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404B1 -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 Google Patents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404B1
KR102417404B1 KR1020160166777A KR20160166777A KR102417404B1 KR 102417404 B1 KR102417404 B1 KR 102417404B1 KR 1020160166777 A KR1020160166777 A KR 1020160166777A KR 20160166777 A KR20160166777 A KR 20160166777A KR 102417404 B1 KR102417404 B1 KR 10241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bracket
coupled
mounting assembly
torsion beam
beam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5643A (en
Inventor
홍장원
정재우
김학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04B1/en
Publication of KR2018006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60G21/052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2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for fixing suspension arm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 암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ssembly for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trailing arm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to a body frame. .

Description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coupled torsion beam axle)의 트레일링 암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ssembly for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trailing arm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to a body frame. .

일반적으로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는 단순한 부품으로 인하여 설계 성능 영역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생산 단가와 작은 질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주행 안정성을 갖추어 주로 경차 및 준 중형차의 후륜 현가장치로 적용되어져 왔다.In general, Coupled Torsion Beam Axle (CTBA) type suspensions have relatively high running stability compared to low production cost and small mass, despite the fact that the design performance area is not high due to simple parts. It has been applied as a rear wheel suspension of light and semi-medium vehicles.

이러한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 타입의 현가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장착된 부시(10)를 통해 차체 프레임(2)에 장착되는데, 그 차체 프레임(2)에는 트레일링 암(4)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 브라켓(6)이 구비된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 coupled torsion beam axle (CTBA) type suspension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2 through a bush 10 mounted on the tip as shown in FIG. 1 , and the body frame 2 is provided with a mount bracket (6) for mounting the trailing arm (4).

여기서 마운트 브라켓(6)은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체 프레임(2)에 용접 접합된다.Here, the mount bracket 6 is formed in a 'C' shape and is welded to the vehicle body frame 2 .

그리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6)의 양측면에는 차체 보강을 위한 보강판(8)이 각각 구비되는 바, 이 보강판(8)들은 차체 프레임에 용접 접합된다.In addition, reinforcing plates 8 for vehicle body reinforcement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 bracket 6,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plates 8 are welded to the vehicle body frame.

또한, 상기 부시(10)는 트레일링 암(4)의 선단에 고정되는 아웃터 파이프(14)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14)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너 파이프(12)와, 아웃터 파이프(14)와 인너 파이프(12) 사이에서 아웃터 파이프(14)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12)의 외주면에 가류 접착되는 인슐레이터(16)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ush 10 includes an outer pipe 14 fixed to the tip of the trailing arm 4 , an inner pipe 12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14 , an outer pipe 14 and an inner Between the pipes 12, the insulator 16 is vulcaniz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ipe 14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ipe 12.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부시(10)를 마운트 브라켓(6)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후, 체결 볼트(18)를 보강판(8)과 마운트 브라켓(6)을 관통하여 부시(1)의 인너 파이프(22)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 볼트(18)의 단부에 너트(2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트레일링 암(4)을 차체 프레임(2)에 장착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ior art, after arranging the bush 10 on the mount bracket 6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astening bolt 18 penetrates the reinforcing plate 8 and the mount bracket 6 to the inner pipe ( 22), the trailing arm 4 is mounted to the body frame 2 by coupling the nut 20 to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18.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10)의 유동을 막기 위하여 부시(10)와 마운트 브라켓(6)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 이하가 되도록 유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부시(10)가 유동하면서 마운트 브라켓(100)을 직접 타격하게 되기 때문에 차체로 큰 하중이 전달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때 직접 타격부 주변의 용접점 주위에서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ush 10, the interval between the bush 10 and the mount bracket 6 must be mainta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interval. 10) as it flows and hits the mount bracket 100 direct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loa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racks occur around the welding point around the direct striking part.

또한, 부시(10)를 마운팅하기 위해 별도의 너트(20)를 보강판(8)에 Co2 용접으로 보강판(8)에 결합하게 되는데, Co2 용접으로 인한 열변형에 의해 주변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unt the bush 10, a separate nut 20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8 by Co2 welding to the reinforcing plate 8, and cracks are generated in the periphery due to thermal deformation due to Co2 welding. There was a proble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892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1892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체 보강을 위한 부품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시켜 내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for reinforcing the vehicle body,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cost, and efficiently distributing and absorbing the durable load to improve the durability performance.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에 있어서,In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으로부터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원판 플레이트;a disc plate having a step portion formed thereon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원판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의 상단과 단차부가 상단부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용부;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k plate,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and the step portion protruding so as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수용부에 끼워지는 너트;Nut f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

부시의 유동에 의해 마운트 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상단부에 부착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pad attached to the upper end is coupled to absorb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bracket by the flow of the bush.

보강 플레이트는,reinforcing plate,

차체 프레임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ㄷ'형상의 마운트 브라켓과, 원통형상이며 양측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마운트 브라켓 내부에 삽입되는 부시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upled between a 'c'-shaped mount bracket that is joined to the body frame and a bush that is cylindrical and has bolt hole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both sides fa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패드는 상면이 하단부의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protrude so that the upper surface become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하단부는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에 맞닿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될 때 패드는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과 맞닿도록 상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mount bracket, the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수용부는, 내측에 너트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과 내측에 너트가 끼워지는 수용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ommoda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nut inside and an accommodating hole into which the nut is fitted.

부시의 볼트홀에는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passing through the mount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of the bush.

보강 플레이트는 부시의 양측 중 부시를 통과한 볼트의 단부가 위치하는 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side where the end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bush is located among both sides of the bush.

부시를 관통한 볼트의 단부는 너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bus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nut.

패드의 두께는 단차부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tep.

너트의 축방향 길이는 단차부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xial length of the n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보강을 위한 부품 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시켜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for reinforcing the vehicle body, thereby reducing weight and cost, and effectively distributing and absorbing the durable load to improve the durability performance.

도 1은 종래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도 2는 종래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구조에서 부시와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간격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의 보강 플레이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구조에서 부시와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간격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운트 브라켓 내측에서의 보강 플레이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구조에 부시가 결합된 개념도.
1 is a mounting assembly of a conventional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gap between the bush and the mount bracket in the mount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Figure 3 is a conceptual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gap between the bush and the mount bracket in the mount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inside the mount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in which the bush is coupled to the mount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in each drawing is sometimes illustr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트레일링 암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마운팅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assembly for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 trailing arm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to a body frame. .

도 3은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의 보강부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구조에서 부시와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간격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마운트 브라켓 내측에서의 보강부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구조에 부시가 결합된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inforcement part of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is It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gap between the bush and the mount bracket in the mount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einforcement part inside the mount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the bush is coupled to the mounting assembly structure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

양단부가 트레일링 암에 마운팅됨으로써 차량의 서스펜션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는, 차체 프레임(30)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ㄷ'형상의 마운트 브라켓(32)과, 원통형상이며 양측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내벽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부에 삽입되는 부시(54)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과 상기 부시(54) 사이에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suspension of a vehicle by mounting both ends on the trailing arm is a 'C'-shaped mount configured by being joined to the body frame 30 . A bracket 32, a bush 54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bolt holes formed on both sides so that both sides fa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is inserted into the mount bracket 32, and the mount bracket ( 32 ) and a reinforcing plate 34 coupled between the bush 54 .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부시(54)의 유동 시 상기 부시(54)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을 직접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차체로 전달되는 하중을 막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내벽면으로부터 상단부(38)와 하단부(4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원판 플레이트(36)와, 상기 원판 플레이트(36)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40)의 상단과 단차부(42)가 상기 상단부(38)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용부(44)와, 상기 수용부(44)에 끼워지는 너트(52)와, 부시(54)의 유동에 의해 마운트 브라켓(32)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상단부(38)에 부착되는 패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inforcing plate 34 is configured to prevent a load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bush 54 directly hitting the mount bracket 32 when the bush 54 flows, and the mount bracket 32 The disc plate 36 having a step portion formed thereon so that the upper end 38 and the lower end 40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by the flow of the receiving portion 44, the nut 52 f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 44, and the bush 54 protruding so that the height 42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end 38. and a pad (50) attached to the upper end (38) to absorb a load applied to (32).

상기 원판 플레이트(36)는 원형상의 플레이트로, 원판 플레이트(36)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단부(38)와 상기 하단부(40)로 나뉘게 되며, 원판 플레이트(36)의 중심선 부분에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32)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상단부(38)와 상기 하단부(40)가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갖도록 상기 상단부(38)와 상기 하단부(40)의 높이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기 위한 상기 단차부(42)가 형성된다.The disk plate 36 is a circular plate, and is divided into the upper end 38 and the lower end 40 based on a center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disk plate 36, and the center line portion of the disk plate 36 In order to form the height of the upper end 38 and the lower end 40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so that the upper end 38 and the lower end 40 have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from each other. The step portion 42 is formed.

상기 원판 플레이트(3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44)는 상기 단차부(42)의 중앙부와 상기 하단부(40)의 상단 중앙부 일부분이 상기 상단부(38)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 너트(52)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46)과 내측에 너트(52)가 끼워지는 수용홀(48)로 구성된다.The receiving portion 44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c plate 36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pped portion 42 and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end 40 are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38 . It is composed of an accommodating groove 46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nut 52 on the inside and a accommodating hole 48 into which the nut 52 is fitted.

상기 패드(50)는 상면이 상기 하단부(40)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상단부(38)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50)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42)의 높이와 같은 두께로 적용된다. The pad 5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38 by protruding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end 40 , and the thickness of the pad 50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tep 42 . appl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50)의 형상은 반원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보강 플레이트(34)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원판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ad 50 is shown as a semi-circular shap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plate 34, and the reinforcing plate 34 is Although shown in the shape of a disk,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and applied to other shape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장착된다.The reinforcing plate 3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and moun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부에 상기 부시(54)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부시(54)의 볼트홀과 같은 중심축을 갖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mount bracket 32 , when the bush 54 is inserted into the mount bracket 32 ,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having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bolt hole of the bush 54 .

상기 마운트 브라켓(32)과 상기 부시(54)는 볼트(6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한 볼트(60)가 상기 부시(54)의 볼트홀을 관통한 후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게 된다.The mount bracket 32 and the bush 54 are coupled by a bolt 60 , and the bolt 60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 bracket 32 is the bolt 60 of the bush 54 . After passing through the bolt hole,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unt bracket 32 is passed through.

이때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부시(54)의 양측 중 상기 부시(54)를 통과한 상기 볼트(60)의 단부가 위치하는 쪽의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벽면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34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on the side where the end of the bolt 60 passing through the bush 54 is located among both sides of the bush 54 .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에 결합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는, 상기 원판 플레이트(36)의 하단부(40)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내벽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단부(38)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상단부(38)에 부착된 상기 패드(50)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내벽면에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In the reinforcing plate 34 coupled to the mount bracket 32 , the lower end 40 of the circular plate 36 abuts agains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and the upper end 38 is the mount The bracket 32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ad 50 attached to the upper end portion 38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상기 하단부(40)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에 용접되어 접합될 수도 있지만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40 may be welded to and joined to the mount bracket 32, but may also be coupled by a method such as bolt fastening.

상기 수용홀(48)에 끼워지는 상기 너트(52)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단차부(42)의 높이와 같은 길이로 적용되어, 상기 보강 플레이트(34)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너트(52)의 일단은 상기 상단부(38)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너트(52)의 타단은 상기 수용홈(46)에 수용되어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벽면 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것처럼 보여진다.The axial length of the nut 52 fitted into the receiving hole 48 is appli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height of the step portion 42 ,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34 is coupled to the mount bracket 32 . At this time, one end of the nut 52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end 38 , and the other end of the nut 52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46 to move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It appears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상기 너트(52)는 상기 볼트(60)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갖는 것으로, 상기 마운트 브라켓(32) 내벽면 측으로 돌출된 상기 너트(52)의 타단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타측 내벽면에 용접되어 결합된다.The nut 52 has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bolt 60 , and the other end of the nut 52 protruding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is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welded to and joined to

즉, 상기 너트(52)의 타단은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타측 내벽면에 형성된 관통홀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시(54)의 볼트홀을 관통한 상기 볼트(60)의 단부가 상기 너트(52)에 볼트 결합 된 후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의 타측 내벽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게 된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nut 52 is coupl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ount bracket 32 , so that the end of the bolt 60 passing through the bolt hole of the bush 54 is After being bolted to the nut 52 , it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32 .

상기 부시(54)의 유동으로 인하여 상기 부시(54)가 상기 원판 플레이트(36)를 타격하였을 때 상기 상단부(38)의 형상 변형을 막기 위하여 상기 상단부(38)의 외측 둘레부분을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을 향해 일정 각도 절곡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시(54)의 타격 시에도 상기 상단부(38)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The mount bracket ( 32) by bending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shape of the upper end 38 even when the bush 54 is hit.

또한, 상기 단차부(42)는 직각형태의 단면이 아닌 곡선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시(54)의 타격 시에도 상기 단차부(42)의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42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have a curved cross-section rather than a right-angled cross-section, so tha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stepped portion 42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bush 54 is struck.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운팅 어셈블리는, 부시(54)의 유동을 막기 위하여 상기 보강 플레이트(34)와 상기 부시(54)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을 유지하면서도, 부시(54)의 유동 시 상기 부시(54)가 마운트 브라켓(32)이 아닌 보강 플레이트(34)를 직접 타격하게 되어, 상기 부시(54)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34)를 타격하였을 때 상기 부시(54)로부터 가해지는 내구 하중을 상기 패드(50)에서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시키게 되어 상기 마운트 브라켓(32)에는 부시(54)의 타격으로 인한 충격 및 하중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mount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intains a gap of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34 and the bush 54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ush 54, and when the bush 54 flows, The bush 54 directly hits the reinforcing plate 34, not the mount bracket 32, so that when the bush 54 hits the reinforcing plate 34, the durability load applied from the bush 54 is reduced. Since it is efficiently dispersed and absorbed by the pad 50 , the impact and load due to the blow of the bush 54 are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unt bracket 32 , so that durability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종래에는 보강판(8)과 부시(10)의 마운팅을 위한 너트(20) 각각을 별도로 적용하여 마운트 브라켓(6)에 결합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52)를 상기 보강 플레이트(34)와 일체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 수가 줄여 공정이 단순해지며 따라서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each of the nut 20 for mounting the reinforcing plate 8 and the bush 10 was separately applied and coupled to the mount bracket 6,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52 is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late 34 Since it is formed in one piece with the body,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which simplifies the process, and thus has the effect of reducing weight and cost.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mounting assembly of the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be well aware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2 : 종래의 차체 프레임
4 : 종래의 트레일링 암
6 : 종래의 마운트 브라켓
8 : 종래의 보강판
10 : 종래의 부시
12 : 종래의 인너 파이프
14 : 종래의 아웃터 파이프
16 : 종래의 인슐레이터
18 : 종래의 볼트
20 : 종래의 너트
30 : 차체 프레임
32 : 마운트 브라켓
34 : 보강 플레이트
36 : 원판 플레이트
38 : 상단부
40 : 하단부
42 : 단차부
44 : 수용부
46 : 수용홈
48 : 수용홀
50 : 패드
52 : 너트
54 : 부시
56 : 인너 파이프
58 : 아우터 파이프
60 : 볼트
2: Conventional body frame
4: Conventional trailing arm
6: Conventional mount bracket
8: conventional reinforcing plate
10: conventional bush
12: conventional inner pipe
14: conventional outer pipe
16: conventional insulator
18: conventional bolt
20: conventional nut
30: body frame
32: mount bracket
34: reinforcement plate
36: original plate
38: upper part
40: lower part
42: step part
44: receptacle
46: receiving home
48: reception hall
50: pad
52: nut
54 : Bush
56: inner pipe
58: outer pipe
60: bolt

Claims (11)

양단부가 트레일링 암에 마운팅됨으로써 차량의 서스펜션에 설치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으로부터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원판 플레이트;
상기 원판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의 상단과 상기 단차부가 상기 상단부와 높이가 같아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워지는 너트;
부시의 유동에 의해 마운트 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상단부에 부착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는 내측에 너트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과 내측에 너트가 끼워지는 수용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In the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installed on a suspension of a vehicle by mounting both ends on a trailing arm,
a disc plate in which a step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k plate,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and the step portion protruding so as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a nut fitted to the accommodating part;
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pad attached to the upper end to absorb the load applied to the mount bracket by the flow of the bush is combined,
The accommodating part is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nut on the inside, and an accommodating hole into which the nut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차체 프레임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ㄷ' 형상의 마운트 브라켓과,
원통형상이며, 양측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마운트 브라켓 내부에 삽입되는 부시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late is
A 'C'-shaped mount bracket that is joined to the body frame and
I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bolt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to be coupled between the bushes inserted into the mount bracket so that both sides fa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A mounting assembly for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면이 상기 하단부의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d is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attached to protrude so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에 맞닿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end portion is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될 때 상기 패드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내벽면과 맞닿도록 상기 상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mount bracket, the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 bracke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볼트홀에는 상기 마운트 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passing through the mount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of the bus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부시의 양측 중 상기 부시를 통과한 상기 볼트의 단부가 위치하는 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inforcing plate is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a side of both sides of the bush where the end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bush is loca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를 관통한 상기 볼트의 단부는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An end of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bush is coupled to the n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두께는 상기 단차부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ad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단차부의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 시스템의 마운팅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assembly of a coupled torsion beam ax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length of the nut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tep.
KR1020160166777A 2016-12-08 2016-12-08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KR102417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777A KR102417404B1 (en) 2016-12-08 2016-12-08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777A KR102417404B1 (en) 2016-12-08 2016-12-08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43A KR20180065643A (en) 2018-06-18
KR102417404B1 true KR102417404B1 (en) 2022-07-06

Family

ID=6276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777A KR102417404B1 (en) 2016-12-08 2016-12-08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40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206A (en) * 2002-05-02 2003-11-14 Yamashita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6046588A (en) 2004-08-06 2006-02-16 Tokai Rubber Ind Ltd Stopper member for vibration-proofing bush
JP2007132386A (en) 2005-11-08 2007-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551A (en) * 2005-07-29 2007-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trailing arm bush of rear suspension
KR101189287B1 (en) 2006-10-27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evice to move mount-point of CTBA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2206A (en) * 2002-05-02 2003-11-14 Yamashita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6046588A (en) 2004-08-06 2006-02-16 Tokai Rubber Ind Ltd Stopper member for vibration-proofing bush
JP2007132386A (en) 2005-11-08 2007-05-31 Toyo Tire & Rubber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643A (en)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54719A1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53320B1 (en) Spindle bracket of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JP2010228728A (en) Trailing arm type suspension
KR101479594B1 (en) Insulator of suspension
US9102206B1 (en) Axle suspension system
JP4367835B2 (en) Suspension spring support structure for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2417404B1 (en) Mounting assembly of coupled torsion beam axle
KR101302328B1 (en) Lower control arm assembly for front suspension system
JP2018514463A (en) Hybrid lower arm
KR102383225B1 (en) Bush unit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KR20120015196A (en) Bush for suspension
KR102227851B1 (en) Suspention Apparatus Of Vehicle
US8991839B1 (en) Axle suspension system
KR101118960B1 (en) Automotive bumper beam unit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102264730B1 (en) Shock absorber mount and method thereof
KR100643963B1 (en) mounting structure of stabilizer bar for vehicle
KR101815503B1 (en) A wheel carrier for a vechicle
KR101314344B1 (en) Suspension of vehicle
KR101916050B1 (en) Shock absorber reinforcement unit for vehicle
KR101154690B1 (en) Trailing arm bush of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system
JP6348356B2 (en) Wheelchair caster support fixing member
CN212685222U (en) All-terrain vehicle with engine upper suspension and all-terrain vehicle with engine upper suspension
KR101786538B1 (en) Suspension device for automobile
JP6474581B2 (en) Motorcycle with lateral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