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579B1 - 배터리 및 접속 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및 접속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579B1
KR102417579B1 KR1020197022931A KR20197022931A KR102417579B1 KR 102417579 B1 KR102417579 B1 KR 102417579B1 KR 1020197022931 A KR1020197022931 A KR 1020197022931A KR 20197022931 A KR20197022931 A KR 20197022931A KR 102417579 B1 KR102417579 B1 KR 10241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ttery
case
guided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570A (ko
Inventor
시게키 모토야마
아츠히로 쿠마가이
아츠시 미타니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소형화를 도모한다.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접속 기기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대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에서 상기 천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에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된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어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및 접속 기기
본 기술은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에 피가이드 홈이 형성된 배터리 및 이 배터리가 접속되는 접속 기기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각종의 촬상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는,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된 것이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충전기에 장착되어 충전되고, 충전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충전기나 전자 기기는 배터리에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 기기로서 기능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에는 접속 단자를 갖는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 단자에 충전기의 전극 단자나 배터리 장착부에 설치된 전극 단자가 접속되어 배터리에 대한 충전 또는 배터리로부터의 전자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배터리에 있어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셀과 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를 갖고, 케이스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는 충전기 등의 접속 기기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며, 피가이드 홈이 접속 기기의 가이드 돌출부나 가이드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접속 기기에 장착되고 커넥터가 전극 단자에 접속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5-92511호 공보
그런데, 배터리는 충전기나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면, 그 만큼, 충전기나 전자 기기 등의 접속 기기도 대형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배터리는 휴대되는 경우도 많아서, 사이즈가 클 경우에는 휴대성의 저하를 초래함과 더불어 취급이 불편하게 되어 버릴 우려 역시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는,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접속 기기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에서 상기 천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에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된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것이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이 연속하여 위치되지 않고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 사이에 홈 형성면의 일부가 위치된다.
제2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절결이 상기 2개의 측면에 연속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2개의 측면의 쌍방 측에 절결이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외면이 2개소에 있어 셀에 가까워져 위치된다.
제3으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 단자의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케이스에 있어서의 피가이드 홈 사이의 부분이 피가이드 홈에 대해서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제4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홈 형성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후면 사이에 홈 형성면이 위치된다.
제5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단차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후면 사이에 단차면이 위치된다.
제6으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홈 형성면과 상기 저면을 포함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2개의 상기 홈 형성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2개의 측면 사이에 2개의 홈 형성면이 위치된다.
제7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각 일부를 포함하는 상 케이스와, 상기 저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다른 각 일부와 상기 홈 형성면을 포함하는 하 케이스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케이스가 2개의 케이스에 의해 구성된다.
제8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단차면보다 저면 측에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9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의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저면 측에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10으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의 가장 저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천면 측에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11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단차면보다 저면 측에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12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의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저면 측에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13으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의 가장 저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천면 측에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위치된다.
제14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각각 개구되며 결합 돌출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오목부에 반대측으로부터 각각 결합 돌출부를 결합하여 보유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5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직교하는 면으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오목부에 반대측으로부터와 이 반대 측에 직교하는 측으로부터 각각 결합 돌출부를 결합하여 보유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6으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돌출부가 피가이드 홈으로 안내되어 결합 오목부에 결합된다.
제17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 단자의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돌출부가 피가이드 홈으로 안내될 때 결합 돌출부가 피가이드 홈 사이의 돌기부를 타고 넘을 필요가 없다.
제18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배터리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오목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 돌출부의 결합 오목부에의 결합과 전극 단자의 접속 단자에의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제19로, 상기한 본 기술과 관련되는 접속 기기는,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서 상기 천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에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된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것이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이 연속하여 위치되지 않고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 사이에 홈 형성면의 일부가 위치되는 배터리가 착탈된다.
본 기술에 따르면,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이 연속하여 위치되지 않고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 사이에 홈 형성면의 일부가 위치되기 때문에, 피가이드 홈과 단차면이 연속하여 위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홈 형성면과 단차면이 셀에 가까워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 도 2 내지 도 61과 함께 본 기술에 따른 배터리 및 접속 기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도면은, 배터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3] 배터리의 저면도이다.
[도 4] 배터리의 정면도이다.
[도 5] 배터리의 배면도이다.
[도 6]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7] 배터리에 있어서의 수용 케이스와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9]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10]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다른 배터리의 측면도이다.
[도 11]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12]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다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13] 가이드 홈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또 다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14] 배치 오목부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배터리의 정면도이다.
[도 15] 배치 오목부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다른 배터리의 저면도이다.
[도 16] 배치 오목부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다른 배터리의 정면도이다.
[도 17] 배치 오목부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또 다른 배터리의 저면도이다.
[도 18] 배치 오목부의 구성이 차이가 나는 또 다른 배터리의 정면도이다.
[도 19]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 촬상 장치에 있어서 장착용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배터리 장착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의 장착용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3]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배터리의 후단부에 피가압 오목부가 형성되고, 배터리가 가압 레버에 대해 압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6] 충전기의 평면도이다.
[도 27] 충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28] 충전기의 가이드 결합부 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9] 충전기의 장착용 오목부에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 충전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 충전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 배터리가 충전기에 장착될 때에 단자 접속부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3] 배터리가 충전기에 장착되어 단자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4] 커넥터가 저면보다 상방에 위치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 커넥터가 전면보다 후방 또한 저면보다 상방에 위치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 오목부 형성면에 있어서의 벽부의 일방이 경사진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7] 오목부 형성면에 있어서의 한 쌍의 벽부와 중간부가 경사진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 배터리와 함께 충전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배터리와 함께 충전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충전기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 배터리가 충전기에 보유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 3개의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 결합 오목부가 가장 앞쪽의 피가이드 홈에 개구되어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3] 결합 오목부가 가장 뒷쪽의 피가이드 홈에 개구되어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4] 결합 오목부가 후단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5] 배터리의 전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46] 식별홈의 치수 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7] 식별홈의 다른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8] 대용량 타입의 배터리에 있어서의 식별홈 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9] 소용량 타입의 배터리에 있어서의 식별홈 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0] 소전력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1] 중전력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 대전력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3] 충전기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4] 식별홈의 식별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 식별홈의 제2 부분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56]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여 형성된 식별홈의 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7] 오목부 형성면에 있어서의 벽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8] 오목부 형성면에 있어서의 벽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9] 위치 결정 홈이 케이스에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0] 단자 배치 홈과 위치 결정 홈이 케이스에 형성된 배터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1] 단자 배치 홈과 위치 결정 홈이 케이스에 형성된 배터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기술에 따른 배터리 및 접속 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터리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외면을 각각 천면(상면)과 저면(하면)과 측면(좌우 양 측면)과 전면과 후면으로 하여,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천면(상면)과 저면(하면)이 있는 천면 측(상면 측)과 저면 측(하면 측)을 연결하는 상하 방향을 높이 방향, 좌우 양 측면이 있는 좌측면 측과 우측면 측을 연결하는 좌우 방향을 폭 방향, 전면과 후면이 있는 전면 측과 후면 측을 연결하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또한, 천면을 포함하는 상단측의 부분은 천측부라 하고, 저면을 포함하는 하단측의 부분은 저측부라 하며, 측면을 포함하는 좌우 양단측의 부분은 측부(좌측부, 우측부)라 하고, 전면을 포함하는 전단 측의 부분은 전측부라 하고, 후면을 포함하는 후단 측의 부분은 후측부라 한다. 나아가, 천측부, 저측부, 측부, 전측부 및 후측부의 각 외면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는 배터리가 접속되는 접속 기기의 예로서 촬상 장치인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고, 스틸 카메라의 설명에 있어서는, 스틸 카메라의 촬영 시에 있어서 촬영자로부터 본 방향에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물체 측이 전방이 되고, 상면(像面) 측이 후방이 된다.
나아가, 이하에는 배터리가 접속되는 접속 기기의 다른 예로서 충전기도 나타내며, 충전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충전기가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기대(基台)에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충전기에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기에 있어서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배터리가 슬라이드 되어 장착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기술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러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배터리의 구성>
먼저, 배터리(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7 참조).
배터리(1)는 케이스(2)의 내외에 필요한 각 부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커버(상 케이스)(3)와 수용 케이스(하 케이스)(4)가 상하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 커버(3)는 하방으로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6 참조). 수용 케이스(4)는 상방으로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커버(3)와 수용 케이스(4)가 상하로 결합되어 케이스(2)가 구성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2)의 내부 공간이 수용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케이스(2)의 수용 공간에는 세퍼레이터(5)와 셀(6, 6)과 접속 판금(7, 8, 8)과 회로 기판(9)이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세퍼레이터(5)는 수용 케이스(4)에 장착되어 있다. 셀(6, 6)은 세퍼레이터(5)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 판금(7)은 셀(6, 6)의 일방의 단자에 접속되고, 하단부가 회로 기판(9)의 하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전극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판금(8, 8)은 셀(6, 6)의 타방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하단부가 각각 회로 기판(9)의 하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전극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9)은 수용 케이스(4)에 장착되며, 일부를 제외하고 세퍼레이터(5)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케이스(2)는 외면(10)이 천면(11)과 저면(12)과 측면(13, 13)과 전면(14)과 후면(15)을 갖고, 전후 방향(길이 방향)의 크기가 좌우 방향(폭 방향)의 크기보다 크게 되고, 좌우 방향(폭 방향)의 크기가 상하 방향(높이 방향)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6 참조). 케이스(2)에는 천면(11)과 측면(13, 13)의 사이에 각각 경사면(16, 1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6, 16)은 천면(11)으로부터 측면(13, 13)에 가까워짐에 따라 하방으로 변위되어 있다.
천면(11)과 저면(12)과 측면(13, 13)과 전면(14)과 후면(15)과 경사면(16, 16)은 모두 외장면(17, 17,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 측부에는 각각 절결(2a, 2a)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2a)은 측방(왼쪽 또는 오른쪽), 하방, 전방 및 후방으로 개구되고, 하방의 전후로 연장하는 단차면(18)과 측방의 전후로 연장하는 홈 형성면(1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18)은 외연(外緣)이 측면(13)의 하연(下緣)에 연속되어 있다. 홈 형성면(19)은 상연(上緣)이 단차면(18)의 내연(內緣)에 연속되고, 하연이 저면(12)의 측연(側緣)에 연속되어 있다. 단차면(18)과 홈 형성면(19)은 각각 전면(14)으로부터 후면(15)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18)과 저면(12)은 서로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고, 홈 형성면(19)의 전후 양 단부를 제외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과 측면(13)은 서로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홈 형성면(19, 19)의 전단부는 전면(14)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19a, 19a)으로서 형성되고, 홈 형성면(19, 19)의 후단부는 후면(15)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19b, 19b)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단차면(18, 18)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면보다 위쪽의 부분인 본체부(20)와, 이 가상적인 면보다 아래쪽의 부분인 저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단차면(18, 18)은 본체부(20)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1)는 홈 형성면(19, 19)의 전후 양 단부가 각각 곡면(19a, 19a, 19b, 19b)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응력 집중이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듬과 더불어 만에 하나 낙하 시 등에 지면 등에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져, 충격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파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케이스(2)는, 상기한 것처럼, 단차면(18, 18)을 포함하는 가상적인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단차면(18, 18)을 포함하는 위쪽의 부분이 본체부(20)로서 설치되고, 본체부(20)보다 아래쪽의 부분이 저부(21)로서 설치되어 있다. 저부(21)는 본체부(20)보다 좌우의 폭이 작게 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측면(13, 13) 사이의 거리가 홈 형성면(19, 19)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되고, 저부(21)에는 각각 각 기능을 갖는 홈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21)의 좌우 양 측부에는 앞쪽으로부터 순서대로 각각 제1 피가이드 홈(22, 22)과 제2 피가이드 홈(23, 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24)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은 모두 홈 형성면(19)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1 피가이드 홈(22)은 저부(21)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측방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2 피가이드 홈(23)은 전후로 연장하고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에는 제2 피가이드 홈(23)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 제2 피가이드 홈(23)이 형성되어 있던 부분은 홈 형성면(19)의 일부와 저면(12)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3 피가이드 홈(24)은 전후로 연장하고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제3 피가이드 홈(24)은 후방으로도 개구된 형상이어도 된다(도 8 참조).
저부(21)의 좌우 양 측부에는 앞쪽으로부터 순서대로 각각 삽입홈(25, 25)과 삽입홈(26, 26)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5)과 삽입홈(26)은 모두 홈 형성면(19)으로 개구되어 있다. 삽입홈(25)은 측방,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고, 위쪽의 개구가 제2 피가이드 홈(23)의 앞쪽의 대략 절반부에 연통되어 있다. 삽입홈(26)은 측방,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고, 위쪽의 개구가 제3 피가이드 홈(24)의 앞쪽의 대략 절반부에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1 피가이드 홈(22, 22)의 하연(22b, 22b)과 저면(12) 사이의 부분은 각각 제1 결합 갈고랑이부(2p, 2p)로서 마련되고,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2 피가이드 홈(23, 23)의 하연(23b, 23b)과 저면(12) 사이의 부분은 각각 제2 결합 갈고랑이부(2q, 2q)로서 마련되고,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3 피가이드 홈(24, 24)의 하연(24b, 24b)과 저면(12) 사이의 부분은 각각 제3 결합 갈고랑이부(2r, 2r)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결합 갈고랑이부(2p)와 제2 결합 갈고랑이부(2q)는 모두 케이스(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전면(14) 측에 위치되고, 제3 결합 갈고랑이부(2r)는 케이스(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후면(15) 측 또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케이스(2)를 3등분 한 가장 뒤쪽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는,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이 전후로 이격되어 형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은 하나의 가이드 홈(45)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9 참조). 가이드 홈(45)은 홈 형성면(19)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후단 근처의 위치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은 하나의 가이드 홈(46)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0 참조). 가이드 홈(46)은 홈 형성면(19)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는, 케이스(2)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이 형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케이스(2)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3 피가이드 홈(24)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2 피가이드 홈(23)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1 참조). 또한, 예를 들면,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2 참조). 나아가, 예를 들면,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3 피가이드 홈(24)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3 참조).
또한, 이와 같은 구성예로서는, 상기한 각 예(도 11 내지 도 13 참조)를 포함하여,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또는 제3 피가이드 홈(24) 가운데 하나의 가이드 홈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가운데 1개, 2개 또는 3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예가 있다. 또한,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또는 제3 피가이드 홈(24) 가운데 어느 2개의 가이드 홈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가운데 2개 또는 3개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예가 있다.
저부(21)의 전단부에는 배치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배치 오목부(27)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고,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2)에는 배치 오목부(27)의 전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연통되고 상하로 관통된 배치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피가이드 홈(22)의 상연(22a)과 제2 피가이드 홈(23)의 상연(23a)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연(24a)은 모두 단차면(18)보다 아래쪽에 위치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과 단차면(18)의 사이, 제2 피가이드 홈(23)과 단차면(18)의 사이 및 제3 피가이드 홈(24)과 단차면(18)의 사이에는 모두 홈 형성면(19)의 일부가 존재한다(도 2 내지 도 7 참조). 따라서, 홈 형성면(19)의 하단으로부터 제1 피가이드 홈(22)의 상연(22a)까지의 거리와 홈 형성면(19)의 하단으로부터 제2 피가이드 홈(23)의 상연(23a)까지의 거리와 홈 형성면(19)의 하단으로부터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연(24a)까지의 거리는, 모두 홈 형성면(19)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하의 거리(홈 폭)는, 홈 형성면(19)의 상단으로부터 상연(22a, 23a, 24a)까지의 거리보다 크거나 작아도 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하의 거리가, 홈 형성면(19)의 상단으로부터 상연(22a, 23a, 24a)까지의 거리와 같아도 된다.
또한, 단차면(18)과 측면(13)이 교차하는 코너부(2f)는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되고, 코너부(2f)는 전면(14)으로부터 후면(15)의 방향을 향해 연장하여, 케이스(2)의 길이와 동일 또는 2분의 1 또는 3분의 1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일방의 코너부(2f)에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되고, 쌍방의 코너부(2f, 2f)에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된다. 코너부(2f)의 모따기의 폭의 크기는 단차면(18)의 폭과 같은 크기여도 되고, 단차면(18)의 폭보다 작은 폭이여도 된다.
또한, 홈 형성면(19)과 저면(12)이 교차하는 코너부(2g)는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가이드 홈(23) 사이의 코너부(2h, 2h)와 제2 가이드 홈(23)과 제3 가이드 홈(24) 사이의 코너부(2i, 2i)와 제3 가이드 홈(24)과 후면(15) 사이의 코너부(2j) 중 어느 것 또는 모두에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케이스(2)에 있어서의 좌우 일방의 측 또는 좌우 양측의 코너부(2g, 2h, 2i, 2j)에 모따기가 되어 있어도 된다.
배치 오목부(27)는 오목부 형성면(2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형성면(29)은 베이스부(29a)와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로 이루어진다. 오목부 형성면(29, 29)은 하연이 각각 저면(12)의 좌우 양 측연에 연속되어 있고, 저면(12)으로부터 오목부 형성면(29, 29)의 상연까지의 거리는 저면(12)으로부터 상연(22a, 23a, 24a)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형성면(29, 29)은 상연이 각각 단차면(18, 18)의 내연에 연속되어 있고, 저면(12)으로부터 오목부 형성면(29, 29)의 상연까지의 거리는 저면(12)으로부터 단차면(18, 18)까지의 거리와 같게 되어 있다. 제1 피가이드 홈(22)의 하연(22b)과 제2 피가이드 홈(23)의 하연(23b)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하연(24b)은 모두 홈 형성면(19)의 하연보다 위쪽에 위치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같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29a)는 전방으로 개구된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벽부(29b, 29b)는 각각 베이스부(29a)의 전단에 연속되고, 잔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왼쪽의 벽부(29b)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왼쪽의 측면(13)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오른쪽의 벽부(29b)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오른쪽의 측면(13)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29b, 29b)에 있어서는, 일방의 벽부(29b)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벽부(29b)가 경사지지 않고 왼쪽 또는 오른쪽을 향하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부(29c)는 하방을 향해 벽부(29b, 29b)의 하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벽부(29b, 29b)는 좌우 방향을 향하는 면에 대해서, 예를 들면, 45도 경사지고 있다. 중간부(29c)는 단차면(18)보다 하방에 위치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연(22a, 23a, 24a)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연(22a, 23a, 24a)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29c)는 상연(22a, 23a, 24a)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저부(21)의 전단부에는 식별홈(30, 30)이 좌우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식별홈(30)은 소정의 기능을 갖는 기능홈으로서의 역할을 갖고, 예를 들면, 접속 기기로서 기능하는 후술하는 충전기 등의 종류를 식별한다. 또한, 기능홈은 식별홈(30)에 한정되지 않고, 기능홈으로서, 예를 들면, 식별홈(30)을 대신하여 충전기 등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홈이나 충전기 등의 접속 상태 등을 검출하는 검출홈 등의 식별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소정의 기능이 접속 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식별 기능이라면, 기능홈에 의해 접속 기기의 종류가 식별되고, 배터리가 접속 기기에 장착됨으로써, 또는, 배터리가 접속 기기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됨으로써, 배터리에 접속되는 접속 기기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능은 배터리 자체의 종류를 식별하는 기능이어도 된다.
식별홈(30, 30)은 배치 오목부(27)를 사이에 둔 반대 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식별홈(30)은 전후의 길이가 다른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는 각각 제1 기능부와 제2 기능부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다.
식별홈(30)을 형성하는 면 가운데 위쪽에 위치하는 하방을 향하는 면은 내저면(30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저면(30a)은 오목부 형성면(29) 가운데 위쪽에 위치하는 하방을 향하는 면인 중간부(29c)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식별홈(3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는 배치 오목부(27)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다. 또한, 내저면(30a)은,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연(22a, 23a, 24a)과 단차면(18)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나아가, 내저면(30a)은,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의 하연(22b, 23b, 24b)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단, 내저면(30a)은, 하연(22b, 23b, 24b)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어도 되고, 하연(22b, 23b, 24b)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식별홈(30)을 형성하는 면 중, 제1 식별부(31)에 있어서의 뒤쪽에 위치하는 전방을 향하는 면은 깊숙한 저면(31a)으로서 형성되고, 제2 식별부(32)에 있어서의 뒤쪽에 위치하는 전방을 향하는 면은 깊숙한 저면(32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깊숙한 저면(31a, 32a)은 오목부 형성면(29) 중 베이스부(29a)에 있어서의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전방을 향하는 면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커넥터(33)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깊숙한 저면(31a, 32a)은 단자 배치 홈(36)의 깊숙한 쪽 저면(36a)과 위치 결정 홈(37)의 깊숙한 쪽 저면(37a)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나아가, 깊숙한 저면(31a, 32a)은 제1 피가이드 홈(22)의 후단연(後端緣)보다 앞쪽에 위치되어 있다. 단, 깊숙한 저면(31a, 32a)은, 제1 피가이드 홈(22)의 후단연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피가이드 홈(22)의 후단연과 같은 위치에 있어도 된다.
제1 식별부(31)는 제2 식별부(32)보다 전후의 길이가 길게 되고, 깊숙한 저면(31a)이 깊숙한 저면(32a)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되고, 제1 식별부(31)는 제2 식별부(32)보다 배치 오목부(27) 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식별부(32)가 제1 식별부(31)보다도 측면(13) 측에 위치되어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제2 식별부(32)는 좌우 방향의 폭이 제1 식별부(31)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케이스(2)의 배치 오목부(27)에는 커넥터(33)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33)는 접속 기기로서 기능하는 후술하는 충전기 등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부분이고, 단자부로서 기능하고, 적어도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를 갖고 있다.
커넥터(33)는 비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34)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접속 단자(35, 35, 35)를 갖고, 접속 단자(35, 35, 35)는 적어도 일부가 각각 하우징(34)에 형성된 단자 배치 홈(36, 36, 36)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34)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 접속 단자(35)는 금속편의 일단부가 소정의 부분으로부터 좌우로 분기된 한 쌍의 접점부를 갖고, 한 쌍의 접점부는 선단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을 갖고 접한 상태 또는 근접한 상태로 단자 배치 홈(36)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35, 35, 35)는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와 정보 단자로서 기능하고,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정보 단자는 배터리(1)의 내부 온도를 후술하는 접속 기기가 인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 외에, 접속 기기가 배터리(1)의 충전 잔량이나 열화 정보 등의 배터리(1)의 각종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커넥터(33)에는 2개의 단자 배치 홈(36, 36)과 2개의 접속 단자(35, 35)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2개의 접속 단자(35, 35)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2개의 접속 단자(35, 35)가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로서 기능하고,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로 된다. 또한, 커넥터(33)에는 4개의 단자 배치 홈(36, 36, …)과 4개의 접속 단자(35, 35, …)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4개의 접속 단자(35, 35)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4개의 접속 단자(35, 35, …)가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통신 단자로서 기능하며,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통신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 오른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통신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통신 단자와 정보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극 단자와 통신 단자와 정보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열되는 배치로 된다. 통신 단자는 접속 기기가 배터리(1)의 충전 잔량이나 열화 정보 등의 배터리(1)의 각종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이 경우에 정보 단자는 온도 정보만을 접속 기기에 알리기 위해 이용된다.
단자 배치 홈(36, 36, 36)은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4)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단자 배치 홈(36, 36, 36)의 바깥쪽에 각각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위치 결정 홈(37, 37)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3)의 하우징(34)에 있어서의 단자 배치 홈(36, 36, 36) 사이의 부분은 단자 격리 리브(34a, 34a)로서 마련되며, 하우징(34)에 있어서의 단자 배치 홈(36, 36)과 위치 결정 홈(37, 37) 사이의 부분은 홈간 리브(34b, 34b)로서 마련되어 있다. 단자 격리 리브(34a)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접속 단자(35, 35, 35)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간 리브(34b)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단자 배치 홈(36)의 가장 천면(11) 측에 위치하는 면과 위치 결정 홈(37)의 가장 천면(11) 측에 위치하는 면은 각각 내측 저면(36a, 37a)으로서 형성되고, 내측 저면(36a, 37a)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대략 같게 되어 있다. 내측 저면(36a, 37a)은 단차면(19)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저면(36a, 37a)은, 제1 피가이드 홈(22)의 상연(22a)과 제2 피가이드 홈(23)의 상연(23a)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상연(24a)보다 하방에 위치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의 하연(22b)과 제2 피가이드 홈(23)의 하연(23b)과 제3 피가이드 홈(24)의 하연(24b)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35)는 대략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며, 단자 배치 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34)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에는, 오목부 형성면(29)에 있어서,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의 상단이 커넥터(33)의 하우징(34)의 상단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의 상단이 하우징(34)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14 참조). 이 경우에,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의 상단은 케이스(2)의 상단 근처의 아래쪽의 위치에 있어서, 임의의 위치에 있으면 된다.
또한, 오목부 형성면(29)에는, 예를 들면, 중간부(29c)가 존재하지 않고 벽부(29b, 29b)가 케이스(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5 및 도 16 참조).
또한, 전후좌우에 대해서 경사진 벽부(29b, 29b)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벽부(29b, 29b)에 대신하여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제1 벽면부(29x, 29x)와 제1 벽면부(29x, 29x)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연에 연속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벽면부(29y, 29y)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17 및 도 18 참조). 또한, 제1 벽면부(29x, 29x)와 제2 벽면부(29y, 29y)는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커넥터(33)는 접속 단자(35, 35, 35)의 일단부가 각각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9)에 배치 구멍(28)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33)는 배치 오목부(27)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전면(33a)이 케이스(2)의 전면(14)보다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커넥터(33)는 배치 오목부(27)에 있어서 오목부 형성면(29)의 베이스부(29a)로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되고, 커넥터(33)의 앞쪽에는 오목부 형성면(29)의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가 위치되어 있다.
커넥터(33)는 배치 오목부(27)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하면(33b)이 케이스(2)의 저면(12)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접속 기기의 구성예>
다음으로, 배터리(1)가 접속되는 접속 기기의 일례로서, 촬상 장치(스틸 카메라)(50)에 대해 설명한다(도 19 내지 도 21 참조).
촬상 장치(50)는, 예를 들면, 가로로 긴 평평한 바깥 케이스(51)의 내외에 필요한 각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도 19 참조). 촬상 장치(50)에는 교환 렌즈(70)나 도시하지 않는 어댑터 등의 액세서리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교환 렌즈(70)에는 회전 조작되는 조작 링(71, 72, 7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링(71, 72, 73)은 각각 초점 맞추기를 행하기 위한 포커스 링이나 화각을 조정하기 위한 줌 링이나 광량 조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리스 링으로서 기능한다.
바깥 케이스(51)의 상면에는 각종의 조작부(52, 52, …)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52, 52, …)로서는, 예를 들면, 촬영 버튼, 줌 노브, 전원 버튼, 모드 선택 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바깥 케이스(51)의 상단부에는 넣고 꺼낼 수 있는 플래시(53)가 설치되어 있다.
바깥 케이스(51)의 상단부에는 플래시(53)의 뒤쪽에 파인더(54)가 설치되어 있다. 바깥 케이스(51)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55)와 각종의 조작부(52, 52, …)가 설치되어 있다(도 20 참조).
바깥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이 이용되고 있다.
촬상 장치(5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서 교환 렌즈가 접속하는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나 촬상 소자보다 뒤쪽의 후방부에는 배터리 장착부(56)가 설치되어 있다(도 20 및 도 21 참조).
배터리 장착부(56)는 바깥 케이스(51)의 일부와 바깥 케이스(51)의 하단부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된 덮개(57)를 갖고 있다. 배터리 장착부(56)는 내부 공간이 장착용 공간(56a)으로서 형성되고, 장착용 공간(56a)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56)의 안쪽 깊숙한 부분(상단부)에는 가압 스프링(58)과 단자 접속부(59)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59)는 비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보유 지지부(60)와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전극 단자(61, 61, 61)를 갖고, 전극 단자(61, 61, 61)가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보유 지지부(60)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
보유 지지부(60)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극 단자(61, 61, 61)의 외측에 위치 결정 돌출부(60a, 60a)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59)는 전극 단자(61, 61, 61)의 일단부가 각각 바깥 케이스(51)의 내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56)의 하단부에는 장착용 공간(56a)의 개구 가장자리에 가압 레버(62)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압 레버(62)는 가압 위치와 비가압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면, 비가압 위치로부터 가압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있다.
배터리 장착부(56)의 내부에는 오삽입 방지 돌출부(56b, 56b)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56)에는 덮개(57)를 장착용 공간(56a)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잠그는 락(lock)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기기(촬상 장치)에 대한 배터리의 장착>
이하에, 배터리(1)의 촬상 장치(50)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56)에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도 22 내지 도 24 참조).
사용자는 덮개(57)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배터리(1)를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56)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터리(1)는 전면(14)측으로부터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된다(도 22 참조). 이 때 배터리(1)는 절결(2a, 2a)이 오삽입 방지 돌출부(56b, 56b)에 일치되는 방향으로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터리(1)를 절결(2a, 2a)이 오삽입 방지 돌출부(56b, 56b)에 일치되지 않는 방향에서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하려고 했을 때에는, 케이스(2)의 일부, 예를 들면, 천면(11)과 측면(13)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인 경사면(16)이 오삽입 방지 돌출부(56b, 56b)에 접촉되어, 배터리(1)의 장착용 공간(56a)으로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배터리(1)의 장착용 공간(56a)으로의 삽입은, 가압 레버(62)가 비가압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배터리(1)가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될 때는, 가압 레버(62)가 배터리(1)의 일방의 측면(13)에 접동된 상태로 되고, 가압 레버(62)의 가압 위치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장착용 공간(56a)에 삽입된 배터리(1)는, 커넥터(33)의 접속 단자(35, 35, 35)가 각각 단자 접속부(59)의 전극 단자(61, 61, 61)에 접속된다. 이 때 전극 단자(61)는, 접속 단자(35)에 있어서의 좌우로 분기되고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접점부 사이에 삽입되고, 접속 단자(35)는 한 쌍의 접점부가 전극 단자(6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전극 단자(61)에 접속된다. 또한, 이 때 커넥터(33)의 위치 결정 홈(37, 37)에 각각 단자 접속부(59)의 위치 결정 돌출부(60a, 60a)가 삽입되어 커넥터(33)의 단자 접속부(59)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35, 35, 35)가 각각 전극 단자(61, 61, 61)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장착용 공간(56a)에 있어서 후면(15)이 가압 레버(62)보다 안쪽에 위치되고, 가압 레버(62)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위치까지 회동됨과 함께 전면(14)이 가압 스프링(58)에 의해 압박되어 배터리(1)가 후방으로 가압된다(도 23 참조). 따라서, 배터리(1)는 후면(15)에 설치된 피가압부(15a)(도 22 참조)가 가압 레버(62)에 대해 압박되어, 장착용 공간(56a)으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된다. 피가압부(15a)는 절결(2a)보다 천면(11) 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1)가 가압 레버(62)에 의해 장착용 공간(56a)으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57)에 의해 장착용 공간(56a)이 폐색됨으로써 배터리(1)가 배터리 장착부(56)에 장착된다. 이 때 덮개(57)는 락 기구에 의해 바깥 케이스(51)에 잠금된다.
한편, 덮개(57)의 바깥 케이스(51)에 대한 락을 해제하고 덮개(57)를 회동하여 장착용 공간(56a)을 개방하고, 가압 레버(62)를 비가압 위치까지 회동시킴으로써 배터리(1)를 장착용 공간(56a)으로부터 인출하여 배터리 장착부(56)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는, 가압 레버(62)에 후면(15)의 피가압부(15a)가 압박되어 배터리(1)의 장착용 공간(56a)으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되는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배터리(1)의 후단부에 적어도 후방으로 개구된 피가압 오목부(38)가 형성되고, 피가압 오목부(38)에 가압 레버(62)의 일부가 삽입되어 배터리(1)의 장착용 공간(56a)으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24 참조).
이와 같이 배터리(1)에, 가압 레버(62)의 일부가 삽입되는 피가압 오목부(38)가 형성됨으로써, 가압 레버(62)를 장착용 공간(56a)의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만큼, 촬상 장치(5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접속 기기의 다른 구성예>
다음으로, 배터리(1)가 접속되는 접속 기기의 다른 일례로서, 충전기(80)에 대해 설명한다(도 25 내지 도 29 참조). 또한, 충전기(80)는 촬상 장치(50) 등과는 별체의 기기이지만, 충전기(80)의 이하에 나타내는 접속 구조는 촬상 장치 등의 각종의 기기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충전기(80)의 이하에 나타내는 접속 구조가 설치된 촬상 장치 등에도 배터리(1)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기(80)는 케이스체(81)의 내외에 필요한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체(81)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접속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8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대략 절반부가 기구 배치부(82)로서 설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의 대략 절반부가 배터리 장착부(83)로서 설치되어 있다.
기구 배치부(8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이나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체 등이 배치되어 있다. 기구 배치부(82)의 상면부에는 윈도우부(82a, 82b)가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부(82a, 82b)를 거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외부를 향해 조사되고, 윈도우부(82a, 82b)를 통한 조사 상태에 의해, 충전 동작의 상태나 충전량의 상태 등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83)에는 상방 및 후방으로 개구된 장착용 오목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오목부(83a)의 좌우 양 측부에는 단차부(84, 84)가 설치되고, 단차부(84, 84)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전후에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84, 84)는 각각 상방을 향하는 평면(84a, 84a)과 평면(84a, 84a)의 내연에 연속되어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84b, 84b)을 갖고 있다. 또한, 배터리에는 케이스에 하나의 절결(2a)만이 형성된 구성으로 된 것도 존재하지만, 이와 같은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의 경우에는 하나의 단차부(84)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장착용 오목부(83a)는, 단차부(84, 84) 외에, 단차부(84, 84) 사이에 위치된 상방을 향하는 저판면부(85)와 후방을 향하는 전판면부(86)를 포함하는 각 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전판면부(86)는 단차부(84, 84)의 전연과 저판면부(85)의 전연에 연속되고 있다. 단차부(84, 84)에는 각각 앞쪽으로부터 차례대로 각각 제1 가이드 결합부(87, 87)와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와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가 전후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결합부(87, 87)와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와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는 모두 대향면(84b, 84b)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가이드 결합부(87)는 전후로 연장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이 전판면부(86)에 연속되고, 대향면(84b)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가이드 결합부(88)는 전후로 연장하는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가이드 결합부(87)와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제3 가이드 결합부(89)는 전후로 연장하는 결합부(89a)와 결합부(89a)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입벽부(89b)로 이루어지고, 입벽부(89b)의 하단이 저판면부(85)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3 피가이드 홈(24)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2 피가이드 홈(23)만이 형성되어서 좌우로 서로 엇갈리게 피가이드 홈이 형성된 타입의 배터리가 장착될 경우에는, 피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가이드 결합부만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좌우의 일방에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3 피가이드 홈(24)만이 형성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2 피가이드 홈(23)만이 형성된 배터리가 장착될 경우에는, 좌우의 일방에 제1 가이드 결합부(87)와 제3 가이드 결합부(89)만이 설치되고, 좌우의 타방에 제2 가이드 결합부(88)만이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배터리 장착부(83)에는 저판면부(85)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식별용 돌출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다른 긴 부분(90a)과 짧은 부분(90b)이 좌우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긴 부분(90a)의 전후의 길이가 짧은 부분(90b)의 전후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긴 부분(90a)의 좌우의 폭은 짧은 부분(90b)의 좌우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는 전단이 전판면부(86)에 연속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용 돌출부(9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판면부(85)의 중앙과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 사이 간격의 중앙보다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 측에 위치되고, 단자 접속부(93)와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 사이 간격의 중앙보다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 측에 위치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는 짧은 부분(90b)이 긴 부분(90a)보다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 측에 위치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83)의 전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검출용 돌출부(91)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용 돌출부(9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타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검출용 돌출부(91)는 저판면부(85)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일방의 제1 가이드 결합부(87)에 가까운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는, 식별용 돌출부(90)와 검출용 돌출부(91)가 단자 접속부(93)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 위치된 예를 나타냈으나, 식별용 돌출부(90)와 검출용 돌출부(91)의 쌍방이 단자 접속부(93)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자 접속부(93)와 검출용 돌출부(91)가 식별용 돌출부(9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 위치된다.
저판면부(85)의 일부는 결합 유지부(92)로서 설치되어 있다. 결합 유지부(92)는 저판면부(85)의 일부에 형성된 "コ"자 형상의 슬릿의 내측의 부분이고, 전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대략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합 유지부(92)에는 후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locking) 돌출부(92a)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83)의 전단부에는 단자 접속부(93)가 배치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93)는 비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보유 지지부(94)와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전극 단자(95, 95, 95)를 갖고, 전극 단자(95, 95, 95)가 좌우로 이격된 상태로 보유 지지부(94)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
보유 지지부(94)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극 단자(95, 95, 95)의 외측에 각각 위치 결정 돌출부(94a, 94a)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출부(94a, 94a)의 좌우 방향의 폭의 크기는, 전극 단자(95, 95, 95)의 좌우 방향의 폭의 크기보다 크다.
단자 접속부(93)는 전극 단자(95, 95, 95)의 일단부가 케이스체(81)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기기(충전기)에 대한 배터리의 장착>
이하에, 배터리(1)의 충전기(80)에 있어서의 배터리 장착부(83)에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도 29 내지 도 31 참조).
사용자는, 이하와 같이, 배터리(1)의 일부를 장착용 오목부(83a)에 삽입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터리(1)는 상방으로부터 장착용 오목부(83a)에 삽입된다(도 29 참조). 이 때 삽입홈(25, 25)을 거쳐 제2 피가이드 홈(23, 23)에 각각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가 삽입되고, 삽입홈(26, 26)을 거쳐 제3 피가이드 홈(24, 24)에 각각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의 결합부(89a, 89a)가 삽입된다. 따라서, 배터리(1)의 절결(2a, 2a)에 각각 충전기(80)의 단차부(84, 84)가 삽입되고, 단차면(18, 18)이 각각 평면(84a, 84a)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됨과 함께 홈 형성면(19, 19)이 각각 대향면(84b, 84b)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된다.
이 때 저면판부(85)에 배터리(1)가 상방으로부터 배치되기 때문에, 결합 유지부(92)는 걸림 돌출부(92a)가 하방으로 눌려져서 탄성 변형된다.
또한, 배터리(1)를 절결(2a, 2a)에 단차부(84, 84)가 삽입되지 않는 방향으로 장착용 오목부(83a)에 삽입하려고 했을 때에는, 케이스(2)의 일부가 단차부(84, 84)에 접촉되고, 배터리(1)의 장착용 오목부(83a)에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배터리(1)가 충전기(80)에 대해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도 30 참조). 배터리(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제1 피가이드 홈(22, 22)이 각각 제1 가이드 결합부(87, 87)로 안내되고 제2 피가이드 홈(23, 23)이 각각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로 안내되고 제3 피가이드 홈(24, 24)이 각각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의 결합부(89a, 89a)로 안내된다. 배터리(1)는 제3 피가이드 홈(24, 24)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가 각각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의 규제부(89b, 89b)에 접하는 이동단까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배터리(1)가 이동단까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피가이드 홈(22, 22)의 개구 가장자리가 각각 제1 가이드 결합부(87, 87)에 결합되고, 제2 피가이드 홈(23, 23)의 개구 가장자리가 각각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에 결합되고, 제3 피가이드 홈(24, 24)의 개구 가장자리가 각각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의 결합부(89a, 89a)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결합 갈고랑이부(2p)는 상연이 제1 가이드 결합부(87)의 하연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제2 결합 갈고랑이부(2q)는 상연이 제2 가이드 결합부(88)의 하연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제3 결합 갈고랑이부(2r)는 상연이 제3 가이드 결합부(89)의 하연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다.
이 때 배터리(1)의 후단연이 결합 유지부(92)의 걸림 돌출부(92a)의 앞쪽에 위치되고, 결합 유지부(92)가 탄성 복귀되어 걸림 돌출부(92a)가 배터리(1)에 있어서의 후단연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배터리(1)가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된다.
배터리(1)가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될 때에는, 배터리(1)의 전면(14)에 설치된 검출용 피누름부(14a)에 의해 충전기(80)의 검출용 돌출부(91)가 눌려져 조작된다. 검출용 돌출부(91)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검출용 돌출부(91)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검출부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83)에 배터리(1)가 장착된 것이 검출된다.
배터리 장착부(83)에 배터리(1)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충전기(80)가 전원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광이 출사되어 윈도우부(82a, 82b)를 거쳐 광이 상방을 향하여 조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윈도우부(82a, 82b)를 거쳐 조사되는 광의 상태를 시인함으로써,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나 배터리(1)에 대한 충전량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1)가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될 때에는, 배터리(1)의 일방의 식별홈(30)에 충전기(80)의 식별용 돌출부(90)가 삽입된다(도 31 참조). 식별용 돌출부(90)는 긴 부분(90a)이 제1 식별부(31)에 삽입되고 짧은 부분(90b)이 제2 식별부(32)에 삽입된다.
식별용 돌출부(90)가 식별홈(30)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된 배터리(1)가 충전기(80)에 의해 충전 가능한 타입인 것이 식별된다. 배터리(1)는, 예를 들면, 충전 가능한 전력 용량이 중간 정도인 타입이다.
또한, 배터리(1)가 배터리 장착부(83)에 장착될 때에는, 배터리(1)의 벽부(29b, 29b) 사이에 충전기(80)의 단자 접속부(93)가 삽입되어 간다. 이 때 배터리(1)와 충전기(80) 사이에는 배터리(1)의 배터리 장착부(83)에 대한 원활한 삽입성을 확보하기 위한 간극이나 치수 공차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배터리(1)가 충전기(80)에 대해서 좌우로 기울어진 상태나 변위한 상태에서 배터리 장착부(83)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도 32 참조).
배터리(1)가 충전기(80)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나 변위한 상태로 삽입되었을 경우이더라도, 벽부(29b, 29b)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접속부(93)가 벽부(29b, 29b)로 안내되어 커넥터(33)에 가까워져 간다. 따라서, 배터리(1)는 커넥터(33)의 접속 단자(35, 35, 35)가 각각 단자 접속부(93)의 전극 단자(95, 95, 95)에 확실히 접속된다(도 33 참조). 이 때 커넥터(33)의 위치 결정 홈(37, 37)에 각각 단자 접속부(93)의 위치 결정 돌출부(94a, 94a)가 삽입되어 커넥터(33)의 단자 접속부(93)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터리(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걸림 돌출부(92a)의 후단연에 대한 결합을 해제함과 함께 제1 가이드 결합부(87, 87)와 제2 가이드 결합부(88, 88)와 제3 가이드 결합부(89, 89)의 결합을 해제하고, 배터리(1)를 장착용 오목부(83a)로부터 상방으로 인출함으로써 배터리 장착부(83)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소괄>
상기한 것처럼, 배터리(1)에 있어서는, 케이스(2)의 배치 오목부(27)를 형성하는 면이 오목부 형성면(29)으로서 형성되고, 외면(10)의 전면(14)과 커넥터(33) 사이에 오목부 형성면(29)의 일부인 중간부(29c)가 존재한다.
따라서, 커넥터(33)의 전면(33a)이 케이스(2)의 전면(14)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낙하 시 등에 있어 커넥터(33)의 파손이나 손상의 발생이 저감되어 접속 단자(35)의 전극 단자(61, 95)에 대한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낙하 충격에 의해 커넥터(33)에 충격력이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접속 단자(35)를 회로 기판(9)에 접속하기 위한 땜납의 크랙이 생기기 어렵고, 전기적인 접속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33)의 파손이나 손상의 발생이 저감되기 때문에, 접속 단자(35)가 하우징(34)으로부터 노출되기 어렵고, 커넥터(33)의 높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커넥터(33)의 전면(33a)이 케이스(2)의 전면(14)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된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커넥터(33)의 하면(33b)이 케이스(2)의 저면(12)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34 참조).
이와 같이 커넥터(33)의 하면(33b)이 케이스(2)의 저면(12)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낙하 시 등에 있어 커넥터(33)의 파손이나 손상의 발생이 저감되어 접속 단자(35)의 전극 단자(61, 95)에 대한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커넥터(33)의 전면(33a)이 케이스(2)의 전면(14)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됨과 함께 커넥터(33)의 하면(33b)이 케이스(2)의 저면(12)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35 참조).
이와 같이 전면(33a)이 전면(14)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됨과 함께 하면(33b)이 저면(12)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커넥터(33)의 전체가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낙하 시 등에 있어서 커넥터(33)의 파손이나 손상의 발생이 한층 저감되어 접속 단자(35)의 전극 단자(61, 95)에 대한 한층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에 있어서는, 배치 오목부(27)가 접속 단자(35)의 전극 단자(61, 95)에 대한 접속 방향에 있어 개구되고, 접속 방향에 있어 외면(10)과 커넥터(33) 사이에 오목부 형성면(29)인 중간부(29c)가 존재한다.
따라서, 접속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33)가 외면(10)보다 케이스(2)에 있어서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접속 시에 전극 단자(61, 95)가 배치 오목부(27)의 안쪽까지 삽입되고, 접속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기기(촬상 장치(50), 충전기(8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오목부 형성면(29)의 일부가 배치 오목부(27)의 개구 방향(접속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3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배치 오목부(27)의 개구 면적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 형성면(29)의 일부가 전극 단자(61, 95)의 배치 오목부(27)에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접속 단자(35)와 전극 단자(61, 95)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오목부 형성면(29)은 접속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위치된 한 쌍의 벽부(29b, 29b)를 갖고, 벽부(29b, 29b)가 접속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벽부(29b, 29b)가 전극 단자(61, 95)의 배치 오목부(27)에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접속 단자(35)와 전극 단자(61, 95)의 한층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한 쌍의 벽부(29b, 29b)가 접속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일방의 벽부(29b)가 접속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배치 오목부(27)의 개구 면적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36 참조).
또한, 배터리(1)에 있어서는, 오목부 형성면(29)의 중간부(29c)가 접속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33)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배치 오목부(27)의 개구 면적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37 참조).
이와 같이 중간부(29c)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중간부(29c)가 전극 단자(61, 95)의 배치 오목부(27)에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접속 단자(35)와 전극 단자(61, 95)의 보다 더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중간부(29c)에 더하여 벽부(29b, 29b)도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되고, 중간부(29c)에 더하여 일방의 벽부(29b)도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되고, 중간부(29c)만을 경사면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벽부(29b) 또는 중간부(29c)의 접속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경사 각도가 0도보다 크고 45도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29b) 또는 중간부(29c)의 경사 각도가 0도보다 크고 45도 이하로 됨으로써, 안내면으로서 기능하는 오목부 형성면(29)의 경사 각도가 예각으로 되기 때문에,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전극 단자(61, 95)를 배치 오목부(27)에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배터리(1)를 상방으로부터 장착용 오목부(83a)에 삽입한 후에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장착이 이루어지는 타입인 충전기(80)를 예로서 나타냈으나, 다른 타입으로서 배터리(1)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장착되는 충전기(80A)가 존재한다(도 38 참조).
충전기(80A)는, 예를 들면, 전체가 배터리 장착부(83A)로서 마련되고, 배터리 장착부(83A)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장착용 오목부(83b)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83A)에는 전극 단자를 갖는 단자 접속부(96)가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1)는 충전기(80A)의 장착용 오목부(83b)에 전면(14)이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배터리(1)의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 중 적어도 하나를 경사면(안내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배터리(1)의 장착용 오목부(83b)에의 삽입 시에 배터리(1)의 자중(自重)에 의해 단자 접속부(96)가 경사면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배터리(1)의 충전기(80A)에 대한 용이하고 또한,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배터리(1)에 있어서는, 케이스(2)에는 측면(13)에 연속된 단차면(18)과 저면(12)에 연속된 홈 형성면(19)에 의해 절결(2a)이 형성됨과 함께 홈 형성면(19)으로 개구된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이 형성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이 단차면(18)보다 저면(12) 측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과 단차면(18)이 연속하여 위치되지 않고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과 단차면(18)의 사이에 홈 형성면(19)의 일부가 위치되기 때문에,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및 제3 피가이드 홈(24)과 단차면(18)이 연속하여 위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홈 형성면(19)과 단차면(18)이 셀(6)에 가까워져, 배터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절결(2a, 2a)이 2개의 측면(13, 13)에 연속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측면(13, 13)의 쌍방 측에 절결(2a, 2a)이 존재하고, 케이스(2)의 외면(10)이 2개소에 있어서 셀(6, 6)에 가까워져 위치되어, 배터리(1)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피가이드 홈(22, 22)과 제2 피가이드 홈(23, 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24)이 접속 단자(35)의 전극 단자(61, 95)에 대한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 사이의 부분이 제1 피가이드 홈(22)과 제2 피가이드 홈(23)과 제3 피가이드 홈(24)에 대해서 돌출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가 보강 리브로서 기능하고, 케이스(2)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배터리의 다른 구성예>
이하에, 배터리(1)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도 39 내지 도 44 참조).
배터리(1)에는 적어도 좌우 양측에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39 참조). 결합 오목부(39, 39)는, 예를 들면, 각각 제2 피가이드 홈(23, 23)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된 배터리(1)는, 예를 들면, 충전기(80B)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접속된다. 충전기(80B)는 본체(97)와 본체(97)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보유 지지 암(98, 98)과 본체(97)에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극 단자를 갖는 단자 접속부(99)를 갖고 있다.
본체(97)에는 조작 버튼(97a)이 배치되고, 조작 버튼(97a)이 조작됨으로써, 보유 지지 암(98, 98)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에 동작된다.
보유 지지 암(98, 98)은 선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결합 돌출부(98a, 98a)로서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암(98, 98)의 선단부에는 본체(97)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슬라이딩면(98b, 98b)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암(98, 98)은 본체(97)의 내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배터리(1)가 충전기(80B)에 대해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가면, 배터리(1)의 전연이 각각 슬라이딩면(98b, 98b)에서 슬라이딩 되며 보유 지지 암(98, 98)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보유 지지 암(98, 98)이 각각 제1 피가이드 홈(22, 22)에 삽입되어 간다. 보유 지지 암(98, 98)은 각각 제1 피가이드 홈(22, 22)으로부터 제2 피가이드 홈(23, 23)을 향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 22)으로부터 일단 홈 형성면(19, 19)을 타고 올라가서 다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피가이드 홈(23, 23)에 삽입되고, 결합 돌출부(98a, 98a)가 각각 결합 오목부(39, 39)에 결합된다(도 40 참조).
충전기(80B)는 결합 돌출부(98a, 98a)가 각각 결합 오목부(39, 39)에 결합되어 좌우 양측으로부터 배터리(1)를 협지한 상태로 되고, 배터리(1)가 충전기(80B)에 보유 지지된다. 결합 돌출부(98a, 98a)가 각각 결합 오목부(39, 39)에 결합될 때에는, 동시에, 커넥터(33)가 단자 접속부(99)에 접속된다.
충전기(80B)에 의한 배터리(1)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조작 버튼(97a)을 조작하여 보유 지지 암(98, 98)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 돌출부(98a, 98a)의 결합 오목부(39, 39)에 대한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배터리(1)와 충전기(80B)를 분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결합 오목부(39, 39)가 각각 제2 피가이드 홈(23, 23)으로 개구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으나, 결합 오목부(39, 39)는 각각 삽입홈(24, 24)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단, 결합 오목부(39, 39)가 피가이드 홈(23, 23)으로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기(80B)의 결합 돌출부(98a, 98a)가 피가이드 홈(23, 23)에 삽입되어 안내되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98a, 98a)를 결합 오목부(39, 39)에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케이스(2)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각각 개구되어 결합 돌출부(98a, 98a)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됨으로써, 결합 오목부(39, 39)에 반대 측으로부터 각각 결합 돌출부(98a, 98a)를 결합하여 배터리(1)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안정된 상태로 배터리(1)를 용이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배터리(1)의 좌우 양측에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좌우 양측의 결합 오목부(39, 39)에 더하여 천면(11) 또는 저면(12) 중 적어도 일방으로 개구되는 결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41 참조).
이와 같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좌우 양측의 면에 직교하는 천면(11) 또는 저면(12)으로 개구되는 결합 오목부(39)가 형성됨으로써, 결합 오목부(39, 39, 39)에 반대 측으로부터와 이 반대 측에 직교하는 측으로부터 각각 결합 돌출부(98a, 98a, 98a)를 결합하여 배터리(1)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한층 안정된 상태로 배터리(1)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39)는 제2 피가이드 홈(23)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98a)가 제2 피가이드 홈(23)으로 안내되어 결합 오목부(39)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98a)의 결합 오목부(39)에의 결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39)는, 제2 피가이드 홈(23)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신하여, 제1 피가이드 홈(22)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도 42 참조), 또한, 제3 피가이드 홈(24)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43 참조).
특히, 결합 오목부(39)가 제1 피가이드 홈(22)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결합 오목부(39)가 접속 방향에 있어서 가장 선단 측에 위치된 제1 피가이드 홈(22)이 존재하는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배터리(1)가 충전기(80B)에 장착될 때에, 결합 돌출부(98a)가 홈 형성면(19)을 타고 넘을 필요가 없고, 결합 돌출부(98a)의 결합 오목부(39)에의 결합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출부(98a)가 결합 오목부(39)에 결합될 때에 단자 접속부(99)의 전극 단자가 커넥터(33)의 접속 단자(35)에 접속된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98a)의 결합 오목부(39)에의 결합과 전극 단자의 접속 단자(35)에의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 돌출부(98a)의 결합 오목부(39)에의 결합 작업과 전극 단자의 접속 단자(35)에의 접속 작업을 각각 별개로 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39)는 제1 피가이드 홈(22), 제2 피가이드 홈(23) 또는 제3 피가이드 홈(24)이 존재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홈 형성면(19)으로 개구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홈 형성면(19, 19)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방 및 후방으로 개구된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44 참조).
홈 형성면(19, 19)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 오목부(39, 39)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충전기(80) 등에 있어서 2개의 결합 보유 지지부(92, 92)를 설치하고, 결합 보유 지지부(92, 92)의 걸림 돌출부(92a, 92a)가 각각 결합 오목부(39, 39)의 개구 가장자리에 걸어 맞춰지므로써 배터리(1)가 충전기(80) 등에 보유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결합 오목부(39, 39)가 배터리(1)에 있어서의 후면(15)보다 앞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만큼, 걸림 돌출부(92a, 92a)도 앞쪽에 위치되고, 충전기(80) 등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단축하여 충전기(80) 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식별홈의 구성 등>
다음으로, 식별홈(30)의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도 45 내지 도 56 참조).
식별홈(30)은, 상기한 것처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다른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좌우 방향에 있어 연속되어 있다(도 45 및 도 46의 상단 참조).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는 각각 식별력을 갖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배터리에 있어서는 제1 식별부(31)에 상당하는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부(32)에 상당하는 제2 식별홈(B)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었다(도 46의 하단 참조).
일반적으로, 식별홈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케이스의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 유동성이나 난연성의 그레이드 등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식별홈의 폭은 식별홈에 삽입되는 식별용 돌출부의 강도가 확보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식별홈의 폭이 작으면, 삽입되는 식별용 돌출부의 폭도 작게 할 필요가 있으나, 식별용 돌출부의 폭이 작으면 식별용 돌출부의 강도가 저하하여 파손이나 분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식별용 돌출부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폭을 일정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식별홈의 폭도 일정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충전기(80)에 있어서의 장착용 오목부(83a)의 가로폭은, 배터리(1)의 장착용 오목부(83a)에 대한 원활한 삽입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유 분(유격 분)만큼 배터리(1)의 가로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식별홈의 폭도 식별용 돌출부의 삽입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여유 분의 치수가 필요하다. 더하여, 식별홈의 폭은 각 부의 치수 공차나 조립 공차도 가미한 크기로 형성되고, 이러한 여유분도 포함하여 식별홈의 폭이 정해져 있다.
나아가, 종래의 배터리에 있어서는,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홈(B) 사이에 일정한 간극(H)이 형성되어 있고, 간극(H)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성에 의해, 일정 이상의 폭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에 있어서의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홈(B)에 각각 삽입되는 식별용 돌출부의 폭을 각각 W1이라 하면,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홈(B)의 각 폭은 여유 분(유격 분+공차 분)을 C라 했을 때에 각각 「W1+C」가 된다. 또한,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홈(B)의 사이에는 간극(H)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1 식별홈(A)과 제2 식별홈(B)을 형성하기 위해서 케이스에 필요하게 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Wp)는 「2W1+2C+H」가 된다.
한편, 배터리(1)에 있어서는, 제1 식별홈(A)에 상당하는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홈(B)에 상당하는 제2 식별부(32)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46의 상단 참조). 따라서,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에 의해 구성되는 식별홈(30)을 형성하기 위하여 케이스(2)에 필요하게 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W)는, 간극(H)이 필요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2W1+2C」 이하의 치수가 된다.
또한, 식별홈(30)은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좌우 방향에 있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수(W)에는 여유분(2C) 가운데 하나의 여유분(C) 역시 불필요하게 되고, 치수(W)는 「2W1+C」 이하의 치수가 된다.
나아가, 길이가 짧은쪽의 제2 식별부(32)에 삽입되는 식별용 돌출부는 일부가 제1 식별부(31)에 삽입되어도 되기 때문에, 제2 식별부(32)의 폭은 W1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치수를 α라 하면, 치수(W)는 「2W1-α+C」가 된다.
따라서, 식별홈(30)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스(2)에 필요하게 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W)는, 종래의 배터리에 있어서의 케이스에 필요하게 되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Wp)에 대해서 「C+H+α」분만큼 작아지고, 그 만큼, 배터리(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에 의해 구성된 식별홈(30)을 예로서 나타냈으나, 식별홈(30)은, 예를 들면, 깊숙한 저면(31a, 32a)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47 참조). 깊숙한 저면(31a, 32a)이 경사진 형상의 식별홈(30)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부분이 제1 식별부(31)로 되고 타방의 부분이 제2 식별부(32)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깊숙한 저면(31a, 32a)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 식별홈(30)에는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2)에 식별홈(30)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터리(1)와는 다른 식별홈을 갖는 배터리(1A, 1B)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도 48 및 도 49 참조).
상기한 것처럼, 배터리(1)에는 2개의 식별홈(30, 30)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1)는, 예를 들면, 최대 충전 용량이 표준인 중용량 타입이다.
배터리(1A)는, 예를 들면, 최대 충전 용량이 배터리(1)보다 큰 고용량 타입이다. 배터리(1A)에는 하나의 식별홈(30)과 하나의 식별홈(30A)이 형성되어 있다(도 48 참조). 식별홈(30A)은 제1 식별부(31)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긴 제1 식별부(31A)와 제2 식별부(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1B)는, 예를 들면, 최대 충전 용량이 배터리(1)보다 작은 저용량 타입이다. 배터리(1B)에는 하나의 식별홈(30)이 형성되어 있다(도 49 참조).
다음으로, 배터리(1), 배터리(1A) 또는 배터리(1B)가 장착되는 접속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도 50 내지 도 53 참조).
접속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작은 전력에서의 구동이 가능한 소전력 카메라, 소전력 카메라보다 큰 전력에서의 구동이 가능한 중전력 카메라, 중전력 카메라보다 큰 전력에서의 구동이 가능한 대전력 카메라 및 충전기(80)가 존재한다.
소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단자 접속부(59)가 배치되고, 식별홈(30) 등에 삽입되는 식별용 돌출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도 50 참조).
중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단자 접속부(59)가 배치되고, 단자 접속부(59)의 측방에 식별용 돌출부(90B)가 설치되어 있다(도 51 참조). 식별용 돌출부(90B)는 제1 식별부(31)에도 제1 식별부(31A)에도 전체가 삽입 가능한 길이로 되어 있다.
대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단자 접속부(59)가 배치되고, 단자 접속부(59)의 측방에 식별용 돌출부(90C)가 설치되어 있다(도 52 참조). 식별용 돌출부(90C)는 식별용 돌출부(90B)보다 길이가 길게 되고 제1 식별부(31)에는 전체가 삽입되지 않고 제1 식별부(31A)에는 전체가 삽입 가능한 길이로 되어 있다.
충전기(80)의 배터리 장착부(83)에는, 상기한 것처럼, 단자 접속부(93)가 배치되고, 단자 접속부(93)의 측방에 식별용 돌출부(90)가 설치되어 있다(도 53 참조). 식별용 돌출부(90)는 긴 부분(90a)과 짧은 부분(9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식별홈(30, 30A)의 식별성에 관한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도 54 참조).
이하에는, 일례로서, 배터리(1), 배터리(1A) 및 배터리(1B)의 소전력 카메라, 중전력 카메라, 대전력 카메라 및 충전기(80)에 대한 식별성을 설명한다. 도 54에 있어서, 「Y」는 배터리가 카메라 또는 충전기에 장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N」은 배터리가 카메라 또는 충전기에 장착 불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대용량 타입의 배터리(1A)는 왼쪽에 위치된 식별홈(30)과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홈(30A)을 갖고 있고, 중용량 타입의 배터리(1)는 좌우에 이격되어 위치된 식별홈(30, 30)을 갖고 있고, 소용량 타입의 배터리(1B)는 왼쪽에 위치된 하나의 식별홈(30)을 갖고 있다.
소전력 카메라는, 배터리 장착부에 식별용 돌출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식별홈(30, 30A)에 삽입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배터리(1)와 배터리(1A)와 배터리(1B) 모두가 장착 가능이며, 배터리(1)와 배터리(1A)와 배터리(1B) 모두가 소전력 카메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식별된다.
중전력 카메라는, 배터리 장착부에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용 돌출부(90B)를 갖고 있고, 식별용 돌출부(90B)가 식별홈(30)의 제1 식별부(31)와 식별홈(30A)의 제1 식별부(31A) 중 어느 것에라도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B)는, 배터리(1)에 있어서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홈(30)의 제1 식별부(31)와 배터리(1A)에 있어서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홈(30A)의 제1 식별부(31A)에 삽입된다. 한편, 식별용 돌출부(90B)는, 배터리(1B)의 오른쪽에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1B)와는 간섭한다.
따라서, 중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배터리(1A)와 배터리(1)의 어느 것이라도 장착 가능하지만, 배터리(1B)는 장착 불능이고, 배터리(1A)와 배터리(1)의 어느 것이라도 중전력 카메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식별되고, 배터리(1B)는 중전력 카메라에 사용할 수 없는 배터리인 것이 식별된다.
대전력 카메라는, 배터리 장착부에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용 돌출부(90C)를 갖고 있고, 식별용 돌출부(90C)가 식별홈(30A)의 제1 식별부(31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C)는, 배터리(1A)에 있어서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홈(30A)의 제1 식별부(31A)에 삽입된다. 한편, 식별용 돌출부(90C)는, 배터리(1)에 있어서 오른쪽에 위치된 식별홈(30)의 제1 식별부(31)에는 삽입 가능하나 도중까지 밖에 삽입되지 않고, 배터리(1)의 커넥터(33)의 접속 단자(35)에는 전극 단자(95)가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식별용 돌출부(90C)는, 배터리(1B)의 오른쪽에 식별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1B)와는 간섭한다.
따라서, 대전력 카메라의 배터리 장착부에는, 배터리(1A)가 장착 가능하나, 배터리(1)와 배터리(1B)는 장착 불능이고, 배터리(1A)가 대전력 카메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식별되고, 배터리(1)와 배터리(1B)는 대전력 카메라에 사용할 수 없는 배터리인 것이 식별된다.
충전기(80)는, 배터리 장착부(83)에 왼쪽에 위치된 식별용 돌출부(90)를 갖고 있고, 식별용 돌출부(90)가 식별홈(30)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식별용 돌출부(90)는, 배터리(1)와 배터리(1A)와 배터리(1B) 모두에 있어서 왼쪽에 위치된 식별홈(30)에 삽입된다.
따라서, 충전기(80)의 배터리 장착부(83)에는, 배터리(1)와 배터리(1A)와 배터리(1B)의 모두가 장착 가능하고, 배터리(1)와 배터리(1A)와 배터리(1B)의 모두가 충전기(80)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식별된다.
또한, 상기에는, 충전 용량의 상위에 의한 배터리의 식별에 관한 예를 나타냈으나, 식별홈(30) 등에 의한 식별은 충전 용량의 상위에 의한 식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충전 가능한 타입인지 아닌지 여부의 상위나 충전 속도의 상위 등의 다른 상위에 관한 식별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는, 길이가 다른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의 2개의 부분에 의해 구성된 식별홈(30)의 예를 나타냈으나, 식별홈(30)은 길이가 다른 3개 이상의 식별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것처럼, 배터리(1)(배터리(1A, 1B))에는 케이스(2)에 접속 기기의 식별을 행하기 위한 식별홈(30)이 형성되고, 식별홈(30)은 길이가 다른 복수의 식별부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가 다른 복수의 식별부 사이에 식별부를 구분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식별홈(30)의 식별부가 연속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복수의 식별부를 합계한 크기가 되고, 높은 식별성을 확보함과 함께 배터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로서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홈(30)의 식별부가 연속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를 합계한 크기가 되고, 식별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배터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식별홈(30)은 복수의 식별부가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홈(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복수의 식별부를 합계한 크기가 되고, 복수의 식별홈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식별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배터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복수의 식별부는 길이가 짧은 순서대로 폭이 작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에 있어서는, 길이가 짧은 제2 식별부(32)의 폭이 길이가 긴 제1 식별부(31)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식별홈(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동일한 폭의 식별부가 형성되었을 경우의 합계의 폭보다 작아지고, 식별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배터리(1)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2개의 식별홈(30, 30)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식별홈(30, 30)을 사용하여 접속 기기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식별 가능한 접속 기기의 종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2개의 식별홈(30, 30)의 형상이나 크기를 달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별홈(30)은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55 참조). 식별홈(30)은, 예를 들면, 제2 식별부(32)가 대략 삼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식별홈(30)이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식별홈(30)의 내저면(30a) 가운데 제2 식별부(32)의 영역의 부분이 경사면(32c)으로서 형성된다. 경사면(32c)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연속하는 제1 식별부(31)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측면(13)에 가까워짐에 따라 저면(12) 측으로 변위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식별홈(30)은 제1 피가이드 홈(22)의 근방에 형성되는 부분이고, 식별홈(30)이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1 피가이드 홈(22)과 식별홈(30) 사이의 부분의 두께(폭)가 커지게 되고, 제1 피가이드 홈(22) 주변의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에는, 길이가 다른 제1 식별부(31)와 제2 식별부(32)가 폭 방향으로 연속된 식별홈(30)을 예로서 나타냈으나, 식별홈(30)에 대신하여 식별홈(30X)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56 참조). 식별홈(30X)은 상하 방향(깊이 방향)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제1 식별부(31X)와 제2 식별부(32X)가 연속되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제1 식별부(31X)가 제2 식별부(32X)보다 길이가 길게 되고, 제1 식별부(31)가 제2 식별부(32)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별홈(30X)도 식별홈(30)과 마찬가지로, 길이가 다른 3개 이상의 식별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식별부가 깊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식별홈(30X)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복수의 식별부를 합계한 크기가 되고, 복수의 식별홈이 깊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식별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깊이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배터리(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별홈(30X)의 복수의 식별부는 길이가 짧은 순서대로 깊이가 얕게 되어 있어도 된다.
식별홈(30X)이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식별홈(30X)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동일한 깊이의 식별부가 형성된 경우의 합계의 깊이보다 작아지게 되고, 식별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터리(1)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에, 배터리(1)에 있어서의 각 부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도 57 내지 도 59 참조).
제1 변형예는, 오목부 형성면의 변형예이다(도 57 및 도 58 참조). 제1 변형예와 관련되는 오목부 형성면(29A)은 벽부(29d, 29d)를 갖고 있다. 벽부(29d, 29d)는 각각 베이스부(29a)에 연속하는 제1 경사면(40, 40)과 제1 경사면(40, 40)에 연속하는 중간면(41, 41)과 중간면(41, 41)에 연속하는 제2 경사면(42, 42)으로 이루어진다.
제1 경사면(40, 40)은 베이스부(29a)의 전단에 연속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중간면(41, 41)은 제1 경사면(40, 40)의 전단에 연속되고, 전방을 향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42, 42)은 중간면(41, 4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단에 연속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제1 경사면(40)은 중간면(41)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제2 경사면(42)의 중간면(41)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단, 제1 경사면(40)의 중간면(41)에 대한 경사 각도는, 제2 경사면(42)의 중간면(41)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어도 되고, 제2 경사면(42)의 중간면(41)에 대한 경사 각도와 같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경사면(40)은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제2 경사면(42)의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단, 제1 경사면(40)은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제2 경사면(42)의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어도 되고, 제2 경사면(42)의 경사진 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같게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벽부(29d, 29d)를 갖는 오목부 형성면(29A)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2)에 있어서의 벽부(29d, 29d)의 뒤쪽의 부분의 전후의 두께가 커지고, 케이스(2)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변형예는, 커넥터의 변형예이다(도 59 참조). 제2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33A)는 비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34)과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접속 단자(35, 35, 35)를 갖고 있다. 하우징(34)에는 접속 단자(35, 35, 35)가 배치된 단자 배치 홈(36, 36, 36)이 형성되어 있으나, 위치 결정 홈(37, 37)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단자 배치 홈(36, 36, 36)에는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와 정보 단자로서 기능하는 접속 단자(35, 35, 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33A)에 있어서, 2개의 단자 배치 홈(36, 36) 또는 4개의 단자 배치 홈(36, 36,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33A)에 2개의 단자 배치 홈(36, 3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의 단자 배치 홈(36, 36)에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배치되고, 커넥터(33A)에 4개의 단자 배치 홈(36, 36, …)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4개의 단자 배치 홈(36, 36, …)에 각각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와 정보 단자와 통신 단자가 배치된다.
커넥터(33A)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위치 결정 홈(37, 37)이 각각 케이스(2)에 있어서의 커넥터(33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33A)가 이용됨으로써, 케이스(2)에 있어서의 배치 오목부(27)의 양측의 부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커지고, 케이스(2)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른 배터리의 구성>
다음으로, 배터리(1)와는 다른 배터리(1C)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도 60 및 도 61 참조).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배터리(1C)는, 상기한 배터리(1)와 비교하여, 커넥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만이 상위하고, 그 이외의 각 부의 구성 및 각 부 사이의 위치 관계나 크기는 배터리(1)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배터리(1)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하여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배터리(1)에 있어서의 마찬가지의 부분에 붙인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저부(21)의 전단부에는 오목부(27C)가 형성되어 있다(도 60 참조). 오목부(27C)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27C)는 오목부 형성면(29C)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형성면(29C)은 베이스부(29e)와 벽부(29b, 29b)와 중간부(29c)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29e)는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벽부(29b, 29b)는 각각 베이스부(29e)의 좌우 양단에 연속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29c)는 하방을 향하는 벽부(29b, 29b)의 하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C)에 있어서의 오목부(27C)의 뒤쪽에 연속하는 부분에는, 단자 배치 홈(36C, 36C, 36C)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 배치 홈(36C)은 하방 및 전방으로 개구되고, 전방의 개구가 베이스부(29e)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 단자(35, 35, 35)는 적어도 일부가 각각 단자 배치 홈(36C, 36C, 36C)에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2C)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배터리(1C)에서는, 커넥터가 설치되지 않으며, 접속 단자(35, 35, 35)가 단자부로서 구성된다.
케이스(2C)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단자 배치 홈(36C, 36C, 36C)의 바깥쪽에 각각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위치 결정 홈(37C, 37C)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C)에 있어서의 단자 배치 홈(36C, 36C, 36C) 사이의 부분은 단자 격리 리브(2b, 2b)로서 마련되고, 케이스(2C)에 있어서의 단자 배치 홈(36C, 36C)과 위치 결정 홈(37C, 37C) 사이의 부분은 홈간 리브(2c, 2c)로서 마련되어 있다. 단자 격리 리브(2b)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접속 단자(35, 35, 35)끼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간 리브(2c)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는, 위치 결정 홈(37C, 37C)이 오목부(27C)에 연속하는 위치에 형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위치 결정 홈(37C, 37C)은 각각 케이스(2C)에 있어서의 오목부(27C)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61 참조).
또한, 배터리(1C)에 있어서는, 배터리(1)와 마찬가지로, 2개의 단자 배치 홈(36C, 36C) 또는 4개의 단자 배치 홈(36C, 36C,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것처럼, 배터리(1C)에 있어서는, 커넥터가 설치되지 않고, 단자 배치 홈(36C)과 위치 결정 홈(37C)이 케이스(2C)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소화 및 부품 점수의 삭감에 의한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기술>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접속 기기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서 상기 천면와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에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된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절결이 상기 2개의 측면에 연속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배터리.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 단자의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된,
배터리.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배터리.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배터리.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홈 형성면과 상기 저면을 포함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2개의 상기 홈 형성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큰,
배터리.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각 일부를 포함하는 상 케이스와, 상기 저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다른 각 일부와 상기 홈 형성면을 포함하는 하 케이스를 갖는,
배터리.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각각 개구되고 결합 돌출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배터리.
(15)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직교하는 면으로 개구된,
배터리.
(16)
상기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된,
배터리.
(17)
상기 (16)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 단자의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된,
배터리.
(18)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오목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접속되는,
배터리.
(19)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서 상기 천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에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에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된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접속 기기.
1: 배터리
2: 케이스
2a: 절결
6: 셀
11: 천면
12: 저면
13: 측면
18: 단차면
19: 홈 형성면
22: 제1 피가이드 홈
23: 제2 피가이드 홈
24: 제3 피가이드 홈
33: 커넥터
35: 접속 단자
39: 결합 오목부
50: 촬상 장치(접속 기기)
61: 전극 단자
80: 충전기(접속 기기)
95: 전극 단자
80A: 충전기(접속 기기)
80B: 충전기(접속 기기)
98a: 결합 돌출부
1A: 배터리
1B: 배터리
29X: 오목부 형성면
33A: 커넥터
1C: 배터리
2C: 케이스
29C: 오목부 형성면

Claims (19)

  1.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접속 기기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서 상기 천면와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의 에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의 에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이드 홈 전체가 상기 단차면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며,
    상기 홈 형성면 중 상기 피가이드 홈이 개구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단차면으로 연속되게 연장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이 상기 2개의 측면에 연속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피가이드 홈 및 제2 피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피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피가이드 홈 사이의 상기 홈 형성면의 부분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단차면으로 연속되게 연장하며, 상기 홈 형성면의 상기 부분에 의해 상기 제1 피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피가이드 홈이 분리되고,
    상기 제1 피가이드 홈의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와 상기 단차면의 상기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있는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배터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으로부터 후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된,
    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홈 형성면과 상기 저면을 포함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2개의 상기 홈 형성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 큰,
    배터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천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각 일부를 포함하는 상 케이스와, 상기 저면과 상기 2개의 측면의 다른 각 일부와 상기 홈 형성면을 포함하는 하 케이스를 갖는,
    배터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배치된 단자 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배치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단연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위치된 전면과 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상기 전면으로 개구되고 소정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능홈을 형성하는 면 중 가장 상기 천면 측에 위치하는 면이 상기 피가이드 홈의 가장 상기 저면 측에 위치하는 면보다 상기 천면 측에 위치된,
    배터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으로 각각 개구되고 결합 돌출부가 각각 결합되는 결합 오목부가 형성된,
    배터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에 직교하는 면으로 개구된,
    배터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된,
    배터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 단자의 접속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피가이드 홈이 존재하는 영역에 형성된,
    배터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오목부에 결합될 때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접속되는,
    배터리.
  19. 내부에 셀이 수용된 케이스와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가지는 단자부를 구비한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높이 방향에 있어 반대 측에 위치된 천면 및 저면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 측에서 상기 천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측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측면의 에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된 단차면과 상기 저면의 에지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연속된 홈 형성면에 의해 절결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홈 형성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피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이드 홈 전체가 상기 단차면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저면 측에 위치되며, 상기 홈 형성면 중 상기 피가이드 홈이 개구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단차면으로 연속되게 연장되는,
    접속 기기.
KR1020197022931A 2017-02-10 2017-10-05 배터리 및 접속 기기 KR102417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3421A JP6191796B1 (ja) 2017-02-10 2017-02-10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JP-P-2017-023421 2017-02-10
PCT/JP2017/036368 WO2018146860A1 (ja) 2017-02-10 2017-10-05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70A KR20190118570A (ko) 2019-10-18
KR102417579B1 true KR102417579B1 (ko) 2022-07-06

Family

ID=5848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31A KR102417579B1 (ko) 2017-02-10 2017-10-05 배터리 및 접속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917285B1 (ko)
EP (2) EP3598522B1 (ko)
JP (1) JP6191796B1 (ko)
KR (1) KR102417579B1 (ko)
CN (1) CN110249446B (ko)
CA (1) CA3052399A1 (ko)
MX (1) MX2019009209A (ko)
MY (1) MY196054A (ko)
RU (1) RU2741558C1 (ko)
WO (1) WO2018146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384B2 (en) 2017-02-10 2020-04-07 Sony Corporation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US11451700B2 (en) 2019-03-06 2022-09-20 Aob Products Company Game camera having camera control module
USD967577S1 (en) 2019-11-08 2022-10-18 Dyson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battery
CN113946068B (zh) * 2020-07-16 2024-03-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背板、光源模块以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4800A1 (en) * 2003-12-26 2007-07-05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463A (ja) 1983-10-19 1985-05-17 Citizen Watch Co Ltd 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
JPS6087469A (ja) 1983-10-19 1985-05-17 Hitachi Ltd ドロップアウト補償装置
JPS6087463U (ja) * 1983-11-18 1985-06-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充電装置
JPS6087469U (ja) * 1983-11-18 1985-06-1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充電装置
JPH0677696B2 (ja) 1990-06-22 1994-10-05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レイモンドミルのタイヤ脱着方法
JPH0459058U (ko) * 1990-09-26 1992-05-20
JP3263855B2 (ja) 1992-03-06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CA2096793C (en) 1992-05-29 2003-09-30 Hidero Mitsui Battery cartridge having a recess for detecting misuse and/or recessed terminals
US5626979A (en) * 1994-04-08 1997-05-06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battery device as power source
JP3627260B2 (ja) 1994-09-02 2005-03-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及びこのバッテリ装置の装着装置
JP3575646B2 (ja) 1995-12-06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ツテリーパツク
JP4110656B2 (ja) * 1999-02-17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装着装置、電力供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52496B2 (ja) * 1999-03-12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充電装置
KR100325247B1 (ko) * 1999-05-28 2002-03-04 윤종용 휴대용 충전장치
CN1276525C (zh) 2001-07-24 2006-09-20 索尼公司 用于防止将待装器件错误地装入主体侧设备的方法、待装器件以及电池组
US6729413B2 (en) * 2001-08-24 2004-05-04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WO2004034488A1 (ja) * 2002-10-11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電子機器
JP4123516B2 (ja) 2003-12-26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JP4458024B2 (ja) * 2005-11-17 2010-04-2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動工具
JP2007144813A (ja) * 2005-11-28 2007-06-14 Nidec Shibaura Corp 電動工具の製造用金型
JP4725317B2 (ja) 2005-12-26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4245017B2 (ja) * 2006-08-28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電子機器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2008080420A (ja) * 2006-09-26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工具用のバッテリーパック
JP3160044U (ja) 2010-03-29 2010-06-10 ソニー株式会社 電源供給装置
JP5646202B2 (ja) * 2010-04-14 2014-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662105B2 (ja) * 2010-10-26 2015-01-28 株式会社マキタ 二次電池パック
WO2012060178A1 (ja) * 2010-11-04 2012-05-10 株式会社マキタ バッテリパック
JP5676543B2 (ja) * 2011-10-07 2015-02-25 ミルウォーキー エレクトリック ツ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Milwaukee Electric Toolcorporation 電池組立体
US9065106B2 (en) * 2012-10-17 2015-06-23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with guide rails for improved terminal alignment
USD776610S1 (en) * 2014-04-22 2017-01-17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Battery
JP6107846B2 (ja) 2015-01-28 2017-04-0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システム
JP6191795B1 (ja) 2017-02-10 2017-09-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4800A1 (en) * 2003-12-26 2007-07-05 Sony Corporation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2399A1 (en) 2018-08-16
CN110249446A (zh) 2019-09-17
RU2741558C1 (ru) 2021-01-26
JP6191796B1 (ja) 2017-09-06
EP3361523A1 (en) 2018-08-15
EP3598522A2 (en) 2020-01-22
WO2018146860A1 (ja) 2018-08-16
US9917285B1 (en) 2018-03-13
EP3598522A3 (en) 2020-04-15
BR112019016040A2 (pt) 2020-03-31
EP3598522B1 (en) 2023-10-11
JP2018129268A (ja) 2018-08-16
CN110249446B (zh) 2022-07-15
US20180233718A1 (en) 2018-08-16
EP3361523B1 (en) 2019-09-18
KR20190118570A (ko) 2019-10-18
MY196054A (en) 2023-03-10
MX2019009209A (es)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614B1 (ko) 배터리 및 접속 기기
KR102421622B1 (ko) 배터리 및 접속 기기
KR102417579B1 (ko) 배터리 및 접속 기기
JP7347702B2 (ja) 接続機器
JP6969594B2 (ja) バッテリー
JP6555305B2 (ja)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JP6583362B2 (ja) バッテリー
JP7263687B2 (ja) バッテリー及び接続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