플랜지부(751)와 보강부재허브부(753)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연결부(755)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연결부(755)는 상기 하부파트(740)의 연결부(745) 내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파트(740)는 상기 보강부재(750)를 인서트로 하여 사출 성형된다.
상기 하부파트(740)는 상기 보강부재(750)를 인서트로 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허브부(743)는 상기 보강부재(750)의 허브결합공(7531)에 삽입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보강부재허브부(753)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파트(740)의 플랜지부(741)에는 상기 보강부재(750)의 보강부재홀(7511)이 형성된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플랜지공(7411)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공(741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공(7411)과 보강부재홀(7511)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홀(7511)의 지름은 플랜지공(74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공(7411)은 상기 보강부재홀(7511)에 의하여 분할되어 보강부재홀(7511)의 상부로 상부플랜지공이 형성되고, 보강부재홀(7511)의 하부로 하부플랜지공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홀(7511)의 단면적은 하부플랜지공과 상부플랜지공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는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부파트(740)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는 하부파트(740)의 플랜지부(741)와 연결부(745)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의 하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의 재질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패드(76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부파트(740)보다 경도가 낮아, 서스펜션 스프링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는 내측에 보강부재(750)를 가지는 하부파트(740)가 인서트가 되어 사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는 스프링패드본체(761)와, 스프링패드연장부(763)와, 스프링패드결합부(7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패드본체(761)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본체(761)는 상기 플랜지부(741)의 하부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763)는 상기 스프링패드본체(76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에서 하향 만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745)와 허브부(74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상기 스프링패드본체(76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스프링패드본체(761)에서 상향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상기 플랜지부(741)의 플랜지공(7411)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단이 베어링(720)의 제2 궤도륜(723)의 하부로 위치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파트(740)에 보강부재(75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상기 하부플랜지공과, 보강부재홀(7511)과, 상부플랜지공을 지나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에는 상기 보강부재홀(7511)의 지름이 플랜지공(741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홀(7511)이 형성된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상기 플랜지부(741)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는 플랜지부(741)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궤도륜(723)으로부터의 하중과 충격이 스프링패드결합부(765)로 전달되어, 직접 하부파트(740)로 전달되는 하중과 충격량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741)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패드결합부(765)의 상단(765a)이 서로 이웃하는 스프링패드결합부(765)의 상단(765a)과 연결되어 링 형태의 스프링패드지지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링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부(741)의 상면에는 환형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스프링패드지지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링부가 구비되면, 상기 스프링패드지지링부가 제2 궤도륜(723)의 하부를 원주 방향 전체에서 지지하여, 제2 궤도륜(723)으로부터의 하중과 충격이 스프링패드지지링부로 전달되어 완충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되고, 제2 궤도륜(723)으로부터의 하중과 충격에 의하여 하부파트(740)가 손상되는 것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어셈블리(700)의 하부파트(740)의 허브부 (743) 에는 허브오목부(7317)가 형성된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 사이에는 허브오목부(7317)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허브돌출부(7317b)가 형성된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열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부(743)의 원주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763)에는 허브오목부(7317)로 삽입된 돌출부와 허브돌출부(7317b)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허브부(743)의 원주면에 허브오목부(7317)와 허브돌출부(7317b)가 형성되고, 스프링패드연장부(763)의 원주면에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763)와 하부파트(740)는 상대 회전 운동이 방지되어, 상대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고, 스프링패드연장부(763)와 하부파트(740)의 분리가 방지되고, 손상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허브부(743)의 원주면에 형성된 허브오목부(7317)와 허브돌출부(7317b)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패드연장부(763)의 원주면에 성형된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허브오목부(7317)와 허브돌출부(7317b)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허브오목부(7317)는 2개의 세로 방향 측벽(7317c, 7317d)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홈이며 허브위에 있고 허브를 향하는 제 1 세로 홈 단부(7317e), 허브위에 있고 플랜지를 향하는 제 2 세로 홈 단부(7317f)를 포함하고, 제 2 홈 단부(7317f)는 횡단 벽이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가 세로 홈으로 형성되면, 허브부(743)와 스프링패드연장부(763)가 상대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스프링패드(760)가 하부파트(740)로부터 분리되는 가능성이 낮아 진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제 1 세로 홈 단부(7317e)는 허브부(743)의 축방향 내측 단부를 향하여 개방된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745)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제 2 세로 홈 단부(7317f)가 상기 연결부(745)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제 2세로 홈 단부(7317f)가 상기 연결부(745)위에 형성되면,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가 상대 회전이 억제되며 스프링패드 연결부(762)가 연결부(745)로부터 분리되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어셈블리(700)의 하부파트(740)의 플랜지부(741) 하면에는 플랜지오목부(7417)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 사이에는 플랜지오목부(7417)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된 플랜지돌출부(7417b)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열로 형성된다.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741)의 하면에 접하는 상기 스프링패드 본체(761)에는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로 삽입되는 돌출부와 상기 플랜지돌출부(7417b)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741)의 하면에 플랜지오목부(7417)와 플랜지돌출부(7417b)가 형성되고, 스프링패드 본체(761)에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프링패드(760)와 하부파트(740)는 상대 회전 운동이 방지되어, 상대 회전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고, 스프링패드 본체(761)와 하부파트(740) 플랜지부(741)의 분리가 방지되고, 손상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플랜지부(741)의 하면에 형성된 플랜지오목부(7417)와 플랜지돌출부(7417b)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패드(760)의 상면에 성형된 돌출부와 오목부는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와 플랜지돌출부(7417b)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꼭지점이 서로를 향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삼각형은 반경 방향으로 일부가 오버랩되어, 삼각형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형태의 플랜지돌출부(7417b)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면,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에서 발생하는 반경 방향 내측 삼각형에서의 반경 방향 분력과 반경 방향 외측 삼각형에서의 반경 방향 분력이 서로 상쇄되어, 스프링패드(760)는 반경 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이 억제되며, 하부파트(740)로부터 분리되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타원형의 장축이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타원형의 플랜지오목부(7417)의 변형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의 반경 방향 외측 또는 내측 일부가 "v"자형 경사부(7417d)로 형성될 수 있다.
복열을 이루는 플랜지오목부(7417) 중 반경 방향 내측의 타원형은 반경 방향 외측의 일부가 "v"자형 경사부(7417d)를 이루어 반경 방향 내측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고, 반경 방향 외측의 타원형은 반경 방향 내측의 일부가 "v"자형 경사부(7417d)를 이루어 반경 방향 외측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복열로 형성된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v"자형 경사부(7417d)가 형성된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가 "v"자형 경사부(7417d)를 구비하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면,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하부파트(740)에 의하여 스프링패드(760)에서 발생하는 반경 방향 분력이 서로 상쇄되어, 스프링패드(760)는 반경 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이 억제되며, 하부파트(740)로부터 분리되는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오목부(7471)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복열을 이루며,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의 사각형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원주 방향 내측 및 외측 오목부가 사각형의 원주 방향 양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연통부(7417c)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가 원주 방향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스프링패드(760)가 변형할 때,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에서 변형량이 많은 부분의 스프링패드(760)가 연통부(7417c)를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므로, 하부파트(740)와 스프링패드(76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분리에 의한 소음 발생이 억제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700 :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710 : 상부파트 720 : 베어링
740 : 하부파트 750 : 보강부재
760 : 스프링패드

Claims (9)

  1. 링 형태를 이루는 상부파트(710)와, 상기 상부파트(710)의 하부로 구비되어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하부파트부와, 상기 상부파트와 하부파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7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부는 링형태를 이루는 하부파트(740)와,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부파트(740)의 하부로 구비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스프링패드(760)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720)은 상부파트(71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1 궤도륜(721)과, 하부파트(740)에 접하여 지지되는 링형태의 제2 궤도륜(723)과, 상기 제1 궤도륜(721)과 제2 궤도륜(723)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전동체(725)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트(740)는 환형의 플랜지부(741)와, 상기 플랜지부(74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향 연장된 허브부(743)와,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이 상기 플랜지부(741)와 허브부(743)에 연결된 연결부(745)로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부(743)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허브오목부(7317)가 형성되어 허브오목부(7317) 사이에는 허브오목부(7317)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허브돌출부(7317b)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743)의 원주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연장부(763)에는 허브오목부(7317)로 삽입된 돌출부와 허브돌출부(7317b)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오목부(7317)는 2개의 세로 방향 측벽(7317c, 7317d)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홈이며, 허브부(743)의 하단 위치하는 제 1 세로 홈 단부(7317e)와 허브부(743)에 위치하고 플랜지부(741)를 향하는 제 2 세로 홈 단부(7317f)를 포함하고, 제 2 홈 단부(7317f)는 횡단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제 1 세로 홈 단부(7317e)는 허브부(743)의 축방향 내측 단부를 향하여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오목부(7317)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오목부(7317)가 상기 연결부(745)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허브오목부(7317)의 제 2 세로 홈 단부(7317f)는 연결부(745)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6.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741)의 하면에는 플랜지오목부(7417)가 형성되어 플랜지오목부(7417) 사이에는 플랜지오목부(7417) 형성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된 플랜지돌출부(7417b)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741)의 하면에 접하는 스프링패드(760)의 상면에는 플랜지오목부(7417)로 삽입된 돌출부와 플랜지돌출부(7417b)에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돌출부(7417b)는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복열을 이루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오목부(7417)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열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 내측 및 외측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0200158607A 2020-11-24 2020-11-24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418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07A KR102418091B1 (ko) 2020-11-24 2020-11-24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07A KR102418091B1 (ko) 2020-11-24 2020-11-24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64A KR20220071464A (ko) 2022-05-31
KR102418091B1 true KR102418091B1 (ko) 2022-07-06

Family

ID=8178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07A KR102418091B1 (ko) 2020-11-24 2020-11-24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72A (ja) 2004-03-01 2005-09-15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KR102063533B1 (ko) 2018-09-19 2020-01-08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452A (ko) 2013-04-03 2014-10-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KR101632655B1 (ko) 2014-11-17 2016-06-23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160089223A (ko) * 2015-01-19 2016-07-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
KR20200033219A (ko) * 2019-12-20 2020-03-27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972A (ja) 2004-03-01 2005-09-15 Kayaba Ind Co Ltd 懸架装置
KR102063533B1 (ko) 2018-09-19 2020-01-08 셰플러코리아(유)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64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3219A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1089868B1 (ko)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형 휠 베어링 유니트
US9010741B2 (en) Suspension bump stop and strut device
EP1548303B1 (en) Sliding bearing
US9340086B2 (en) Thrust bearing and suspension for vehicle
US6257605B1 (en) Suspension strut bearing
US7273317B2 (en) Thrust sliding bearing
CN111306186B (zh) 悬架推力轴承装置以及配备有这种装置的悬架支柱
KR20110079624A (ko) 범프 스톱 및 맥퍼슨 스트럿
JP3937042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20140119682A1 (en) Thrust sliding bearing
CN111483283B (zh) 悬架推力轴承装置以及配备有这种装置的悬架支柱
JP2007016972A (ja) スラスト軸受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4329363B2 (ja) スラスト滑り軸受を用いた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及びそのスラスト滑り軸受
CN111457013B (zh) 悬架推力轴承装置和配备有这种装置的悬架支柱
KR20170097918A (ko)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
JP2023100794A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325198B2 (ja) 合成樹脂製の滑り軸受及びこの滑り軸受を用いた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KR102418091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KR102063533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JP4853660B2 (ja) ストラット用軸受ユニット
EP3379095B1 (en) Synthetic resin plain bearing
JPS6246933Y2 (ko)
KR102556714B1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JP2011133080A (ja) ダスト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