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190B1 -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190B1
KR102415190B1 KR1020200169799A KR20200169799A KR102415190B1 KR 102415190 B1 KR102415190 B1 KR 102415190B1 KR 1020200169799 A KR1020200169799 A KR 1020200169799A KR 20200169799 A KR20200169799 A KR 20200169799A KR 102415190 B1 KR102415190 B1 KR 10241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
end block
coup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568A (ko
Inventor
한상미
원형재
Original Assignee
한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미 filed Critical 한상미
Priority to KR102020016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1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단열특성 및 방수특성을 갖추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프레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캐빈을 조립할 수 있는 캐빈용 조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FRAME FOR ASSEMBLING THE CABIN}
본 발명은 낚시 좌대, 계곡(또는 해변) 등에 설치된 방가로, 논밭이나 과수원에 설치되는 농막(또는 원두막)과 같이 소수의 인원이 임시로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캐빈(cabin)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단열특성 및 방수특성을 갖추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프레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캐빈을 조립할 수 있는 캐빈용 조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80039의 조립식 텐트가 있다.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20-0480039는 방음성을 갖추기 위해 가벼우면서도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 소재를 접이식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언제라도 집 모양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방음성능을 가질 수 있고, 부력을 갖는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수해로부터 거주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조립식 텐트를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텐트의 각 면을 힌지로 절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텐트의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으나 각 면의 형태가 정형화 되어 있어 있기 때문에 텐트의 형태는 물론 크기를 변경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각 면을 힌지를 통해 절첩하면 휴대할 수도 있지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하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공개실용신안 20-2020-0000771이 있는데, 이는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상부 영역을 잡아주고 복수의 하부 모서리 연결부가 텐트의 하부 영역을 잡아줌과 아울러 커텐 부재가 복수의 상부 모서리 연결부와 복수의 커텐 지지 프레임부에 탈/부착할 수 있는 실내용 조립식 텐트를 제안한 것이다.
전자의 종래 기술은 텐트를 구성하는 각 면이 판재로 구성되어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단열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무거운 단점이 있고, 후자의 종래의 기술은 커튼 부재(비닐지 또는 패브릭)로 구성되어 경량인 점에 장점이 있으나, 강풍에 취약하고 단열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양 종래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텐트를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풍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열특성과 방수특성 및 차양특성을 갖추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프레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캐빈을 조립할 수 있는 캐빈용 조립 프레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는,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롯을 갖추고, 그 타 측면에는 벽 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결합부를 갖춘 프레임과;
전술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핀을 갖추고, 피벗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이 제한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하는 엔드 블럭과;
이웃한 양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마련된 가요성 경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중첩되어 고정되는 벽부재로 구성된 캐빈 조립용 프레임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엔드 블럭은 다른 엔드 블럭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빈 조립시 엔드 블럭의 절첩각도와 엔드 블럭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캐빈을 조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강풍에 견디는 내구성과 벽부재에 의해 방풍특성, 차양특성, 단열특성과 경첩부에 의해 방수특성을 갖는 캐빈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된 캐빈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캐빈의 일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을 조합하여 사각 형태의 골격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3b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도에서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빈 골격의 면을 구성하는 벽부재의 표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엔드 블럭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엔드 블럭의 결합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추고 있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 또는 장착되어 있다고 기술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따른 용어는 단지 예시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그 용어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고 이해되도록 기술한 것일 뿐 예시한 실시 예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캐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은 캐빈의 일 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의 조합을 통해 캐빈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 부호 110은 캐빈(100)이 설치되는 장소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고 캐빈(100)의 바닥을 안정되도록 지면이나 수면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 판이고, 도면부호 120은 캐빈(100)의 골격이고, 121은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이며, 도면부호 130은 프레임(121)의 단부에 결합되는 엔드 블럭(130)이고, 도면부호 140은 프레임(121)에 결합되어 캐빈(100)의 벽면을 구성하는 벽부재(140)이며, 도 5에서 도면부호 131은 연결부재이다.
전술한 베이스 판(110)은 캐빈(100)을 설치할 장소에 설치는 것으로, 평탄한 캐빈(100)의 바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프레임(121)은 수지재(또는 금속재)로 길게 제조된 것으로, 캐빈(100)을 조립할 때 캐빈(100)의 골격(120)을 구성하면서 벽부재(140)의 테두리를 지지한다.
전술한 프레임(121)은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 전 구간에 슬롯(121a)이 마련되어 있고, 그 타 측면(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벽부재(140)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프레임(121)을 사각형태로 조립한 골격(120)을 실시 태양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전술한 캐빈 골격(120)은 엔드 블럭(130)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빈(100)의 골격(120)을 구성하는 프레임(12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121)을 조합하여 사각 형태의 캐빈 골격(120)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a는 도 3b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12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블럭(130)을 통헤서 원하는 형태의 캐빈 골격(120)을 만들 수 있다.
전술한 엔드 블럭(130)는, 도 4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몸체(134a)로 구성되어 있고, 양 몸체(134a)는 피벗(133)을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전술한 슬롯(121a)에 삽입되는 핀(134)이 양 몸체(134a)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엔드 블럭(130)은,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121)의 단부에 결합되어 프레임(121)을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엔드 블럭(130)은 전술한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핀(134, 도 7a)과, 앞서 설명한 양 몸체(134a)가 피벗(133, 도 7a 참조)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표면이 특정 각도로 절단되어 있다.
피벗(133)된 양 몸체(134a)는 양 몸체(134a)가 접하는 면에 적용된 각도(36°, 45°, 60°, 72°, 90°, 120°, 180°)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혹은 다각형 등의 케빈 골격(120)을 구성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3b, 도 7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몸체(134a)가 접하는 면을 45°로 절단된 경우 프레임(121)이 직각으로 연결된 사각형태의 캐빈 골격(12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사각형태의 골격(120)은 엔드 블럭(130)에 의해 90°이상으로는 전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엔드 블럭(13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 T홈(135)이 마련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T홈(135)속으로 삽입되어 합체되는 걸림턱(136)을 갖춘 또 다른 엔드 블럭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서, 미설명 도면 부호 121b는 전술한 핀(134)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이다.
전술한 벽부재(140)는 케빈 골격(120)의 면을 구성하는 즉, 벽면, 창문, 출입문, 환풍구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휠 수 있고 투광 또는 불투광성 소재로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벽부재(140)는 투광성 아크릴재를 채용하였다.
전술한 벽부재(140)의 크기는 전술한 프레임(121)에 구성된 형태에 맞게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나 에시적인 목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벽 부재(140)의 표면에 슬라이드화스너(143)를 통해 개폐할 수 있는 보조창(14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벽부재(140)는 그 테두리 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틱(141)을 포함하고, 그 테두리를 따라서 고무재로 제조된 실링부재(도면에는 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프레임의 결합부는 마그네틱의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빈(100)의 일 측에 출입문(101)이 더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출입문(10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21)을 사용하여 설치되거나 별도로 출입문을 제작한 후 경첩(도면에는 미도시)을 사용하여 캐빈 골격(120)에 결합해도 된다.
전술한 결합부재는 전술한 프레임(121)으로 구성된 캐빈 골격(120)들을 상호 연결하여 형태를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롯(121a)속으로 삽입되는 리브(131)와, 양 리브(131)를 연결하는 가요성 경첩부(132, 도 5)를 포함한다.
전술한 양 리브(131)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프레임(121)의 양 슬롯(121a)속으로 삽입되면, 전술한 경첩부(1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캐빈(100)를 조립할 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프레임(121)은 전술한 경첩부(132)의 절곡작용에 의해 양 프레임이 일정 범위에서 절곡될 수는 있으나, 골격을 구성하는 이웃한 프레임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이웃하게 배치된 양 프레임사이로 빗물이나 바람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21)과 엔드 블럭(130)을 사용하여 강풍에 견디는 내구성을 갖추고, 방수특성과 단열특성 및 채광특성을 갖춘 특정의 캐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캐빈 골격(120)을 분해하면, 프레임, 엔드 블럭, 면부재, 결합부재 등으로 분리되므로 부품이 간소하고 경량이어서 휴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응용 예나 변경 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나, 이러한 응용예나 변경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캐빈 101: 출입문
110: 베이스 판 120: 캐빈 골격
121: 프레임 121a: 슬롯
122: 결합부 130: 엔드 블럭
131: 리브 132: 가요성 경첩부
133: 피벗 134: 핀
135: T홈 140: 벽부재
141: 마그네틱 142: 보조창
143: 슬라이드화스너

Claims (2)

  1.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롯을 갖추고, 그 타 측면에는 벽 부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결합부를 갖춘 프레임과;
    전술한 프레임에 결합되는 핀을 갖추고, 피벗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이 제한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포함하는 엔드 블럭과;
    이웃한 양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마련된 가요성 경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에 중첩되게 결합되는 벽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조립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블럭의 몸체의 외측면에는 다른 엔드 블럭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T홈 또는 상기 T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용 조립 프레임.
KR1020200169799A 2020-12-07 2020-12-07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KR10241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99A KR102415190B1 (ko) 2020-12-07 2020-12-07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799A KR102415190B1 (ko) 2020-12-07 2020-12-07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68A KR20220080568A (ko) 2022-06-14
KR102415190B1 true KR102415190B1 (ko) 2022-06-29

Family

ID=8198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799A KR102415190B1 (ko) 2020-12-07 2020-12-07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1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45B1 (ko) 2016-04-26 2017-01-19 주식회사 위스돔 전시 부스용 조립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55407B1 (ko) 2017-10-20 2020-09-11 남진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3B1 (ko) * 2010-05-04 2013-07-22 뷰로맥스 주식회사 조립식 파티션
KR101728894B1 (ko) * 2015-07-27 2017-04-20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945B1 (ko) 2016-04-26 2017-01-19 주식회사 위스돔 전시 부스용 조립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155407B1 (ko) 2017-10-20 2020-09-11 남진호 절첩식 전시용 부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568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2505A1 (en) Demountable/modular structure system
CN108699854B (zh) 具有窗户的充气穹顶
KR101509862B1 (ko) 조립식 인스턴트하우스 및 그 제작방법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102415190B1 (ko) 캐빈(cabin) 조립용 프레임
JP2007126913A (ja) 二重窓枠
US11525302B2 (en) Protective scre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11886395A (zh) 门窗防雨水流入面板
EP3636842B1 (en) Prefabricated house
KR101721324B1 (ko) 마그네틱 무빙월과 이의 시공방법
KR200179332Y1 (ko) 지진 대비용 간이 대피소
CN216587010U (zh) 一种可折叠拼装应急房
KR20090047414A (ko) 창문 차광겸용 바람 인입장치가 구비된 창호 시설물
CN205713732U (zh) 一种遮阳通风协调窗户
US10024076B1 (en) Shelter and method of use
KR102233435B1 (ko) 텐트
KR20200025696A (ko) 조립식 텐트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텐트
CN218150162U (zh) 一种自动四面帐篷
JP7030346B2 (ja) エアコンブース
CN102561927A (zh) 门窗框料结构
KR200275313Y1 (ko) 텐트
CN215926967U (zh) 一种快速组装式户外帐篷
CN210118079U (zh) 一种推拉窗用可拆卸式百叶窗
CN216428660U (zh) 一种建筑外墙结构
CN101915010A (zh) 一种帐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