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83B1 -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 Google Patents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83B1
KR102415983B1 KR1020200077197A KR20200077197A KR102415983B1 KR 102415983 B1 KR102415983 B1 KR 102415983B1 KR 1020200077197 A KR1020200077197 A KR 1020200077197A KR 20200077197 A KR20200077197 A KR 20200077197A KR 102415983 B1 KR102415983 B1 KR 10241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ounting
electrode member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016A (ko
Inventor
권승열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권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열 filed Critical 권승열
Priority to KR102020007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025/0095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needles protruding from the distal tip and which are not used for injection nor for electro-stimulation, e.g. for fix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각종 시술, 수술, 약물 주입, 고주파 치료 등의 치료 행위에 사용되는 각각의 카테터를 하나의 카테터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튜브의 밴딩 위치 변경 및 튜브의 밴딩 동작에 대한 응답섭이 뛰어나 보다 정확한 치료 및 치료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복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MULTI CATHETER}
본 발명은 복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각종 시술, 수술, 약물 주입, 고주파 치료 등의 치료 행위에 사용되는 각각의 카테터를 하나의 카테터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튜브의 밴딩 위치 변경 및 튜브의 밴딩 동작에 대한 응답섭이 뛰어나 보다 정확한 치료 및 치료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복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란 체내에 삽입 가능한 관 모양의 의료 기구를 통칭하는 것으로, 레이저 화이버 또는 고주파 전극 내시경을 이용한 각종 검사나 시술,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 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식염수 또는 조영제 등의 약물과 같은 액상물의 체내 주입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이러한 카테터는 등록특허 제10-1632801호, 등록특허 제10-1678069호, 등록특허 제10-1801544호, 공개특허 제10-2016-0071254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용도나 치료 부위에 따라 다양한 재질, 모양, 구조로 이루어져 용도별로 그 종류가 세분화되어 있다.
한편 의료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를 동시에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필요한 카테터를 매번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치료의 속도 및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바, 다목적 카테터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카테터는 내시경 또는 고주파 치료 등의 주된 단일 용도와 함께 단순 약물 주입만을 보조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그 쓰임에 제한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각의 카테터를 하나의 카테터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카테터"(등록특허 제10-1912745호)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를 개선하여, 복합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튜브에 대한 절곡 위치 변경 및 튜브의 밴딩 동작에 대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튜브에 내장된 전극 와이어들과, 식염수 주입로 및 온도 센서의 센싱관이 본체 내부에 간소화된 구조로 구비되어 가이드의 길이 조절 및 튜브의 밴딩 동작 시 내부 부품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특히 가이드의 길이 조절을 통한 튜브의 절곡 위치 변경 및 튜브의 밴딩 동작에 대한 응답성을 향상시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복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는,
전단 제1 장착부와 후단 제2 장착부를 가지며, 각 장착부에 결합되면서 일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제1 내부몸체와 제2 내부몸체, 각 내부몸체에 내삽되어 전후진 가능하며 각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구동핀을 구비한 제1 이동블록과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한 본체;
각 내부몸체에 외삽되어 각 장착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주면에 각 이동블록의 구동핀이 끼워지는 나사홈을 구비한 제1 레버와 제2 레버;
전단 일부가 상기 본체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내부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가이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탄성 복원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써 전단 끝단부에 결합된 전극부재가 상기 가이드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 상기 제1 삽입홀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에 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 와이어, 상기 제2 삽입홀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을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전극 와이어를 포함하는 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레버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가 전후진하면서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시 상기 제1 전극 와이어가 전후진하면서 상기 튜브가 상기 가이드의 전단 끝단부를 축으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에서,
상기 본체에는 액상물 주입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는 상기 주입관과 연결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액상물 주입로와, 상기 전극부재의 일측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주입로와 연결된 액상물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에서,
상기 본체에는 온도 센서와 연결된 센싱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이 내장되는 장착홀과, 상기 전극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의 전단 끝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관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부를 가져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 및 센싱관이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튜브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입로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의 끼워지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는,
튜브의 전극부재에 연결된 제1, 제2 전극 와이어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가이드의 길이 조절 및 튜브의 밴딩 동작이 이루어져 조작에 대한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식염수 등의 액상물 주입, 튜브를 이용한 온도 감지에 필요한 구조가 제1, 제2 전극 와이어와 함께 튜브 내로 일체화시켜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였으며,
튜브의 절곡 위치 변경 및 튜브의 밴딩 동작 시 내부 부품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고장 발생 염려를 줄이면서,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보다 간소화된 동작 구조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쿼드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카테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용 의료기에 연결되는 본체(M), 튜브(40)의 절곡 위치 변경 및 튜브(40)의 밴딩 동작을 위한 제1 레버(20)와 제2 레버(30), 튜브(40)의 밴딩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G), 전극 치료를 비롯해 식염수 등의 액상물 주입, 체내 온도 감지 등 카테터를 이용한 각종 치료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튜브(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M)는 전단 제1 장착부(11)와 후단 제2 장착부(12)를 가지며, 각 장착부(11)(12)에 결합되면서 일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4)(17)을 갖는 제1 내부몸체(10A)와 제2 내부몸체(10B), 각 내부몸체(10A)(10B)에 내삽되어 전후진 가능하며 각 가이드홈(14)(17)에 끼워지는 구동핀(15a)(18a)을 구비한 제1 이동블록(15)과 제2 이동블록(1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M)는 중공부의 전, 후단에 상기 제1, 제2 장착부(11)(12)가 형성된 파지용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전, 후단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제1, 제2 내부몸체(10A)(10B)로 구성되며,
각 내부몸체(10A)(10B)에 외삽되는 제1, 제2 레버(20)(30)가, 상기 바디(10)의 전, 후단에 끼워지면서 걸림 구조로 결합되어 각 레버(20)(30)가 각 내부몸체(10A)(10B)를 축으로 둘레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장착부(11)는 바디(10)의 중공부를 전후로 구획화시키는 내벽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장착부(12)는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11) 중앙에는 후술하는 장착관(19)이 끼워져 결합되는 장착공(11a)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각 내부몸체(10A)(10B)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부가 구비되어 있어, 각 이동블록(15)(18)이 각 내부몸체(10A)(10B)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이때 각 내부몸체(10A)(10B)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이드홈(14)(17)에 각 이동블록(15)(18)의 구동핀(15a)(18a)이 끼워져 이동블록(15)(18)의 전후진이 안내된다.
상기 제1 이동블록(15)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홀(15b)을 구비해 상기 가이드(G)의 후단이 상기 고정홀(15b)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제1 이동블록(15)이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G)가 전후진하면서 노출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제2 이동블록(18)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통과홀(18b)과 제2 통과홀(18c)이 구비되며, 중앙의 제1 통과홀(18b)에는 상기 튜브(40)의 제2 전극 와이어(46) 및 센싱관(46)이 관통하고, 일측의 제2 통과홀(18c)에는 후술하는 주입관(H)이 관통하여, 상기 제2 이동블록(18)이 전후진할 때 전후진하지 않는 제2 전극 와이어(46)와 센싱관(46) 및 주입관(H)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레버(20)와 제2 레버(30)는 각 내부몸체(10A)(10B)에 외삽되어 각 장착부(11)(12)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주면에 각 이동블록(15)(18)의 구동핀(15a)(18a)이 끼워지는 나사홈(13)(16)을 구비한다.
이에 각 이동블록(15)(18)의 구동핀(15a)(18a)이 각 내부몸체(10A)(10B)의 가이드홈(14)(17)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제2 레버(20)(30)의 회전력은 각 이동블록(15)(18)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되어 가이드(G) 및 제1 전극 와이어(45)가 이동블록(15)(18)에 의해 전후진한다.
상기 가이드(G)는 전단 일부가 상기 본체(M)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내부몸체(10A)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블록(15)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40)의 노출 길이 및 절곡 거리(위치)를 조정한다.
이러한 가이드(G)는 후술하는 튜브(40)와 달리 경질의 금속 내지 합성수지 소재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튜브(40)가 상기 가이드(G)를 관통하게 결합되어 튜브(40)의 전극부재(50)가 가이드(G)의 전단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레버(20)의 회전 시 상기 제1 이동블록(15)에 의해 상기 가이드(G)가 전후진하면서 노출 길이가 조정되며, 이렇게 길이가 조절된 가이드(G)의 전단 끝단부를 축으로 상기 튜브(40)가 밴딩 동작한다.
상기 튜브(40)는 체내로 삽입되어 전극부재(50)를 이용한 치료, 식염수 등의 액상물 주입(분사), 치료 부위에 대한 온도 감지에 사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탄성 복원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써 전단 끝단부에 결합된 전극부재(50)가 상기 가이드(G)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M)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삽입홀(41)과 제2 삽입홀(42), 상기 제1 삽입홀(41)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5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에 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 와이어(45), 상기 제2 삽입홀(42)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50)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을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전극 와이어(4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튜브(40)는 상기 제1, 제2 삽입홀(41)(42)을 비롯해 액상로 주입로(44)와 장착홀(43)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면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튜브(40)의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삽입홀(41) - 제2 삽입홀(42) - 장착홀(43) - 주입로(44)가 시계방향으로 순차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는 각각 전도성 금속 와이어로써, 상기 제2 내부몸체(10B)의 후단에 연결된 커넥터부를 통해 카테터의 의료기와 연결되며, 각 삽입홀(41)(42)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전극부재(50)와 납땜 등의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를 이용해 +, - 전극을 상기 전극부재(50)로 흘려서 도통시킬 수 있으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를 이용해 전극부재(50)에 +, - 양극을 모두 걸어주면 바이폴라(bipolar) 방식의 고주파 시술을 실시할 수 있고,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 중 하나만을 이용해 전극부재(50)에 +, - 중 어느 한 극을 걸어주고, 체외에 부착한 전극 패드 등에 전극부재(50)와 다른 극을 걸어줘, 모노폴라(monopolar) 방식의 고주파 시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전극 와이어(45)는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의 제1, 제2 통과홀(18b)(18c)을 모두 지나게 결속되어(묶여서) 본체(M)의 커넥터부로 의료기와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제2 전극 와이어(46)는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에 결속되지 않고 제1 통과홀(18b)을 관통하여 본체(M)의 커넥터부로 의료기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레버(30)에 의해 상기 제2 이동블록(18)이 전후진할 때 상기 제1 전극 와이어(45)가 전후진하면서 상기 튜브(40)가 상기 가이드(G)의 전단 끝단부를 축으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제2 이동블록(18)이 후진할 때 상기 제2 전극 와이어(46)는 길이 변화 없이 그대로인 반면에, 제1 전극 와이어(45)만이 당겨지면서 튜브(40), 보다 엄밀하게는 전극부재(50)의 일측단을 후방측으로 가압하면서 잡아당겨, 튜브(40)의 노출부가 일측방향으로 라우드진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며, 이때 튜브(40)가 절곡되는 시작점은 가이드(G)의 전단 끝단부가 된다.
또한 제2 이동블록(18)이 전진하면, 당겨진 제1 전극 와이어(45)가 풀려서 튜브(40)를 잡아당기던 압력이 해소되며, 이때 튜브(40)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절곡된 튜브(40)가 원래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G)의 전후진을 통한 튜브(40)의 노출 길이가 조정되면서 튜브(40)가 밴딩되는 거리(위치)가 달라짐과 동시에, 제2 이동블록(18)의 후진 거리에 따라 튜브(40)가 절곡되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M)에는 액상물 주입관(H)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40)는 상기 주입관(H)과 연결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액상물 주입로(44)와, 상기 전극부재(50)의 일측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주입로(44)와 연결된 액상물 배출공(53a)을 포함한다.
따라서 시술 중 식염수 등의 액상물 주입이 필요할 경우, 상기 주입로(44)로 액상물을 펌핑하여 주입하면, 상기 배출공(53a)을 통해 전극부재(50)가 위치한 치료 부위에 액상물을 정확하게 분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M)에는 온도 센서와 연결된 센싱관(46)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4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46)이 내장되는 장착홀(43)과, 상기 전극부재(5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46)의 전단 끝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노출공(11a)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노출공(11a)에 상시 센싱관(46)의 끝단부가 그대로 노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도성 접착제 등으로 밀봉되어 센싱관(46)이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 중 치료 부위에 대한 온도 감지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전극부재(50)를 치료 부위에 접촉시켜 해당 부위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레버(20)(30)로 상기 튜브(40)를 시술자가 원하는 정도로 절곡하여 시술이 가능하므로, 전극부재(50)를 이용한 치료와 함께 액상물 분사 및 온도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튜브(4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제1, 제2 금소 와이어(45)(46)와 액상물 주입관(H) 및 센싱관(46)이 제2 이동블록(18)의 전후진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는 장착관(19)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M)는 상기 제1 장착부(11)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40)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관(19)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관(19)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부를 가져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 및 센싱관(46)이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튜브(4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입로(44)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H)의 끼워지는 분기부(19a)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관(19)은 파이프 형태로써 일측면으로 돌출 연결된 분기부(19a)가 구비되어 있어, 분기부(19a)가 위치한 튜브(40)의 일측면이 관통하여 상기 분기부(19a)가 주입로(4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 및 센싱관(46)은 일직선 형태로 상기 장착관(19)을 관통해 상기 제2 이동블록(18)의 제1 통과홀(18b)로 통과하게 연결되며, 상기 주입관(H)은 연질의 호스로써 상기 제2 이동블록(18)의 제2 통과홀(18c)을 통과하여 상기 분기부(19a)에 끼워져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레버(30)로 제2 이동블록(18)을 전후진하더라도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 및 센싱관(46)과 주입관(H)이 각 통과홀(18b)(18c)에 위치하게 되어 제2 이동블록(18)의 전후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전극부재(50)는 상기 장착공(11a)을 구비한 헤드부(51)와, 상기 제1, 제2 삽입홀(41)과 주입로(44) 및 장착홀(43)과 연통되는 연결공(52a)(52b)(52c)들을 구비한 바디부(52)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51)와 바디부(52)는 상기 장착홀(43)과 노출공(51a) 사이를 연결하고 제3 연결공(52c)이 구비된 기둥부(52A)로 연결되어, 헤드부(51)와 바디부(52) 사이에 제1, 제2 연결공(52a)(52b)이 개구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전극 와이어(45)는 상기 제1 연결공(52a)로 끼워져 와이어의 전단 끝단부가 상기 제1 연결공(52a)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며, 이때 제1 전극 와이어(45)의 전단 끝단부는 상기 바디부(52)의 전면에서 절곡되어 납땜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 와이어(46)는 상기 제2 삽입홀(46)의 전단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바디부(52)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납땜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센싱관(46)이 통과하는 제3 연결공(52c)은 기둥부(52A)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센싱관(46)이 헤드부(51)의 노출공(51a)에 끼워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재(50)를 상기 튜브(40)의 전단 끝단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상기 배출공(53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극부재(50)는 끼움 파이프(53)와 고정 파이프(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끼움 파이프(53)와 고정 파이프(54)는 상기 전극부재(50)를 튜브(40)의 끝단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끼움 파이프(53)는 중공부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상기 배출공(53a)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끼움 파이프(53)의 중공부로 상기 바디부(52)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출공(53a)은 상기 바디부(52)의 전후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배출공(53a)의 일부가 헤드부(51)와 바디부(52) 사이의 빈 공간으로 연통되어 주입로(44)로 주입된 액상물이 상기 배출공(53a)으로 분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파이프(54)는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완전하게 절개된 절개부(54a)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54a)의 양측부가 근접하게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튜브(40)와 끼움 파이프(53)의 외주면에 끼워져 끼움 파이프(53)에 결합된 전극부재(50)를 상기 튜브(40)의 전단 끝단부에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바디(10)와 제1, 제2 내부몸체(10A)(10B)는 서로 접하는 접면 사이에 오링으로 틈새가 기밀되어 결합력을 높이면서 액상물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데, 레버(20)(30)들의 작동 등으로 인해 오링의 파손 내지 기밀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반적인 원형 단면의 오링을 대신해 쿼드링(R)으로 기밀성을 높이면서 쿼드링(R)의 장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표적으로 도 3, 도 4를 참고하여 바디(10)와 제2 내부몸체(10B)를 예로 들면, 상기 바디(10) 또는 제2 내부몸체(10B)의 전면에는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링 장착홈(C)이 구비되고,
상기 링 장착홈(C)에 끼워지며, 사각 단면의 모서리부가 호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립부(R1)를 갖는 쿼드링(R)을 포함하되,
상기 쿼드링(R)은 립부(R1)들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공(R2)과, 상기 끼움공(R2)의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삽입홈(R3)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공(R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원형의 탄성링부(E1), 상기 탄성링부(E1)의 양단에서 'X'자 형으로 교차되어 상기 삽입홈(R3)에 끼워지게 연결된 연결부(E2), 상기 연결부(E2)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립부(R1)보다 돌출되게 연결된 누름부(E4)로 이루어진 탄성 변형부재(E)를 포함하여,
상기 쿼드링(R)을 상기 링 장착홈(C)에 끼운 후, 상기 바디(10)와 제2 내부몸체(10B)를 결합하면, 상기 링 장착홈(C)을 덮는 접면이 상기 누름부(E4)를 누르면서 상기 탄성링부(E1)가 벌어져, 각 립부(R1)가 링 장착홈(C)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쿼드링(R)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가요성 소재로써, 일측 립부(R1)들 사이 오목부의 외면이 상기 삽입홈(R3)으로 절개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R2)을 중심으로 립부(R1)들이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쿼드링(R)은 상기 끼움공(R2)을 따라 상기 삽입홈(R3)이 소정 간격 이격하여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이때 쿼드링(R)의 내경이 링 장착홈(C)의 외경보다 크면서, 쿼드링(R)의 외경이 링 장착홈(C)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쿼드링(R)의 폭 너비가 링 장착홈(C)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 변형부재(E)는 상기 쿼드링(R)과 대응하는 원형 링 형상의 탄성링부(E1)가 파이프 형태로 상기 끼움공(R2)에 끼워져 장착되며, 이때 탄성링부(E1)를 따라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E2)와 누름부(E4)는 끼움공(R2)의 내주면과 립부(R1)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E3)로 연결되어 있어, 탄성 변형부재(E)를 쿼드링(R)의 끼움공(R2)에 장착하면 삽입홈(R3)으로 노출되는 누름부(E4)가 립부(R1)의 외면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쿼드링(R)과 탄성 변형부재(E)의 조립체를 바디(10) 또는 제2 내부몸체(10B)에 구비된 링 장착홈(C)에 끼우고 바디(10)와 제2 내부몸체(10B)를 서로 접하게 결합하면, 링 장착홈(C)을 덮는 접면(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바디(10)에 링 장착홈이 구비될 경우 제2 내부몸체(10B)의 전면)이 일측 립부(R1)들보다 돌출된 누름부(E4)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누름부(E4)가 눌리면, 'X'자형으로 교차된 연결부(E2)가 탄성링부(E1)를 벌리게 되고, 탄성링부(E1)가 벌어져 직경이 확장되면, 단면을 기준으로 쿼드링(R)의 립부(E1)들이 벌어지면서 링 장착홈(C)의 모서리들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증대된다.
이때 일반적인 원형 단면의 오링에 비해 쿼드링(R)은 립부(R1)들로 인해 링 장착홈(C)에 끼움 장착하는 것이 어려운데, 본 발명의 쿼드링(R)은 링 장착홈(C)의 폭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쿼드링(R)을 쉽게 끼워서 장착할 수 있고,
쿼드링(R)이 장착된 상태에서 바디(10)과 제2 내부몸체(10B)가 서로 조립되면, 탄성 변형부재(E)로 쿼드링(R)의 폭 너비가 넓어지면서 립부(R1)들이 링 장착홈(C)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쿼드링(R)을 이용한 결합력 및 기밀성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복합 카테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본체 G : 가이드
10 : 바디 10A, 10B : 내부몸체
20, 30 : 레버 40 : 튜브
50 : 전극부재

Claims (4)

  1. 전단 제1 장착부(11)와 후단 제2 장착부(12)를 가지며, 각 장착부(11)(12)에 결합되면서 일측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4)(17)을 갖는 제1 내부몸체(10A)와 제2 내부몸체(10B), 각 내부몸체(10A)(10B)에 내삽되어 전후진 가능하며 각 가이드홈(14)(17)에 끼워지는 구동핀(15a)(18a)을 구비한 제1 이동블록(15)과 제2 이동블록(18)을 포함한 본체(M);
    각 내부몸체(10A)(10B)에 외삽되어 각 장착부(11)(12)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주면에 각 이동블록(15)(18)의 구동핀(15a)(18a)이 끼워지는 나사홈(13)(16)을 구비한 제1 레버(20)와 제2 레버(30);
    전단 일부가 상기 본체(M)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내부몸체(10A)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블록(15)에 결합되는 가이드(G);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탄성 복원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써 전단 끝단부에 결합된 전극부재(50)가 상기 가이드(G)의 전단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M)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1 삽입홀(41)과 제2 삽입홀(42), 상기 제1 삽입홀(41)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50)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에 결속되게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극 와이어(45), 상기 제2 삽입홀(42)에 내장되며 전단이 상기 전극부재(50)의 타측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이동블록(18)을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 전극 와이어(46)를 포함하는 튜브(4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레버(20)의 회전 시 상기 가이드(G)가 전후진하면서 노출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제2 레버(30)의 회전 시 상기 제1 전극 와이어(45)가 전후진하면서 상기 튜브(40)가 상기 가이드(G)의 전단 끝단부를 축으로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M)에는 액상물 주입관(H)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40)는 상기 주입관(H)과 연결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액상물 주입로(44)와, 상기 전극부재(50)의 일측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주입로(44)와 연결된 액상물 배출공(53a)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50)는 헤드부(51)와 바디부(52)와 이들을 연결하는 기둥부(52A)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재(50)를 상기 튜브(40)의 전단 끝단부에 고정시키는 끼움 파이프(53)와 고정 파이프(54)를 더 포함하되,
    상기 끼움 파이프(53)는 중공부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상기 배출공(53a)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끼움 파이프(53)의 중공부로 상기 바디부(52)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기 배출공(53a)은 상기 바디부(52)의 전후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배출공(53a)의 일부가 헤드부(51)와 바디부(52) 사이의 빈 공간으로 연통되어 주입로(44)로 주입된 액상물이 상기 배출공(53a)으로 분사되게 하고,
    상기 고정 파이프(54)는 일측면이 길이방향으로 완전하게 절개된 절개부(54a)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54a)의 양측부가 근접하게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여, 상기 튜브(40)와 끼움 파이프(53)의 외주면에 끼워져 끼움 파이프(53)에 결합된 전극부재(50)를 상기 튜브(40)의 전단 끝단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M)에는 온도 센서와 연결된 센싱관(45)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4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45)이 내장되는 장착홀(43)과, 상기 전극부재(5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센싱관(45)의 전단 끝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공(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카테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M)는 상기 제1 장착부(11)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40)의 후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관(19)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관(19)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부를 가져 상기 제1, 제2 전극 와이어(45)(46) 및 센싱관(45)이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튜브(4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입로(44)에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H)의 끼워지는 분기부(1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카테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50)는 상기 헤드부(51)에 상기 장착공(11a)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52)에 상기 제1, 제2 삽입홀(41)(42)과 주입로(44) 및 장착홀(43)과 연통되는 연결공(52a)(52b)(52c)들을 구비하되, 상기 기둥부(52A)에 제3 연결공(52c)이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51)와 바디부(52) 사이에 제1, 제2 연결공(52a)(52b)이 개구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카테터.


KR1020200077197A 2020-06-24 2020-06-24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KR10241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97A KR102415983B1 (ko) 2020-06-24 2020-06-24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97A KR102415983B1 (ko) 2020-06-24 2020-06-24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16A KR20220000016A (ko) 2022-01-03
KR102415983B1 true KR102415983B1 (ko) 2022-07-04

Family

ID=7934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197A KR102415983B1 (ko) 2020-06-24 2020-06-24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7243A (ja) 2006-05-16 2009-10-29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温度の制御が改善されたアブレーション電極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KR101374320B1 (ko) 2013-10-15 2014-03-17 홍문기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KR101912745B1 (ko) * 2018-07-19 2018-10-30 권승열 복합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20B1 (ko) * 2008-04-15 2010-12-13 (주) 태웅메디칼 바이폴라 전극 방식의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카테터 시스템
JP5881229B2 (ja) * 2011-12-09 2016-03-09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7243A (ja) 2006-05-16 2009-10-29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エイトリアル・フィブリレーション・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温度の制御が改善されたアブレーション電極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KR101374320B1 (ko) 2013-10-15 2014-03-17 홍문기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KR101912745B1 (ko) * 2018-07-19 2018-10-30 권승열 복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16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5839B1 (en) Bidirectional electrode cathether
US5893844A (en) Indwelling needle set
JP4988602B2 (ja) 往復処置シリンジ
US6551271B2 (en) Asymmetrical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EP389587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theter
JP5594520B2 (ja) 留置針装置
KR101912745B1 (ko) 복합 카테터
CA2598951A1 (en)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123911A1 (en) Catheter
US20160199128A1 (en) Magnetic guided ablation catheter
JPH07163666A (ja) コネクタ
US20090157012A1 (en) Syringe with extendable and retractable needle
KR102415983B1 (ko) 동작 응답성을 향상시킨 복합 카테터
US9901712B2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829490B1 (en) Puncture needle of endoscope
TW202042851A (zh) 內視鏡用注射器具
CN109077796B (zh) 具有复合插入支撑构件的导管
JP2004195016A (ja) 継ぎ手装置
KR20070048719A (ko)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JP2008000450A (ja) カテーテル用コネクタ
JP4920279B2 (ja) 内視鏡
KR102372360B1 (ko) 액상물의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복합 카테터
JP2004105574A (ja) 継ぎ手装置
JP3168428U (ja) バイポーラ型電気処置器具
JP4409263B2 (ja) 内視鏡用注射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